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ultural Competence of the Staff in Saeil Center

새일센터 실무자들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연구

  • 성향숙 (부산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Received : 2018.05.02
  • Accepted : 2018.06.02
  • Published : 2018.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the cultural competence of the staff in Saeil Center, which supports the self-reliance of immigrant women by marriage,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ir cultural competence. The assumption is that the higher cultural competence of the staff enhances the quality of their job training for immigrant women by marriage. I conducted the study from June to September, 2017, and in-depth interviewed the staffs from seven Saeil Centers across the country, who had been involved in the job training for immigrant women by marriage for at least three years. The interview data elicited 60 meaningful statements, 27 themes, and 11 thematic units, and I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1) the low level of contemplation of the staffs on the issues related to immigrant women 2) their limitations of friendly communication and altruistic stance 3) their own conscience of main stream and 4) insufficient cultural competence of the staffs as well as in terms of the organizational operation. Finally, I suggested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programs, and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multiculturalism in the centers.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민여성의 자립을 지원하는 새일센터 실무자들의 문화적 역량의 본질을 연구함으로서 향후 이들의 문화적 역량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새일센터 실무자들의 문화적 역량의 향상을 통하여 결혼이민여성의 직업훈련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2017. 6-9월 사이에 전국의 총 7개 새일센터에서 결혼이민여성만을 대상으로 최소 3년 이상 직업훈련사업에 참여하였던 실무자를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접 하였다. 연구결과는 60개의 의미있는 진술, 27개의 주제, 11개의 주제묶음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낮은 수준의 성찰, 친화적 의사소통의 한계, 이타적 태도, 주류의식, 개인과 조직차원의 문화적 역량의 미숙함을 논의하였다. 또한 실무자들에게 문화적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과 다문화적 조직발달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성향숙, "일하는 결혼이민여성의 일 지향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39권, 제4호, pp.331-355, 2012.
  2. https://saeil.mogef.go.kr/hom/info/info.do, 2018.4.27.
  3. http://www.socialworkers.org.
  4. 박은미, 이미림, "사회복지사들의 문화적 역량 실천경험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연구, 제19권, 제3호, pp.93-121, 2011.
  5. G. V. Gushe, "Race, color-blind racial attitudes, and judgements about mental health:A shifting standards perspectiv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1, pp.398-407, 2004. https://doi.org/10.1037/0022-0167.51.4.398
  6. D. W. Sue, 이은주 역, 다문화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2010.
  7. 조지영, 서정민, "누가 다문화 사회를 노래하는 가?: 신자유주의적 통치술로서의 한국 다문화 담론과 그 효과," 한국사회학, 제47집, 제5호, 2013.
  8. A. R. McPhatter, "Cultural Comptence in Child Welfare: What Is it?How Do We Achive It? What happens Without It?," Child Welfare, Vol.76, No.1, 1997.
  9. Intercultural Competence, UNESCO, 2013.
  10. http://www.oecd.org/pisa/pisa-2018-global-competence.htm
  11. 이재경, 이주재,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연구, 제28집, 제1권, pp.183-204, 2012.
  12. D. K. Deardorff, "Intercultural competence: mappong the furure research agenda,"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Vol.48 pp.3-5, 2015. https://doi.org/10.1016/j.ijintrel.2015.03.002
  13. T. T. Ritzler, F. E. Balcazer, S. Dimpfl, Y. S. Balcazar, C. Willis, and R. Schiff, "Cultural competence training with organizations serving people with disabilities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Vol.29, No.2, pp.77-91, 2008.
  14. D. Lum, Cultural competence, Practice stages and Client system: A case study approach, California State Univ. Scaramento, Thomson Brooks/cole. 2006.
  15. D. W. Sue, 이은주 역, 다문화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2010.
  16. F. E. Balcazar, Y. S. Balcazar, and T. T. Ritzler, "Cultural competence: Development of a conceptual framework,"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31, No.14, pp.1153-1160, 2009. https://doi.org/10.1080/09638280902773752
  17. M. F. Borne, J. M. Cain, and S. L. Martin, "From Mastery to Accountability: Cultural Humility as an Alternative to Cultural Competence," Social Work Education, Vol.34, No.2, pp.165-181, 2015. https://doi.org/10.1080/02615479.2014.977244
  18. 정상준, "다문화주의를 넘어서," 미국학논집, 제3집, pp.77-93, 2002.
  19. K. L. Ulrey and Patricia Amas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health Care Providers: An Exploration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Effectiveness, Cultural Sentivity, Stress and Anxiety," Health Communication, Vol.13, No.4, pp.449-463, 2001. https://doi.org/10.1207/S15327027HC1304_06
  20. 최성환, "다문화주의와 인권의 문제," 철학탐구, 제30권, pp.348-388, 2011
  21. 김미승, "탄뎀학습에서 이문화간 의사소통의 의미와 기능," 독어교육, 제50권, pp.7-28, 2011.
  22. R. L. Wisema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In W. B. Gudykunst, & B. Mody (Eds.), Handbook of international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2nd ed), pp.207-224, 2002.
  23. 이두원, "한중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수행능력에 대한 탐색연구: 호스트와 체류자 관계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제19권, 제2호, pp.5-25, 2011.
  24. M. F. Borne, J. M. Cain, and S. L. Martin, "From Mastery to Accountability: Cultural Humility as an Alternative to Cultural Competence," Social Work Education, Vol.34, No.2, pp.165-181, 2015. https://doi.org/10.1080/02615479.2014.977244
  25. D. W. Sue, 이은주 역, 다문화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2010.
  26. W. B. Gudykunst, Asian American ethnicity and communication: Sage, Thousand Oaks, CA, 2001.
  27. Gibson and Zho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in the health care context,"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Vol.29, pp.621-634, 2005. https://doi.org/10.1016/j.ijintrel.2005.07.008
  28. 신경림, 장연집, 조영달, 김남선, 질적연구 용어사전, 현문사, 2003.
  29. 김분한, 김금자, 박인숙, 이금재, 김진경, 홍정주, 이미향, 유인영, 이희영,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Giorgi,Colaizzi, Van Kaam 방법을 중심으로,"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29권, 제6호, pp.1208-1220, 1999. https://doi.org/10.4040/jkan.1999.29.6.1208
  30.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대출판부, 2004.
  31. 김은미, 이종연, "대학생의 자기성찰과 자기통제간의 관계에서 자아방어 기제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4권, 제3호, pp.1939-1959, 2013.
  32. W. F. Pinar,(eds.)."Sanity, madness, and the school," In Pinar, W. F. Curriculum theorizing : the reconceptualists, pp.359-383, 1975.
  33. 박은미, 이미림, "사회복지사들의 문화적 역량 실천경험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연구, 제19권, 제3호, pp.93-121, 2011.
  34. 노충래, 김정화, "다문화사회복지 실무자의 문화적 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사회복지학, 제63권, 제2호, pp.5-29, 2015.
  35. 김미승, "탄뎀학습에서 이문화간 의사소통의 의미와 기능," 독어교육, 제50권, pp.7-28, 2011.
  36. 장영신, 정경미,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상담종사자의 다문화가족상담에 관한 경험연구," 문화교류연구, 제3권, 제1호, pp.109-131, 2014.
  37. 이병준, 석영미,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실무자의 직업 생애사 연구-문화적 학습을 통하나 전문성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제18권, pp.329-362, 2015.
  38. 이민경, 양계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을 통한 다문화 교육방향성 고찰," 현대사회와 다문화, pp.176-199, 2011에서 재인용.
  39. R. L. Wisema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In W. B. Gudykunst, & B. Mody (Eds.), Handbook of international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2nd ed), pp.207-224, 2002.
  40. 정재림, "문학교과서에 나오는 문학이론 및 개념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감정이입과 공감개념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제40권, pp.253-274, 2012.
  41. 최성환, "다문화주의와 인권의 문제," 철학탐구, 제30권, pp.348-388, 2011.
  42. M. J. Bennett, "Toward ethnorelativism: A development mode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R.M.Paige(ed) Education for the intercultural experience(2nd) Yamouth, Me:Intercultural Press.
  43. 조원탁, 다문화 사회의 이해와 실천, 양서원, 2013.
  44. G. Gushue, "Race, Color-Blind Racial Attitudes, and Judgments About Mental Health: A Shifting Standards Perspectiv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1, Issue 4, pp.398-407, 2004. https://doi.org/10.1037/0022-0167.51.4.398
  45. 조혜영, "다문화가족지원과 역차별이슈 인식고찰: 취약집단 서비스 담당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제11집, pp.135-159, 2017.
  46. 오승희, "한국여성결혼이민자에게 투영된 여성이미지 고찰," 세계한국학대회 5th, 발표문, 2014.
  47. D. W. Sue, 이은주 역, 다문화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