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B_4O_7$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3초

유기인계(有機燐系) 살충제(殺?劑)가 Acetylcholinesterabe 활성저해(活性沮害)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Organophosphorus Insecticides on the Inhibition of the Acetylcholinesterase Activities)

  • 김정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1호
    • /
    • pp.92-99
    • /
    • 1988
  • Terbufos 및 phorate와 그 대사물(代謝物)에 대(對)한 각각(各各)의 급성경구독성(急性經口毒性) $LD_{50}$값 및 효소활성저해율(酵素活性沮害率)과 투여량반응(投與量反應)과의 관계(關係)를 규명(糾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병아리에 대(對)한 terbufos의 급성경구독성(急性經口毒性) $LD_{50}$은 1.82mg/kg이었으며, $P=S,SO_2$는 2.85mg/kg, P=S,SO, P=O,S, P=O,SO, 및 $P=O,SO_2$$0.30{\sim}0.79mg/kg$ 범위(範圍)이었다. 또한 phorate는 1.02mg/kg 이었으며, $P=S,SO_2$는 1.73mg/kg, P=S,SO, P=O,S, P=O,SO 및 $P=O,SO_2$$0.36{\sim}0.63mg/kg$범위(範圍)이었다. 약제(藥劑)를 경구투여(經口投與)하고 60분(分) 후(後)에 측정(測定)한 뇌(腦) AChE 및 혈장(血漿) ChE 활성(活性) 저해(沮害) 해율(害率)과 투여용량(投輿用量)과는 Y=a+b(-log X)[Y=효소활성(酵素活性)(%), X=투여량(投與量)]식(式)에 잘 적용(適用)되었다. Terbufos 및 phorate와 그 대사물(代謝物)에 대(對)한 각각(各各)의 투여반응곡선(投與反應曲線)에서, 뇌(腦) AChE 활성(活性) 및 혈장(血漿) ChE 활성(活性)의 50%를 저해(沮害)시킬 수 있는 투여량(投與量)은 각각(各各) 급성경구독성(急性經口毒性) $LD_{50}$$35.3{\pm}6.8%$$17.4{\pm}3.6%$이었다. 또한 각각(各各)의 화합물(化合物)에 대(對)한 급성경구독성(急性經口毒性) $LD_{50}$ 투여량(投與量)에서는 뇌(腦) AChE 및 혈장(血漿) ChE 활성저해(活性沮害)가 각각(各各) $83.7{\pm}3.9%$$93.3{\pm}2.2%$이었다.

  • PDF

Bacillus megaterium SFO41에 의한 Cholesterol Oxidase의 생산 및 최적 배양 조건 (Study on the Production and the Culture Condition of Cholesterol Oxidase from Bacillus megterium SFO41)

  • 김관필;이창호;우철주;박희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03-409
    • /
    • 2001
  •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침채류 및 젓갈류)으로부터 cholesterol oxidase 생산성이 있는 균주를 분리하고 이들 분리된 균주들로부터 여러 단계의 균주 선멸시험을 통하여 cholesterol oxidase 생산성이 우수한 미생물을 선별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Cholesterol oxidase의 생산성이 가장 우수한 SF041의 형태학적, 배양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Bergey's Man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의 분류기준에 따라 동정한 결과 Bacillus megaterium 또는 그 유연균으로 동정되어 분리균을 Bacillus megaterium SFO41로 명명하였다. Cholesterol oxidase의 생산 조건을 검토한 결과 최적 배지 조성은 2.0% glucose, 0.5% yeast extact, 0.03% $MgSO_4\;7H_2O,\;0.02%\;K_2HPO_4,\;0.2%\;NH_4NO_3$, 0.2% cholesterol로 판명되었으며, 배영 조건은 $30^{\circ}C$, 초기 pH 7.0, 진탕 속도는 150 rpm에서 24시간 배양 시 효소 생성이 가장 우수하였다(2.37 U).

  • PDF

참돌꽃의 캘러스로부터 salidroside 생산에 미치는 배지성분의 영향 (Effect of Macro-nutrients for the Salidroside Production from Callus Cultures of Rhodiola sachalinesis A. Bor)

  • 이재승;최혜진;황백;박형재;안준철;황성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46-250
    • /
    • 2007
  • 대량 원소의 종류 및 적정 농도의 규명은 식물의 생장뿐 아니라 유용한 2차 대사산물의 생합성량 증가를 위해 필수적이다. 참돌꽃 배양조직에서 salidroside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기본 배지의 대량 원소의 농도를 달리하였을 때 $KNO_3$는 98.92 mM, $(NH_4)_2SO_4$는 1.01 mM, $NaH_2PO_4{\cdot}2H_2O$는 2.18 mM, $CaCl_2{\cdot}2H_2O$는 2.04 mM, 그리고 $MgSO_4{\cdot}7H_2O$는 1.01 mM 일 때, salidroside의 생산량이 가장 높았다. 또한 이와 같은 무기이온의 농도를 조합한 $S4B_5$배지에서 기본배지인 $2XB_5$배지에 비해 2.5배 salidroside 함량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PZT[$Pb(ZrTi)O_3$]의 XRF 분석용 SRM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RM for XRF analysis of PZT[$Pb(ZrTi)O_3$])

  • 김영만;정찬이;임창호;최범석
    • 분석과학
    • /
    • 제10권6호
    • /
    • pp.439-444
    • /
    • 1997
  • 압전 세라믹스 [$Pb(ZrTi)O_3$] 소재에 대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X-선 형광분석용 표준물질 12종을 제작하였다. 특히 매질효과의 제거, 보관성, 균질성 등을 고려하여 융제($Li_2B_4O_7/LiBO_2=4/1$)로 시료를 16배 희석하여 제작하였다. 네 곳의 분석기관에서 X-선 형광분광기로 12개의 표준물질에 포함된 11 원소에 대하여 검정곡선을 작성해 본 결과 PbO, $ZrO_2$, $TiO_2$, SrO, $WO_3$, $La_2O_3$, $Cr_2O_3$, MgO, $Nb_2O_5$, $MnO_2$들은 correlation factor가 0.998을 넘는 대단히 좋은 직선을 얻었다. 그러나 ZnO의 correlation factor는 0.977로 비교적 낮았으며, 이는 표준시료 중 ZnO의 함량이 10ppm 정도로 낮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XRF 분석용 표준물질을 이용하면 PZT 중의 주 부성분 원소의 함량을 간편하고 신속 정확하게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야산개간지(野山開墾地)에서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 및 석회(石灰) 비종별(肥種別) 시용(施用)이 땅콩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 -1. 식물체중(植物體中) 양분함량(養分含量) 및 수량(收量) (Effect of Inoculation with Bradyrhizobium sp. and Lime Types on Peanut Plant at Newly Reclaimed Area -1. Content of Nutrients in Plant and Yield)

  • 이덕배;임건재;권태오;이상복;소재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10-218
    • /
    • 1991
  • 질소무시용하(窒素無施用下)에서 소석회(消石灰), 고토석회(苦土石灰), 탄산석회(炭酸石灰)는 중화량(中和量), 황산석회(黃酸石灰)는 10a당(糖) 150kg시용(施用)하고 비닐피복후(被覆後) $40{\times}25cm$ 재식거리(栽植距離)로 1989년(年) 4월(月) 26일(日) 파종(播種)하여 호남(湖南) 작시(作試) 선발(選拔) 우량질소(優良窒素) 고정균(固定菌)(B. sp HCR-46)을 종자(種字) 1입당(粒當) $8.2{\times}10^7$ cell의 농도(濃度)로 접종(接種)한뒤 영호(嶺湖)땅콩의 종실성분(種實成分)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땅콩에 착생(着生)한 근류수, 근류건중(根瘤乾重) 그리고 지하부건중(地下部乾重)은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으로 증가(增加)되었으며, 석회비종별(石灰肥種別)로는 탄산석회(炭酸石灰)>고토석회(苦土石灰)>소석회(消石灰)>무시용(無施用)>황산석회순(黃酸石灰順)이었다. 2.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으로 잎과 줄기중(中) T-N, $K_2O$, MgO, Allantoin, Ammonia, 유리(遊離)아미노산함량(酸含量),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은 증가(增加)되었으나 Nitrate 와 줄기중(中) 전당(全糖), 전분(澱粉)의 함량(含量)은 감소(減少)되었다. 3. 잎과 줄기중(中) T-N, 유리(遊離)아미노산(酸),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은 탄산석회시용구(炭酸石灰施用區)에서, $K_2O$, MgO, Allantoin, Ammonia 함량(含量)은 고토석회시용구(苦土石灰施用區)에서, CaO와 Nitrate함량(含量)은 소석회시용구(消石灰施用區)에서 가장 높았다. 4. 줄기중(中) 전당함량(全糖含量)은 황산석회(黃酸石灰)>무시용(無施用)>소석회(消石灰)>탄산석회(炭酸石灰)>고토석회순(苦土石灰順)이었다. 5. 야산개간지(野山開墾地)에서 석회비종별(石灰肥種別) 토양개량효과를 보면 탄산석회(炭酸石灰)는 산도교정력(酸度矯正力)과 Ca공급력(供給力)이 우수(優秀)했으며, 고토석회(苦土石灰)는 Mg공급력(供給力)이 우수(優秀)하였다. 6.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으로 주경장(主莖長), $m^2$당협수가 유의적(有意的)으로 증가(增加)했으며 종실수량(種實收量)은 무접종(無接種)보다 64%증가(增加)되었다. 석회비종별(石灰肥種別)로 보면 주경장(主莖長), 분지수, 종실수량(種實收量)은 탄산석회(炭酸石灰)>고토석회(苦土石灰)>소석회(消石灰)>황산석회(黃酸石灰)>무시용순(無施用順)이었다.

  • PDF

지유 에탄올 추출물의 식품 위해성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Salmonella serotype Typhimurium TA100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ood Hazardous Microorganisms and Antimutagenicity against Salmonella serotype Typhimurium TA100 of an Ethanol Extract from Sanguisorba officinalis L.)

  • 김세령;원지혜;김미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7-26
    • /
    • 2011
  • 본 연구는 지유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및 항돌연변이 활성을 측정하여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E. coli, E. coli O157:H7, P. aeruginosa,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 B. cereus, S. aureus의 7가지 주요 식품위해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증하기 위해 paper disc diffusion assay 및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하였으며 24시간 동안 균의 생육억제도를 측정하였다. Paper disc assay 결과 E. coli와 E. coli O157:H7을 제외한 5가지 균에 대한 지유 에탄올 추출물의 뚜렷한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Micro-well dilution법으로 확인한 최소저해농도의 범위는 E. coli와 E. coli O157:H7을 제외한 5가지 균에 대해서 0.625~2.5 mg/mL로 나타났으며 생육억제도 실험결과도 최소 저해농도 결과와 일치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을 이용한 Ames test 결과, 5 mg/plate의 농도에서 직접 돌연변이원인 sodium azide와 4-NQO에 대한 지유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활성이 각각 72.42와 89.85%로 나타나 지유 에탄올 추출물의 우수한 항돌연변이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유 에탄올 추출물이 주요 식품위해성 세균들에 대한 우수한 항균성과 직접돌연변이원에 대한 높은 항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내어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소재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Bacillus amyloliquefaciens DL-3의 carboxymethylcellulase를 재조합 균주 E. coli JM109/DL-3에서 생산하는 배지의 염 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한 통계학적 실험 방법의 비교 (Comparison of Statistical Methods for Optimization of Salts in Medium for Production of Carboxymethylcellulase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DL-3 by a Recombinant E. coli JM109/DL-3)

  • 이유정;김혜진;고와;정정한;이진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205-1213
    • /
    • 2011
  • 재조합 균주인 E. coli JM109/DL-3를 사용하여 carboxymethylcellulase를 생산하기 위한 배지의 최적 염 농도를 orthogonal array method (OAM)과 response surface method (RSM) 등과 같은 통계학적인 방법으로 확립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OAM에 기초를 한 Qualitek-4 Software를 사용하여 실험을 계획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K2HPO4가 균체의 생장 및 carboxymethylcellulase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균체의 생육에 최적인 $K_2HPO_4$, NaCl, $MgSO_4{\cdot}7H_2O$$(NH_4)_2SO_4$의 농도는 10.0, 1.0, 0.2 및 0.6 g/l이었으나, carboxymethylcellulase의 생산에 최적인 각 염들의 농도는 각각 5.0, 1.0, 0.4 및 0.6 g/l이었다. RSM에 기초를 한 Design-Expert Software를 사용하여 실험을 계획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K_2HPO_4$가 균체의 생장 및 carboxymethylcellulase의 생산에 가장 중요한 인자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균체의 생장에 최적인 $K_2HPO_4$, NaCl, $MgSO_4{\cdot}7H_2O$$(NH_4)_2SO_4$의 농도는 7.44, 1.08, 0.22 및 0.88 g/l이었으나, carboxymethylcellulase의 생산에 최적인 각 염들의 농도는 각각 5.84, 0.69, 0.28 및 0.54 g/l이었다. 기본적으로 OAM에 기초한 software를 사용하여 얻은 결과는 RSM에 기초한 software를 사용하여 얻은 결과와 유사하였다. 최적 조건에서 재조합 균주 E.coli JM109/DL-3이 생산하는 carboxymethylcellulase의 생산은 B. amyloliquifacience DL-에 비하여 1.92배 증가하였다.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신갈나무 임분 토양의 층위별 토양수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Soil Solution under Larix leptolepis, Pinus koraiensis, and Quercus mongolica Stands)

  • 류성렬;손요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41-345
    • /
    • 1998
  • Soil solutions were collected by zero-tension lysimeters at Kwangju, Kyunggi Province to estimate differences in ion concentration among species and horizons. Zero-tension lysimeters were installed in O, A, and B horizons in Larix leptolepis, Pinus koraiensis, and Quercus mongolica stands. Soil solutio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996 through August 1998 and analyzed for $K^+$, $NA^+$, $NH_4^+$, $Mg^{2+}$, $Ca^{2+}$, $Al^{3+}$, $Cl^-$, $SO_4^{2-}$, $NO_3^-$, and $PO_4^{3-}$. The experimental site had high nitrogen loading from the atmosphere, and $NO_3^-$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K^+$ and $Mg^{2+}$. However, $NO_3^-$ and $NH_4^+$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only in the O horizon of Q. mongolica stand. Mg^(2+) deficit in the soil was predicted owing to the positive relationship of $Mg^{2+}$ with $NO_3^-$. Concentrations of $K^+$ and $Ca^{2+}$in soil solution were estimated higher in L. leptolepis than in other stands because of high leaching from the plant. Concentration of $Al^{3+}$ in soil solu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il solution pH. Mean soil solution pH of A and B horizons in P. koraiensis was lower than 4.7, however the $Al^{3+}$ concentration was lower than the toxic level to plants.

  • PDF

Biochemical Analysis on the Parallel Pathways of Methionine Biosynthesis in Corynebacterium glutamicum

  • Hwang, Byung-Joon;Park, Soo-Dong;Kim, Youn-Hee;Kim, Pil;Lee, Heung-Shic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6호
    • /
    • pp.1010-1017
    • /
    • 2007
  • Two alternative pathways for methionine biosynthesis are known in Corynebacterium glutamicum: one involving transsulfuration (mediated by metB and metC) and the other involving direct sulfhydrylation (mediated by metY). In this study, MetB (cystathionine ${\gamma}-synthase$) and MetY (O-acetylhomoserine sulfhydrylase) from C. glutamicum were purified to homogeneity and the biochemical parameters were compared to assess the functional and evolutionary importance of each pathway. The molecular masses of the native MetB and MetY proteins were measured to be approximately 170 and 280 kDa, respectively, showing that MetB was a homotetramer of 40-kDa subunits and MetY was a homohexamer of 45-kDa subunits. The $K_m$ values for the O-acetylhomoserine catalysis effected by MetB and MetY were 3.9 and 6.4 mM, and the maximum catalysis rates were $7.4\;(k_{cat}=21\;S^{-1})\;and\;6.0\;(k_{cat}=28\;S^{-1})\;{\mu}mol\;mg^{-1}\;min^{-1}$, respectively. This suggests that both MetB and MetY can be comparably active in vivo. Nevertheless, the $K_m$ value for sulfide ions by MetY was 8.6mM, which was too high, considering the physiological condition. Moreover, MetB was active at a broad range of temperatures $(30\;and\;65^{\circ}C)$ and pH (6.5 and 10.0), as compared with MetY, which was active in a range from 30 to $45^{\circ}C$ and at pH values from 7.0 to 8.5. In addition, MetY was inhibited by methionine, but MetB was not. These biochemical data may provide insight on the role of the parallel pathways of methionine biosynthesis in C. glutamicum with regard to cell physiology and evolution.

홀스타인 육성우의 계절별 분뇨 배설량 및 특성에 관한 연구 (Quantity and Characteristics of Manure Produced by Holstein Heifer at Different Seasons)

  • 최동윤;곽정훈;박치호;정광화;김태일;김재환;유용희;양창범;최홍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23-132
    • /
    • 2006
  • 우리나라에서 사육되고 있는 젖소 육성우의 분뇨배설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육성우 6두를 공시하여 축산연구소 낙농우사에서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4계절에 걸쳐 각각 10일간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물섭취량은 평균 6.7kg으로 봄, 여름, 가을 및 겨울이 각각 4.6, 8.3, 7.1, 6.8kg으로 봄이 가장 낮은 섭취량을 보였으며, 음수량은 평균 $19.3{\ell}$로, 여름이 $21.8{\ell}$로 가장 많았고 봄과 겨울이 $18.3{\ell}$로 낮았으나 계절별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2. 분뇨배설량을 계절별로 조사한 결과, 봄 13.7kg, 여름 23.8kg, 가을 25.0kg, 겨울 20.2kg으로 봄이 가장 낮았으며(p<0.05), 전체 평균 분뇨배설량은 20.3kg이였고, 체중대비 분뇨의 비율은 5.6%였다. 3. 체중과 분뇨배설량간($R^2=0.7816$), 체중과 사료섭취량간($R^2=0.7296$)의 상관관계가 비교적 높았으나, 음수량과 분뇨배설량, 사료섭취량과 분뇨배설량간의 상관관계는 비교적 낮았다. 4. 분뇨의 수분 및 pH를 분석해 본 결과, 분의 뇨의 평균 수분 함량은 각각 83.5, 94.6%였으며, pH는 각각 7.4, 7.6 수준이었다. 5. 분뇨중 오염물질 농도는 분의 $BOD_5,\;COD_{Mn}$, SS, T-N 및 T-P는 각각 18,048, 50,114, 119,833, 2,519, $427mg/{\ell}$였고, 뇨는 각각 5,434, 6,550, 825, 3,616, $28mg/{\ell}$였다. 6. 분뇨중 비료성분은 분의 N, $P_2O_5,\;K_2O$가 각각 0.25, 0.10, 0.14%였고, 뇨는 각각 0.36, 0.006, 0.31%였다.도는 3m 지점에서 $446.6\;{\mu}g/m^3$ 이었으나 20 m 지점에서는 $156.3\;{\mu}g/m^3$로 34.9% 수준이었고 PM10 34.9%, PM2.5 48.7%, PM1.0 86.8% 수준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