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amination of Urban Gardening as an Everydayness in Urban Residential Area, Haebangchon

도심주거지에 나타나는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에 대한 고찰 - 용산구 용산동2가 해방촌을 중심으로 -

  • Sim, Joo-Young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Landscape Architecture Major, Seoul National University) ;
  • Zoh, Kyung-Ji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심주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전공) ;
  • 조경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14.11.20
  • Accepted : 2015.02.02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urban gardening and garden culture in residential area as an everydayness that has been overlooked during the modern period urbanization and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value of urban gardening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formations and growth in spontaneous urban residential area, Haebangchon. The result identified that urban gardening as a meaning of contemporary culture is a new clue to improving the urban physical environment and changing the lives and community network of residents. Haebangchon is one of the few remaining spontaneous habitations in Seoul, and was created as a temporary unlicensed shantytown in 1940s. It became the representative habitation for common people in downtown Seoul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the 60s and the local reform through self-sustaining redevelopment projects during the 70s through the 90s. This area still contains the image of times during the 50s to the 60s, the 70s to the 80s and present, with the percentage of long-term stay residents high. Within this context, the site is divided into third quarters, and the research undertaken by observation and investigation to determine characteristics of urban gardening as an everydayness. It can be said that urban gardening and garden culture in Haebangchon is a unique location culture that has accumulated in the crevices of the physical condition and culture of life. These places are an expression of resident's desires that seeking out nature and gardening as revealed in densely-populated areas and the grounds of practical acting and participating in care and cultivation. It forms a unique, indigenous local landscape as an accumulation of everyday life of residents. Urban gardens in detached home has retained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dwelling and the garden, or 'madang', and takes on the characteristic of public space through the sharing of a public nature as well as semi-private spatial characteristic. Also, urban gardens including small kitchen garden and flowerpots that appear in the narrow streets provide pleasure as a part of nature that blossoms in narrow alley and functions as a public garden for exchanging with neighbors by sharing produce. This paper provides the concept of re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vate-public area that occurs between outside spaces that are cut off in a modern city.

본 연구는 도시화 과정에서 간과되었던 우리의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Urban Gardening)를 재발견하는 과정으로, 자생적 도심주거지 해방촌에서 나타나는 도시정원가꾸기의 이해와 장소적 특성 고찰을 통해 현대적 의미의 도시정원이 단독주택지 주민들의 삶과 연계하여 물리적 환경 개선과 지역 주민들간 관계 형성을 견고하게 하는 매개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지인 해방촌(解放村)은 자생적으로 형성된 단독주택지지역으로, 1940년대 후반 도시빈민의 임시 정착지로 형성되었으나 '60년대 주거지 양성화와 '70년대~'90년대 자력 재개발사업에 의한 현지 개량을 거치면서 서울 도심의 대표적인 서민 주거지로 자리 잡았다. 특히 이 지역은 용산 미군부대와 남산으로 둘러싸여 섬처럼 존재하는 지리적 여건을 지니며 주거지 개발의 붐에서 비켜 있었으므로 다른 도심주거지에 비해 물리적 환경변화가 적고 주민들 역시 오랜 시간동안 지역에서 거주해온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을 바탕으로 해방촌을 크게 3개의 권역으로 나누고, 도시 조직과 주거형태 변화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전개된 도시정원가꾸기의 특징과 일상문화를 면밀히 관찰하였다. 서울민의 대중적 삶이 적층되어 있는 해방촌의 도시정원가꾸기는 근 현대 주거사의 변천과 생활상 변화에 따라 다양한 공간과 속성으로 변용, 진화해 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들 장소는 고밀화 된 주거지에서 발현된 자연-정원에 대한 주민들에 욕망의 표현이며, 가꾸기를 통해 드러나는 참여의 장, 실천적 행위의 장소이다. 지역 주민들의 삶의 양식이 누적된 독특한 일상생활문화로서 지역 고유의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주거와 마당-정원의 원형적 관계가 남아있는 단독주택지에서 도시정원은 반사적 공간의 공공적 공유가 발생하는 특성이 나타나며, 중층적 공간 구조 사이에서 창조적인 공간 사용을 발견한다. 협소한 대지의 효율적 공간 활용으로 나타나는 도시정원은 지역 주민들의 교류를 촉발하는 역할로서 마이크로 규모의 녹지 공간일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만들어진 정원의 도시 이미지를 형성한다. 도시정원에 대한 관심은 도시에서의 먹거리 생산이라는 역할을 넘어 건강과 취미, 교육, 공동체 회복 등 도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측면과 닿아 있다.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는 사소한 다수가 발휘하는 고유한 역량과 독특한 특성에 대한 재발견으로 일상생활문화로서의 공간 활용과 장소에 내재된 가능성, 가치의 중요성을 다시금 상기한다.

Keywords

References

  1. Ahn, Myung June(2012) Kitchen Garden and Urban Aesthetics. Seoul: Seoul University Publisher. 안명준(2012) 텃밭정원 도시미학: 농사일로 가꾸는 도시, 정원일로 즐기는 일상("도시농사와 조경의 공진화"). 서울: 서울대학교
  2. Benoist-Mechin, Jacques(2005) (L')Homme et ses jardins. Seoul: Renaissance. 자끄 브누아-메샹(2005) 이봉재 역, 정원의 역사. 서울: 르네상스.
  3. Cho, Dong-bum, Su-ran Kim and Keun-ho Kim(2007)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garden design and dwellers' understanding of garden maintenance in single detached urban dwelling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6): 54-65. 조동범, 김수란, 김근호(2007) 도시 단독주택 정원의 공간적 특징과 유지․관리에서 보이는 거주자의 정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6): 54-65.
  4. Davey, Peter(1989) The rebirth of the garden. Architectural Review 권(Sep): 31
  5. Francis, Mark and Jr. Randolph T. Hester(1990) The Garden as Idea, Place and Action. The Meaning of Gardens. Mass.: The MIT Press.
  6. Harrison, Robert Pogue(2008) Gardens-An Essay on the Human Condition. Chicago and Lond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 Helphand, Kenneth(1990) Francis ans Hester(editors), "Personal Expression," The Meaning of Gardens. Mass.: The MIT Press.
  8. Hunt, John Dixon and JoachimWolschke-Bulmahn(1990) The Vernacular Garden. Washington: Dumbarton Oaks.
  9. Hunt, John Dixon(2000) Greater Perfection: The Practice of Garden Theory. London: Thames & Hudson.
  10. Jang, Se-yong(2002) Michel de certeau on everyday life and popular culture. The Western History Review 82: 205-238. 장세룡(2002) 미셀드세르토의일상과민중문화. 서양사론82: 205-238.
  11. Jeon, Sang-in and Mi-young Kim(2012) Sociology of the Rooftop. Seoul: AURI. 전상인, 김미영(2012) 옥상의 공간사회학. 서울: 건축도시공간연구소.
  12. Jun, Nam-il(2010) Spatial History of Korean Housing. Seoul: Dolbegae Publisher. 전남일(2010) 한국 주거의 공간사. 서울: 돌베개.
  13. Jun, Nam-il, Se-kwan Son, Se-hwa Yang and Hyung-ok Hong(2008) Social History of Korean Housing. Seoul: Dolbegae Publisher. 전남일, 손세관, 양세화, 홍형옥(2008) 한국주거의사회사. 서울: 돌베개.
  14. Jun, Nam-il, Se-Hwa Yang and Hyung-ok Hong(2009) Micro-history of Korean Housing. Seoul: Dolbegae Publisher. 전남일, 양세화, 홍형옥(2009) 한국 주거의 미시사. 서울: 돌베개.
  15. Kang, Hong-bin and Moung-duck Joo(2002) Seoul Eassy: Cityscape of Modernization. Seoul: Youlhwadang Publisher. 강홍빈, 주명덕(2002) 서울에세이: 근대화의 도시풍경, 강홍빈과 주명덕이 함께하는 서울기행. 서울: 열화당.
  16. Kim, Jung-dong(2001) A Trip of City with the Literature-fromMujeong to Namok. Seoul: Old today Publisher. 김정동(2001), 문학속 우리도시기행-<무정>에서<나목>까지. 서울: 옛오늘.
  17. Kwon, Ki-bong(2008) To Meet the Disappearing History with Walking in Seoul. Seoul:(Co) Alma Publisher. (권기봉(2008) 서울을거닐며사라져가는역사를만나다. 서울: (주)알마.)
  18. Lee, Sin-chul(2000) A study on 'Haebang-Chon' Yongsan 2-ga dong: A village of people coming South Korea from North Korea.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14: 83-116. 이신철(2000) 월남인 마을 '해방촌(용산2가동) 연구-공동체의 성격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14: 83-116.
  19. Lim, Chang-bok(2011) Korean Housing: History of Pattern and Changes. Seoul: Dolbegae Publisher. 임창복(2011) 한국의 주택, 그 유형과 변천사. 서울: 돌베개.
  20. Miller, Mara(1993) The Garden as an Art.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1. Pae, Jeong Hann(1998) Environmental aesthetics as a landscape architectural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5(4): 89-106. 배정한(1998) 조경이론으로서의환경미학. 환경조경학회지25(4): 89-106.
  22. Pae, Jeong Hann(2004) Theory and Critical Practice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Landscape Publisher. 배정한(2004) 현대조경설계의 이론과 쟁점. 서울: 도서출판 조경.
  23. Park, Jae-Hwan(2008) Sociological Understanding of Everyday Life. Seoul: Hanul Academy. 박재환(2008) 일상생활의 사회학적 이해. 서울: 한울아카데미.
  24. Pollan, Michael(2009) Second Nature. Seoul: Taurus Publisher. 마이클 폴란(2009) 이순우(역), 세컨 네이처. 서울: 황소자리.
  25. Seo, Sun-young(2009) Sustainable physical elements of Hae-bang-chon. Urban Design 11(2): 109-122. 서선영(2009) 해방촌의 지속가능한 물리적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1(2): 109-122.
  26. Sung, Jong-Sang(2011) Dream of green roof; Poetics of roof garden. Rediscovery of Roof-Garden: Seoul University Symposium (성종상(2011) 초록지붕의 꿈-옥상정원의 시학. 옥상정원의 재발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옥상정원 심포지움.)
  27. Shim, Seng-Hoe(2004) Seoul: A Space Remembered History. Seoul: Nano Media Publisher. 심승회(2004) 서울, 시간을 기억하는 공간. 서울: 나노미디어.
  28. Zoh, Kyung-Jin(1994) Re-inventing Gardens: A Study in Garden Theory.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29. Zoh, Kyung-Jin(1997) Landscape architecture: For the new possibilities. Leesang Architecture June: 151. 조경진(1997) 조경건축: 그 새로운 가능성을 위하여. 이상건축 6월호: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