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결혼 이민자

Search Result 12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여성결혼이민자의 다문화가족지원사업 이용과 결혼의 안녕 및 희망의 관계 -문화상대주의와 강점관점에 기반한 지원사업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Utiliz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Services and Marital Well-Being and Hope among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A Focus on Participants of the Support Project Based on Cultural Relativism and a Strengths Perspective-)

  • 현경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2호
    • /
    • pp.127-157
    • /
    • 2014
  •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사회 정착과 결혼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실시되고 있는 다문화가족 지원사업의 이용이 실제로 이 여성들의 긍정적 변화를 도와 부부갈등인식 감소와 결혼의 안녕 및 희망에 기여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상대주의와 강점 관점에 기반 한 지원사업을 수행해 온 전국의 36개 기관들을 통해 수집된 여성결혼이민자 558명의 설문조사 자료가 이용되었다. 구조방정 식모형 분석결과, 예측대로, 지원사업 이용기간, 서비스 이용 빈도 및 이용서비스의 수로 측정된 지원사업 이용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이 보고한 긍정적 변화와 정적으로 연관되었고, 그런 변화는 이어서 부부갈등인식과 부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결혼만족과 결혼안정으로 측정된 결혼의 안녕 및 희망에 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또 긍정적 변화는 결혼의 안녕을 저해하는 부부갈등인식을 낮추어 결혼안녕을 강화하고, 이어 결혼안녕은 희망에 기여하여 이러한 간접경로로 희망을 도왔다. 이 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는 국내거주기간 및 한국어 능력이 지원사업 이용과 긍정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통제했을 때 지지되었지만, 아울러 지원사업 이용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다문화가족지원사업의 이용이 여성결혼이민자의 긍정적 변화를 도와 희망을 키우며 성공적인 결혼 생활을 촉진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 부부갈등을 야기할 수 있는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지원사업 이용의 순기능을 강화하면서 부부갈등을 초래할 수 있는 역기능적 요소들에 대처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들이 끝으로 논의되었다.

  • PDF

결혼이민자 가정 남편과 부인의 가계관리 태도 비교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 (the Comparison of attitudes toward the family financial management between the internationally married husbands and wives in Chunlabuk-do)

  • 김정훈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185-1195
    • /
    • 2007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attitudes toward the family financial management between the internationally married husbands and wives in Chunlabuk-do in order to search the strong and healthy family. As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s were found; Females were perceived that family finance was difficult than males and their wants to job was strong. Female's attitudes toward family financial management was more positive than males'. Males felt very strong responsibility to family finance. The types of family financial management were differently perceived by both couples. The both couple's parental financial management of the family was different each other. Also both of couples reported the conflict with the family finances.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들의 교육실태 및 교사의 인식 -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Classroom Conditions of the Children of Femal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s)

  • 이승은;서현
    • 아동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47-166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children of Femal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s(FIMM) and their classroom conditions. Data was collected from 117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Jeonnam Province using a 28-item inventory composed of classroom conditions and perceptions of teachers about the children of FIMM. Results showed that over 70% of teachers' students were children of FIMM. Children's traits included poor language skills, confusion of identity, and socio-emotional problems due to passive interaction with peers. Programs specifically for FIMM and their children are rare. Teachers considered difficulties teaching children of FIMM are due to lack of economic support, hardship of managing multicultural curriculum, restrictions in application of that curriculum, and institutional inertia.

  • PDF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초급한국어교재의 생활문화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the Life and Culture of the Primary Korean Textbook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 최배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1호
    • /
    • pp.107-125
    • /
    • 2009
  • This paper analyzes the life and culture contents of the primary Korean textbook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investigates ways to improve the textbook organization in futur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extbook must reflect the demand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s learners that need to adapt to Korean society. 2. The textbook needs to adopt a circulating disposition in organizing such life and culture contents that female marriage immigrants can obtain and utilize while living in diverse life environments 3. The textbook should also provide multi-cultural elements in order to help female marriage immigrants with the internalization of the complex identity between their home countries and Korea.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s of Children in Interethnic Immigrant Families)

  • 박미경;엄정애
    • 아동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5-136
    • /
    • 2007
  • In South Korea, some interethnic families result from prearranged marriages where 1 spouse is an immigrant. In this study, traits of children in families of interethnic immigrant marriages were studied by individual interviews of ten kindergarten teachers responsible for them and 8 observations of their preschool classes. Subjects were 21(13 male, 8 female) 3- to 5-year-old children. Results showed the diverse traits of these children : they adapted to the environment by changing and getting along, but some of them exhibited problematic behavior such as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confused identity, and aggression. The attitude of their peers included passive reaction, discord and receptivity regarding their difference. The attitude of the teachers was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worry.

  • PDF

사회자본이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참여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ocial Capital on Married Immigrant Women's Parenting in South Korea)

  • 이채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1호
    • /
    • pp.239-261
    • /
    • 2015
  • 결혼이민자들은 한국사회에서 새로이 사회관계망을 구축해야 하는 부담을 가지므로 사회자본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자녀양육과정상의 어려움과 관련성을 가진다. 본 연구는 사회자본이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양육참여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정내 사회자본과 가정외 사회자본이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양육참여의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는 경기교육복지패널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459명의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매개효과의 분석을 위해 매개변인인 양육참여를 제외한 주효과모형과 투입한 매개효과모형을 비교하고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수행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가정외 가정내 사회자본은 양육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양육참여가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양육참여가 매개변인으로 설정된 모형에서 가정외, 가정내 사회자본은 양육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양육참여가 이들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연결망과 한국생활 만족도: 중국, 베트남, 일본 출신을 중심으로 (Married Immigrant Women's Social Networks and Life Satisfaction in Korea: The Case of Women from China, Vietnam, and Japan)

  • 김경미
    • 한국인구학
    • /
    • 제35권2호
    • /
    • pp.185-208
    • /
    • 2012
  •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연결망이 한국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사회연결망을 가족 연계, 정서적 연계, 모임 수준으로 구분했으며, 2009년 전국조사 자료를 이용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가족연계 변인 중에서는 모국가족 접촉 빈도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동거가족 크기는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본국 가족의 지지망은 물리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작동하고 있는 한편, 한국 '가족'은 지지망으로 작동하는데 한계를 보였다. 또한, 정서적 연계 분석에서는 '교량적 강한 연계의 힘'이 부각되었다. 이 점은 종족 및 문화적으로 이질적인 사람과 가족관계를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활해야 하는 여성 결혼이민자에게 나타나는 특성으로 보인다. 모임 분석에서는 본인가족과 배우자가족 모임 변인의 효과가 강조됐으며, 국적별로 분리했을 때 다소 흥미로운 결과가 발견되었다. 즉, 한국 거주 기간이 가장 긴 일본 출신의 경우 비가족 모임 연결망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혼이주 초기에는 가족연결망이 생활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결혼이주 기간이 늘어날수록 다른 사회연결망의 효과 역시 유의미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및 도움요구 (Stress, Marital Satisfaction, and Needs for Help of Immigrant Women in Korea)

  • 문선숙;김창희;심미경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1-112
    • /
    • 2009
  • Purpose: The study was to assess marital satisfaction. needs for help, and stress of immigrant women. Method: The study employed a descriptive design of data collection. Structured Questionaires were given to the subjects; 144 women who immigrated to Korea through marriage. The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x^2$-test, one 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Stress of immigrant wom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nationality. Housework was the highest among stress domains, the next were finance, husband, parents in law, health, children, and friends. Among these, the subject's stres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domains of husband and parents in law. The level of immigrant women's marit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job. Immigrant women's Korean proficiency was cor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and their marit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stress. Needs for help of immigrant women were rated in the following order : communication, the raising of children, culture and institution, finance, employment, socialization, marriage problem, discrimination, and self development.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to help develop new programmes, and to support existing projects that help immigrant women integrate into Korean society.

새일센터 실무자들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Competence of the Staff in Saeil Center)

  • 성향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481-49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민여성의 자립을 지원하는 새일센터 실무자들의 문화적 역량의 본질을 연구함으로서 향후 이들의 문화적 역량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새일센터 실무자들의 문화적 역량의 향상을 통하여 결혼이민여성의 직업훈련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2017. 6-9월 사이에 전국의 총 7개 새일센터에서 결혼이민여성만을 대상으로 최소 3년 이상 직업훈련사업에 참여하였던 실무자를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접 하였다. 연구결과는 60개의 의미있는 진술, 27개의 주제, 11개의 주제묶음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낮은 수준의 성찰, 친화적 의사소통의 한계, 이타적 태도, 주류의식, 개인과 조직차원의 문화적 역량의 미숙함을 논의하였다. 또한 실무자들에게 문화적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과 다문화적 조직발달을 제안하였다.

결혼이민자 어머니의 임신, 출산 및 영유아 양육 경험 (Foreign Immigrant Mothers' Experiences of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 Rearing)

  • 방경숙;허보윤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6-44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foreign immigrant mothers' experiences of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 rearing. Methods: Ten married female migrants were selected by a purposive and snowball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09 b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verbatim. Results: Ten categories were induced: In pregnancy and childbirth domain, social support-request help to their own parents, social support-depending on husband and mother's in law, Enduring emesis-gravidarum in strange environment were extracted. In Chid-rearing domain, child-rearing overburden, lack of self-confidence on maternal role, child-rearing difficulties due to language barrier, lack of information and education on child-rearing, lack of accessibility to public health care services, expectation of child's assimilation in Korea, financial strain in child-rearing.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knowledge regarding married female migrants' experiences related to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 rear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help health professionals designing effective interventions for married female migrants with difficulties related to child care, parenting, rear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