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동생활공간의 변화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Concept and Standard of the Environment Design for the Joint Infant-rearing Facilities (공동육아시설을 위한 환경디자인의 개념과 기준)

  • 문금희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2 no.2
    • /
    • pp.31-40
    • /
    • 1999
  • Because of the oocIear family due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the growth of husband and wife bah working, the base of the tradition that the parents, all of the famly or the hamet oonmunity bring up the infants together in the important time to the infarts has been collapsed in Korea. Because working mothers camot bring up their children by themselves they got stressed and housewives do not have the oonfidence in rearing their infants and the fathers are isolated from home and the chikten instead of being exempted from the responsibility of rearing children. Therefore the common and comprehensive rearing system should be made for solving the child-rearing problem. For solving these problems and for the desirable infant-rearing and education, the joint irlart rearing, whidl compensates for the life, education and furthermore the sdlool edJcation through the volur1ary participation, has been prepared altematively. Compared to the traditional rearing system, joint infant-rearing is not only operated by the residents with the dues paid by the union members but also makes children experience the life force of natu"e in themselves. So the preparation of the standard of the suitable environment design for the joint infant-rearing is required which is diffrent from the traditional standard of the environmertal facilities for the traditional rearing system. The concept of joint infant-rearing was defind in this study through the reference and the ooncept of infant edJcation which is in operation suocessfully in Italy and Sweden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ooncept of infant education has changed as the ages have dlanged. And the basic principals for the formation of physical envirorvnert and the spare design and the envirorYnertal oondition for the practical environmental design was also studied through the reference. And after study about the concept. figure and physical environmental suggestion, the concept, standard and element of joint infant-rearing environment design was suggested. And as the final conclusion, the design requirement of the envirorvnertal design for the joint infant-rearing was suggested.

  • PDF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Geomundo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ed on social structure (일제강점기 거문도 근대화 과정 -사회구조를 중심으로 -)

  • Park, Min Joung;Park, Soon 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1
    • /
    • pp.36-48
    • /
    • 2016
  • This paper analyzed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terms of the social structure in Geomundo. Before modernization, social structure in Geomundo was traditional society by a village unit. A village had community rituals and organization. There were independent parallel spatial structure among villages. In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forced modernization' had been occurred by Japanese immigrants settling in a separate living space. The modernization was transplanted in a new established village and diffused into other villages. In the process of forced modernization, the connection among villages was reinforced, as the result of that modern social organization was emerg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rituals had been changed. During modernization indigenization period, advanced fishery technology and distribution system occurred capitalist production system helping to place modern norms in the general daily life.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aided organizations from local government and informal organizations reversed the trend of modernization through helping colonial exploitation policy. The spatial structure in Geomundo had become to hierarchical structure with intensified connectivity as the result of extensive spread of community territory. Modernization in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forced modernization' and could not re-established the community spirits. The community spirit has been broken up by dissolving the existing self regulating and self motivated organization.

  • PDF

A Feasibility Study of Green Frame(GF) for the Implementation of Low-carbon Emissions & Long-life Housing (저탄소 및 장수명 공동주택 구현을 위한 Green Frame(GF)의 타당성 분석)

  • Hong, Won-Kee;Kim, Sun-Kuk;Kim, Hyung-Geun;Yoon, Tae-Ho;Yune, Dai-Young;Kim, Seung-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0 no.1
    • /
    • pp.57-63
    • /
    • 2010
  • The bearing wall apartments which occupy the majority of multi-residential apartment buildings built in Korea, are known for having limited architectural plan flexibility, posing challenges in terms of maintenance and remodeling. The economic losses and environmental issues resulting from the reconstruction of bearing wall apartments are now accumulating to the extent that they are becoming a national concern. Multi-residential apartment buildings, which are now the dominant form of residence in Korea, must accommodate diverse customer needs and changes in life style. A new concept of Rahmen structure with architectural flexibility is Green Frame. GF multi-residence housing is expected to reduce construction costs and shorten the construction schedule by overcoming the shortcomings of conventional bearing wall apartments. This goal is consistent with the national policies that target the reduction of resource and energy consumption. In addition, GF will be established as a core contributor to achieving a reduction in $CO_2$ emissions, which will enable the sustainable growth of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and address the low-carbon green growth drive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Generation United News In Education Using Knowledge Sharing Service (지식공유서비스를 활용한 세대통합형 NIE)

  • Jang, Jae-Kyung;Kim, Ho-S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213-218
    • /
    • 2007
  • 정보생산을 촉진하는 새로운 형태의 사이버공간이 나타나면서 지식의 창출과 지식을 얻는 형태가 변화하고 있다. 최종사용자에게 웹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컴퓨팅 플랫폼인 web 2.0의 도입으로 손쉽게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분류할 수 있는 웹 컨텐츠가 활발히 제공되고 있으며 제공된 컨텐츠를 활용하여 수많은 정보 속에서 자신만의 보석을 찾아 손쉽게 지식을 쌓아 관리를 하고 있다. 이러한 지식공유서비스는 무분별한 정보, 중복된 지식, 그리고 단순한 관리로 인해 자신이 원하는 지식을 얻기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상의 정보를 탐색하기 위해서 인터넷을 이용하던 네티즌들이 정보생산자로서 참여하는 공간으로 등장한 '지식공유서비스'를 기반으로 지식 창출 및 관리자로서 시니어를 활용하여 지식의 수용자로서 유아들을 위한 NIE (News In Education) 활용 교육 체계를 제안한다. 뉴스는 유아부터 성인까지 활용될 수 있는 좋은 교육 자료로서 NIE를 통하여 사고력, 논리력, 표현력, 창의력 등 여러 영역에 걸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유치원이나 학교의 교과과정에 맞추어 이러한 능력들을 더욱 배가 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NIE가 더욱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는 미디어 융합의 결과로 인터넷 뉴스를 활용해 생활과 분리되지 않은 통합교육을 할 수 있는 SCORM 기반의 유아용 콘텐츠를 생성하여 유아 교육에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유아용 NIE 교육 콘텐츠는 시니어들을 NIE 강사로 양성하였을 때 학습 자료로도 활용된다. 시니어들을 NIE 강사로 양성함으로써 시니어의 일자리 창출 및 지역사회 통합과 1세대인 여성시니어와 3세대인 아동 간의 세대통합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시니어 NIE 콘텐츠를 생성하고자 한다. NIE에 생성되는 지식을 생성하고 관리하기 위한 지식 솔루션으로 위키의 기능을 추가하여 개발하고자 한다. 위키를 사용하므로 개별적으로 존재하던 지식을 공동의 지식으로 공유할 수 있으며 의견을 하나로 통합하는 과정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위키를 이용한 시니어 NIE 콘텐츠에서는 교수 학습 계획안 및 NIE 아이디어를 공동 작업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지식을 생성할 수 있으며 여러 사람들이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하나의 정제된 지식을 생성하게 되므로 양질의 교수 학습 계획안이나 NIE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Improvement of Calculating Method of the Officially Assessed Individual House Price of Aged Apartment Remodeling Reflecting Feasibility Analysis (사업성분석을 반영한 공동주택 맞춤형 리모델링의 공시가격 산정방법 개선)

  • Bae, Byungyun;Kim, Kyungrai;Shin, Dongwoo;Cha, Heesung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8 no.6
    • /
    • pp.89-97
    • /
    • 2017
  • The number of Aged Apartment units is expected to increase as time went on. Living standards are getting better and they want a new apartment space as the economy progres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increasing remodeling market through the feasibility evaluation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the remodeling project of the apartment ho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ocial pricing factors affecting the Officially assessed individual House Price for the analysis model of commercial house remodeling. The collected samples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350 prices included in 127 lots. Middle school level, high school level, total number of households, and floor area ratio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Officially assessed individual House Price by applying to the remodeling ca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Officially assessed individual House Price and the improvement Officially assessed individual House Price is different. The accessibility with the subway station is included in the land price, and there is no change in the number of stories and directions because it is customized remodeling.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isclosure price depending on the type of factor extraction by the evaluator in a batch application of the disclosure price factors. The research can be used as a model for future remodeling business feasibility analysis.

Social Polarization and Its Spatial Characteristics: The Case of Seoul, South Korea (사회적 양극화와 공간적 특성 : 서울의 사례)

  • Yim, Seok-Hoi;Lee, Yong-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8 no.2
    • /
    • pp.270-279
    • /
    • 2002
  • 1997년 IMF 경제위기 이후 한국사회의 뚜렷한 변화의 하나는 빈부격차의 확대와 함께 사회계층의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회적 양극화의 주요 원인은 무엇이며, 사회적 양극화가 공간적으로는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서울을 사례로 하여 규명하는 데 있다. 서구 선진자본주의 국가에서 사회적 양극화에 대한 논의는 이미 1990년대 초 세계화 또는 세계도시가 주요한 연구주제로 등장하면서 시작되었다. 1980년대 이후 선진자본주의 국가를 중심으로 한계에 도달한 포드주의 축적체계가 포스트 포드주의로 급속히 전환되면서 사회적 양극화가 자본의 유연화 및 세계화 전략과 맞물리는 현상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최근 전개되고 있는 한국의 사회적 양극화는 서구 선진국과 유사하다. 1997년 경제위기 이후 세계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 지식기반경계의 대두로 고소득 전문직이 등장하는 반면, 중산층의 몰락과 더불어 임시적 고용이 확대되고 실업이 만성화되는 등 자본의 세계화와 유연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양극화 양상이 보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한국의 사회적 양극화는 이미 1990년대 초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IMF 경제위기는 단지 그러한 사회적 양극화를 급속히 진행시키는 방아쇠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양국의 사회적 양극화는 직업구조와 임금소득의 격차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또 다른 특성을 갖는다. 왜곡된 시장구조에서 무엇보다도 부동산과 같은 자산소득의 격차가 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서울은 이와 같은 한국의 사회적 양극화가 한 도시 내에서 전형적으로 전개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내 어떤 도시보다도 세계화되어 있고 전문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이 발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의 사회적 양극화는 공간적으로도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서울은 크게 주거지로서는 공동화되고 있는 중구 종로구 용산구 등 사대문안의 구도심지역,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등을 중심으로 한 1970년대 이후 계획적으로 계발된 이른바 강남의 신흥주택 및 신산업 지역, 영등포구 구로구 금천구 성동구 동대문구 등 제조업 중심의 구 산업 및 저소득층 주거지역 그리고 그 나머지 강북 강서 강동 등의 전형적인 주거지역 등 4개 유형으로 지역이 구분된다. 그러나 IMF 경제위기 이후에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를 중심으로 하는 고소득증의 주거지와 그 나머지 주거지로 공간적 양극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적 양극화의 이와 같은 공간화 과정에는 자산소득의 격차를 확대하는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의 높은 지가 및 아파트 가격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높은 부동산 가격이 이 지역에 대한 일종의 진입장벽을 참음으로써 고소득층에 의한 공간독점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공간적 양극화를 촉진하는데는 지하철 및 문화복지시설의 집중 둥 불균형적인 공공투자와 강북에서 이전한 명문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형성된 8학군 등 양호한 교육환경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한국에서의 사회적 양극화는 직업구조와 임금소득이라는 일반적인 요인 외에도 부동산 가격 및 소득 그리고 생활인프라의 격차를 통해 공간적 양극화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한국내 다른도시에서도 전개되고 있는지, 공간적 양극화로 인한 도시문제는 무엇이고 대처방안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 PDF

A study of Exhibition Planning based on the Installation Art - Focused on an Environmental Poster Exhibition - (설치미술의 배경과 전시디자인에 관한연구 - 국제교류 환경포스터 디자인전을 중심으로 -)

  • Shin, Seong-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2
    • /
    • pp.173-180
    • /
    • 2009
  • Increased appetite for art and design due to improving the economic standard of living and industrial community recognized the value of art in the profitable aspect currently demands various exhibitions in various environments. These social needs and changes in corporate culture to meet the rapidly expanding opportunities for artistic exhibitions, and this modern exhibition outside of the conventional gallery requires more for designers to work with various exhibition spaces, and the opportunities are increasing further. Various types of exhibition space in the exhibition planning an unspecified environment best suited to each exhibit space has been designed to require. This comprehensive study of an environmental poster exhibition held in the Seoul Institute of the Arts, MA-block lobby during 2009.06.10-06.19 was a part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projects between Seoul Institute of the Arts and California State University, Northridge. Planning and designing throughout the exhibition in an unspecified space for exhibition requires more creativity and flexible approaches than in the general exhibition gallery.

Examination of Urban Gardening as an Everydayness in Urban Residential Area, Haebangchon (도심주거지에 나타나는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에 대한 고찰 - 용산구 용산동2가 해방촌을 중심으로 -)

  • Sim, Joo-Young;Zoh, Ky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3 no.2
    • /
    • pp.1-12
    • /
    • 2015
  • This study explores urban gardening and garden culture in residential area as an everydayness that has been overlooked during the modern period urbanization and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value of urban gardening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formations and growth in spontaneous urban residential area, Haebangchon. The result identified that urban gardening as a meaning of contemporary culture is a new clue to improving the urban physical environment and changing the lives and community network of residents. Haebangchon is one of the few remaining spontaneous habitations in Seoul, and was created as a temporary unlicensed shantytown in 1940s. It became the representative habitation for common people in downtown Seoul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the 60s and the local reform through self-sustaining redevelopment projects during the 70s through the 90s. This area still contains the image of times during the 50s to the 60s, the 70s to the 80s and present, with the percentage of long-term stay residents high. Within this context, the site is divided into third quarters, and the research undertaken by observation and investigation to determine characteristics of urban gardening as an everydayness. It can be said that urban gardening and garden culture in Haebangchon is a unique location culture that has accumulated in the crevices of the physical condition and culture of life. These places are an expression of resident's desires that seeking out nature and gardening as revealed in densely-populated areas and the grounds of practical acting and participating in care and cultivation. It forms a unique, indigenous local landscape as an accumulation of everyday life of residents. Urban gardens in detached home has retained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dwelling and the garden, or 'madang', and takes on the characteristic of public space through the sharing of a public nature as well as semi-private spatial characteristic. Also, urban gardens including small kitchen garden and flowerpots that appear in the narrow streets provide pleasure as a part of nature that blossoms in narrow alley and functions as a public garden for exchanging with neighbors by sharing produce. This paper provides the concept of re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vate-public area that occurs between outside spaces that are cut off in a modern city.

설비의 리모델링을 고려한 건축물 설계

  • 김수암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0 no.9
    • /
    • pp.17-26
    • /
    • 2001
  • 최근 국제적인 여건과 사회적인 상황이 급변하여 대량생산-대량소비지향으로 인한 폐기물의 대량방출사회에서 지구환경보전을 중시하는 사회로 전환되어 가고 있다. 지구환경의 보전을 위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각종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건축분야에서도 지구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이산화탄소배출의 억제와 폐기물 삭감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최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건축물의 장수명화와 리모델링도 이러한 움직임과 궤틀를 같이 하는 것이다. 물론 리모델링은 신축시장의 급감에 따른 대체시장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측면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동안 신축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에 중점이 두어져 재고건축물에서 간과해 왔던 유지관리와 리모델링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결부되어 있다고 보여진다. 사실 지금까지 리모델링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 아니라 일반건축물 부문에서는 상당부분 이루어져 왔으며, 공동주택 부문에서도 극소수 이루어져 왔다. 리모델링에 대한 정의와 개념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리모델링은 건축물 또는 외부공간의 성능 및 기능의 노후화나 진부화에 대응하여 보수, 수선, 개수, 부분증축 및 개축, 제거, 새로운 기능추가 및 용도변경에 이르는 광범위한 행위를 포함한다. 리모델링을 통하여 건축물의 성능을 유지하거나 향상시켜 쾌적하고 건강한 건축물의 재고 를 구축함과 아울러 건강한 지역환경을 조성하여 국민생활의 질적인 향상을가져옴으로써 환경을보전하 고 자원낭비를 줄여 지속가능한 건축물과 사회를 만들어 갈수있도록 하는 것이다. 건축물에서 리모델링을 하게 되는 동기는 시간이 흘러 물리적인 측면이나 기능적인 측면에서 노후화가 발생하거나 기능적인 요구가 변화함에 따라 건설당시의 성능이나 기능유지가 어렵거나 건설당시의 기능만으로는 요구조건을 만족함 수 없기 때문에 건설 당시의 수준을 유지하거나 새로운 요구에 적합하도록 향 상시키기 위해서는 물리적 또는 기능적인 개선이나 개량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물리적인 개선이나개량을위하여 중요한것은건축 물을 구성하는 자재나 부품의 수명문제이다. 수명의 길이차이가 건축물의 리모델링에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수명의 자재나 부품의 접합상태가 리모델링 공사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리모델링 공사가 신축공사의 70-80% 정도의 공사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리모델링 공사가 어렵다는 업체의 불만은 바로 이러한 점을 극명하게 드러내는 좋은 사례이다. 본 고는 이러한 측면에서 건축물의 장수명화를 근간으로 한 설비의 리모델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건축 계획 및 구법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고는 기존건축물의 설비자체의 보수나 개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진 것이 아니라 건축설계 및 시공시에 향후 설비부분을 용이하게 개.보수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측면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 PDF

Digital Home Network Product Design Process & the Design Proposition (디지털 홈 네트워크 제품디자인 프로세스와 디자인 제안)

  • Lee, Dae-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5
    • /
    • pp.118-127
    • /
    • 2009
  • The current global spread of communal residential culture and the trend of continuing increase of newly built apartment environment are increasing the demand of home network products for each residential space and among households. The continuing advancement of ubiquitous and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home network system are promoting the demand for the product design. The residential culture change and the apartment interior design change are having mutual effects on the lifestyle of residents and the product design and demand new product design. Coordination with interior products, interior style and products, product and fashion design and reconstruction and fusion between the products and their element factors are the core element of this design study. Based on this, integrated design strategy and concept research and analysis were studied for the design process, and have been expressed in three dimension design through which the design functionality and the external aesthetical design can correspond to each other. It's because the aspect of the future development prospect can be predicted in detail by presenting practical design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