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간구성특성

Search Result 1,72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Loca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Tombs Uireung (의릉(懿陵) 일원(一圓)의 입지(立地)와 공간구성특성(空間構成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 Choi, Jong Hee;Kim, Heung Nyeon;Lee, Won;Eom, Tae Geo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3 no.1
    • /
    • pp.212-23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Uireung that is located in Seokgwan-dong, Seongbuk-gu, Seoul, in order to understand the landscap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ireung is 6.4km from Changdeokgung Palace and 5.5km from Heunginjimun Gate. It did not violate the distance standard (40km) for the royal tombs according to Joseon Dynasty Neung-won Myo-je. Second, Uireung is in harmony with the nature and shows the authori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authority through the spatial composition and rank(Entrance Area, Ceremonial Area, Burial Area). Third, there are burial mound, stone sheep, stone tiger, stone table, stone watch pillars in the upper platform, and stone civil official, stone horse, stone lantern in the middle platform, and stone military official, stone horse in the lower platform, and T-shape shrine, worship road in the ceremonial area. There is no pond and a tomb keeper residence, but the position, size, and form can be approximated through historical research materials. There are a colony of pine trees around the burial mound and 64 species of trees such as pine tree, zelcova tree, and fir tree below the burial mound.

Interpretation Applied Dynamic Symmetry and Module for the Structure Analysis in Art-Work Space (해체적 작품공간의 구조 분석을 위한 다이내믹 시미트리와 모듈 개념의 적용 및 그 해석)

  • 신연호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no.3
    • /
    • pp.221-234
    • /
    • 2000
  •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space concept of the constructive mode in the work space of the postmodernism artists since 1970s. According to the changing view of the world artists, they are searching for the characteristics of having the parameter of formative organization on how they are related to the constructive system which represents the work styles. First, this study searches for the theoretical approaches of the constructive system and parameters that were studied by Le Corbusier - the module concept as the meaning of order system being used for the basic formative construction Second, when it is regarded as a formative construction in making art as the'principles of organization'(the law of living form), which was defined by Suzanne Langer in the formative theory as the organized structure shown in growth structure in mu and ecological system, the principles governing the module rules were arthmetically analysed art-work space through the dynamic symmetry of Jay Hambidge.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e principles working on the parameters for new formative organization as follows: First, the module in the work space should be designed and built from the dynamic symmetry. Second, the module should satisfy the human needs that it must be acceptable, efficient, flexible, which are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dynamic symmetry. Third, the dynamic symmetry which has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and the principle of Complement as its primary construction principle has the common properties and the reciprocity in the construction of the work space and when it has the self similarity, it segments organically the total space without damaging the continuum.

  • PDF

An Examination of Japanese Modes Expressed in American Spatial Design (미국 건축 및 조경디자인에 나타난 일본양식에 관한 고찰)

  • 김신원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3 no.1
    • /
    • pp.189-214
    • /
    • 1995
  • 본 연구는 미국의 건축 및 조경공간 형성에 미친 일본문화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일본문화 및 공간디자인의 특성과 미국건축 및 조경에 나타난 그 면모에 관한 것이다. 1853년 미국과 일본의 문화교류를 시작으로 일본의 예술과 건축이 미국에 소개되었고, 특히 1893년 Chicago에서 열렸던 Wor1ds Columbian Exposition에서 선보인 일본의 건축물은 당시 미국의 건축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후 일본의 공간디인은 건축뿐만 아니라 조경분야에도 영향을 미쳐 현재 미국의 공간디자인을 구성하고 있는 특성 가운데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필자는 미국의 공간디자인에 영향을 준 일본문화의 실재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문화와 구별되는 일본만의 독특한 문화적 특성을 고찰해보고, 미국 현대건축의 선구자인 Frank Lloyd Wright, Greece and Greene, Philip Johnson, Richard J. Neutra의 작품 및 조경디자이너인 Ethelbert E. Furlong, James C. Rose의 작품속에 나타난 일본식 공간디자인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장래 이 분야의 연구에서는 미국문화의 특성이 고찰되어 미국과 일본의 두 문화가 비교 파악되기 위한 개념적 근거가 마련되고, 일본식 공간디자인이 미국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해석되어졌으며 미국식 공간 디자인으로 전환되었는지 살펴보며, 어떤 이유에서 일본의 공간디자인 양식이 미국의 건축 및 조경분야에서 문화적으로 일본보다 오랜 역사를 지닌 한국과 중국의 공간디자인 양식보다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관해 이해를 구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 PDF

북미 커뮤니티가든의 공간구성 특성 고찰 - 시애틀 피패치(P-Patch)를 중심으로 -

  • Kim, Yu-Na;Choe,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 /
    • 2017.10a
    • /
    • pp.72-75
    • /
    • 2017
  • 도시농업 및 커뮤니티에 대한 사회적 관심에 편승하여 근래 도시의 커뮤니티가든(Community Garden)이 주목받고 있다. 북미의 커뮤니티가든은 농작물 생산 위주의 개인텃밭을 포괄한 지역사회의 구성원과 함께 만들어가는 오픈스페이스의 형태로, 화훼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가든의 발상지인 북미 중에서도 가장 선진적인 사례로 손꼽히고 있는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Seattle)시의 피패치(P-Patch)를 대상으로, 85개의 현장 전수조사를 통하여 공간설계 및 디자인요소를 추출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시애틀 피패치의 일반적인 디자인 구성요소는 기반시설, 지원시설, 휴게시설, 특수시설, 친환경시설 등 다섯 가지 기능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지원시설로는 공구함(Tool Shed)이나 수전시설(Spigot)이, 친환경시설로는 도마(Cutting Board)나 퇴비함(Compost Bin)이 대부분 설치되어 있다. 둘째, 피패치의 공간구성 및 디자인적 특징으로는 이용자 수요 및 입지적 특성을 반영한 유연한 정원 설계를 들 수 있다. 셋째, 피패치는 다목적형 기능을 겸비한 복합적 공공장소로서 공공의 제도적 지원과 시민운동을 연계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넷째,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이용자, 코디네이터, 운영진, 전문가, 지역주민, 자원봉사자 등)와의 파트너십 구축, 다양한 재원 조달 방안 모색, 체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운영을 지속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Architectural Design of Library Building for Preserving Ancient Documents of Koreanology (한국학(韓國學) 고문헌자료(古文獻資料) 전문도서관(專門圖書館) 건축계획(建築計劃)에 관한 연구(硏究))

  • Lee, Keun-Young;Park, Jee-Hoon;Kong, Soon-Ku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4
    • /
    • pp.143-15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library building for preserving ancient documents through analysis of the spatial composition(facility program, area ratio, space zoning, circulation system). This study suggests an outcome as follows. First, The facility program of the archives is composed with four kind functional area ; collection area, user area, administrative/management area, and service/public area ; Second, through the case studies, it was proven that more space was given to the collection area such as the preservation part when compared to other areas(39~56%). Third, there are some traits foun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stack room of the specialized libraries, the location of the preservation department, and the existence of the loading and unloading area. Fourth, it shows that the organization is related to the movement routes.

A Higher-Order Liner Logical Translation of Relative Clause Gaps (고차선형 논리에서의 관계절 공간 번역)

  • 이소영;배민오;조문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404-406
    • /
    • 1998
  • 확정절 문법은 구 구조문법을 명시하는데 사용된 후 계산이론적 언어학자들이 많은 연구를 하는 분야이다. 확정절 문법은 혼절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에 관계절 공간연결 파서를 구성할 때 메우개-공간 의존을 자연스럽게 설명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메우개-공간 의존을 처리할 수 있는 일반 구 구조문법 GPSG의 특성에 대해서 논하고 일반 구 구조 문법을 논리 문법으로 확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7]에서는 메우개-공간 의존을 설명하기 위해서 직관적 논리를 이용하였다. 여기에서는[7]의 직관적 논리 문법의 한계에 대해서 논하였다. 또 [5]에서는 일차 선형 논리를 이용하였는데, 이는 공간연결 파서로 자연어 문장을 논리식으로 번역하는데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차 선형 논리문법을 이용하여 자연어 파서를 구성하였다.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and Hinterland of Air Freight Transportation at Sachon Airport, Korea (사천공항 항공 화물수송의 시.공간적 특성과 배후지)

  • 장재구;한주성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1
    • /
    • pp.53-75
    • /
    • 2000
  • 본 연구는 사천공항에 있어서 항공 화물수송의 시.공간적 특성과 공항의 배후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선 화물수송량에 의해 제4계층에 속하는 사천공항의 탑재 화물수송은 그 배후지가 남서부 경남지역으로 핵심 배후지와 주변 배후지로 구성되는 공간구조를 나타내며, 주로 어묵과 화훼를 탑재하고 감규을 간재하는 기능을 가지고, 탑재화물 중심의 편하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계절별(6.12월).요인별.편별 항공 화물수송량의 시간적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The Color Analysis Based on Formative Continuity of the Facade (파사드의 형태적 연속성에 따른 색채분석)

  • 송인호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no.3
    • /
    • pp.245-252
    • /
    • 2000
  • The facade in the street is a unfixed type, thus it is not easy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structures. In addition, a color mainly depends on sensitivity,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provide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 form of the facade and a color, and to introduce the methodology and the direction of the color scheme for the facade in the stree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47 facades are empirically analyzed. Based upon the results of research analysis, this study try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 formative continuity of the facade in the street, a color, and the quality of the material. From the results, it suggests the new direction for the image formation of the facade in the street centering around a color.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ade in the street is discontinuous, and the color scheme is not based on the formative continuity. Moreover, the whole street is composed of each strong individual character. In order to harmonious creation of the facade in the street, primary colors and painting colors should be constrained. Finally, the color scheme based on the formative continuity of the facade in the stree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 PDF

Characteristics of pH Distribution in Jeju Groundwater (제주도 지하수 pH의 분포특성)

  • 이용두;안중기;정차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272-276
    • /
    • 2003
  • 본 연구는 제주지역 지하수의 수질 특성 중 pH에 주목하여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였다. 먹는 물 수질기준의 경우 pH는 5.8∼8.5의 범위를 요구하고 있다. 제주지하수의 대부분은 이 범위 내에 속하나 특정지역의 경우 상한선을 초과하는 경우도 있다. 이의 원인을 규명키 위한 기초적 조사로서 우선 공간적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고 조사결과 지하수위 구성암질 및 오염원과의 명확한 상관성은 판단하기 어려우나 추후 연속적인 측정과 자료분석을 토대로 검토예정이다.

  • PDF

Context-based Community Configuration for Selective Sharing in Ubiquitous Smart Space (유비쿼터스 스마트 공간에서의 선택적 공유를 위한 맥락 기반 커뮤니티 구성 기법)

  • Han, Jong-Hyun;Woo, Woon-Tac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321-32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중심의 커뮤니티를 정의하고, 사용자의 맥락 정보를 이용한 커뮤니티 구성 방법과 맥락정보 변화에 따른 동적 커뮤니티 재구성 방법을 제안한다. 최근 유비쿼터스 스마트 공간에서 협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커뮤니티 컴퓨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커뮤니티 컴퓨팅 관련 연구에서는 정적인 커뮤니티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의 행동 변화에 따른 커뮤니티의 동적 구성이 어렵다. 따라서 커뮤니티를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구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맥락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안된 방법은 사용자 중심의 정형화된 맥락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관심사를 추론하고 커뮤니티의 목적을 설정한다. 그리고 주기적인 사용자의 맥락 정보 감시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커뮤니티 재구성이 가능하게 한다. 커뮤니티 관리 모듈은 사용자의 맥락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원들 사이의 관계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관계를 바탕으로 커뮤니티의 특성을 결정한다. 제안된 기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맥락인식 기반의 증강현실 경험 공유 시스템을 이용하였고, 사용자의 맥락 정보의 변화에 따른 동적 커뮤니티 구성과 커뮤니티 구성원들간의 콘텐츠에 대한 선택적 공유를 실험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활용하면 선택적 공유를 위한 동적 커뮤니티 구성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