• Title/Summary/Keyword: 과학교육 내용

검색결과 1,994건 처리시간 0.03초

지구계 교육과 소재로서 순환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s on the Cycle as a substance and ESE)

  • 김윤지;정진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951-962
    • /
    • 2009
  • 지구계 교육 연구와 문헌을 고찰하며 지구계 교육의 소재로서 순환에 초점을 맞추어 선행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의 10학년 과학 교과에 포함된 지구계 단원과 연관하여 지구계의 의미와 지구계 과학의 기초 개념에 대해 설명하였다. 지구계 교육의 기원에 대해 미국을 중심으로 하여 적용 과정을 살펴보고, 교육 목표와 개념 및 이해 내용을 소개하였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반영된 지구계 교육 내용을 검토하고, 지구과학I 교과서에서 순환에 대한 내용을 비교분석 하였다. 지구계 교육이 국민공통기본 교육 내용으로 굳건하게 정착되기 위해서 교육자들의 지구계에 대한 이해와 지구계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요구된다고 제안한다.

창의적 정보과학영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the Cultivating the Creative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of Informatics)

  • 김성율;이종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5-39
    • /
    • 2014
  • 지금까지 개발된 기존의 정보과학영재 교육과정은 교육목표 설정이 추상적이며 일선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2005년 한국교육개발원의 정보과학영재 교육과정과 이후 관련 연구에서도 정보과학영재 대한 합의된 정의도 없고, 교육목표의 현실성과 구체성이 미흡한 상태이다. 또한 정보과학영재 교육과정이 정보과학영재 교육 기관별로 매우 상이하며, 정보과학영재 교육과정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정보과학영재 연구를 바탕으로 정보과학영재를 다시 정의하고, 제안된 정의를 기초로 합당한 정보과학영재 교육목표 7가지를 제시한다. 또한 7가지 교육목표에 따른 교육영역 및 세부적인 교육내용을 포함하는 창의적 정보과학영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제안한다. 끝으로 제안된 정보과학영재 정의와, 정보과학영재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에 대해 SPSS 18.0과 AMOS 21을 이용하여 신뢰성 검증과 구인 타당도 검증 작업을 실시하여 제안 내용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국내외 과학과 교육과정과 발명의 관련성 분석 (Analysis of Relevance of Korean and Foreign Science Curricula and Invention)

  • 손정우;이봉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51-65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외 과학 교육과정에 제시된 발명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발명의 관련성 정도에 대한 과학교육자들의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외국 교육과정 분석은 미국, 캐나다, 영국, 일본, 호주, 싱가포르, 뉴질랜드, 프랑스, 핀란드, 중국 등 여러 나라의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발명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발명과의 관련성 분석을 위해서 과학,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 등 공통이수 과목들에 대한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각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등에 발명관련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과학 교사를 포함한 과학교육자들에게 교육과정과 발명의 관련성 정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부분의 나라에서 과학교육과정의 '성격(목표)', '내용' 등에서 과학에서 발명의 중요성을 포함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교육자들은 발명이 과학과 교육과정에 관련된 점은 확인되었으나, 체계적인 연계성은 부족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발명교육은 주로 설계 및 장치 고안 등의 결과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문제점 착안, 발명기법, 지식재산권 등 다양한 과정 중심의 발명 관련성은 크게 드러나지 않았다고 인식하였으며, 과학교육에서 발명 교수-학습법이나 관련 자료를 개발하고자 할 때는 과정 중심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21세기 대비 교육정책의 방향

  • 신현석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1998년도 춘계정기학술대회
    • /
    • pp.7-7
    • /
    • 1998
  • 새로운 밀레니엄을 불과 몇 년 앞둔 지금 우리는 정치.경제.사회.문화.과학기술 등 전 분야에 걸쳐 전개되고 있는 역동적인 변화를 몸소 체험하고 있다. 냉전시대의 종식 이후 세계의 정치 구도는 경제패권을 둘러싼 지역화.블럭화의 경향을 보여주고, 플랜트와 하드웨어 중심의 규모의 경제가 기술중심의 소규모화 된 현장중심의 범인의 경제로 전환되는 와중에 있다. 사회.문화적 측면에도 오늘날 우리는 국제화, 다원화, 지방화의 무드 속에서 조직구조의 변화는 물론 이에 따른 인간의 가치관과 생활양식의 변화를 때로는 능동적으로 혹은 피동적으로 체험하고 있다. 한편, 과학 기술 분야의 변화는 거대 에너지와 물자를 활용하는 ‘힘-중심적’ 방향에서 새 사고와 아이디어를 요구하는 ‘지식-중심적’ 방향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과학과 기술에 있어서도 에너지, 재료, 기계 등 대대적으로 활용하는 거시적 과학과 기술로부터 지식, 정보, 통신을 중심에 두는 정밀과학, 정밀기술 쪽으로의 변화가 진행중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의 변화와 관련된 교육적 대응의 원리는 두 가지 형태로 집약될 수 있다. 교육은 본질적으로 순응(accommodation)과 적응(adaptation)이라는 서로 상반되는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순응의 원리는 교육의 탄생이래 교육목적의 본질에 해당되는 것으로 기존 사회질서의 유지와 체제 존속을 위해 교육은 과거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의미 있는 문화내용을 엄선하여 미성숙한 학생들에게 전수하고 그들로 하여금 문화와 전통을 계승하도록 하는 사회화에 그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순응의 원리를 강조하는 교육은 과거 지향적이며 외부의 변화에 대해 수동적인 자세를 견지한다. 한편, 적응의 원리에 입각한 교육은 문화와 전통에 대한 피동적 전승을 넘어서 사회의 변화에 따라 교육체제와 내용을 바꾸는 등 적극적으로 변화에 대응하고, 이러한 변화를 주도할 인간육성에 힘을 기울이는 교육방식을 취한다. 시대적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교육은 이제 기왕의 많은 교육적 신화들을 타파하고 뉴 밀레니엄을 준비해야할 기로에 서 있다. 현재의 변화를 슬기롭게 대처하고 미래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는 인간을 육성하기 위한 오늘날 교육의 사명은 우선 미래사회를 위한 교육정책의 방향을 수립하는 일이다. 교육정책은 국가의 교육방침으로서 현실 교육문제의 해결도 중요하지만 미래의 발전을 기약할 수 있는 장기적인 비젼과 목표 속에서 정립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의도하에 본 연구는 21세기를 대비한 교육정책의 방향을 탐색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본고는 \circled1 과거 우리 나라의 교육정책을 반성적으로 회고하고, \circled2 미래사회에 대한 전망과 교육적 시사점을 분석하며, \circled3 마지막으로 21세기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교육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내용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노 코드 데이터 분석 도구를 활용한 정보·수학·과학 융합교육 교양 강좌 개발 (Development of the Liberal Arts Course for Informatics, Mathematics, and 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using No Code Data Analysis Tool)

  • 이소율;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447-44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비전공자들을 위한 디지털 교육을 위하여 노 코드 프로그램을 활용한 정보, 수학, 과학 융합교육 교양 강좌를 개발하였다. 노 코드 프로그램으로는 오렌지3 데이터 마이닝을 선정하였는데, 이는 데이터 분석, 시각화, 머신러닝 모델의 활용이 용이하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산업환경 변화에 대비하는 핵심 교과인 과학, 수학, 정보의 중요성과 데이터 분석과의 밀접성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을 융합할 수 있도록 선정하였다.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은 8인이 전문가 검토 결과 내용 타당도가 확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 강좌를 대학의 학부생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 PDF

중학교 과학 및 기술·가정 교과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소화와 에너지 단원의 내용 중복 및 연계성 분석 (The Analysis of Duplicated Contents and Sequence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ar and Textbooks in Middle School about 'Digestion' and 'Energy')

  • 심왕섭;이현동;박경숙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1호
    • /
    • pp.1-15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2009 개정 교육 과정의 과학과 기술 가정 교과에 대한 내용 중복과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의 내용 중복성 분석 및 주제 선정을 위하여 과학과 기술 가정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과학과 기술 가정 교과서 각 1종을 선택하여 '소화'와 '에너지'에 단원에서 제시된 개념의 중복성을 분석하였고 개념도를 통해 개념의 수준, 전체적인 구성 및 연계성을 비교하였다. 교과서의 중복성을 분석한 결과 소화와 에너지에 관련된 4개의 성취 기준이 중복되어 있었다.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소화는 22개 개념이 에너지는 9개의 개념이 중복되어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동일한 개념을 기술할 때 과학 교과서에서는 그 내용이 상세하게 제시된 반면 기술 가정 교과서에서는 다양한 예시나 유형이 제시되어 있지만 그 내용의 수준이 다소 낮았다. 동일한 용어를 다르게 표현한 사례도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두 교과의 중복된 내용에 대한 교수에 있어서 학습의 선후 관계나 연계성을 고려한다면 교육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the Student-Teacher Practice)

  • 박철용;민희정;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41-648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두 명의 사범대학 4학년생들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인터뷰, CoRe 질문지, 교육실습기간의 수업관찰기록 등의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반복적 비교 분석법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두 예비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 수준은 매우 낮았다. 두 예비과학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은 서로 달랐으며, 과학 교수지향은 교육실습 기간 동안의 교수경험 후에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두 예비과학교사의 내용지식은 매우 부족하였으며, 학생 이해에 대한 지식수준도 매우 낮았다.

1920년대 통신교육 교재 『중학강의록』의 화학강의 내용 분석 (The analysis of the chemistry lecture content in the 1920s correspondence education textbook "JunghagGanguilog")

  • 이영미;박종석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7권2호
    • /
    • pp.167-179
    • /
    • 2023
  • 이 연구는 1920년대 통신학교인 조선통신중학관에서 발행한 『중학강의록』과 『문교의 조선』, 『신지식』 및 신문 기사 등을 분석하여 당시 이루어진 통신교육에서 과학교육 상황을 살펴보았다. 통신교육 교재로 활용된 자료의 화학강의 내용의 분석과 검정시험 문제와의 비교 등으로 학교 밖과학교육의 실효성을 조사하였다. 통신교육은 학교 내 교육을 받지 못하는 1920년대의 높은 교육열의 소통 창구이었고, 상급학교 진학을 시도하기 위해 검정시험을 봐야 하는 이들에게는 매우 유용한 교육 방법이었다. 화학강의 내용이 검정시험 문제와 유사성이 높아서 학습자들은 통신교육을 상당히 선호했을 것이고 학습력도 높았을 것이다. 그러므로 조선어로 발행된 『중학강의록』은 당시 과학교육 상황에서 매우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Computing Curricula 2020에 기반한 국내 초·중등 정보 교육과정 내용 요소 분석 (Analysis of Primary and Secondary Informatics Curriculum Content Components Based on Computing Curricula 2020)

  • 정재리;김성원;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233-23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Computing Curricula 2020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식 요소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실과와 중학교 정보 교과의 내용 요소의 변화를 비교·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총 5개의 지식 요소를 포함하였고, '컴퓨팅 시스템 기초', '디지털 디자인'과 관련한 내용 요소가 추가되었다. 중학교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총 11개의 지식 요소를 포함하였고, '운영체제', '지능 시스템(AI)'과 관련한 내용 요소가 추가되었다. 그 중 내용 요소의 비율이 크게 변화한 영역은 '소프트웨어 설계',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과 복잡도', '운영체제', '지능 시스템(AI)' 등이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분석하지 못한 고등학교 정보과의 내용 요소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