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대학생

검색결과 2,242건 처리시간 0.032초

대학생의 CCTV 체감안전도에 대한 영향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Perceived Safety of CCTV among College Students)

  • 오진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786-79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 지역사회 내 사회적 무질서, 물리적 무질서, CCTV에 대한 체감안전도 변수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고, CCTV에 대한 체감안전도의 영향요인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H시에 소재한 1개 대학교의 학생 140명으로, 2022년 06월 17일~2022년 08월 25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량,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은 지역사회 특성 중 사회적 무질서, 물리적 무질서, CCTV에 대한 체감안전도와, 사회적 무질서는 물리적 무질서, CCTV에 대한 체감안전도와, 물리적 무질서는 CCTV에 대한 체감안전도와 상관성이 있었다. CCTV에 대한 체감안전도의 영향요인은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무질서로 나타났으며, 수정된 결정계수(Adjusted R2)는 .572로 설명력은 57.2%이었다. 결론적으로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무질서 인식개선을 통해 CCTV에 대한 체감안전도를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한.일 대학생의 경구피임약에 관한 지식과 태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Knowledge and Attitude on Oral Contraceptiv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 임현자;내산화미;조유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71-48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oral contraceptiv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provide better sex education programs and direcrion. Korea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7 university students in M city,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 to April 20, 2001 and Japanese subjects 245, during the period from June to August, 2001.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 packag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mean age of Koreans and Japanese students was $21.0{\pm}3.2$ and $19.6{\pm}3.2$ years old. The number of Japaneses youths having the parter with sexual intercourse was larger than that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2. Comparison of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oral contraceptiv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 1) Comparison of sexual differences : Oral contraceptives related knowledg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marked $55.7{\pm}7.5$ of male students and $56.7{\pm}6.2$ of females with a range of 15 to 75. The level of female students' knowledge was higher than that of male's but there is not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p=.080). Oral contraceptives related attitud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marked $81.1{\pm}12.2$ of male students and $76.9{\pm}10.3$ of female's with a range of 24 to 120. The level of male students' attitude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s and there i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p= 002). Oral contraceptives related knowledge of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marked $55.3{\pm}6.7$ of male students and $57.0{\pm}6.3$ of female students. The level of female students' knowledge was higher than that of male's but there is not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p=.159). Oral contraceptives related attitude of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marked $80.3{\pm}10.1$ of male students and $80.4{\pm}9.9$ of female students. The level of female students' attitude was higher than that of male's and there is not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p= .928). 2) Comparison between the country : Oral conceptives related knowledg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marked $56.2{\pm}6.8$ and $56.7{\pm}6.4$ of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with a range of 15 to 75. The level of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knowledge was higher than that of Korean's but there is not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p= .361). Oral conceptives related attitud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marked $78.9{\pm}11.4$ and $80.4{\pm}9.9$ of Japaneses with a range of 24 to 120. The level of Japanese university studentss' attitude was higher than that of Korean's and there is not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p=.100). 2. Wanted age of oral contraceptives taking medicine and age was correlated positively (r=.178, p=.004) and total knowledge score of oral contraceptives and total attitude score were correlated positively(r=.467 p= .000)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Wanted age of oral contraceptives taking medicine and age was correlated positively (r=.289, p=.004), age and total attitude score were correlated positively(r=.196 p=.002) and total knowledge score of oral contraceptives and total attitude score were correlated positively (r=.671 p=.000) in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3. Korean university students lifted side effect by the greatest factors in investigation about leading person that disturb work oral contraceptive, and the following appeared by knowledge insufficiency, sexual feeling inflammation worry, social prejudice, sexual morality decline, supernumerary prescription being not right, other person reverse and economical burden.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can know that it is appearing by side effect, supernumerary prescription being not right, knowledge insufficiency, sexual feeling inflammation worry, economical burden, social prejudice, sexual morality decline and other person reverse. Think that this is result by dissimilar health medical system and cultural difference between two countries.

  • PDF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관련요인 연구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of College Students)

  • 박미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1-96
    • /
    • 1994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s of college students on the basis of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The subjects were 1,159 students of one university in Seoul. These data were collected by self reporting questionnaire from April 19 to May 3, 1993. This study examined health promoting lifestyles, cognitive-percep-tual factors: perceived health status, perceived importance of health,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ealth conception, and modifying factors: sex, grade, major, residence type, and attendance at a health care course.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by Walker et al. (1987), Health Value Scale by Wallston et al. (1976), Health Locus of Control by Wallston et al. (1978), and Health Conception Scale by Laffrey(1986). The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s $\alpha$,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PC+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s revealed total 3.33, self actualization 3.74, health responsibility 2.72, exercise 2.80, nutrition 3.55, interpersonal surpport 3.76, and stress management 2.96. Interpersonal support showed the highest score and health responsibility showed the lowest score. 2.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x, grade, major, and residence type,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s Were founded(p>.05). Attendants at a health care course showed a significant higher score than nonattendants (p<.001). Male showed a significant higher score in exercise subscale, female showed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health responsibility, nutrition, interpersonal support, stress management subscales(p<.001), residence typ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utrition subscale(p<.001). 3.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x, grade, major, residence type, and attendance at a health care course were founded(p>.05). Perceived importance of health showed no differences among sex, grade, major, and residence type(p>.05), showed only in attendance at a health care course (p<.001). Attendants at a health care course showed a significant higher score than nonattendants(p<.0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ealth conception and sex, grade, major, and residence type were founded (p>.05), on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ealth conception and attendance at a health care course was founded(p<.05). Nonattendants showed a significant higher score in clinical health conception, attendants showed a significant higher score in wellbeing health conception(p<.05). 4.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as founded(r=.2415, p<.001).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perceived importance of health was founded (r=.1475, p<.001).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s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internal and powerful others locus of control (r=.3187, p<.001: r=.1475, p<.001), but reveal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chance locus of control(r=-.997, p<.001).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clinical health conception and wellbeing health conception were founded (r=.1241, p<.001 : r=.3047, p<.001). 5. Perceived health status was the highest factor predict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s of college students(R=.3415, $R^2=11.62$). Perceived health' status, perceived improtance of health, internal locus of control, wellbeing health conception, powerful others locus of control accounted for 28.19%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 patterns. In conclusion, college students who reported more helath promoting lifestyles evaluated their health positively, perceived importance of health highly, perceived their health as affected by theirselves, powerful others but not by chance or luck, and accepted health as high level wellness rather than merely the absence of illness. Those who attending at a health care course had healthier lifestyle patterns. And attendance at a health care course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hese cognitive-perceptual factor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dentify reasons of attending a health care course, and to compare health promoting lifestyles pre-post attending a course related to health care.

  • PDF

간호대학생의 MBTI 지표에 따른 갈등해결유형의 차이 (Differences in Conflict Management Style according to MBTI Indicators of Nursing Students)

  • 신수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479-486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MBTI 선호지표에 따른 갈등관리유형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8월 30일부터 9월 30일까지였다. 자료분석은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s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갈등관리유형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MBTI지표 중 에너지 방향에서 I는 E보다 회피가 높았다(t=-3.776, p<0.01). 의사결정기능의 경우 F가 T보다 양보(t=-3.478, p<0.01)와 회피(t=-3.389, p<0.01)가 높았고, T가 F보다 지배가 높았다(t=2.070, p<0.5). 외부생활 대처양식의 경우 J가 P보다 협력(t=2.756, p<0.01)과 타협(t=2.044, p<0.5)이 높았다. MBTI의 심리기능유형에서는 NF형이 ST형보다 양보가 높았고(F=4.174, p<0.05), SF형이 ST형보다 회피가 높았다(F=4.202, p<0.05). MBTI 의사결정기능 유형과 외부생활 대처양식을 조합해서 갈등관리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FJ형이 FP형 보다 협력이(F=2.907, p<0.05), FJ형이 TP형보다 양보가(F=4.662, p<0.01), FJ형이 TJ형보다 회피가 높았다(F=3.327, p<0.05). MBTI의 태도지표는 EJ형이 EP형 보다 협력이 높았고(F=2.817, p<0.05), IP형이 EP형 보다 회피가 유의미하게 높았다(F=4.551, p<0.01).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연구되지 않은 MBTI 의사결정기능 유형(F,T)과 외부생활대처양식(J,P)을 조합해서 갈등관리유형의 차이를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대상자 수를 확대한 MBTI 성격유형별 갈등관리유형에 대한 연구, MBTI 지표 및 성격유형별 갈등관리 프로그램개발과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연구를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 박주영;박성은;박민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18-229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스마트폰 중독 중재와 대학생활 적응 교육 및 정책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D시 소재 4년제 일 간호대학의 1, 2학년생 중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은 고위험군 47명, 잠재적 위험군 29명, 일반군 97명으로 나타났고, 스마트폰 중독군별 대학생활 적응 평균은 중독수준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스마트폰 중독군별 사회적지지 평균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스마트폰 중독(r=-.34,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회적지지(r=.38,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사회적지지는 스마트폰 중독(r=-.17, p=.023)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분석에서 스마트폰 중독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는 낮게 나타났으며(F=5.29, p=.023), 대학생활적응도 낮게 나타났다(F=20.01, p<.001). 스마트폰 중독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1), 이 때 스마트폰 중독의 ${\beta}$값 -.264(B값 -.178)이 매개변수를 거치지 않았을 때의 ${\beta}$값 -.327(B값 -.221) 보다 작아 사회적지지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oble test 결과에서 사회적 지지는 스마트폰 중독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부분적 매개역할을 하였다(Z=-2.11, p=.034). 이에 대한 설명력은 21.5%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사회적지지 관련 대학정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비강(鼻腔)에서 분리(分離)한 황색포도구균(黃色葡萄球菌)의 생화학적(生化學的) 성상(性狀)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athogenic Staphylococci aureus from Nasal Cavity)

  • 주진우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7-74
    • /
    • 1982
  • 비병원근무자(非病院勤務者)인 부산대학교(釜山大學校) 자연과학대학(自然科學大學) 생물학계열(生物學系列) 18명(名), 미생물학과(微生物學科) 2학년(學年) 31명(名), 미생물학과(微生物學科) 3학년(學年) 37명(名)과 병원근무자(病院勤務者)인 간호과학생(看護科學生) 30명(名), 간호원(看護員) 30명(名), 수술근무간호원(手術勤務看護員) 30명(名), 의사(醫師) 30명(名), 총(總) 256명(名)을 대상(對象)으로 하여 비강(鼻腔)에서 황색포도구균(黃色葡萄球菌)을 분리(分離)하여 얻은 성적(成績)은 다음과 같다. 1. 비병원근무자(非病院勤務者) 대학생(大學生)에서 황색포도구균분리율(黃色葡萄球菌分離率)은 49예(例)(29.7%), 병원근무자(病院勤務者)에서는 67예(例)(55.8%)이었다. 2. 비병원근무자(非病院勤務者) 대학생(大學生)의 비강(鼻腔)에서 분리(分離)한 황색포도구균(黃色葡萄球菌)의 40예(例)에서 coagulase 양성균주(陽性菌株) 29예(例)(72.5%), 음성균주(陰性菌株) 11예(例)(27.5%)이고, mannitol 분해(分解) 양성균주(陽性菌株) 29예(例)(72.5%), 음성균주(陰性菌株) 11예(例)(27.5%)이었다. 3. 병원근무자(病院勤務者)의 비강(鼻腔)에서 분리(分離)한 황색포도구균(黃色葡萄球菌)의 67예(例)에서 coagulase 양성균주(陽性菌株) 59예(例)(58.1%), 음성균주(陰性菌株) 8예(例)(11.9%)이고, mannitol 분해양성균주(分解陽性菌株) 49예(例)(73.1%), 음성균주(陰性菌株) 18예(例)(26.9%)이었다. 4. 분리균주중(分離菌株中)에서 coagulase양성(陽性) 및 mannitol분해양성(分解陽性) 49균주(菌株)에 대(對)한 용혈반응(溶血反應)의 감수성(感受性)의 순위(順位)는 가토(家兎) 40예(例)(81.6%), 모르못트 25예(例)(53.5%), 면양(緬羊) 13예(例)(26.5%)이고, 닭 및 사람의 적혈구(赤血球)에는 용혈반응음성(溶血反應陰性)이었다. 5. 분리균주중(分離菌株中)에서 coagulase양성(陽性) 및 mannitol분해양성(分解陽性) 49균주(菌株)에 대(對)한 용혈반응(溶血反應)은 전주(全株)에 대(對)해서 각각(各各) 음성(陰性)이었다. 6. 화학요법제(化學療法劑)에 대(對)한 분리균주(分離菌株)에 대(對)한 성적(成績)은 비병원근무자(非病院勤務者) 분리균주(分離菌株)는 대부분(大部分) 감수성(感愛性)이 있으나 병원근무자(病院勤務者) 분리균주(分離菌株)는 대부분(大部分) 저항성(抵抗性)을 나타냄을 관찰(觀察)할 수 있었다.

  • PDF

영유아 응급처치 교육에서의 동영상 활용 사례기반학습의 효과 (The Influence of Case-Based Learning using video In Emergency care of infant and toddlers)

  • 조혜영;강경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92-300
    • /
    • 2016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영유아 응급처치에서 동영상을 활용한 사례기반학습을 제공한 실험군과 전통적인 이론학습을 제공한 대조군과의 학습효과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동영상을 활용한 사례기반학습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J시에 위치한 D대학교에 재학하는 57명의 보건계열 학생들로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29명과 28명으로 나뉘어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연구로 실험군에게는 동영상을 활용한 사례기반학습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전통적인 강의식 교육을 실시하였다. 동영상을 활용한 사례기반 학습은 1주일에 1회씩 3회를 실시하였으며 회당 180분이 소요되었다. 교육 전,후로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영유아 응급처치 지식과 술기자신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문제해결능력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자료수집과 중재는 2014년 11월에서 12월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paired t-test, unpaired t-test, $x^2-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술기자신감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1).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부영역 중 과제난이도 조절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29). 문제해결능력의 하부영역 중 접근회피양식(p=.001)과 문제해결자신감(p=.040)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동영상을 활용한 사례기반학습은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전문역량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학습법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사례기반학습이 개발되고 확대 적용되며, 학습효과에 대한 반복연구가 이루어지길 제언한다.

간호 대학생의 호스피스 수강 유무에 따른 영적안녕과 죽음에 대한 태도 비교 (Comparison of Spiritual Well-Being and Attitudes toward Death due to Taking a Hospice Care Subject in Nursing Students)

  • 이영은;박혜선;김정희;주명진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8권2호
    • /
    • pp.1-16
    • /
    • 2008
  • Hospice should help a patient maintain spiritual well-being and its attitudes toward death can have great effects on treatment and nursing of patients on terminal pat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piritual well-being and attitudes toward death due to taking a Hospice Subject in Nursing Students This is a comparative study design in which 31 senior nursing students of taking a hospice care subject and 27 senior nursing students of not taking a hospice care subject in college of nursing K university, that is located B metropolitan city in Korea. The instruments for spiritual well-being measuring tools was Kim's (2006) revision and complement of the translation by Choe (1990) on the basis of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developed by Paloutzian and Ellison (1983). The instruments for attitudes toward death was researches revision and complement of the translation by Kim(1992) on the basis of the attitudes toward death Measuring Tool developed by Thorson and Powell (1988).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 through June 30, 2006; the researcher got permission from the subjcts, explained objectives of the research to subjects personally and got their permission, and distributed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make a response in a self-administered basis. For data analysis, an SPSS WINDOWS 12.0 program was used for frequency, percentag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the minimum, the maximum, x2-test, ANC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differecnces the degree of spiritual well-being and the degree of attitudes toward death between nursing students who took a hospice subject and nursing students who did not take a hospice Subject, except several items of attitudes toward death.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 .508, p= .000) between subjects spiritual well-being and attitudes toward death. That is, the higher spiritual well-being,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death. In conclusion,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cnces spiritual well-being and attitudes toward death between nursing students who took a hospice care subject and nursing students who did not take a hospice care subject, in nursing students, spiritual well-being was relatively high and their attitudes toward death was relatively positive. To help a nursing students make a positive change in attitudes toward death,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is necessary to improve spiritual well-being.

  • PDF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거부민감성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Rejection Sensitivity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College Students)

  • 이윤주;서보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56-165
    • /
    • 2018
  •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거부민감성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개 대학 전문대학생에게 2016년 11월 14일부터 11월 30일까지 기혼자와 간호학과 학생을 제외하고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607명 응답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18.0 버전으로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전문대학생의 주관적 삶의 질 정도는 4.1점(7점 기준)으로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주관적 삶의 질이 높고(p=.021), 1학년인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삶의 질이 낮았다(p<.001). 셀프리더십과 양의 상관관계(r=.279)를 보이고, 거부민감성과는 음의 상관관계 (r=-.224)를 나타내었다. 전문대학생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전공만족도(${\beta}=32$, p<.001), 자연적 보상전략(${\beta}=23$, p<.001), 성별(${\beta}=.17$, p<.001), 예기불안(${\beta}=-.15$, p<.001) 및 학년(${\beta}=.14$, p<.001)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27.6%이었다. 추후 전문대학생의 주관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셀프리더십과 거부민감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신입생과 여학생의 경우에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각별한 관심이 요구되는 바이다.

영상매체를 활용한 전문대학생들의 인성덕목 교육프로그램 효과 (Effects of Personality Virtues Education Program Using Visual Media for College Students)

  • 진은희;김훈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2-2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성덕목에 대한 수업과 이와 연관된 영상 시청을 통해 인성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교육프로그램은 J대학 간호학부 1학년에 재학 중인 남, 여학생 348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 31일부터 12월 4일까지 "교육심리" 교과목 수업과 병행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실험설계이다.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연구대상자 중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KEDI 인성검사를 사전 측정하였다. 이후 인성덕목 교육프로그램을 실험군에게는 처치를 하고 대조군에게는 처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사후 반복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 및 분석은 SPSS WIN 22.0을 이용하였다. 인성덕목 교육프로그램 적용 후 가설검정은 공변량분석(ANCOVA)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전-사후 검사에서 인성 덕목 10개 항목(자기존중, 성실, 배려 소통, 책임, 예의, 자기조절, 정직 용기, 지혜, 정의, 시민성)에 대해 모두 유의한 차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덕목중심의 인성교육은 영상매체를 통해 다양한 상황에서의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융합적인 교육과정 내에서 반복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때 학생들 스스로가 덕목의 가치를 깨닫고 내면화하여 실천할 수 있는 동기와 의지를 갖는 결과를 낳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