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nder Difference of Community-Residing Elderly's Satisfaction with Life and Influential Factors

지역사회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영향 요인의 성별 차이

  • 최해경 (충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정은 (충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05.14
  • Accepted : 2018.06.19
  • Published : 2018.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 of community-residing elderly's life satisfaction and influential factors. Data were collected from 461 elders aged 60+ with the cooperation of several social service center for the aged, senior centers, and senior citizen association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cheongnam-do(Cheonan-si and Okcheon-gun). SPSS 22.0 software was used for t-test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elderly's life satisfaction by gender in multivariate analysis including sociodemographic factors, social network and relationship with children variables, but no difference in bivariate analysis.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ctors affecting community-residing elderly's life satisfaction by gender. A few factors like friend support, number of regular social gathering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male elderly's life satisfaction. Predictors of female elderly's life satisfaction which were perceived elderly parent-children conflict, friend support, monthly income, subjective health status, support to children, support from children were more diverse, compared to the predictors for male elderly's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to improve community-residing elderly's life satisfaction considering the gender difference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영향 요인의 성별 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천안시와 옥천군)에 소재한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회 등의 협조를 받아 60세 이상의 남녀노인 461명을 유의표집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t-검증과 교차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사회 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성별로 이원적 분석을 했을 때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구사회학적 요인들과 개인 자원, 사회적 관계망, 자녀와의 관계 변수들을 포함한 다중분석 결과에서는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지역사회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성별로 비교한 결과 차이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남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간결하여 친구지지, 정기모임 수, 주관적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의 유의미한 영향 요인이었다. 남성노인과 비교해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을 결정하는 요인들은 훨씬 다양한 요소들로 나타났는데 부모-자녀갈등, 친구지지, 월 소득, 건강상태, 자녀에 대한 지원, 자녀로부터 받는 도움 순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별 차이를 고려한 남녀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S. Kim and S. R. Sok, "Relationship among the Perceived Health Status, Family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Korean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Vol.18, pp.325-331, 2011.
  2. A. L. Collins, D. A. Glei, and N. Goldman, "The Role of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All-Cause Mortality," Psychology and Aging, Vol.24, No.3, pp.696-702, 2009. https://doi.org/10.1037/a0016777
  3. H. Kimm, J. W. Sull, B. Gombojav, S. W. Yi, and H. Ohrr, "Life Satisfaction and Mortality in Elderly People: The Kangwha Cohort Study," BMC Public Health, Vol.12, No.1, p.54, 2012. https://doi.org/10.1186/1471-2458-12-54, 2018.5.3.
  4. T. Lyyra, T. Tormakangas, S. Read, T. Rantanen, and S. Berg, "Satisfaction with Present Life Predicts Survival in Octogenarians,"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61, No.6, pp.319-326, 2006. https://doi.org/10.1093/geronb/61.6.P319
  5.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Society at a Glance: OECD Social Indicators 2016 edition, Paris: OECD Publishing, 2016.
  6. 신용석, 원도연, 노재현, "노인의 자산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2호, pp.216-250, 2017.
  7. 정순둘, 이선희, "노인 삶의 만족도 변화: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3개년도(1994, 2000, 2008) 결과비교," 한국노년학, 제31권, 제4호, pp.1229-1246, 2011.
  8. 김미령, "노인의 성공적 노화 요소의 삶의 만족도영향 연구: 성인자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57권, pp.159-182, 2017.
  9. 김혜균, 초고령 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10. L. Bengtson and M. DeLiema, Theories of Aging and Social Gerontology: Explaining How Social Factors Influence Well-Being in Later Life, In M. H. Meyer & E. A. Daniele. Gerontology: Changes, Challenges, and Solutions. Santa Barbara, CA: Praeger, 2016.
  11. A. J. Bishop, P. Martin, and L. Poon, "Happiness and Congruence in Older Adulthood: A Structural Model of Life Satisfaction," Aging & Mental Health, Vol.10, No.5, pp.445-453, 2006. https://doi.org/10.1080/13607860600638388
  12. S. T. Cheng and A. C. Chan,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Life Satisfaction in Later Life: Do Gender and Widowhood Make a Difference?,"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61, No.1, pp.46-53, 2006. https://doi.org/10.1093/geronb/61.1.P46
  13. K. Chou and I. Chi,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in Hong Kong Chinese Elderly: A Longitudinal Study," Aging & Mental Health, Vol.33, No.4, pp.328-335, 1999.
  14. B. Dai, B. Zhang, and J. Li, "Protective Factors for Subjective Well-Being in Chinese Older Adults: The Roles of Resources and Activity," Journal of Happiness Study, Vol.14, pp.1225-1239, 2013. https://doi.org/10.1007/s10902-012-9378-7
  15. S. Ng, N. Tey, and M. N. Asadullah, "What Matters for Life Satisfaction among the Oldest-Old? Evidence from China, PLoS One, Vol.12, No.2, e0171799, 2017.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71799, 2018.5.3.
  16. 김여진, 임연옥, "한국 노인 주관적 안녕감의 성별 차이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제15권, 제9호, pp.195-209, 2015.
  17. 이인정, "남녀노인의 우울, 삶의 만족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영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6권, pp.159-179, 2007.
  18. M. Pinquart and S. Sorensen, "Gender Differences in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Old Age,"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Vol.56, No.4, pp.195-213, 2001.
  19. A. Bowling, "Associations with Life Satisfaction among very Elderly People Living in a Deprived Part of Inner London," Social Science & Medicine, Vol.31, No.9, pp.1003-1011, 1990. https://doi.org/10.1016/0277-9536(90)90112-6
  20. 염동문, 정정숙,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0권, 제4호, pp.27-50, 2014.
  21. R. A. Pruchno, M. Wilson-Genderson, M. Rose, and F. Cartwright, "Successful Aging: Early Influences and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The Gerontologist, Vol.50, No.6, pp.821-833, 2010. https://doi.org/10.1093/geront/gnq041
  22. 설순호, 임선영, 노년기 정신장애, 학지사, 2016.
  23. M. M. Baltes and L. L. Carstensen, "The process of successful aging," Ageing and Society," Vol.16, No.4, pp.397-422, 1996. https://doi.org/10.1017/S0144686X00003603
  24. A. I. Berg, Life satisfaction in late life: Makers and Predictors of Level and Change among 80+Year Olds,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New York University, 2008.
  25. B. J. Fisher, "Successful Aging and Life Satisfaction: A Pilot Study for Conceptual Clarification," Journal of Aging Studies, Vol.6, No.2, pp.191-202, 1992. https://doi.org/10.1016/0890-4065(92)90012-U
  26. G. J. Westerhof, F. Dittmann-Kohli, and T. Thissen, "Beyond Life Satisfaction: Lay Conceptions of Well-Being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Adul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56, No.2, pp.179-203, 2001. https://doi.org/10.1023/A:1012455124295
  27. A. I. Berg, B. Hassing, G. E. Mclearn, and B. Johansson, "What Matters for Life Satisfaction in the Oldest-Old? Aging & Mental Health," Vol.10, No.3, pp.257-264, 2006. https://doi.org/10.1080/13607860500409435
  28. 박기남,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 제24권, 제3호, pp.13-29, 2004.
  29. H. Okabayashi and G. W. Hougham, "Gender Differences of Social Interactions and their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among Japanese Elders," Aging & Mental Health, Vol.18, No.1, pp.59-71, 2014. https://doi.org/10.1080/13607863.2013.788997
  30. 박순미,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와 경제활동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3권, pp.305-332, 2011.
  31. 전명숙, 태명옥, "사회경제적 변인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 여가참여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제16권, 제6호, pp.323-333, 2016.
  32. 정운영, 정세은, "1인 노인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 연구: 저소득가구와 고소득가구의 비교," 한국노년학, 제31권, 제4호, pp.1119-1134, 2011.
  33. 권현수, "노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8권, 제5호, pp.995-1008, 2009. https://doi.org/10.5934/KJHE.2009.18.5.995
  34. 양재진, 이호연, 이정주, "한국 노년층의 삶의 만족과 행복 기회불평등," 사회과학논집, 제47권, 제2호, pp.75-102, 2016.
  35. 정순둘, 정세미, 김빛여울, "세대 내, 세대 간 교류가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세대 내 교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7권, 제2호, pp.253-280, 2016.
  36. 이경욱, "서울시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탐색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2권, pp.55-77, 2008.
  37. 최아름, 정홍주, "노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한일비교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제33권, pp.29-57, 2013.
  38. 진영선, 노년 인생 제2막의 삶,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6.
  39. M. Pinquart and S. Sorensen, "Influences of Socioeconomic Status, Social Network, and Competence on Subjective Well-Being in Later Life: A Meta-Analysis," Psychology and Aging, Vol.15, No.2, pp.187-224, 2000. https://doi.org/10.1037/0882-7974.15.2.187
  40. 이갑숙, 임왕규,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제12권, 제10호, pp.291-306, 2012.
  41. 정경희, 오영희, 강은나, 김재호, 선우덕, 오미애, 이윤경, 황남희, 김경래, 오신휘, 박보미, 신현구, 이금룡,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42. 김유경, 이진숙, 이재림, 김가희, 가족의 갈등과 대응방안 연구-가족관계 갈등과 가족기능 갈등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43. 이수연, 최인희, 김인순, 남녀노인의 세대갈등 현황과 통합방안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44. 김원배, "한국 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활동이론과 자원이론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6권, 제3호, pp.449-470, 2009.
  45. 김시월, 조향숙, "중․고령자 단독가구의 삶의 만족도와 재정, 건강, 심리상태와의 관계," Financial Planning Review, 제5권, 제3호, pp.89-116, 2012.
  46. 장수지,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전후기노인 및 성별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1호, pp.75-100, 2010.
  47. I. A. Connidis, Family Ties and Aging(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2010.
  48. R. A. Ward, "Multiple Parent-Adult Child Relations and Well-Being in Middle and Later Life," The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63, No.4, pp.239-247, 2008. https://doi.org/10.1093/geronb/63.4.S239
  49. 김명숙, 고종욱, "노인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제13권, 제6호, pp.246-259, 2013.
  50. 전상남, 신학진, "사회적 지지가 무배우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신체적‧인지적 기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34권, 제1호, pp.87-101, 2014.
  51. I. K. Kim and C. S. Kim, "Patterns of Family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62, No.1, pp.437-454, 2003. https://doi.org/10.1023/A:1022617822399
  52. H. Lee, J. Lyu, C. Lee, and J. A. Burr, "Intergenerational Financial Exchange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Older Adults in the Republic of Korea," Aging & Mental Health, Vol.18, No.1, pp.30-39, 2014. https://doi.org/10.1080/13607863.2013.784955
  53. A. Lowenstein, R. Katz, and N. Gur-Yaish, "Reciprocity in Parent-Child Exchange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A Cross-National Perspective," Journal of Social Issues, Vol.63, No.4, pp.865-883, 2007. https://doi.org/10.1111/j.1540-4560.2007.00541.x
  54. A. Roll and H. Litwin, "Intergenerational Financial Transfers and Mental Health: An Analysis Using SHARE-Israel data," Aging & Mental Health, Vol.14, No.2, pp.203-210, 2010. https://doi.org/10.1080/13607860903191366
  55. L. M. Warner, B. Schuez, S. Wurm, J. P. Ziegelmann, and C. T. Roemer, "Giving and Taking-Differential Effect of Providing, Receiving and Anticipating Emotion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in Adults with Multiple Illnesse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5, No.5, pp.660-670, 2010.
  56. B. Schwarz, I. Albert, G. Trommsdorff, G. Zheng, S. Shi, and P. R. Nelwan, "Intergeneration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A Comparison of Chinese, Indonesian, and German Elderly Mother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41, No.5-6, pp.706-722, 2010. https://doi.org/10.1177/0022022110372197
  57. K. Fingerman, L. Miller, K. Birditt, and S. Zarit, "Giving to the Good and the Needy: Parental Support of Grown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71, No.5, pp.1220-1233, 2009.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9.00665.x
  58. H. Chai and H. Jun, "Relationship between Ties with Adult Childre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Middle Aged, the Young-Old, and the Oldest-Old Korean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85, No.4, pp.354-376, 2017. https://doi.org/10.1177/0091415016685834
  59. 전미애, 김정현, "성인자녀로부터의 금전수혜 및 금전제공이 노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71권, 제2호, pp.249-268, 2016.
  60. 김희주, 주경희, "한국의 성공적 노후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1권, pp.125-158, 2008.
  61. 원경혜, 이상혁, "노인의 공적, 사적이전소득이 삶의 만족도,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pp.3787-3896,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6.3787
  62. 정태연, 조은영, "노년기의 외로움 및 생활만족도와 관련된 변인 탐색," 한국노년학, 제25권, 제1호, pp.55-71, 2005.
  63. 윤현숙, 허소영, "노인의 건강변수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관계의 매개효과 및 중재효과," 한국노년학, 제27권, 제3호, pp.649-666, 2007.
  64. 정영해, 조유향, "한국 전.후기 노인의 삶의 질관련 요인과 성별 차이," 농촌의학.지역보건, 제39권, 제3호, pp.176-186, 2014.
  65. E. Diener, R. Emmons, R.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No.1, pp.71-75, 198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66. 임낭연, 이화령, 서은국, "한국에서의 Diener의 삶의 만족 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사용 연구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9권, 제1호, pp.21-47, 2010.
  67. G. D. Zimet, N. W. Dahlem, S. G. Zimet, and G. K. Farley,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2, No.1, pp.30-41, 1988.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68. 서수균, 전지혜, 안정신, 정영숙, "노부모가 지각한 자녀갈등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3권, 제3호, pp.535-555, 2014.
  69. 박영란, 박경순, "한국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복지: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노인복지연구, 제60권, pp.323-352, 2013.
  70. 류재린, "관계재가 노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33권, 제3호, pp.29-57, 2017.
  71. 김유경, 진미정, 송유진, 김가희, 가구.가족의 변동과 정책적 대응방안,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