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 및 민간주체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3초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의 민간·공공 유형별 투자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vestment Determinants by the Types of Start-up Accelerators)

  • 허가엘;정승화;김지연
    • 중소기업연구
    • /
    • 제43권4호
    • /
    • pp.173-209
    • /
    • 2021
  •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는 일정 기간동안 멘토링과 교육, 사무 공간, 시드머니 등을 제공하고 스타트업으로 부터 일정 지분을 받는 새로운 유형의 투자 주체이다. 이들은 자금난과 경험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초기 스타트업의 리스크를 줄이고, 성공적인 사업화가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이들의 성과가 가시화됨에 따라 민간과 공공을 중심으로 이들의 수가 국내외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민간이 설립하여 운영하는 민간 액셀러레이터와 공공이 설립하여 운영하는 공공 액셀러레이터는 서로 상호보완적 역할을 하며, 그 역할이 중요해 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투자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간 액셀러레이터와 공공 액셀러레이터의 주요 운영 목적 및 이에 따른 투자결정요인의 차이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그리고 연구결과, 민간은 투자를 통한 이익 창출을, 공공은 성장가능성 높은 스타트업의 발전과 특정 지역 및 기술의 창업생태계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두 그룹 모두 모두 투자 결정 시, 고객니즈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공 그룹은 특허권 보유 여부나 협력사 및 멘토 보유 여부, 공동창업자 보유 여부 등을 민간 그룹보다 중요시하여 투자에 있어서 다소 보수적이며, 객관적 지표들을 더 중요하게 생각함을 알 수 있었다. 민간 그룹은 창업자의 역량, 창업자의 협업 용이성 등 내부 조직원을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나 두 그룹 간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두 그룹의 투자목적 및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들은 공공, 민간 액셀러레이터들이 보다 올바른 투자대상을 선정하는 기준 마련 및 정책 수립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능형 건물(IB:Inteelligent Building)의 계획과 운영관리⑬

  • 이순형;임상채
    • 전기기술인
    • /
    • 제250권6호
    • /
    • pp.17-19
    • /
    • 2003
  • 지능형 건물 인증제도의 적용대상은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크게 주거용 건물과 비주거용 건물로 나눌수 있으며 건축시점에 따라 신축건물과 기존 건물로 나누어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시행주체에 따라 공공발주 건물과 민간발주 건물로 나눌 수 있으며 건물의 규모 및 집합형태에 따라 적용대상을 단일건물, 복합건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PDF

공공 발주자 혁신프로그램 전략 및 성과 분석 - 미국 GSA Construction Excellence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Innovation and Achievements in Public Construction Clients - Lessons Learned from GSA Construction Excellence Program -)

  • 김한수;정희옥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394-397
    • /
    • 2003
  • 현재 한국 건설산업은 미래지향적인 혁신을 필요로 하고 있다. 건설산업의 혁신과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을 모색하기 위한 다양한 주제 중 본 연구에서는 발주자 혁신 노력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 주된 이유는 건설생산의 효율성과 생산성은 궁극적으로 발주자치 역량과 효율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미국 GSA(General Services Administration)의 Construction Excellence 프로그램을 추진 배경, 추진 전략 및 성과 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 혁신 프로그램이 주고 있는 교훈과 시사점을 발굴하고자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공공 발주자의 자각, 민간주체와의 파트너십, Best Practice 발굴 및 실천, 성과측정 등이 주요 키워드로 분석되었다.

  • PDF

재건축사업의 타당성분석 절차의 모델링 (A Model on the Feasibility Analysis for the Apartment Reconstruction)

  • 정정만;김수용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460-464
    • /
    • 2003
  • 아파트 재건축사업은 신축사업과 달리 재건축조한의 설립 등, 사업시행의 절차가 복잡하고, 개발사업의 타당성을 조사할 능력이 없는 비전문가들로 구성된 조합이 사업주체가 되어 자율적으로 추진하는 민간사업으로 재건축사업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검증하는 객관적인 절차가 없는 상태에서 설계사, 시공사 등 많은 주체들이 참여함에 따라 각 주체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고 오해와 불신 비리와 분쟁 등 주민마찰의 온상이 되어왔다. 본 연구는 아파트 재건축사업 타당성조사 분석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아파트 재건축사업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공공 및 민간업체를 대상으로 사업성분석의 절차와 분석항목, 사정기준을 조사하여 각 분석항목 및 분석정보의 흐름을 IDEF0 방법론을 이용하여 프로세스를 모델링하였다.

  • PDF

소모성자재산업 발전방향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Direction of MRO Industry for SMB)

  • 김경일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49-55
    • /
    • 2013
  • 본 연구는 소모성자재 유통에 관련된 구매사, 자재구매대행업자, 납품업체의 운영실태, 애로사항, 정책 및 지원사항 등에 대해 조사하고, 해외선진국가의 소모성 자재 관련 각종 지원정책과 사업운영 프로세스 등에 관한 내용을 벤치마킹하여 정부정책개발 및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 나아가 영세 기업인 납품업체를 특화하여 육성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공공기관, 중소납품업체를 대상으로 지원방향을, 자재구매대행업자와 민간구매회사를 대상으로 대응방향을 마련하여야 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원방향에 있어서는 첫째 공공기간에 대해서는 구매시스템을 구축하고 대행하며 검증된 중소납품업체 정보 제공이 지원되어야 하며, 구체적으로는 공공기관 통합 구매시스템이 구축되어 구매 대행 서비스를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중소납품업체에 대해서는 5대 의무구매품목 인증을 지원하여 공공기관의 입찰 기준을 개선하고 마케팅, 영업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는 영세업체 인증지원을 강화하고 조달청 등의 복잡한 입찰절차를 완화하고 권역별 대표 유통단지를 대상으로 현장교육을 실시하며 공동구매 서비스를 지원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대응방향에 있어서는 자매구매대행업체들에 대해서 소모성자재 대체 납품기준을 마련하여 가격 외의 기준으로 공공기관부터 적용하여야 할 것이며, 공동 MRO몰의 초기 포지셔닝 방향을 수립하고 지원하여 민간기업과의 차별화를 부각시켜 5대 의무구매품목만 취급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민간구매회사에 대해서는 납품업체 적정이익을 확보하여 납품업체 이익을 일정부분 보장한 정부주체의 운영몰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 PDF

공공영역에서 의료 마이데이터(MyData) 생태계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Health MyData ecosystem in the public domain)

  • 박효주;양진홍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511-522
    • /
    • 2020
  • 본 논문은 공공영역에서 의료 마이데이터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생태계 구축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마이데이터 사업의 유형을 비즈니스 도메인별, 주체별, 목적별, 방식별로 구분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및 해외에서 추진되고 있는 마이데이터 사업을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그 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나리오 기법을 통해 공공영역에서 추진할 수 있는 마이데이터 사업의 시나리오를 도출하고, 각 시나리오를 추진하기 위한 주체별 역할 및 주요 이슈를 파악하여 생태계 구성 주체별 전략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시도는 민감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민간에서 시작하기에 이슈가 많은 의료 마이데이터 사업이 국내에 정착하기 위해 공공영역에서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역할이 무엇인지를 드러내는데 1차적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 생태계가 구축되기 위해 예상되는 이슈를 파악하고, 향후 마이 데이터 사업이 국내에서 올바른 방향으로 추진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논의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우리나라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발전을 위한 핵심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e Factor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in Korea)

  • 전영환;최형림;유동호;윤수진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97-114
    • /
    • 2008
  • 본 연구는 변화하는 해운물류환경에 대응하고, 경쟁 항만과의 치열한 물류거점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국내의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의 발전을 위한 핵심요인이 무엇인지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개발 및 운영과 관련된 주요기관을 중심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국내 외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개발 및 운영 현황분석과 국내의 관련 전문가 면접조사를 통해 공공기관, 산업체, 연구기관/학교, 민간단체가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개발 및 운영에 영향을 주는 주체임을 파악하였고, 각 기관별로 세부 기능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AHP 기법을 활용한 설문조사로 우리나라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발전을 위해 공공기관, 연구기관/학교, 산업체, 민간단체의 순으로 중요도가 분석되었는데 이에 따른 각 주체들의 여러 역할간의 우선순위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개발 및 운영시 중요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일본에 있어서 농촌지역개발주체의 존재형태와 변화방향에 관한 연구 (The Existing Types of Public and Private Actors for Managing The Rural Development Programs & Facilities in Japan)

  • 윤원근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8권3호
    • /
    • pp.665-691
    • /
    • 2011
  • The implementation of an place-based rural policy requires changes in the intra-governmental relations and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civil society. Over the past decades, Japan has been increasingly devolving and decentralizing public responsibilities and resources to sub-national government levels. There is assumption that such transfers produce more efficiency in terms of public management and create better conditions for economic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these transfer respond to new expectations of citizens and civil society to participate more closely in the democratic decision-making process. Coordination is also needed at the local level to integrate sectoral approaches, to involve private partners and to achieve the appropriate geographic scale. Local public and private actors join a partnership and pool knowledge and resources. This type of local partnership is characterized by the participation of different actors, including municipalities, sub-regional government institution and development agencies.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actors(private firms, cooperatives, associations, non-profit organizations, farm organizations, other categories organizations, etc,) is also important.

공공사업(댐)의 의사결정시 사회성 평가 방법 (Evaluation Methods of Sociality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Dam Construction)

  • 김우구;김태영;이광만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57-662
    • /
    • 2006
  • 공공사업의 목적은 사업을 통해서 발생하는 혜택을 인간 및 사회가치 적합하도록 최대한 확산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해 사회적 가치를 고려하지 않는 경제 및 정책 범주에서만의 분석은 공공사업의 추진타당성에 신뢰저하를 가져오거나 사업추진지역사회의 막연한 불안감(저항)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타당성 있는 사업추진 및 지역사회 저항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발견은 중요하다고 하겠다. 해결방향은 공공사업으로 영향 받는 당해지역에서의 경제(정책포함)외적인 제약조건까지 파악하여서 전반적인 사회경제적가치(시장가치)를 재발견해 가는데 있다. 그것은 공공사업의 예비타당성 평가시에 잠재적으로 부딪힐 저항이나, 개발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확산가치까지도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의미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잠재적 가치는 경제적 요소에서만 발생하기 보다는 당해지역의 사회문화적 잠재성 극대화에서 나온다. 지금까지의 계획수립과정은 정부와 전문가집단이 중심이 되어 계획을 수립하고 작성된 계획안에 대해 시민단체, 환경단체 등 이해당사자들이 공청회나 공람을 통해 의견을 제시하는 소극적 프로세스였다. 한편, 대안적 프로세스는 계획수립의 초기단계부터 다양한 이해당사자를 참여시키고 이들을 보조자가 아닌 계획수립의 주체로서 인정하고 협의와 조정과정을 거쳐 합의를 도출함으로써 계획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실행가능성을 높이는 방식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미래지향적 가치를 포괄하고 있는 예비적인 사회적 타당성의 평가항목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사회영향평가(SIA: Social Impact Assesment)모델을 통해서 공공사업 및 민간사업이 당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의 대응방안 마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주요 내용은 공공사업관리방식의 체계를 파악하고 공공사업의 사회적 타당성 및 국내외 적용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과 사회성 검토항목 및 평가방법을 제시한 후, 우리나라에의 적용방안을 검토하였다.

  • PDF

공공연구부문의 탈추격형 혁신활동특성 분석 및 과제 :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Post Catch-up Innovation Activities of Public Research Sector : The Case of Daeduk Innopolis)

  • 황혜란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7-176
    • /
    • 2011
  • 우리나라는 대내외적 과학기술환경 변화와 혁신주체의 역량 증진에 따라 선진기술의 도입과 모방으로부터 벗어나 탈추격형 혁신활동 및 시스템 정착이 필요한 전환기에 처해 있다. 특히 공공연구부문은 민간부문으로 부터의 원천기술지식 공급에 대한 수요압박에 직면해 있어, 지금까지와는 새로운 형태의 목표설정, 일의 조직 방식, 사업화 궤적의 형성 동 다양한 변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밀집한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사례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공공연구 부문 탈추격형 혁신활동 특성을 분석하고 현재 '추격형' 시스템과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