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Semi Annual
Domain
- Health Sciences > Biomedical Sciences
1994.04a
-
The most common conventional method of discovering a drug involves a massive screening of a large number of compounds in chemical libraries or in the extracts from natural sources such as plants or microbial broths follow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one or more active compounds to improve their properties as a drug. When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target molecule for which the drug is searched is known the drug discovery process can be significantly simplified,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a complex between the target and a lead compound is known. In this lecture our experience on the structure-based drug design for human CDK2(cyclin-dependent protein kinase 2) will be discussed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is approach of drug discovery. The regulation of the activity of CDK2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ell proliferation of normal and cancer cells.
-
Opium, morphine and rotated natural and synthetic opiates have been used since antiquity, and to the present, for the relief of moderate and severe pain. Morphine and pharmacologically related drugs, however, produced an array of undesired or dangerous side effect that limit their use as analgesics. Prominent among the limiting side effects are constipation, respiratory depression, release of prolactin, and liability for the production of drug dependence. It was our aim to develop, if possible, a drug or class of drugs with analgesic activity similar to that of morphine, but without the serious side effects associated with morphine. Our overall strategy was to take advantage of advancing knowledge concerning multiple types of opioid receptors, to develop ligands selective for the delta type receptors, to determine whether delta receptor agonists offer advantages over mu agonists, then to design compounds with pharmacokinetic properties compatible with practical therapeutic application. All but the last of these objectives have been realized.
-
Signal transduction through G protein-coupled receptors comprises three functional components, a receptor, a G protcin and a effector protein. Work over the last sevcral ycars has led to the characterization or virtually all of the components or these systems. what has come out or those studies is that these mechanisms of signal transduction are pervasive in nature being found in mammalian and avian species, as well as lower organisms such as yeast and slime mold. It is known that G protein-coupled receptors mediate the action of such diverse molecules such as small hormones and neurotransmitters, small peptide molecules as well as glycoprotein hormones and various sensory perceptions such as light, olfaction and most likely taste.
-
The mechanisms controlling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synaptic transmission are numerous. Once an action potential reaches a nerve terminal, the stored neurotransmitters are released in a quantum fashion into the synaptic cleft. At that point neurotransmitters can act on post-synaptic receptors to elicit an action on the post-synaptic cell or net at so-called auto-receptors that are located on the presynaptic side and which often regulate the further release of the neutotransmitter. Whereas the action of the neurotransmitter receptors is regulated by desensitization phenomenon, the major mechanism by which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neurotransmitter action is presumably regulated by either its degradation or its removal from the synaptic cleft.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specialized proteins located in fe plasma membrane of presynaptic terminals function to rapidly remove neurotransmitters from the synaptic cleft in a sodium chloride-dependent fashion. These proteins have been referred to as uptake sites or neurotransmitter transporters. Once taken up by the plasma membrane transporters, neurotransmitters are repackaged into secretory vesicles by distinct transporters which depend on a proton gradient.
-
-
-
Many types of drugs affect functions of tile gastrointestinal tract. Investigators may be interested in discovery or pharmacological characterization of drugs as therapeutic agents intended for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or in identification of gastrointestinal side effects of drugs intended for non-gastrointestinal indications. Examples of drug categories often associated with significant gastrointestinal side effects include cardiovascular drugs, antibiotics (erythromycin in particular), anti-inflammatory drugs, antiemetics, analgesics (especially opiates), antihistamines, antidepressants, and antipsychotics. Whether tile objective is development of gastrointestinal therapeutic agents or evaluation of gastrointestinal side effects, appropriate laboratory models for experimentation are essential.
-
The science of toxicology is the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by which exogenous agents produce deleterious effects in biological systems. The actions of chemicals such as drugs are ultimately exerted at the cellular and gene levels. Over the past decade. several in vitro alternative methods such as cultured cells for assessing the toxicity of various xenobiotics have been proposed to reduce the use of animals. In this workshop three advanced methods will be presented. These methods are novel important models for toxicologic studies. Dr. Tabuchis group has establishcd two immortalized gastric surface mucosa cell lines from the pminary cultore of gastric fundic mucosal cells of adult transgenic mice harboring a temperature sensitive simian virus 40 large T-anugen gene. As the immortalized cell lines of various tissues possess unique characteristics to maintain their normal functions for several months, these cell lines are extremely useful for not only toxicity testing but also pharmacological screening in new drug development. Professor Funatsu have studied the formation of spherical multicelluar aggregates of adult rat hepatocytes(spheroid) having tissue like structure. The sphcroid shown thre is a prototype module of an artificial liver support system. Thus, the urea synthesis activity of the artificial liver was maintained at least to days in 100% rat blood plasma. Dr. Takezawa and his coworkers have developed a novel culture system of multicellular spheroids considered 〃organoids〃 by utilizing a thermo-responsive polymer as a substratum of anchorage dependent cells. His final goal is to reconstitute the organoids of various normal organs, e.g., liver, skin etc. and also abnormal deseased organs such as tumor.
-
Tabuchi, Yoshiaki;Sugiyama, Norifumi;Horiuchi, Tadashi;Furuhama, Kazuhisa;Obinata, Masuo;Furusawa, Mitsuru 131
In the present study, in order to make an in vitro model of gastric mucosa for 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studies, we established two immortalized gastric surface mucous cell lines (GSM06 and GSM10), which produce periodic acid-Schiff (PAS)-and concanavalin A (Con A)-positive glycoproteins, from a primary culture of gastric fundic mucosal cells of adult transgenic mice harboring a temperature-sensitive simian virus 40 large T-antigen gene 〔1]. Gastric fundic mucosal cells were isolated as a modification of a previously described method for rats by Schepp et al. (2). The isolated gastric fundic mucosal cells were cultured in DME/F12 medium supplemented with 2% fetal bovine serum (FBS), 1% ITES (consisting of 2 mg/1 insulin, 2 mgg/1 transferrin, 0.122 mg/1 ethanolamine and 0.00914 mg/1 sodium selenite) and 10 ng/ml recombinant epidermal growth factor (EGF) in a collagen-coated culture dish. To remove fibroblastic cells from the culture, gastric mucosal cells were incubated in the culture medium containing dispase (25 U/ml) for 24 h. The cells, uncontaminated with fibroblastic cells, were then cloned by colony formation. In our series of three attempts, two cell lines (GSM06 and GSM10) have been established at last. The cells proliferated, attached to the dish ana grew until confluent monolayers were formed, and maintained tight contact with neighboring cells. Both GSM06 and GSM10 cells have now been in culture for more than 9 months with regular passaging. The either cell produced -
Spherical multicellular aggregates of adult rat hepatocytes (spheroid) which have tissue like structure, were formed and immobilized in the pores of polyurethane foam (PUF) which was used as a culture substratum. These hepatocyte/spheroids, about 100
$\mu\textrm{m}$ in diameter, have maintained higher differentiated functions than those of hepatocyte/monolayer for about 3 weeks in serum-free medium. Then, we designed a prototype module of an artificial liver support system using a PUF/spheroid packed-bed, in which hepatocyte/spheroids were immobilized at high density. The urea synthesis activity of the artificial liver was maintained at least 10 days in 100% rat blood plasma. We start examining the performance of hybrid artificial liver in an ex vivo extracorporeal experiment with an acute hepatic failure rat. -
-
P450s are a superfamily of heme-containing monooxygenases and important in the metabolism of numerous physiological substrates and foreign compounds.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tilers are at least 30 distinct human isoforms of P450. Four families containing numerous individual P450s are mainly responsible for metabolizing foreign compounds, A cDNA expression system in which individual human P450s are synthesized in cultured human hepatoma (Hep G2) cells infected with a recombinant vaccinia virus containing human P450 cDNA has been constructed.
-
Thioglycerol과 Glycerol을 출발물질로 1번 탄소(C) 위치의 산소(O),또는 황(S)에 octadecyl기로 alkylation한 후, 2번 탄소(C)위치 산소(O)를 palmitoyl기로acetylation시켜 만든 thioether lipid 및 ether lipid유도체를 인산화시킨 rac-1-S-octa-decyl-2-O-palmitoyl-1-S-thioglycerol-3-phosphate (DL-PTBA-P)와 rac-1-O-octadecyl-2-O-palmitoylglycerol-3-phosphate (DL-PBA-P)등을 합성하였다. 이들 thioether lipid 및 ether lipid유도체는 그 자체로도 in vitro와 in vivo에서anti-neoplastic property를 가지고 있는데, 이들 중간체를 핵산 화합물로써 역시 강한 항암 작용에도 불구하고 독성등 부작용이 문제가 되고있는 Ara-C (일명 Cytarabine)의 인산화물인 ara-CMP morpholidate와 conjugation시켜 최종물질로서 ara-CDP-DL-PCA, ara-CDP-DL-PBA, ara-CDP-DL-PTCA 및 ara-CDP-DL-PTBA등을 합성하였다. 이들 중 ara-CDP-DL-PTBA가 본 과제와 관련하여 항암제로서 최종 개발하고자하는 주요 물질인 Cytoros이다.
-
Kim, Soo-Woong;Lee, Seung-Ryong;Jung, Hoon;Park, Man-Ki;Park, Jung-Il;Kim, Jae-Baek;Son, Dong-Hwan;Jung, Jin-Ho;Ko, Kwang-Ho 168
G009는 단백다당체로서 분자량 0.5-200만 사이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구성당은 glucose를 주로하여 galactose, mannose 등으로 구성되었고, 아미노산은 glycine, leucine, alanine 이외 기타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담도결찰 쥐에서 G009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간섬유화 유발물질로 추정되는 혈중 Procolagen type III peptide의 감소시켰고 간조직중 총 collagen의 양도 감소시켰다. 또한 조직학적 검사 결과로도 간섬유화의 억제가 뚜렷하였다. 각종 간손상 유발물질에 대하여도 G009투여군은 대조군에 대하여 정상군과 동일한 수준으로 GOT, GPT, triglyceride수치를 보였으며 간조직도 정상군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다. -
항암 및 면역조절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그 자체가 서방성 prodrug으로서 약효를 나타낼것으로 기대되는 ara-C와 etherphospholipid의 conjugate인 ara-CDP-DL-PCA.2Na, ara-CDP-DL-PBA.2Na, 및 ara-CDP-DL-PMA.2Na 3종의 BR-8702-2의 micellar soultion을 투여시료로 하여 제암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DBA/2J 마우스(평균 체중 25g, 수컷)에 L
$_{1210}$ 임파성 백혈병 세포를 이식한 후, 24시간 후 약물을 복강내에 투여하는 실험계 에서 400mg/kg/day, 단회투여 및 80 혹은 100mg/kg/day, 1~5일간 투여로 ILS%값이 229~543으로 우수한 제암력을 보였다. 또한 BDF$_1$ mice(15~20g)의 axillary region에 3㎣의 Lewis Lung Tumor를 피하로 이식한후 약물투여를 통한 제암효과를 관찰하였다. 100, 200, 300mg/kg/day의 단회 투여계 에서는 수명연장 효과가 없었다. 한편, 20, 40, 60mg/kg/day, 1~5일간의 투여계 에서는 ara-CDP-DL-PCA.2Na만이 효과가 있었는데 농도에 역순하여 저농도인 20mg/kg/day, 1~5일간의 투여계에서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그때의 ILS%는 32.3%였고 투여기간중의 체중변화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한편 NICOM 370 Dynamic Light Scattering을 이용하여 투여시료로한 micellar solution의 입자도를 분석한 결과 ara-CDP-DL-PCA.2Na는 4.2nm size의 것이 99.48%를 차지하고 있었다. ara-CDP-DL-PCA.2Na의 ICR 마우스를 이용한 급성독성 시험에 있어서 경구투여에서의 LD$_{50}$ 값은 암,수컷 모두 5000mg/kg이상 이었고, 정맥내 투여 에서는 432mg/kg이었다. 실험과정중 생존동물의 일반적 이상소견등은 없었으나 정맥내 투여의 경우에서 체중증가 억제현상이 있었다. -
항암제 KR 53170 및 관련 화합물의 항암 효과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Phellinus linteus 균사배양물로부터 분리한 항암성 단백다당체 (분자량 8000 이상의 고분자 분획) PL-KP률 장내세균의 효소활성을 이용하여 부분분절(partial fragmentation)시킴으로써 항암력 증강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장내세균을 이용한 PL-Kp의 처리 :PL-Kp 5.62g을 기본배지 281m1에 용해 시킨후 그 중 100m1에는 Py-92 균주(endoglucanase 생성균주)를, 다른 100m1에는 초식동물로부터 분리한 활성 균총을 접종한후 배양물 100m1 당 BH1 broth 10n1를 첨가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물을 원심분리하여 그 상등액을 열탕에서 15분간 가열하고 투석, 동결건조하여 건조분말로 획득하였다. 이증 Py-92 균주로 처리한 시료를 Kp-F1, 균총으로 처리한 시료를 Kp-F2, 균을 접종하지 않고 처리한 시료를 Kp-FC라 한다. 2. 분절 (Fragmentation) 확인 : 증류수에 용해시킨 시료의 Sephadex G-25 컬럼을 이용한 gel filtration 유형(컬럼 통과 속도 및 착색대 유형)등을 관찰하여 Kp-F1 및 Kp-F2가 성공적으로 분절되었음을 확인하였다. 3. 분절 Kp의 항암력 실험 : ICR 마우스내 피하에 이식한 sarcoma 180고형암에 대한 항암력을 비교실험하여 부분분절에 의해 항암력이 증가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PL-Kp가100mg/kg/day ip의 용량에서 49.5%의 종양저지율을 발휘하였으나 균총을 이용하여 부분분절시킨 시료(Kp-F2)는 그 1/5용량에서도 87%의 종양저지율을 발휘하여 항암력이 현저히 증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Py-92 균주를 이용하여 분절시킨 Kp-F1도 100mg/kg용량에서 76%의 종양저지율을 나타내었다. 이로써 부분분절 조작을 통하여 항암성 단백다당류인 PL-Kp 의 항암력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
Cephem ring의 C-7위치에 aminothiazoly lmethoxyimino기를 가진 화합물들이 항균활성을 증가시키고, G(-)균의 외막투과성을 촉진시킬뿐 아니라 광범위항균 spectrum을 갖게 하고
$\beta$ -lactamase에 안정하며 PBP(penicillin binding protein)에 대한 결합친화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에 따라 본 저자는 C-7위치에 cefotaxime구조와 같이 aminothiazolylmethoxyimino acetamido moiety를 고정시키고 항균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약리활성이 기대되는 5-(substituted)-2H-tetrazole유도체들을 합성하여 C-3 위치에 도입시킨 새로운 화합물 7$\beta$ -〔(z)-2-(2-aminothiazol-4-yl)-2_(methoxyimino)acetamido〕-3-〔5-(substituted)tetrazol-2-yl〕 methyl-3-cephem-4-carboxylic acid 유도체를 합성하여 B. subtilis ATCC 6633, M. luteus ATCC 1004, E. coli KCTC 1039, E. coli ESS, K. pncumonia KCTC 1560, P. aeruginosa IF0 13130, S. typhimurium KCTC 1925, S. typhimurium SL 1102, 및 C. albicans ATCC 10231 등의 균과 fungus에 대하여 기존의 cefotaxime과 cefazoline을 대조물질로 사용하여 항균력을 비교하였다. 이들 화합물들은 대체적으로 M. luteus ATCC 6633, E. coli ESS, S. typhimurium SL 1102 균에 대해서는 cefotaxime보다 항균력이 우수하였으나 P. aeruginosa IF0 13130에 대해서는 항균력이 저하되었고 cefazolin보다는 대체적으로 항균력이 우수하였다. -
1960년대 이후 광범위한 항암제로서 그 임상효과가 탁월한 물질로 알려진 Anthracycline계 항생물질이 화학구조상 B환의 Hydroquinone형에 의한 생체내 산화환원 반응으로 이해 심근 독성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실에서는 Anthracycline의 Aqlycone 부분 12번 탄소의 전자친화력을 증가시키는 11번 탄소의 Hydroxy group이 제거되고 9번 탄소의 Hydroxy group을 Amine으로 대체함과 동시에 4번 탄소의 Methoxy group이 제거된 보다 독성이 적을 것이라 생각되는 Anthracycline의 새로운 Aglycone 유도체를 Design 하여 전합성 하였다.
-
본 연구에 사용한 인삼 성분 중 Adaptagen(ADT), Ginseng Extract(GE) Ginseng Total Saponin(GTS)는 자발 운동을 각각 억제하였다. GE alc GTS는 Morphine 만성 투여에 의한 내성 및 의존성 형성을 억제하였으며, morphine에 의한 자발운동과 연속 투여에 의한 자발운동의 증강작용을 억제하였다. 또한 morphine의 만성 투여로 인한 Dopamine 수용체 초과민성을 억제하였다.
-
항종양 물질의 탐색 및 연구 작업이 미생물을 대상으로 행해져 온것은 이미 오래전부터 이며, 기존의 연구 발표된 것들을 볼때 미생물 스크리닝의 증요성은 점차 증대되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토양에서 방선균 약 1000여주를 분리하여 항종양 물질을 생산하는 방선군의 분리, 동전하고, 그 생산물질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선균의 분리는 전국 각지에선 채집한 토양시료 각 1 g 씩을 80
$^{\circ}C$ 에서 90분간 건조처리한후 멸균된 증류수를 이용하여 각 단계별로 희석하여 Starch nitrate casein agar와 Glycerol asparagine agar를 사용하여 방선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방선균을 Yeast extract-malt extract 액체 배지에서 7일간(160 rpm/28$^{\circ}C$ ) 배양하였다. 여기에서 얻어진 배양액을 이용하여 항종양능을 확인한기 위해서 암세포주인 L1210주와 P388 D$_1$ 주, 정상 세포주로는 Vero 세포주를 이용한 MTT colorimetric assay를 이용하였다. 이들 실현에 대한 결과로써 S-104, 117, 409의 세 균주의 항종양물질 생산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들 균주가 생산하는 물질들은 기존의 시판 항암제인 Adriamycin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균주의 동정은 ISP의 기준에 의하여 행하였다. -
녹용의 유효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지질성분을 분석하고 그 약효를 검색하였다. Folch-Suzuki 분배법, Sephadex G-50, DEAE-Sephadex A-25 Column Chromatography, High Performance Thin Layer Chromatography, HPLC로 정제한후 Mass Spectrometer, NMR, FT-IR등을 이용하여 구조를 분석하였다. 이 물질은 분자량이 1065인 polyhydroxyunsaturated lipid임을 확인하였다. Strepthzotocin으로 당뇨병을 유발시킨 쥐에 이 물질을 투여한 후 혈액과 조직에서 생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정상군에 비해 투여군에서 혈당이 감소하였으나 혈액에서 insulin의 양은 증가하지 않았다. 당뇨병 쥐의 적혈구가 정상에 비해 용혈이 되지 않으나 투여군의 적혈구는 정상과 비숫한 용혈현상을 보여 주었다. 대뇌조직에서 gangliosides를 분석한 결과 당뇨병에 의해 GM1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주었으나 투여군의 경우 대뇌 gangliosides 분포는 정상과 같았다. 대뇌 lipid bound sialic acid를 정량한 결과 당뇨병에 의해 그 양이 감소되었으나 녹용을 투여하였을 때는 정상에 비해 그 양이 더 증가하였다. Strepthzotocin으로 유발시킨 당뇨병 쥐에 녹용의 지질성분을 투여하였을 때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Lee, Heon-Gu;Lee, Moo-Sam;Yang, Moon-Sik;Lee, Yang-Geun;Heo, Hoon;Son, Young-Taek;Jeon, Byung-Deuk 176
Moraceae comprise a large family of sixty genera and neary 1,400 specieses, including important groups such as Artocarpus, Morus, and Ficus. In particular, Morus(mulberry) is a small genus of tree and shrubs found in temperate and subtropical regions of the Northern hemishere and has been widely cultivated in China and Korea, In addition, the root bark of mulberry tree have been used as an antiphlogic, diuretic, and expectorant in white medicine, and the crude drug is known as "Sangbaikpi" in Korea. Recently, some papers have been published reporting the hypotensive effect, antiviral effect, antifungal effect, inhibitory effect of cAMP-phosphodiesterase, and anticancer effect of this extract. Little is known about that Cortex mori could have been an antiallergic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an antiallergic agent with an antiallergic effect from Cortex mori. For this, several in vivo and in vitro experimental models were used. Results are 1) Cortex mori inhibited the compound 48/80-induced degranu-lation, histamine release and calcium uptake of rat peritoneal mast cells, 2) compound 48/80-induced anaphylactic shock and cutaneous reaction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pretreatment of Cortex mori, and 3) Cortex mori inhibited the ovalbumin-induced late astmatic reaction.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Cortex mori has some substances with an antiallergic activity. Our fin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new drug with an antiallergic activity from Cortex mori -
좌제중에서 OMZ의 분해는 1차 반응적이었으며, 안정화제로서는 arginine이 가장 좋아서 arginine을 10 mg 첨가한 Witepsol H15 좌약과 PEG 4000좌약의 분해속도 상수는 각각. 3.89
$\times$ 10-3day$^{-1}$ , 8.67$\times$ $10^{-3}$ day$^{-1}$ 이어서, arginine 비첨가 Witepsol Hl5기제 (k = 00.11 day$^{-1}$ , PEG 4000기제( k = 0.48 day$^{-1}$ )의 경우보다 훨씬 양호하였으며, 35$^{\circ}C$ , 75%RH에서 장기보존시험 결과 Witepsol H15 좌제와 PEG 4000 기제는 각각 k = 3.63$\times$ $10^{-4}$ day$^{-1}$ , t190% = 291 8 days와 k = 3.69$\times$ $10^{-4}$ day$^{-1}$ 및 t90% = 282.1 days이었으며, 좌제로부터 약물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은 arginine의 첨가, 원료약품 입자의 미세화, 적절한 계면활성제의 첨가 그리고 지용성 기제량의 감소등으로서 이들은 약물의 용출을 증가시켰다. 실험한 좌약의 bioavailability는 경구용 캅셀이 17%, 지용성좌제 44.9%, 수용성좌제 41.0%로서 좌제가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p<0.01), 지용성좌제에 SLS나 EDTA를 첨가하였을 때에는 각각 29.7%, 32.7%로서 이들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 보다 유의성 있게 낮았다(p<0.01). 또한 직장점막 자극시험결과 부작용을 관찰할 수 없었으며 간초회통과 회피율은 수용좌제에서 28.9%, 지용성좌제에서 33.6%로 나타나서 OMZ의 투여경로는 직장좌제가 유용한 한가지 투여방법이 될 것임을 시사하였다. -
Hepatitis B Virus (HBV) is a DNA virus with a 3.2kb partially double-stranded genome. The life cycle of the virus involves a reverse transcription of the greater than genome length 3.5kb mRNA. This pegenomic RNA contains all the genetic information encoded by the virus and functions as an intermediate in viral replication. Tumor suppressor p53 has previously been shown to interact with the X-gene product of the HBV, which led us to hypothesize that p53 may act as a negative regulator of HBV replication and the role of the X-gene product is to overcome the p53-mediated restriction. As a first step to prove the above hypothesis, we tested whether p53 represses the propagation of HBV in in vitro replication system. By transient cotransfection of the plasmid containing a complete copy of the HBV genome and/or the plasmid encoding p53, we found that the replication of HBV is specifically blocked by wild-type p53. The levels of HBV DNA, HBs Ag and HBc/e Ag secreted in cell culture media were dramatically reduced upon coexpresion of wild-type p53 but not by the coexpression of the mutants of p53 (G154V and R273L). Furthermore, levels of RNAs originated from HBV genome were repressed more than 10 fold by the cotransfection of the p53 encoding plasmid. These results clearly states that p53 is a nesative regulator of the HBV replication. Next, to addresss the mechanism by which p53 represses the HBV replication, we performed the transient transfection experiments employing the pregenomic/core promoter-CAT(Chloramphenicol Acetyl Transferase) construct as a reporter. Cotransfection of wild-type p53 but not the mutant p53 expression plasmids repressed the CAT activity more than 8 fold. Integrating the above results, we propose that p53 represses the replication of HBV specifically by the down-regulation of the pregenomic/core promoter, which results in the reduced DNA synthesis of HBV. Currently, the mechanism by which HBV overcomes the observed p53-mediated restriction of replication is tinder investigation.
-
새로운 항생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균주를 액체 및 고체배지에서 배양하여 여러 검정균에 대하여 종이디스크법으로 항균효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 G(-), fungi 등에 강한 항균 효력을 보인 토양균 SNUS 8810-43과 Mycobacterium, fungi에 항균력을 보인 토양균 SNUS 8810-129를 선택하여 각각의 배양액에서 항생물질을 분리하고, 분리한 항생물질의 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토양균 SNUS 8810-43의 배양액으로부터 항생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양이온 교환 수지 관 크로마토그래피와 셀룰로오스 관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시료 JJH-II-46-43을 얻었다. 시료 JJH-II-46-43의 IR,
$^1$ H-NMR,$^{13}$ C-NMR,$^1$ H-$^1$ H COSY,$^1$ H-$^{13}$ C COSY, FAB-MS 스펙트럼을 얻어 분리한 항생물질의 구조를 분석하여 이 항생물질의 구조가 N-methylstreptothricin과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Mycobacterium smegmatis에 강한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토양균 SNUS 8810-129로 부터 분리하였다. 토양균 SNUS 8810-129를 배양한 V-8 아가판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이를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와 preparative TLC로 시료 LCH-IV-17B, LCH-III-387을 얻었다. 시료LCH-IV-l7B, LCH-III-387의$^1$ H-NMR,$^{13}$ C-NMR, FAB-MS, CI-MS, IR등의 스펙트럼을 얻어 분리한 항생물질의 구조를 분석하여 이 항생물질이 glycolipid계 항생물질이라는 것을 알았다.$^{13}$ C-NMR 상의 자료와 화학적인 방법으로 구성당을 조사한 결과 이 항생물질을 이루고있는 당은 rhamnose 임을 알았다. 또 이 항생물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화학적인 방법과 MS 스펙트럼,$^{13}$ C-NMR 스펙트럼으로부터 hydroxydecanoic acid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생물질 LCH-III-387와 항생물질 LCH-IV-l7B는 각각 rhamnose를 1, 2개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동일한 탄소수의 지방산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들 항생물질을 이루는 구성당과 지방산간의 정확한 연결및 구조,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계속 수행중에 있다. -
Farnesyl protein transferase는 Ras precursor의 C-terminal에 있는 cystein residue에 farnesyl group을 결합시키는 효소다. 이 효소를 bovine testis에서 30-50%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DEAE-sephacel ion exchange, Sephacryl s-300 gel filtration, hexapeptide(KKCVIM) affinity chromatography를 통해 30000배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효소는 gel filtration시 약 100kDa으로, SDS-polyacrylamide 전기영동시 50kDa의 인접한 두 bands로 나타났고 이것은
$\alpha$ ,$\beta$ subunits으로 생각되었다.$\alpha$ subunit을 encoding하는 RAM2 유전자를 site directed mutagenesis로 145번의 histidine을 aspartate로, 140번의 aspartate를 asparagine 으로 바꾸었더니 optimal pH와$K_{m}$ 값이 변했다. Diethyl pyrocarbonate로 histidine residues를 chemical modification시켰을때 효소의 활성이 저하되었다. 145번 histidine이 aspartate로 바뀐 돌연변이효소에서 비교적 느리게 활성이 저하되므로 145번 histidine이 이 효소의 active site에 있을것으로 추측된다. -
포유 동물의 중추 신경계에서 주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알려진 4-aminobutyrate(GABA)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인 GABA transaminase (GhBA-T)와 Succinic semialdehyde reductase(SSR)를 각각 여러 가지 크로마토그래픽 방법을 사용하여 순수 분리 정제하였다 GABA-T는 subunit 분자량 50kDa을 가진 dimer이며 화학 변형(chemical modification), 흡광, 형광스펙트럼 연구에 의하면 cysteinyl잔기가 활성 부위에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SSR은 2-mercaptoethanol이 존재하든 안하든 o-pthalaldehyde(OPA)에 의하여 효소 활성도가 상실되었으며 흡광 및 형광스펙트럼에 의하면 OPA가 효소의 활성 부위의 lysyl잔기와 반응하여 cysteinyl잔기와 함께 intermolecular cross-linking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SSR은 몇가지 anticonvulsant drug에 의하여 부분적인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을 비가역적으로 불활성화시킴으로써 오랫동안 작용할 수 있는 고혈압치료제로서의 ACE억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pseudomechanism-based inhibition이라는 새로운 억제기전을 가질 것으로 추정되는 아래 그림과 같은 기본 분자구조를 갖는 epoxide 유도체들을 합성하여 in vitro에서 ACE활성 억제효과를, HPLC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합성되어진 epoxide 유도체들은, epoxide group대신에 sulfhydryl 또는 carboxyl group으로 치환되어져 있는 기존의 ACE 억제제들보다도 효능이 현저히 저하됨으로써, ACE의
$Zn^{2+}$ binding site와는 배위결합력이 미약하다는 것을 의미하여 준다. 또한 유도체들의 phenylring에 chloride, hydroxyl, nitro group과 같은 polar group 의 도입으로 말미암아 ACE 억제효과가 저하됨으로써 이 부위에서의 hydrophobic interaction이 ACE를 억제하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며 이외에도 이미 알려진 바와같이 carbonyl carbon과 인접한 carbon atom에 methyl group의 도입이 억제효과에 중요한 역활을 하였다. 따라서 향후에는 ACE의$Zn^{2+}$ binding site와 강력한 배위결합을 하는 carboxyl group을 도입하고 epoxide의 위치를 변경시키며 또한 hydrophobic interaction하는 부위의 구조를 변화시켜 보다 효능이 우수한 새로운 기전의 ACE억제제를 개발해 나가고자 한다. -
HIV-1 protcase 를 이용한 in vitro assay system을 개발하기 위하여HIV-1 protease유전자를 Ecoli 발현 벡터를 이용하여 발현시켰다. 가능성있는 Protease유전자의 생간 및 분래를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maltose binding protein 의 fusion protein을 이용하였으며 protease 의 autoprocessing을 maltose binding protein 의 polyclonal 항체로 확인하였다, 발현된 protease는 일련의 chromatography 방법 (DEAE, SE cellulose, Superose 12, Mono S) 으로 순수하게 분리되었다. 정제된 protease 는 SDS-PAGE분석으로 단일밴드를 보여주었고, 합성된 undecapeptide를 기질로 하였을때 Km 이 9.8
$\mu$ M 이었다. 효소 assay 를 위해 기질이 protease 에 의해 절단된 생성물을 HPL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Protease의 억제제 탐색을 위해 유기합성한 몇개의 기질유사체와 HIV-1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천연물의 억제정도를 조사하여 보았다. 이들 test 에 사용한 물질들은 높은 농도에서 protease 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보아 좋은 억제제는 아닌것으로 시료되나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in vitro assay system 은 추후에도 억제제 탐색을 위하여 계속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개와 흰쥐의 장간막동맥 절편의 긴장도와
$^{86}$ Rb$^{+}$ 유출에 대한 cromakalim의 효과를 관찰하고 이를 ATP를 고갈시킨 조직에서 얻어지는 결과와 비교하였다. Cromakalim은 개와 흰쥐의 장간막 동맥을 이완시켰으며, 이러한 이완은 glibenclamide에 의하여 상경적으로 억제되었다. Glibenclamide는 phenylephriue에 의한 개와 흰쥐의 장간막 동맥 수축을 증가시킨다든지 혹은 cromakalim에 의한 억제성 반응을 역전시켰다. 개와 흰쥐 장간막 등맥의$^{55}$ Rb$^{+}$ 유출 실험에서 tromakalim (10$\mu$ M) 투여시 ATP를 고갈시킨 흰쥐의 장간막 동맥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HPLC를 이용하여 adenine nucleotide를 분석하였다. Adenine nucleotide의 HPLC 분석시에 혈관의 내피세포를 제거하였고 0.2 M ammonium phosphate (pH 5.5)를 용출용매로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관상동맥은 전기적으로 자극하여도 활동전위가 쉽게 유발되지 않는 조직인데, 이는 세포내의
$Ca^{2+}$ 에 의해서 활성화되는$K^{+}$ 통로때문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저자들은 단일 이온통로 수준에서 이러한 관상동맥$K^{+}$ 통로의 성질을 조사하고, 아울러$K^{+}$ 통로 개방제를 포함한 몇가지 약물이$K^{+}$ 통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막소포는 돼지의 심장에서 관상동맥을 분리하여 균질화 및 원심분리하여 준비하였으며, sucrose 20/30%에 있는 층을 취하여 분주한 후 -7$0^{\circ}C$ 로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평지방막은 1-palmitoyl, 2-oleoyl-phosphatidyl ethanolamine과 1-palmitoyl, 2-oleoyl phosphatidylcholine (4:1)을 n-decane에 녹인지방액(25mg/m1)을 200$\mu\textrm{m}$ 의 구멍에 칠하여 만들었다. 단일$K^{+}$ 통로는 막소포 (1-5$\mu\textrm{g}$ /ml)를 평지방막의한쪽에 추가하고 자석으로 저어 융합이 되도록 하였으며, 통로의 활성은 막의 양쪽에 150 mM KCI, 10 mM HEPES-KOH, 0.5 mM EGTA, 0.6 mM$CaCl_2$ (pH 7.2)로 된용액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막전압을 다르게 하며 기록하였다. 단일 이온 통로 전류는 amplifier를 통하여 VCR tape에 녹화하여 후에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동시에 종이기록지에 기록하였다. 단일이온통로 활성의 분석은 pClamp (Ver5.5)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관상동맥에서 가장 흔히 기록되는 이온통로는 막전압과$Ca^{2+}$ 의 농도에 의하여 변하는$K^{+}$ 통로이었는데 pCa 4.0과 -10 mV에서 초기 활성도(Po)는 0.1에서 0.8까지 다양하였다. 전류와 전압과의 관계는 -60 - +60mV의 전압범위에서 직선형이었다. -
Many agonists have been known to activate the hydrolysis of membrane phospholipids through the bindings with corresponding receptors on the various cells. Diacylglycerol and inositol 1,4,5-trisphosphate(IP3) generated by the action of phosphoinositide-specific phospholipase C (PI-PLC) are well known second messengers for the activation of protein kinase C and the mobilization of Ca2+ in many cells. Three types of PI-PLC isozyme (
${\alpha}$ ,${\gamma}$ , and$\delta$ ) and several subtrpes for each type have been identified from mammalian sources by purification of enzymes and cloning of their cDNAs. Each type PI-PLC isozyme is coupled to different receptors and mediators, for example,${\beta}$ -types are coupled to the seven-transmembrane-receptors via Gq family of G-proteins and${\beta}$ -types directly to the receptor tyrosine kinases. Specific modulators for the signaling pathway through each type of PI-PLC should be very useful as potential potential candidates for lend substances in developing novel drugs. To establish the sensitive and convenient screening systems for searching modulators on PI-PLC mediated signaling, two kinds of approaches have been tried. (1) Establishment of in vitro assay condition for each type of PI-PLC isozyme: Overexpression by using vaccinia virus and purification of each isozyme was carried out for the preparation of large amounts of enaymes. Optimum and sensitive assay condition for the measurements of PI-ELC activities were established. (2) Development of the cell lines in which each type of PI-PLC is permanently overexpressed: A fibroblast cell line (3T3${\gamma}$ 1-7) in which PI-PLC-${\gamma}$ 1 was overexpressed by using pZip-neo expression vector was developed and used for the measurement of PDGF-induced IP3 formation. The responses for IP3 formed in 3T3${\gamma}$ 1-7 cells by the treatment of PDGF is 8 times more sensitive than those in control cells. 3T3${\gamma}$ l-7 cell is useful for the screening of the inhibitors on the PDGF-induced cellular responses from large number of samples in a small volume(50${\mu}$ l) and short time(5-15 min). Using these systems, we screened hundreds of herb-extracts for the inhibition of PDGF-induced IP3 formation and selected several extracts that showed the inhibition as the candidates for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tive substances. The determination of the acting point of selected extracts or fractions in the PDGF signaling pathway has been analyzing. -
선경인더스트리 연구소에서 개발된 100 여종의 새로운 백금착체 항암제 중 그 동안의 전임상연구를 통해 항암효과가 우수하고 안정성이 확인된 항암제인 SKI 2053R의 인체내 최대내약용량을 결정하고 부작용 및 항암효과를 평가하고 약제의 인체내 약동학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각종 악성종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제 1상 임상연구를 시행하였다. 약제의 투여는 500m1의 5% 포도당용액에 용해하여 1시간에 걸쳐 정주하였으며 병의 악화나 심한 독성이 없으면 치료를 매 4주마다 반복하였다. SKI 2053R의 초기용량은 생쥐에서의 LD
$_{10}$ 의 1/10에 해당하는 40 mg/$m^2$ 로 하였고, 용량의 단계별 증가는 modified Fibonacci법에 따랐다. 각 단계별로 3명이상의 환자를 치료하여 WHO 기준상 3도 이상의 부작용이 2/6 이상에서 나타날 때의 용량을 최대내약용량으로 설정하였다. -
GM-CSF는 생체내에서 백혈구의 형성을 조절하는 인자이기 때문에 골수이식을 한 환자 및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를 받은 암환자에게서 발생하는 백혈구의 감소현상을 완화시키는 역활을 한다. 항암 보조 치료제로서 의학적 효능을 나타낼 것으로 간주되는 인체의 GM-CSF를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효모에서 발현, 정제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밝히고 역가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효모로부터 rhGM-CSF의 발현율을 상승시키기 위해 초 분비 돌연변이 균주를 선별하였고 발효 배지 조성의 차이에 따른 발현율도 비교 측정하였다. 정제된 rhGM-CSF(LBD-005)는 여러 물리화학적 특성조사를 통해 구조나 역가면에서 상대치와 거의 일치함을 보여주었다. LBD-005는 당화된 GM-CSF와 당화되지 않은 형태의 혼합물이므로 Con-A column등을 사용하여 분리하고자 하였다. 당화된 GM-CSF와 혼합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각각 조사하였으나 유사하였고 당화에 따른 역가의 차이도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
Q-35의 일회 및 반복투여 연구결과, 자타학 증상은 단지반복투여 피험자에서 중등도의 두통(1예)과 설사(3예)가 관찰되었으나 이들 설사증례는 장내 세균총 검사상 복감염에 의한 것이 아니었다. Q-35 투여 후 Q-EEG 및 평행기능의 장애 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임상화학 검사상 반복투여 3예에서 SGOT, SGPT의 경미한 상승을 보였으나 이러한 변화는 정상 범위내에서의 변화이었다. Q-35의 반복투여에 따라 투약 3일에서 8일에 걸처 장내세균총은 일부 호기성 및 혐기성 세균총의 감소를 보였으나 투약종료 10일 후에는 투약전 상태로 회복되었다. Q-35는 투여량의 약 70 % 가 24시간 뇨중으로 배설되었으며 일회 및 반복투여의 결과 용량의존적인 동태양상은 관찰할 수 없었다. 50 mg에서 400 mg까지 일회 투여시 5.6-7.1 시간의 혈장반감기를 보였으며, 반복투여 시험에서는 평균 5.6
$\pm$ 0.7 시간의 반감기를 보였다. Q-35는 타액내로 신속히 이행되었으며 타액내 AUC는 혈장 AUC의 약 75 %에 해당하였고, 식사에 의해 약간의 흡수속도지연(Cmax 0.4 시간지연)과 공복시에 비해 82 %의 상대적 생체이용율을 보였다. -
아급성독성시험 : DA-125를 1.0, 0.2, 0.04 mg/kg/day의 용량으로 4주간 정맥내투여시 고용량군에서만 세포분화가 빠른 골수, 비장, 흉선 등의 장기에서 독성이 나타났으며 중간 및 저용량군에서는 독성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2)항원성시험 : DA-125는 단독 또는 면역보조제(CFA)와의 혼합감작에 의하여 능동전신성 또는 수신피부 아나필라시스를 일으키지 않았으며 면역확산법에 의해서도 항체가 확인되지 않았다. 면역독성시험에서 DA-125는 흉선, 비장의 위축과 임파구중식억제를 나타냈으나 그 정도는 DXR보다 경미하였다. 3)혈완장해시험 : 0.4%의 DA-125 용액은 토끼의 이개정맥내 정맥주사 및 저류시에 혈전형성이나 염증반응 등의 혈관장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0.2%의 DXR용액은 약한 염증반응을 보였다.
-
본 연구는 D-galactosamine을 이용한 중기발암성 모델에서 세포성면역중의 하나인 natural killer (NK) 세포활성과 c-myc 종양단백의 발현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수컷 6주령의 SPF SD랫드 50마리를 3개군으로 각 군당 20마리씩 나누어 배치하였다. 실험 0일에 제 1,2 군에서 DEN을 복강내로 체중 kg당 200mg 1회 투여하여 발암유발을 하였으며 대조군인 제 3군에는 saline을 투여하였다. 제 2주에 제 1군에는 강력한 발암촉진물질인 2-acetylaminofluorene (AAF)을 사료에 0.01% 투여하였으며, 제 2군은 미약한 발암촉진물질인 phenobarbital (PB)을 0.05%로 음수에 6주간 투여하였다 제 8, 15, 36주에 경시적으로 부검하였다. 제 8주에 부검시 GST-P
$^{+}$ 병변이 잘 유도되어 전암병변의 유도가 잘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제 15주에 부검시 AAF를 투여한 군에서 glutathione S-transferase placental form (GST-p)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에서 AAF와 PB를 투여한 제 1군 및 제 2군의 간장에서는 주위조직과 한계가 명료한 GST-P$^{+}$ 증식성 결절과 병소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기초 사료만을 투여한 제 3군은 어떠한 GST-P$^{+}$ 증식성 결절 및 병소를 관찰할 수 없었다. 랫드에서 natural killer세포는 사람이나 마우스에서 주로 자연살생능 (natural killing activity)을 보이는 LGL(lure granular lymphocyte)의 형태를 띄고 있었으며 LGL 이라고 부르는 것처럼 특징적으로 세포질 대 핵의 비율이 높고 azurophilic 과립을 세포질내에 함유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신장 형태의 핵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세포의 크기는 small lymphocyte와 대식세포 (macrophage)의 중간 크기였다. 15주와 시험종료시 정상대조군인 제 3군의 랫드로 부터 분리한 NK 세포활성도 (% cytotoxicity)에 비하여 발암물질 투여군의 NK 활성도는 PB 투여군들의 NK활성도 보다 약간 낮았다. 랫드에서 c-myc 종양단백은 65KD 와 671KD 에서 band가 형성된 것이 관찰되었다. 시험 개시후 15주에 부검한 랫드의 간에서 c-myc 종양단백의 발현은 모든 처리군들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발현되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시험개시후 26주에 부검한 랫드의 간에서 c-myc 종양단백의 발현은 대조군에 비하여 차이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랫드에서 화학적으로 유도한 간암발생 과정에서 NK 세포활성이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c-myc 종양단백의 발현은 시험개시후 15주에 그 발현이 확실한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
본 논문에서는 cytochrome P450 LA1 유전자의 5'-upsteam 조절부위의 클로닝을 실시하였다. pUC19 vector에 연결시킨 3.4 Kb 크기의 Pstl DNA조각을 Sst1, Nco1 제한 효소로 자른 뒤, Exonuclease III 를 처리하여 약 200bp 씩의 차이를 갖는 여러 크기의 plasmid들을 얻었다. 이 plasmid 의 핵산서열을 알아보기 위해 dideoxy nucletide를 이용한 sequencing방법으로 그 핵산서열의 결정 실험을 시도하였다. 또한, 다환상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에 반응성을 갖는 C57BL/6N 생쥐와 반응성을 갖지않는 DBA/2N 생쥐에 있어 phase II 대사 효소인UDP-glucuronosyltransferase 효소활성에 대한 3-methylcholanthrene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57BL/6N 생쥐와 DBA/2N 생쥐에 각각 다른 농도의 3-methylcholanthrene을 처리하거나 각기 다른 시간에 3-methylcholanthrene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 UDP-glucuronosyl-transferase의 mRNA가 3-methylcholanthrene양의 증가에 따라, 처치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되어지며 그 mRNA위 크기는 약 2.2Kb 정도임을 알았다. 이로부터 UDP-ghucuronosyltransferase 또한 cytochrome P45O와 함께 다환상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 조절인자를 통한 조절을 받을 것이며 phase I phase II 약물 대사 효소가 조절상 밀접한 관련을 가짐을 예측할 수 있었다.
-
발암물질의 조기검색법 개발 및 chemoprevention연구의 일환으로 발암물질과 DNA 및 단백질의 공유결합체인 발암물질-DNA 및 -단백질 adduct를 연구하였다. 발암물질(예, 밴조피렌)-단백질 adduct에 관한 연구에서는 시료(단백질)에 soluble protease를 이용하는 간편하고 손쉬운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분석법을 확립했다. 발암물질(예,벤조피렌,아플라톡신 B1) -DNA 및 -단백질 adduct를 이용한 발암성 조기검색법의 개발을 Ames test 및 염색체이상시험과 비교 연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새로이 개발한 DNA 및 Protein-adduct형성 시험법은 저농도에서 고농도에 이르기까지 뚜렷한 용량-반응 관계를 나타냈으며 Ames test 및 Chromosomal test에서 일어날 수 있는 false positive나 false negative의 결과를 나타낼 우려가 없었다. 벤조피렌-DNA adduct를 이용한 chemoprevention 연구에서는 항산화제로 알려진 비타민 E,C 및
$\beta$ -carotene을 시험한 결과 용량의존적으로 벤조피렌-DNA adduct 형성을 억제하였다. -
후시상하부의 choline성 수용체는 혈압상승 조절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후시상하부는 심혈관계의 중추조절 분만 아니라 호흡, 체온 및 운동등의 중추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므로, 후시상하부의 일차적인 심혈관 조절작용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호흡, 체온, 운동상태등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유지한 조건에서 실험을 시행하여야 된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마취하고 호흡 및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한 흰쥐에서 후시상하부의 choline성 수용체에 의한 혈압조절 작용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후시상하부의 choline성 기정에 의한 심혈관 조절작용과 교감신경 활성의 척도인 혈장 catecholamine 농도의 상관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
병원별 총 추적기간은 602-4,137 인년 이었으며, 병원별 대상자 1인당 추적일수의 중앙값은 34.5-61일 이었다. 병원별 추적 완료율도 35.3-92.3%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대상자중 칼슘차단제의 혈관확장효과에 따른 부작용들의 8주간 누적 발생율을 보면, 안면홍조 23.3%, 두통 13.5%, 심계항진 13.3%, 어지러움 7.6%, 하지부종 6.6% 였다. 그 외 부작용으로는 변비 13예, 소화장애 8예, 오심 6예, 치은비대, 안면부종, 피로감이 각각 2예, 탈모증, 불면증, 허약감, 피부질환, 호흡곤란, 손발저림, 발한, 구강건조 등이 각각 1예 있었다. 안면홍조의 발생율이 남자(12.9%)보다 여자(29.9%)에서 높았으며, 투여한 약제에 따라서 Nitrendipine 34.0%, Nifedipine 26,6%, Nicardipine 17.8%, Amlodipine 12.2%로써 약제별로 차이가 있었다. 두통의 발생율은 40세 미만 32.8%, 40-54세 15,8%, 55세 이상 10.5%로써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율이 낮았다. 하지부종의 발생율도 남자(3.4%)보다 여자(8.6%)에서 높았으며, 투여한 약제에 따라서 Nitrendipine 15.2%, Nifedipine 10.0%, Amlodipine 2, 1%, Nicardipine 0%로써 약제별로 차이가 있었다. 안면홍조가 발생한 환자에서 약물을 계속 투여시 2주후에 63.5%, 4주후에 77.0% 6주후에 88.5%가 소실하여 최초 안면홍조가 발생한 환자중 11.5%에서만 증상이 남아있었다. 약물투여를 중단하게 된 사유는 안면홍조와 두통이 각각 15예, 심계항진 4예, 어지러움 2예, 변비 및 안면부종이 각각 1예로 나타났다.
-
DDS에 활용될 수 있는 고분자 소재를 개발할 목적으로 물성 및 응용성이 우수한 고분자 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Ethylene oxide,propylene oxide 각각의 copolymer인 poloxamer등의 prepolymer들을 triisocyanate로 가교시키고 diisocyanate 로 chain이 연장된 "soft hydrogel"을 제조하였다. 모델 약물을 선정하여 crosslinker와 extender의 조절에 따른 hydrogel의 약물 방출 조절능을 조사하였으며 그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교부위에 urethane bond를 함유한 soft hydtogel은 건조상태에서도 고무와 같은 전연성을 보여 일반적인 hydrogel과 대비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활용성이 기대되었다. Extender및 crosslinker의 비율에 따라서 이 rubber elasticity가 조절되었다. 가교도가 감소할수록 팽윤도가 상승하였고 이에 따른 약물방출도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Prepolymer의 분자량 및 친수/소수성등의 물성에 따라 약물방출을 조절할 수 있었다. 제조된 hydrogel에 조절방출시 필요한 기능을 부가시키고자 poly(carylic acid)류와 IPN 공중합체를 합성하여 물성을 조사하였고 비이온성/양이온성/음이온성 모델약물을 선정하여 pH에 따른 가변적 팽윤도와 이온성 상호작용등에 근거한 약물 조절방출기전을 조사하였다.기전을 조사하였다.
-
Lee, Hyung-Hwan;Cho, Dong-In;Ji, Yong-Hoon;Lee, Chul-Kyu;Kang, Heon;Choi, Hee-Baek;Lee, Hye-Yeol;Kim, Eun-Tae;Kanter, P.M.;Creaven, P.J.;West, C.R. 199
Thioglycerol과 glycerol로부터 rac-1-S-octa-decyl-2-O-palmitoyl-1-S-thioglycerol-3-phosphate (DL -PTBA-P)와 rac-1-O-octadecyl-2-O-palmitoyl-g1ycerol-3-phosphate (DL-PBA-P)등을 합성하였고, 이들에 ara-C 유도체인 ara-CMP morpholidate를 반응시켜 최종 산물인 ara-CDP-DL-PCA, ara-CDP-DL-PBA, ara-CDP-DL-PTCA 및 ara-CDP-DL-PTBA등을 합성하였다. 이들 최종산믈의 항암효과는 L1210 lymphoid leukemia, colon 26 carcioma, M5076 sarcoma, C-1300 neuroblastoma, 3-Lewis lung carcinoma, WEHI-3B leukemia, human colon cancer, hum an pancreatic cancer 등의 암세포주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L1210를 DB/2J의 뇌막 또는 복강, DBA/1J의 복강내에 이식하여 ara-C, Ehss thioether lipid의 ara-C 유도체 (ara-CDP-L-DP, ara-CDP-DL-PCA, ara-CDP-DL-PBA, ara -CDP-DL-PTCA, ara-CDP-D-PTBA, ara-CDP-L-PTBA, ara-CDP-DL-PTBA)를 단일 투여 또는 중복 투여하였고, 3-Lewis는 C57BL/6 의 발바닥 피하, colon26은 BALB/C의 견갑상부 히아조직, M5076은 C57BL/6의 피하, WEHI-3B는 BALB/C의 복강, C-1300는 A/strong Ros에 각각 이식한 후 ara-C 또는 ara-CDP-DL-PTBA를 단일 또는 중복 투여하였다. -
Lee, Hyung-Hwan;Cho, Dong-In;Ji, Yong-Hoon;Lee, Chul-Kyu;Kang, Heon;Choi, Hee-Baek;Lee, Hye-Yeol;Kim, Eun-Tae;Kanter, P.M.;Creaven, P.J.;West, C.R. 200
Thioglycerol과 g1ycerol로부터 rac-1-S-octa-decyl-2-O-palmitoyl-1-S-thioglycerol-3-phosphate (DL -PTBA-P)와 rac -1-O-octadecyl -2-O-palmitoyl-g1ycerol-3-phosphate (DL-PBA-P)등을 합성하였고, 이들에 ara-C유도체인 ara-CMP morpholidate를 반응시켜 최종 산물인 ara-CDP-DL-PCA, ara-CDP-DL-PBA, ara-CDP-DL-PTCA 및 ara-CDP-DL-PTBA등을 합성하였다. 이들 최종 산물의 항암효과는 L1210 lymphoid leukemia, P388 leukemia등의 암세포주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암세포인 L1210, P388 leukemia 세포의 성장에 대한ara-CDP-DL-PTBA의 시험관 내 세포성장 억제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색법인 MTT방법을 시행하였으며, 검체의 세포성장 억제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대조군으로 5-Fluorouracil (5-FU)을 사용하였다. -
항암 및 면역조절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그자체가 서방성 prodrug으로서 약효를 나타낼것으로 기대되는 ara-C와 etherphospholipid의 conjugate인 ara-CDP-DL-PCA.2Na의 실험동물(rat)에서의 체내동태를 HPLC 정량법으로 시행 하였다. Ara-CDP-DL-PCA.2Na의 정맥내 투여(20mg/300g)의 경우 혈장중 반감기는 분포상에 있어서는 평균 20min, 소실상 에서는 4.42hr이었다. 분포 용적은 0.1635Lㆍkg
$^{-1}$ 이었고, 전신 clearance 는 25.63ml.$hr^{-1}$ .kg$^{-1}$ 이었다. 한편 AUC는 2601$\mu\textrm{g}$ .hr.ml$^{-1}$ 이었다. 복강내 주사(1g/kg)의 경우 소실상의 반감기는 3.28hr, AUC는 439.3$\mu\textrm{g}$ .hr.ml$^{-1}$ 이었다. 최고 혈중농도 도달시간은 4.4hr이었으며 그때의 농도는 33.19$\mu\textrm{g}$ .ml$^{-1}$ 이었다. 한편 흡수속도 정수는 0.2493$hr^{-1}$ 이었다. 정맥내 투여에 대한 복강내 투여의 생체 이용율은 1.1252%로 복강내 투여시 흡수율이 좋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투여 시료인 micellar solution이 일종의 약물저장 형태로 작용하여 활성물질을 서서히 방출 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예비적 대사연구결과 TLC에서 뇨나 담즙으로 배설되는 유의한 농도수준의 ara-CDP-DL-PCA.2Na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생체내에서 enzyme등에 의한 대사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사료되는바 방사성 동위원소 표지화합물을 이용한 충분한 대사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G009의 hepatic cirrhosis animal model중 bile duct ligation/scission (BDL/S) rat에서의 항섬유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BDL/S 수술 후 4주간 투약군에는 G009 saline soln.(5mg/rat/day)을, 대조군에는 saline을 경구투여하였다. fibrosis가 최고에 달하는 4주후 rat를 도살하여, 혈청중 N-terminal procollagen type III peptide(PIIINP) level, 간 조직중 hydroxy proline content, serum biochemical value(ALT, AST, choleterol, total bilirubin, creatinine) 측정 및 간조직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 혈청중 PIIINP의 경우, 투약군 BDL/S group(10.3ng/ml
$\pm$ 2.2)이 대조군 (20.5ng/m1$\pm$ 3.9)에 비해 약 50%정도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0,01). 2) 간 조직중 hydroxy proline치 측정 결과, 투약군 BDL/S group(471$\pm$ 160$\mu\textrm{g}$ /g liver)이 대조군(566$\pm$ 42.9$\mu\textrm{g}$ /g liver)에 비하여 약 13%정도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p<0.05). 3) 간조직검사 결과 투약군의 BDL/S op. group이 대조군보다 necrosis, inflammetion, bile duct proliferation, connective tissue 침착 등이 약화되었다. 위 실험을 종합한 결과 G009는 biliary cirrhosis model에서 antifibrotic effect가 있음이 사료된다. -
3) 결과 및 고찰 : 급성독성시험 : 대조군 및 G009투여군(최저 312.5mg/kg, 최고 5000mg/kg) 5용량에서 모두 사망예가 관찰되지 않았다 체중변화에 있어서도 대조군과 투여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육안적 소견은 생존동물 모두에 약물에 기인한 내부장기의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유전독성시험 :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에서 약물 투여에 의한 어떠한 독성의 징후도 관찰되지 않았다. 포유류 배양세포를 이용한 염색체이상 시험에서 모든 농도에서 염색체 이상을 가진 세포의 출현빈도가 3% 이하로서 G009는 CHL세포에 대하여 염색체 이상유발성이 없었다. 살모넬라균을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시험에서 투여군은 음성대조와 같은 정도 또는 그 이하의 복귀변이 집락수를 나타내었다.
-
Park, Man-Ki;Park, Jung-Il;Lee, Mi-Young;Kim, Soo-Woong;Lee, Seung-Ryong;Jung, Hoon;Lee, Jun-Ho;Han, Man-Duk 204
Ganoderma lucidum의 균사체로 부터 얻어진 G009의 이화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G009는 넓은 범위의 분자량 분포를 가지고 있는 다당체로 분자량 9.4kD의 물질이 주성분이었다 G009의 당의 함량은 약 70%이었고 단백질은 약 2.4%인 것으로 나타났다. G009의 주요 구성당은 glucose, xylose, mannose, galactose 등이었고, glycine, leucine, alanine, valine, isoleucine, proline 등 17종의 아미노산이 확인되었다. 유기원소 분석 결과 G009는 탄소 약 40%, 수소 5.7%, 질소 1.8%의 구성비를 보였으며, 무기원소 분석결과 Ca, Mg, Zn 등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G009는 9.4 kD의 분자량을 갖는 단백다당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당화합물로 추정된다. -
동물, 곤충, 해조류 등으로 부터 얻어진 독소는 해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의학적으로 유용한 화합물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독사, 또는 곤충의 독 30여종을 대상으로 위암 세포인 SNU-1에 대해서 MTT assay에 의한 세포 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중 세포 독성 활성이 가장 놓은 코브라 계통인 Ophiphagus hannah의 독으로 부터 세포 독성 물질의 정제를 시도하였다. HPLC-GPC와 HPLC-lEX 또는 RP-HPLC를 이용하여 정제하였고 각 분획들을 암세포주에 대해서 시험하였다. TSK-2000SW로 부터 2개의 분획을 얻어 분획 I에서
$IC_{50}$ / 의 값이 0.5 - 3$\mu\textrm{g}$ /ml의 범위 내에서 확인되었다. 분자량이 작은 분획 II에서는 세포독성이 작게 나타났지만 농축하여 성분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획 I을 RP-HPLC를 이용하여 TFA와 acetonitrile의 linear gradient에 의해 더욱 분리를 하였고, phopholipase$A_2$ 활성의 가능성도 측정하였다. 분획 II는 Mono S 칼람을 이용하여 ammonium acetate농도에 따른 pH gradient에 의한 분리를 시도하여 순도를 SDS-PAGE에 의해서 확인하였다. 각각의 크로마토그리피로 부터 얻은 분획에 대해서 세포 독성을 실시중에 있으며 성질도 동정중에 있다. -
1차년도에 F9 EC cell의 분화유도 시스템을 확립한뒤 계속적으로 해양생물로 부터 분리한 여러가지 물질을 처리하여 세포의 형태 변화 및 분화 관련 유전자 즉 laminin Bl, type IV collagen, RAR-
$\beta$ 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수의 물질이 F9 세포를 분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과있는 물질들에 대한 구조분석이 계속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분화효과가 있는 물질중에서 그 구조적으로 특이한 성질을 가진 물질에 대하여 이 물질이 암세호의 분화에 미치는 기작에 대해 조사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F9 EC cell에 스크리링할 물질의 처리 후 형태 변화 관찰 2. 분화 maker 유전자의 발현 조사 3, 작용 기작에 대한 조사 -
I) 지금까지 만성골수성백혈병의 치료법으로서 골수이식이나 인터페론의 투여등이 시행되어왔으며 백혈병세포에서 Interleukin-1
$\beta$ (이하 IL-1$\beta$ )이 자율적으로 생성됨이 보고 되어 이러한 질병의 진행에 IL-1$\beta$ 의 활성증가가 관련될것이라는 견해가 대두되어 왔다. 최근 단핵구성백혈병 환자의 소변에서 분리된 IL-1수용체 길항제(1L-1 receptor antagonist: IL-lRA)가 clonig되었고 인터페론치료에 저항하는 환자들의 치료에 IL-1RA 가 이용될수 있을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전공학연구소가 분리 정제한 IL-1RA가 만성골수백혈병 환자로부터 유래한 K562세포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알파인터페론과의 병용투여시의 상호작용에 관해 검토하였다. -
코브라과 (Elapidae)에 속하는 뱀에는 극소량으로도 치사시킬수 있는 독을 가지고 있는데 독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중 특정한 계열의 단백질이 매우 두드러진 약리학적 활성을 보여줄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사들의 혈액독소 및 신경독소를 우리나라에서 제일 종류가 많은 위암세포주(SNU-1)에 대해서 세포독성을 검색하고 곤충 및 해양생물의 독소에 대해서도 위암세포주를 이용하여 검색하였다. 검색 결과 king cobra계통인 Ophiophagus hannah의 분획은 SDS-PAGE에서 분자량이 66,000 부근에 나타난 것이 세포독성물질로 추측되며 더욱 정제하여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하고 Phospholipase화성을 측정함으로써 세포독성물질의 규명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천연자원으로부터 얻어진 항암 또는 세포독성물질로는 주로 alkaloid, lignan, terpenoid, macrolide 등에 속하는 물질들이고 그 중 sesquiterpene lactone계열 화합물에서 세포독성 및 항종양 활성이 있는 물질이 다수 얻어졌으며 그 대부분은 국화과의 식물에서 분리 보고되고 있다. Achillea 속 식물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남한에는 톱풀과 산톱풀 2종만이 자생한다. screening 결과 이 두 식물에는 segquiterpene lactone 화합물과 Peroxide등 다수의 활성성분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본 연구에 착수하였다. 두 식물의 각 분획에 대하여 SNU-1(위암세포주)과 SNU-354(간암세포주)를 이용해 검색한 결과 두 식물 모두 MC ext.와 MeOH ext.에서 현저한 세포독성을 보였으며 현재 MC ext. 로부터 세포독성물질의 분리를 수행하고 있다. EtOAc ext.는 세포독성은 거의 나타내지 않았으나 flavonoid 성분이 다수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면역활성 및 enzyme inhibition등의 활성을 검토하고자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그 결과 톱풀로 부터는 luteolin-7-0-glucoside와 apigenin-7-0-glucoside를 그리고 산톱풀로부터는 luteolin-7-0-glucoside, apigenin-7-0-glucoside, luteolin, apigenin을 분리 확인 동정하였다.
-
천연자원으로부터 얻어진 항암 또는 세포독성물질로는 주로 alkaloid, lignan, terpenoid, macrolide 등에 속하는 물질들이고 그 중 sesquiterpene lactone계열 화합물에서 세포독성 및 항종양 활성이 있는 물질이 다수 얻어졌으며 그 대부분은 국화과의 식물에서 분리 보고되고 있다. Achillea 속 식물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남한에는 톱풀과 산톱풀 2종만이 자생한다. screening 결과 이 두 식물에는 segquiterpene lactone 화합물과 Peroxide등 다수의 활성성분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본 연구에 착수하였다. 두 식물의 각 분획에 대하여 SNU-1(위암세포주)과 SNU-354(간암세포주)를 이용해 검색한 결과 두 식물 모두 MC ext.와 MeOH ext.에서 현저한 세포독성을 보였으며 현재 MC ext. 로부터 세포독성물질의 분리를 수행하고 있다. EtOAc ext.는 세포독성은 거의 나타내지 않았으나 flavonoid 성분이 다수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면역활성 및 enzyme inhibition등의 활성을 검토하고자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그 결과 톱풀로 부터는 luteolin-7-0-glucoside와 apigenin-7-0-glucoside를 그리고 산톱풀로부터는 luteolin-7-0-glucoside, apigenin-7-0-glucoside, luteolin, apigenin을 분리 확인 동정하였다.
-
항종양성 화합물의 개발을 지향한 해양생물 유래의 생물활성 물질의 화학적 연구의 일환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생물활성 (즉, 항균작용, 혈중콜레스테롤 저하작용)등을 나타내며, 구입수가 용이한 홍조 꼬시래기 (Gracilaria verrucosa) 및 갈조 지충이 (Sargassum thunbergii)의 아세톤 및 메탄올 엑스를 EtOAc 및 n-BuOH로 분획한후 각 분획을 SiO
$_2$ column, TSK gel(Toyo pearl HW-40F),$\mu$ -Bondapak column 및 HPLC등으로 분리 정제하여, 새로운 glyceroglycolipid(GV-5, -6, ST-6) 및 glycerylglycoside(GV-12)를 얻었다. 이렇게 분리된 화합물의 물리화학적 성질, 화학반응 및 분광학적 data를 종합 검토한 결과 GV-5, -6, -12, 및 ST-6은 각각 1,2-diacyl-3-0-($\alpha$ -D-galactopyranosyl) glycerol (acyl : palmitate-oleate-arachidonate 4: 1 : 9) (1), 1,2-diacyl -3-0-〔$\alpha$ -D-galactopyranosyl -(1 "$\longrightarrow$ 6')-0-$\beta$ -D-galactopyranosyl〕 glycerol (acyl : palmitate-oleate-arachidonate(5:1:4)(3), 2-0-($\alpha$ -D-galactopyranosyl) glycerol (5), 및 sodium salt of 1-acyl-3-0-(6'-sulfo-$\alpha$ -D-quinovopyranosyl) glycerol(acyl:palmitate-oleate 96:4)(8) 이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리고 GV-5 및 -6은 마우스 백혈병세포 (L1210)에 대한 세포독성 ($IC_{50}$ / of GV-5, and -6:8.0$\mu\textrm{g}$ /ml and 10.8$\mu\textrm{g}$ /ml )외에, 사람의 상피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효과 [growth inhibitor(%) in 20$\mu\textrm{g}$ /m1 :GV-5(39.9%), GV-6(16.7%)를 나타내었으며, 한편, GV-5, GV-6, -12 및 ST-6은 각각 쥐의 F9 기형암종 세포의 분화유도 활성을 나타내어 항종양제로의 개발에 많은 흥미가 기대된다.기대된다. -
본 연구소에서 분리하여 항암활성을 측정한바 있는 Sesquiterpene lactone계열의 KR-53170이 in vitro에 비해 in vivo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효력을 보이는데 착안 그 유도체들을 합성함으로써 in vivo stability 및 efficacy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합성된 물질의 in vivo activity는 human tumor cell중에서 A549(폐암), SK-OV-3(난소암1, SK-MEL-2(피부암), XF-498(중추신경계암), HCT-15(직장암)의 5개 암세포를 이용하여 ED
$_{50}$ ($\mu\textrm{g}$ /ml )를 측정하였으며 대조물질로는 KR-53170과 Cisplatin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HR-53170의 terminal methyl ketone이 carboxylic acid로 변환된 CW-251001과 이것의 methyl ester인 CW-251002, ethyl ester인 CW-251003, 그리고 morpheline과 수용성으로 N-methylpiperazine, N-methyl-N'-aminopiperazine, 4-Piperidinopiperidine을 결합시켜서 합성한 CW-251011, CW-251012, CW-251013, CW-251014가 in vitro에서 어느 정도 활성을 유지하였다. 특히 이들중 CW-251001, CW-251012, CW-251013, CW-2s1014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상당히 개선되어 in vivo 활성검색을 위한 후보물질로 고려되었다. 하지만 이들중 CW-251001은 in vivo에서 낮은 농도에서는 활성이 거의 없었으며 놓은 농도에서는 독성을 나타내었다. -
배풍등, 등혹 및 ginsenoside Rh
$_1$ 의 간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작용, 인삼 Rh$_1$ 의 세포보호작용, 비파의 ursolic acid 생체방어기전 활성화 및 산화억제작용, ononin의 radical 제거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배풍등 CHCl$_3$ 분획 및 등혹 CHCl$_3$ 분획의 간암세포에 대한 강한 세포독성작용을 나타내었으며 배풍등 CHCl$_3$ 은 sarcoma 180 이식 종양조직의 성장을 유의성있게 억제하였다. Ursolic acid는 지질과산화, 단백질 산화억제와 catalase, GSH S-transferase를 활성화시켰다. 인삼 saponin은 SOD 및 nonprotein-SH를 증가시키고, 지질과산화를 억제시켰다. Ginsenoside Rh$_1$ 및 Rh$_2$ 는 각각 radical에 대한 세포보호작용과 간암세포 세포독작용을 나타내었다. -
본 실험실에서 개발한 대표적인 함아연 가수분해 효소인 carboxypeptidase A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mechanism-based inactivator의 설계법을 ACE 억제제 개발에 적용하여 고혈 압강하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새로운 형태의 ACE 억제제들을 합성하였다. 그 대표적인 합성경로는 아래와 같다. (Figure Omitted)
-
PGI
$_2$ 안정한 구조를 갖는 carbaprostacyclin 및 그 structural analog들을 입체 선택적으로 합성하고, 혈관 순환 개선제로 발전시키고자 중요한 합성 중간체이며 광학활성을 갖는 5-ethenyl-3-hydroxy cyclopentane carboxylate를 합성하였다. 반응의 핵심 단계는 butyrolactone moiety를 갖는 allylic carbonate를 Pd(0)촉매하에서 환화시킨 후, 정교한desulfonation에 이온 lactone의 개열 단계를포함한다. -
안트라싸이클린계 항암항생제의 부작용 발생기전으로는 C-고리의 퀴논 부위에 전자가 전달되어 퀴논고리가 환원되는 과정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중 하나의 전자가 전달되어 생성되는 활성산소(activated oxygen)가 심장독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 퀴논고리의 환원력(전자흡수능력)이 C-고리 자체의 변환, 또는 인접 B-고리에 도입된 치환체의 영향으로 억제될 수 있다는 보고를 이론적 근거로 하여 안트라싸이클리논 골격을 전자흡수능력을 가진 acridone 골격으로 치환한 9-ethynyl-6,9-trihydroxy-7,8,9,10-tetrahydro-benzo〔b〕acridone을 합성하였으며 이를 daunosamine과 축합하기 위하여
$C_{7}$ 위치에 OH기를 도입한 화합물로 변환하였다. -
Calcium entry blockers, capable of inhibiting transmembrane influx of extracellular calcium through specific calcium channels, are useful drugs in the treatment of angina pectoris, hypertension, cardiac arrythmia, and various cardiovascular disorders. Compounds having isoquinoline structures have recently been reported to possess calcium antagonistic action.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attempted to synthesize some isoquinoline and related compound.; in order to search for potentially effective chemicals acting on cardiovascular system, and evaluated their pharmacological properties focusing on calcium antagonistic actions. Almost all of the compounds so far synthesized, had inhibitory action against phenylephrine or high potassium-induced contraction in vascular smooth muscle with different degrees of potencies depending on their structures, However, some of tetrahydroisoquinoline analogs showed directly inhibit calcium current in isolated rabbit cardiac myocytes examined by patch clamp techniques. The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these compounds need more intensive investigation as to whether these chemicals may have developed as a new cardiovascular active drugs. Therefore, we are now under investigation of the mechanism of action of these compounds.
-
화합물 9-methoxy-6-oxo-3,4,4a,5-tetrahydro-3-hydroxy-2,2-dimethyl-naphtho[1,2〕pyran(1)의 전구물질인 7-methoxy-4-oxo-2-prenyl-1-tetralol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7-Methoxy-
$\alpha$ -tetralone에 LDA를 처리한 후, prenyl bromide를 반응시켜 7-methoxy-2-prenyl-1-tetralone을 제조했다 (수율 66%). 7-Methyl-2-prenyl-1-tetralone을 L-seleclride로 환원하여 cis-2-prenyl-1-tetralol을98% 수율로 얻었다. cis-2-Prcnyl-1-tetralol을pyridine 존재하에서 acetic anhydride로서acetylation한 다음 PDC로 산화시켜 4-acetoxy-3-prenyl-1-tetralone을 합성하였다 (수율 45%). cis-4-Acetoxy-3-prenyl-1-tetralone을 가수분해하여 cir-7-methoxy-4-oxo-2-prenyl-1-tenalol을 합성하였다. 6,7-Dimethoxy-4-oxo-2-prenyl-1-letralol도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
고혈압 치료제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는 Angiotensin Converting Enzymc (ACE) 억제제를 본 실험실에서 개발한
$\alpha$ -hydroxy ketomethylene isostere를 핵심요소로 하여 합성하였다. 합성한 억제제 후보물질의 억제효과는 Rabbit Ling으로 부터 단리된 ACE를 사용하여 분광학적인 방법에 의해 결정되었다. 화합물 1은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출발물질로 L-tyrosine을 사용하여 요오드화, 에스테르화, N-BOC 및 0-Bn보호기화 및 N 탈보호기화를 행하여 5단계에 걸쳐 41%의 수율로 methyl 0-Bn-3-iodotyrosinate를 합성하였다. 또한 Ullmann coupling의 반응성 향상을 위해 5위치에 nilro기가 도입된 methyl 0-Bn-3-iodo-5-nitrotyrosinate를 좋은 수율로 합성하였다. 이들에 N-BOC-tyrosine을 결합시켜 대응하는 dipeptide를44% 및 39%의 수율로 각각 얻었다. 일단 dipeptide에 대해 Ullmann coupling을 행하였으나 원하는 cyclic product는 얻을수 없었다. 전년도에 이어 methyl N-BOC-0-Bn-3-hydroxytyrosinate를 합성하였다. 이로 부터 4-iodobenzaldehyde에 Ullmann coupling을 행하여 원하는 페놀성 biaryl ether를 합성하고자 하였다. 또한
$\beta$ -hydroxyhomoserine의 합성을 위해 출발물질로 cis-1,4-buterdiol을 사용하여 12단계의 합성반응을 행하여 좋은수율로 원하는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
The cross-coupling reaction of organo tin reagents with a variety of organic halides, catalyzed by palladium, provides a novel method for generating a carbon-carbon bond. We use this method for antibacterial agents, and synthesis of new quinolone derivatives which have carbon-carbon bond at C-7 position of general quinolone moieties. Aryl tin, quinolone moieties, and palladium catalyst were refluxed in DMF to afford new quinolone derivatives. This palladium catalyzed coupling reactions have capacity for further synthetic elaboration.
-
목적하는 화합물인 2',5'-dihydroxy-3'-무치환 유도체(1)는 uridine을 sodium metaperiodate로 산화하여 dialdehyde를 얻은다음 1,2-dianilinoethane으로 3'-aldehyde만을 선택적으로 보호, 2'-aldehyde를 NaBH
$_4$ 로 환원, alcohol로 하여 deprotection 하므로서 hemiacetal율 얻는다. 이 hemiacetal을 TsSNHHNH$_2$ 로 처리하여 목적하는(1) 화합물을 얻었으며 2-azido-5-Hydroxy-3'-무치환 유도체(2)는 (1)화합물 합성시 얻은 hemiactal을 출발 물질로 하여 먼저 TBDPSCl로 silyaltion하여 5'-hydroxyl group을 보호하고 TsNHNH$_2$ 로 3'-위치를 hydrazone으로 한다음 NaB(CNH$_3$ 로 처리하여 얻은 hydrazide를 NaOAc를 반응시켜 2'-hydroxy-3'-무치환-5'-silyl 유도체를 얻고 또한 2',3'-dihydroxy group을 tosyl화, azido화, 5'-silyl group을 deprotection 하므로서 (2)를 얻었다. 또한 2',3'-dihydroxy-5'-무치환 유도체(4)는 uridine의 2',3'-위치를 먼저 protection, 5'-위치를 benzoyl화 2',3'-deprotection, periodate oxidation하여 얻은 diol을 silyl화 한 다음 5'-위치를 benzoyl화, 2',3'-deprotection, 산화하여 얻은 hemiacetal의 silyl group을 제거한후 primary hydroxyl group만을 선택적으로 silyl화, TsNHNH$_2$ , NaB(CN)H$_3$ 및 NaOAc로 처리하므로서 얻은 2'-hydroxy-3'-0-silyl group-5'-무치환 화합물을 tosyl, azido화 한다음 desilylation하여 얻었다. 목적하는(1) 화합물의 diasteromer 인 2',3'-dihydroxy-5'-무치환 유도체(3)는 (4)화합물 합성시 얻은 hemiactal을 key intermediate로 하여 TsNHNH$_2$ , NaB(CN)H$_3$ 및 NaOAc로 처리하므로서 얻을수 있었다. 이들 화합물들의 각종 DNA 및 RNA virus에 대한 항 바이러스작용을 검토한 결과 현저한 항 바이러스 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 -
FDA가 공인한 항 HIV제로서 사용중인 AZT나 DDI와 같은 화합물은 장기 투여로 심각한 부작용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기존의 activity를 가진 nucleoside류의 sugar 부분에 새로운 base 즉, 5-ethoxymethyl uracil을 축합, 3'-azido-2',3'-dideoxy-5-ethoxy-methyl uridine, 2',3'-aideoxy-3'-fluoro-5-ethoxymethyl uridine과 2',3'-dideoxy-5-ethoxymethyl uridine들을 합성, 구조활성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이들의 합성은 먼저 적절한 group으로 sugar의 -OH group을 보호한후 uracil류와 반응, uridine 유도체를 먼저 합성하였다. 각각의 uridine 유도체들의 5-위치에 ethoxymethyl group을 도입하기 위해 formalin과 반응시킨후 5-hydroxy-methyl group을 도입하고 산촉매 하에 ethanol과 반응, ethyl ether류를 합성하였다.
-
N-arylsulfonylimidazolenes를 항암효과가 우수한 화합물로 설정하여 이들 유도체를 합성하고 이들의 세포독성을 측정한바 있다. 그 이유는 2번 위치의 alkoxy기에 의하여 alkylating agent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개념과 생체 반응 후 생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N-arylsulfonylimidazolidinone이 sulofenur와 유사한 작용을 갖을 것으로 기대 되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N-arylsulfonylimidazolidinone 유도체의 항암효과의 측정이 관심의 대상이 됨에 따라 이들 유도체를 합성하고 이들의 세포독성을 관찰함으로써N-arylsulfonylimidazolidinone 유도체들의 구조 활성 상관관계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합성은 출발물질을 N-arylsulfonyl-2-alkoxyimidazoline에서 시작 몇단계를 거쳐 목적하는 화합물을 합성 하였다.
-
푸라본합성의 기초물질인 2-benzoyloxyacetophenone류를 dicyclohexyl-carbodi-imide/4-dimethylaminopydridine을 사용하여 72-90%의 수율로 합성하였다. 이들 에스터를 상전이촉 매존재하에 반응시켜 dibenzoylmethane을 합성하였다. 이때 얻은 수율은 72-80%로 종전의 방법에 비하여 월등이 개선되었으며 반응이 30분이내에 완결되었다. Dibenzoylmethane을 종전의 방법대로 폐환시켜 총 44종의 푸라본을 합성하였다.
-
천연의 Triterpene이나 Steroid의 01igo당 배당체는 항균작용, 소염작용, 항암작용등의 유용한 생리활성을 가지는것이 많다. 따라서 이들 화합물군으로 부터 신의약품이 개발될 가능성이 매우크다 하겠다. 그러나 천연물은 그 작용이 약하거나 순수하게 다량 분리하기가 쉽지않다. 생리활성이 강하고, 부작용이 적은 배당체를 이용가능한 양만큼 다량을 순수하게 얻기 위하여는 합성의 기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천연의 총배당체 (배당체혼합물)로부터 aglycone을 얻고 여기에 g1ycosidation 반응으로 당을 결합시킴으로써 천연 또는 비 천연성 배당체를 합성하고 생리활성을 검토, 신물질을 창출하고자 한다. Aglycone으로는 Ginsenosides의 aglycone인 20(s)-protopanaxadiol 및 20(S)-protopanaxatriol, Soyasapogenol B, Oleanlic acid를 사용하고, 목표로하는 생리활성은 항암작용, 항군작용, alcohol 흡수 저해작용을 지향한다.
-
퀴놀론계 항균제란 퀴놀린 이나 나프티리딘 핵을 갖고 있는 화합물로써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퀴놀론계 항균제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항균활성의 영향은 ASAR에 의하여 이미 구조적 제한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Drug-Enzyme inleraetion domain을 변화시킴으로서 보다 강력한 항균제를 찾아낼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기존 항균제가 C-7에 piperazine이 있으므로 piperazine의 chemical isoster 또는 bioisoster의 개념하에서 C-7에 도입한 아민류를 분자설계하고 합성하여 새로운 퀴놀론계 항균제를 만들어 내고자 하였으며 target molecule은 다음 그림과 같다.
-
Nucleoside계통의 유도체를 합성하여 체내 DNA 또는 RNA 합성대사에 영향을 줌으로써 궁극적으로 항암성 또는 항 virus성 작용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의 nucleoside 구조중에서 특히 당부분에 변형을 준 일련의 acyclonucleoside 유도체들을 합성하였다. 이는 그간 많이 연구되어온acyclonucleoside 계열인 acyclovir계와는 달리 ribose 당부분을
$C_1$ 에서$C_{5}$ 까지 거리가 유사한 acycloalkyl 결합형태로 결합하고 3'위치에 변형을 가져온 pyrimidine계 유도체를 합성하고자 일련의 반응을 시도하였다. 목적하는 화합물 계열을 얻지 못하고, 몇종류의 관련 유도체들을 분리하여 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고, 이들중 일부에 대해 in vitro L1210 cell 증식억제효과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선택성이 높고 뛰어난 약효를 지닌 항 바이러스제의 개발은 신약개발의 중요한 영역중에 하나이다. 현재 AIDS 치료제로 사용되고 AZT를 비롯하여 항virus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의 대부분은 구조적으로 nucleoside계에 속하는 화합물로서 수 많은 약리학적 연구 및 합성 화학적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합성 화학적 측면에서 이들 화합물의 합성은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지는데 그것은 sugar 부위의 변형을 통한 방법과 염기 부위의 변형을 통한 방법에 의해 새로운 항 바이러스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최근의 연구 동향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변화의 하나는 sugar 부위의 구조적 변형을 시도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5원환 형태에서 환이 개열된 형태의 acyclic nucleoside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좋은 효과를 거두고 인다는 사실이다. Acyclovir, Ganciclovir등 의 개발이 그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종래의 acyclic nucleoside가 ribose sugar의 2'번 및 3'번 탄소를 제거한 acyclic ether 형태로 되어있는 것과는 다르게 ether 부위의 산소를 탄소 치환한 carbo-acyclic nucleoside를 합성하고자 하였다. Acyclic nucleoside를 합성하고자 하였다. Acyclic nucleoside의 side chain의 conformation이 항 바이러스 작용을 나타내는데 필수 불가결한 점을 감안할때, carbo-acyclic nucleoside계 화합물은 보다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side chain의 2'번 및 3'번 탄소는 side chain의 conformation을 좌우하는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탄소를 중심으로한 분자수식을 시도하기로 하고 bioisosterism을 이용하여 3'위치의 수소를 fluoride로 치환한 화합물을 설계하여 합성을 시도하였다.silyl group-5'-무치환 화합물을 tosyl, azido화 한다음 desilylation하여 얻었다. 목적하는(1) 화합물의 diasteromer 인 2',3'-dihydroxy-5'-무치환 유도체(3)는 (4)화합물 합성시 얻은 hemiactal을 key intermediate로 하여 TsNHNH
$_2$ , NaB(CN)H$_3$ 및 NaOAc로 처리하므로서 얻을수 있었다. 이들 화합물들의 각종 DNA 및 RNA virus에 대한 항 바이러스작용을 검토한 결과 현저한 항 바이러스 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분화유도 활성을 나타내어 항종양제로의 개발에 많은 흥미가 기대된다.기대된다.oxylic acid (compound 10)를 합성하였다.10^{-7}$ M)에 의한 단백인산화에 대하여는 더 미약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PDE-1과 항우울약들의 항혈소판작용은 PKC-기질인 41-43 kD와 20 kD의 인산화를 억제함에 기인되는 것으로 사료된다.다. 것으로 사료된다.다.바와 같이 MCl에서 작은 Dv 값을 갖는데, 이것은 CdCl$_{4}$ $^{2-}$ 착이온을 형성하거나 ZnCl$_{4}$ $^{2-}$ , ZnCl$_{3}$ $^{-}$ 같은 이온과 MgCl$^{+}$ , MgCl$_{2}$ 같은 이온종을 형성하기 때문인것 같다. 한편 어떠한 용리액에서던지 NH$_{4}$ $^{+}$ 의 경우 Dv값이 제일 작았다. 바. 본 연구의 목적중의 하나인 인체유해 중금속이온인 Hg(II), Cd(II)등이 NaCl같은 염화물이 함유된 시료용액에 공해이온으로 존재할 경우 흡착에 의한 제거가 가능하다. 한편 이같은 중금속이온의 흡착실험은 특히 해수중의 금속이온의 회수연구에도 -
Human leukocyte elastase(HLE)는 폐와 피부, 혈관등의 Connective tissue의 주요 구성물인 elastin을 분해하는 효소로써, 백혈구의 식균작용에도 관여한다. 그러나 이효소가 과다하게 분비되면 pulmonary emphysema와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heumatoid arthritis를 유발한다고 알려지고 있다. 지금까지 HLE억제제로 시판되는 의약품은 없으나, 최근에 Cephalosporin유도체가 이 효소의 억제제로 우수한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은 후, HLE억제제로써 이들의 유도체가 개발되고 있다. 연구자들은 다음일반식에서 2번과 3번위치에 치환기를 도입시킨 수종의 Cephalosporin Sulfone의 유도체들을 합성하고. 이들의 HLE억제 효과를 Spectrophotometerqkdtlr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합성화합물증 몇가지는 우수한 HLE억제효과를 보여주었고, 2번위치에 diphenylcyclopropyl ring과 같은 부피가 큰 치환체를 도입하면 효소억제력이 증가되었다.
-
이 연구는 인삼 성분 약물이 도파민 수용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첫 단계로써 그 기본적인 assay system을 정착 시키기 위함이 목적이었다. 우리는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생후 2-4 일의 쥐를 사용하여 흑질, 선조체, 해마구, nucleus accumbens등의 뇌 부위에서 신경세포 배양을 시도하였다. 흑질로 부터 배양한 신경세포들의 경우엔 면역 세포학적방법을 써서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신경이 도파민성 신경이나 GABA성 신경들 이었다. 또한 이들 세포들의 전기 생리학적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흑질에서 신호 전달체계가 잘 확립된 GABA 수용체의 작용을 살펴 본 결과 이 신경세포들은 GABA-A 및 GABA-B 수용체의 발현은 물론 이온 채널에 미치는 신호 전달체계를 완전히 갖추고 있었다. 도파민 수용체의 작용을 전기 생리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배양한 신경세포에 도파민agonist를 가해서 이온 채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 보았다. 선조체에서 배양한 신경세포들은 Dl 과 D2 agonist에 대해서 상반되는 반응을 나타냈다. 즉 Dl agonist는 선조체 신경세포를 활성화 시켰으나 D2 agonist는 선조체 신경세포들을 억제 하였다. 한편 해마구의 CAI 과 CA3 부위로 부터 배양한 신경세포에 대한 도파민 agonists의 작용은 선조체의 신경세포에 대한도파민 agonists의 작용과는 상반되는 반응 이었다. Dl agonist는 해마구로 부터 배양한 신경세포의 활성을 억제 하였으나 D2 agonist는 이들 신경세포들의 활성을 증가 시켰다. Nucleus accumbens 에서 배양한 신경세포들은 도파민에 의해서 그 활성이 억제 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봐서 같은 도파민 수용체라도 분포되어 있는 조직에 따라서 신호전달 에 관여 하고 있는 C-단백이나 이차 전령물질이 달라서 신경세포에 대한 작용이 다르든지. 약리학적으로는 구분되지 않으나 뇌의 조직에 따라서 분포가 다른 도파민 수용체의 아그룹이 존재 한다고 생각된다.
-
인삼이 면역계 질환의 일종인 과민성 반응에 대한 치료약으로서의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서 in viva와 in vitra실험을 수행하였다. in vitra실험으로서는 hyaluronidase의 활성을 지표로 삼았으며, in viva실험에서는 mouse이각, rat등피부, 복강 비만세포, 그리고 guinea pig의 ileum에서 면역반응에 대한 아답타겐의 작용을 관찰하였다. in uitra 실험에서는 hyaluronidase와 histamine 분비를 항알레르기 작용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hyaluronidase의 경우 그 활성은 Cacl2로 활성화 시키기 전이나 후에 모두 아답타겐(100, 50, 및 10 mg/ml)에 의해서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한편 rat 복강 비만 세포에서의 histamine유리 시험에서는 아답타겐(0.5, 1, 5mg/ml)이 histamine유리가 증가되었다. Guinea pig의 ileum 평활근에서는 아답타겐이 평활근 자극 작용없이 항히스타민 효과률 나타내었다. in uiua 실험의 첫 단계로 우리는 혈관 투과성에 미치는 아답타겐의 효과를 mouse 이각과 rat 등피부에서 관찰하였다. Mouse이각에서의 실험에서는 hoistamine, serotonin, 그리고 LTC4로 challenge하여 관찰한 결과 histamine과 serotonin의 경우, 혈관투과성 항진은 아답타겐(50-400mg/m1)에 의해서 유의성있게 억제되었으나, rat 등 피부에서는 mouse에서와는 달리 48-hr PCA가 증가 되었고, histamine에 의한 혈관투과성 항진은 아답타겐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반면에 compound 48/80과 serotonin에 의한 혈관투과성 항진은 mouse 의 경우에서처럼 아답타겐에 의해 억제되었다.
-
인삼 성분이 학습 및 기억력 중진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학습 및 기억력 저하를 유발하는 약물들에 대한 아답타겐 (상품명) 과 인삼 수 엑기스산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Ethylcholine aziridium ion(AF64A), scopolamine 및 morphine을 쥐 및 생쥐의 해마와 복강에 각 각 주입하여 학습 및 기억력 저하를 유발한 후 아답타겐을 경구 투여하여 학습 및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를 수로시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인삼 수 엑기스산을 일주일 동안 복강 주사하여 각 효과를 수로시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인삼 수 엑기스산을 일주일동안 복강 주사하여 각종 신경계에 미치는 변화를 효소 활성도, 신경전달물질의 농도, 수용체 결합을 지표로 하여 살펴보았다. AF64A 투여군 중 플랫폼을 전혀 인지치 못한 군에 아답타겐을 투여시에는 투여 횟수에 따라 플랫폼을 인지하는 비율이 증가했다. 연습 후 일주일간 물을 투여한 대조군의 도달 시간에 큰 변화가 없음에 반해, 아답타겐을 투여시에는 3일 투여 후 최대 시간이 걸리고, 투여횟수가 증가할수록 점차 도달 시간이 단축되었다. 인공 뇌척수액 및 AF64A의 투여군에서 아답타겐을 5일간 투여한 경우 대조군보다 각각 3배 빠른 속도로 플랫폼을 기억하였다. 한편 scopola mine 투여시에는 아답타겐을 투여한 군이 투여하지 않은 군보다 약 3배 빨리 플랫폼에 도달하였으나 각 투여군의 매일의 도달 시간 차이에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4일 전에 아답타겐을 투여시에는 saline 및 merphine 투여시 약 1.4배 빨리 플랫폼을 인지하였다. 인삼 추출물을 7일 투여 했을 경우 선조체에서 도파민 합성 효소인 tyrosine hydroxylase 활성이 유의성 있게 증가했으며, 대사체인 DOPAC의 농도도 증가를 나타냈다. 그러나, 도파민, HVA및 대사율인 DOPAC/DA와 HVA/DA에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선조체의 GABA농도는 약 66%로 낮아졌지만 AChE의 활성도는 변화가 없었다. 인삼 수 추출물을 2주일 투여시 선조체의 도파민 수용체의 특성변화는, D1 수용체의 친화력에는 변화가 없는 반면, 최대 결합 수용체 수는 약간 낮아졌고, D2 수용체의 경우 최대 결합 수용체수는 변화가 없었으나 친화력은 감소하였다. 또한 피질의 benzodiazipine수용체 결합 친화력에는 변화가 없는 반면 최대 결합 수용체 수는 약 15%의 증가를 나타내었고 연수의 benzodiazepine 및 피질의 GABA 수용체의 특성에는 에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AF64A, 아급성 scopolamine 및 급성 morphine꽈 투여로 학습능이 저하되고 아답타겐을 경구 투여시엔 저하된 학습능력 빛 기억력의 증가를 보였다. 또한 본 결과는 인삼성분 중에는 도파민 및 GABA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성분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
최근 새롭게 조명된 생약에 관한 여러 연구를 통해, 기존의 항암제 보다는 더 효과적이고 인체에는 부작용이 적은 항암제를 개발해내기 위해 국내 자생 생약중 총 103 종류( 95 손 98종 )을 채집하였다. 이들 생약을 암세포주( L1210, P333 D
$_1$ )와 장상세포주(Vero)을 대상으로 MTT colorimetric assay를 실시하여 항종양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들 세포주에 대한$IC_{50}$ / 값으로 세포독성능을 알아보았다. 그리하여 정상세포주에는 적은 세포 독성능을 나타내면서, 암세포주에는 높은 세포 독성능을 나타내는 생약제 6종( BuOH 추출물 2종, MeOH) 추출물 4종 )을 선정하였다. 이중 항암활성능이 가장 높은 미역줄나무(Tripteryrium regelii)를 선택하여 유기용매별로 추출, 그 각각에 대한 세포 독성능이 가장 높게 나타난 2분획을 선택하여 기존에 시판중인 Adriamycin과의 병용 투여시의 세포 독성능의 상승효과를 확인 하였다. 즉 Adriamycin과의 단독 투여보다 복합 투여시에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 독성능이 높아졌고, 정상세포주에 대한 독성이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in vitro 에서는 세포 독성능이 다소 적더라도 in vivo에서 면역학적 활성이 기대되는 생약제 3종을 선정하여 항암성분의 분리 및 정제를 하여 항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NSAID의 대표적인 유도체인 acetylsalicylic acid(aspirin)은 항혈전 작용이 있다고 밝혀졌고, 주기적인 aspirin의 투여는 심근경색을 예방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위궤양등 부작용의 발현이 심각하여 위의 목적에 입각한 aspirin의 장기적인 사용에 제약이 되고 있다. 이에 더욱 안전한 유도체인 aspalatone을 합성하였고, 이 물질은 낮은 궤양 유발능을 보이는 유망한 유도체로 개발중에 있다. 본 연구는 aspalatone의 in vivo 항염증 활성을 밝히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
Acetylsalicylic acid (ASA)와 고려홍삼의 항산화 성분인 maltol을 축합하여 신물질 aspalatone을 합성하고, 흰쥐에서의 지혈시간 연장 효과, 항혈소판 응집 억제 (in Vitro, ex ViVO) 효과 및 생쥐의 혈전 모델을 이용한 항혈전 (in vivo) 효과를 연구하였다. SD계 웅성 흰쥐에 15 mg/kg의 낮은 용량으로 경구투여 할 경우, aspalatone과 ASA는 각각 최소한 8일 연속투여후 지혈시간을 유의적으로 연장시켰으며 같은 용량으로 10일 간 경구투여. 하였을 때, aspalatone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지혈시간이 57% (p<0.005) 연장된 반면, ASA 투여군은 44% 연장되었다. 반면, aspalatone의 아세칠 기를 갖지 않는 salicylic acid maltnl ester는 같은 용량에서 지혈시간을 유의적으로 연장시키지 않았다. Aspalatone은 in vitro에서 collagen에 의해 유도된 흰쥐 혈소판 응집을 강력하게 억제하였으나 (IS
$_{50}$ = 0.18 mM), ASA와 마찬가지로 ADP에 의한 응집은 억제하지 않았다. Aspalatnne과 다른 대조약물들의 ex vivo에서의 혈소판 응집 억제능은 ASA>dipyridamdle(equation omitted)aspalatone>ticlopidine의 순이었다. 1회 경구투여로 aspalatone은 생쥐의 collagen에 의한 혈전에 기인하는 치사율을 억제하였다 (ED$_{50}$ = 32mg/kg). Aspalatone을 10일 간 투여하면 유효용량이 현저히 감소하여 20 mg/kg에서 치사율을 90% (p<0.001) 억제하였으며, 이러한 항혈전 효과는 투여중단 4일 후에도 지속되었다. 또한, 경구투여시 위궤양을 유발하는 ASA (ulcer index : 29 mm 200 mg/kg p.o.)와는 다르게 aspalatone은 위궤양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0.71 mm, 800 mg/kg p.o.). In vitro에서 malondialdehyde 생성 억제를 지표로 한 aspalatone의 항산화 활성 ($IC_{50}$ / = 0.11 mM)은 maltol ($IC_{50}$ / = 0.084 mM)과 유산하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토대로 하여 aspalatone을 위궤양을 유발하지 않는 항혈전 신약으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혈압강하작용은 oxyindole계 분획에서 제일 강력하였으며, 다음이 hetero-yohimbine계 분획이며, 극성 alkaloid계 분획이 제일 약하였다. 특히, oxyindole계 및 hetero-yohimbine계는 epinephrine의 승압작용을 길항하지 아니하였으므로 이들의 혈압강하작용은 혈관의 수축작용을 길항하는 기전과는 무관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화학적으로는 hetero-yohimbine계 분획에서 hirsuteine, corynantheine 및 hirsutine을 분리하였고 극성 alkaloid 분획에서는 3
$\alpha$ -dihydrocadambine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전자 3종의 alkaloid는 열(10$0^{\circ}C$ )에 안정하고 후자는 불안정함을 확인하였다. -
녹용의 알려진 약리작용 중에서 녹용의 상용량 투여에 의해 나타나는 것은 강장작용과 창상치유작용이므로 이러한 작용이 진정한 녹용의 효능으로 간주될 수 있으나 이러한 작용을 생물활성 검색법으로 활용하여 녹용의 유효성분을 검색하기에는 재현성과 간편성이라는 면에서 어려운 점이 없지 않다. 녹용의 효능이 생체의 질소평형이 음의 방향으로 진행되었을 때 이를 정상 수준으로 복귀시키는 생물활성에 기인할 것이라는 가정하에서, 실험적으로 생체내 질소편형을 음의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급성기 반응 (acute-phase responce)을 야기시킨 다음 녹용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흰쥐의 급성기 반응물질 (acute-phase reactants, APR) 중에 서 positive ARP인 ceruloplasmin,
$\alpha$ -cysteine pretense inhibitor(= T-kininogen)는 비색정량법으로 간편하게 측정될수 있음에 착안하여 이 단백질을 지표로 삼아 turpentine oil로 급성 염증을 유발시킨 전후에 녹용 물추출액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녹용의 상용량에서 괴소 4일 이상 경구투여한 흰쥐에서 급성 염증유발 후 4일에서 ceruloplasmin 의 혈중농도가 현저히 감소함을 알수 있었다. 급성 염증 유발후 녹용의 경구투여한 실험에서는 적어도 녹용 상용량의 3배 이상을 투여하여야 만 ceruloplasmin 혈중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수립된 생물활성을 이용하여 녹용의 유효 성분을 단리할 계획이다. -
신경쇠약의 치료로 상용하며, 빈혈의 치료와 예방의 효과가 있으며, 노화방지에 도움이 되어 민간약으로는 장수(長壽)약으로 꼽히고 있는 구기자가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신경독성을 차단하며, 이러한 효과는 구기자의 성분 중 betaine에 의하여 나타난다. Betaine이 어떠한 작용 기전에 의하여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신경독성을 차단하는 지를 밝히기 위하여 글루타메이트가 작용하는 각기 다른 수용체인 NHDA 및 non-NMDA 수용체에 어떻게 작용하는 지를 알아보았다. 각 수용체의 선택적인 효능제인 NMDA, kainate 및 quisqualate 각각을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독성을 유도시킨 후 이에 대한 betaine의 작용을 알아 본 결과 betaine은 quisqualate에 의하여 유도된 신경독성에서 모두 유사한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효과는 betaine과 구조가 유사한 glycine의 다른 구조 유사체인 dimethylglycine이나 sarcosine과는 다른 작용양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Dimethylglycine과 sarcosine은 kainate에 의한 독성에 대하여 미약한 효과를 나타냈으나, NMDA에 의한 독성에는 정상대조군의 LDH 값의 50% 이상에까지 이르게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이들이 NMDA에 의한 신경독성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는 것을 암시해 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betaine의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신경독성을 차단하는 효과는 다른 glycine 구조 유사체처럼 glycine과 경쟁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결과는 아니라고 여겨진다. 또한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신경독성이 일어나는 기전 중의 하나가 calcium 이온의 세포내의 과도한 유입으로 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세포내의 calcium 이온의 양을 측정하여 본 결과 betaine은 글루타메이트로 인한 세포내 calcium 이온의 증가에 대하여 별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betaine의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신경독성 차단 효과는 이미 미생물에서 보고된 바 있는 betaine의 세포내 삼투압에 대한 보호작용이나 항산화작용과 관련된 기전에 의하여 나타나는 것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측되어진다.
-
1. 천연 항염증 물질의 분리 천연 항염증 약물 개발을 목표로 하여 한방과 민간에서 소염, 진통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식물들을 대상으로 Carrageenin에 의해 유도된 백서 후족 부종의 억제를 지표로 Screening을 행한 결과, 2종의 식물의 부탄을 엑스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다. 즉, 호랑가시나무(flex cornuta L. ) 잎 및 쑥부쟁이 (Aster yomena Makinc)의 부탄을 엑스가 Aspirin(300mg/kg)에 필적하는 항염증작용을 나타내었다. 이 식물들의 부탄을 엑스로 부터 각각 2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호랑가시나무로 부터는 01eanane type의 monodesmoside와 Pomolic acid bisdesmoside가, 쑥부쟁이로 부터는 Hederagenin bisdesmoside및 구조 미확정의 물질이 각각 분리되었다. 2.천연 항염증 물질의 구조 변환 항염증 약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시호(Bupleurum falcatum L.)의 유효성분인 Saikosaponin-a의 용해도 개선을 위하여 그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Saikosaponin-a hemisuccinate의 K염은, 용해도 시험 결과 현저한 용해도 증가를 보였다.
-
괄루근과 포공영으로 부터 수용성 다당류를 분리하고 제단백 및 DEAE cellulose column을 이용한 정제과정을 거쳐 얻은 렉틴성 다당류를 시료로 하여 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와 고형암에 대한 성장억제효과를 검토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료 렉틴류는 혈중 백혈구수와 총복강세포수를 현저히 증가하며 이러한 현상은 포공영의 경우가 보다 강하며 또한, 1주일의 한도내에서 시간이 경과할수록 뚜렷하였고 총복강세포의 수는 제1일에는 포공영의 경우에 특히 크게 증가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정상치 가까이 회복하였다. 과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실험에서는 암세포이식으로 인해 항체생산능 및 T lymphocyte reactivity가 크게 저하되었으나 시료의 투여로 현저한 회복현상을 보였다. 고형암 성장 억제 실험에 의하면 5mg/kg의 낮은 투여량에서 성장억제도는 현저하며 이러한 현상은 정제의 단계가 진행될수록 커졌다.
-
Cortex mori (Morus alba L.), the root bark of mulberry tree, has been used as an antiphlogistic, diuretic, and expectorant in herbal medic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Cortex mori could inhibit the ovalbumin (OA) -induced late asthmatic reaction in guinea pigs. Guinea pigs were sensitized by two exposures to an aerosol of OA(1.0%) and then challenged with aerosolized antigen(2.0%), The animals were pretreated by three inhalations of the aerosoled Cortex mori either before antigen sensitization or cahlleng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BALF) and peripheral blood were collected at 17 hours after OA challenge. The cell populations in BALF and peripheral blood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changes of the relative proportions of eosinophils,neutrophils and mononuclear cells etc. Beta-glucuronidase activity in BALF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alveolar macrophage activation. OA-induced histamine release from guinea pig peritoneal fluid cells was measured by radioisotope enzymatic asssay. Results were as follows. The number of eosinophils, neutriphils and lymphocytes recovered in BALF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17h following aerosol challenge with OA. Among them, eosinophil and neutriphils were decreased remarkably in group that had been preinhalated with Cortex mori. The number of lymphocytes in BALF were not decreased in group pretreated with CM before sensitization but decreased in Group pretreated with CM before challenge. After OA challenge, the number of eosinophils in peripheral blood were markedly increased, but Cortex mori inhibited significantly the OA-induced eosinophilia. Beta-glucuronidase activity in the supernatants of BALF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17h following aerosol challenge with OA, however, pretreatment of Cortex mori had no influence on Beta-glucuronidase activity, suggesting that Cortex mori had no inhibitory effect on OA-induced alveolar macrophage activation. Cortex mori inhibited the OA-induced histamine release from guinea pig peritoneal fluid cells.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Cortex mori contains some substances with an activity to inhibit the the OA-induced late phase reaction of the bronchial asthma in guinea pigs.
-
Although active systemic anaphylaxis an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have been empolyed to study anaphylactic hypersensitivity, it is difficult and time-consuming to induce these reactions in experimental animals. In recent, Jun et al have found a simple method to induced anaphylactic hypersensitivity such as anaphylactic shock(AS) and cutaneous reaction(CR) using compound48/80. Cortex mori (Morus alba L.), the root bark of mulberry tree has been used as an antiphlogistic, diuretic, and expectorant in herbal medic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methanol extract of Cortex mori could inhibit the compound 48/80-induced AS and CR. To induce AS, various doses of compound 48/80 (5, 7.5, 10, 15
$\mu\textrm{g}$ /gm B.W.)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i.p.) into ICR mice. The animals were pretreated by three injection(i.p.) of Cortex mori before compound 48/80 administration. Peripheral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right ventricle to estimate the level of serum histamine at 15 minutes after the injctin(i.p.) of various concentration of compound48/80. Mortility rate, mean death time and mesenteric mast cell degranulation rate were evaluated over a 72 hour period. To estimate the effect of Cortex mori on compound 48/80-induced cutaneous reaction, various doses of compound 48/80 with or without Cortex mori were injected intradermally(i.d.) into the shaved flank of Sprague-Dawley rats, and the blue cutaneous patchs induced by Evans'blue injection at the compound 48/80 alone and Cortex mori plus compound 48/80 injection sites were observed. As a Parameter of these reactions, the levels of histamine in the supernatant, calcium uptake and intracellular CAMP of RPMC were measured. supernatant, 1)compound 48/80-induced mortility rate, mean death time, mesenteric mast cell degranulation rate, and serum histamine level in ICR mice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pretreatment of Cortex mori, 2) cutaneous reaction inducd by compound48/80 was well developed in Sprague-Dawley rat, but Cortex mori inhibited the compound 48/80-induced blue patch formation remarkably, 3) the compound 48/80-induced degranulation, histamine release and calcium uptake of RPMC pretreated with Cortex mori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without Cortex mori pretreatment, and 4)the level of cAMP of RPMC was reduced bythe increased concentration of compound 48/80, pretreatment of Cortex mori not only inhibited the compound 48/80-induced reduction of CAMP but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 of cAMP naturally,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Cortex mori has an some substances with an ability to inhibits the compound 48/80-induced AS,CR, and mast cell activation. -
Cortex Mori, the root bark of mulbery tree has been used as an antiphlogistic, diuretic, and expectorant in herbal medic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hicken gamma globulin (CGG)-specific IgE-induced morphologic and functional changes in rat peritoneal mast cells (RPMC), and to determine whether Cortex Mori could inhibit the CGG-specific IgE-depeildent mast cell degranulation and histamine release from RPMC. Results are 1) the degranuration and histamine release from RPMC were not induced within 1 hour after addition of Cortex Mori alone, 2) the CGG and CGG-specific IgE-Induced degranulation from RPMC was observed within 10 minutes, 3) the histamine release from RPMC sensitised with CGG-specific IgE was induced by tile addition of CGG, 4) CGG-specific IgE-dependent degranulation rate in RPMC pretreated with Cortex Mori was significantly Inhibited,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without Cortex Mori pretreatment, and 5) the CGG-specific IgE-dependent histamine release from RPMC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Cortex Mori. These data suggest that Cortex Mori contains some substances with capabilities to inhibit CGG-specific IgE-dependent degranulation and histamine release from RPMC.
-
From the active fraction, cytotoxic constituents 1-5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to be 2(S)-5,7-dihydroxy-8,2'-dimethoxyflavanone (1), wogonin (5,7-dihydroxy-8-methoxyflavone, 2), 5,7-dihydruxy-8,2'-dimethoxyflavone (3), 2(5) -5,7,2'-trihydroxy-8-methoxyflavanone (4), 2(S) - 5,2',5'-trihydroxy-7,8-dimethoxyflavanone (5), respectively, with those of specimens
$\^$ 1-2)/ -
연구목적: 생약으로 부터 항암제 개발연구의 일환으로 민간에서 조경. 지혈 등에 사용되고있는 노루발(Pyrola japonica)의 세포독성 물질과 그의 화학적구조를 규명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 방법 : 옴건한 노루발의 지하부를 methanol로 환류 추출하여 얻은 methanol extract를 n-hexane, ethylacetate, n-butanol 순으로 분획하였다. 그 후 각각의 분획을 L1210 세포에 대하여 in vitro에서 실험한 결과 n-heane, ethylacetate 분획에서 강한 활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n-hexane, ethylacetate 분획을 반복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하여 1종의 활성물질과 4종의 비활성물질을 단리하였다. 실험결과 : 단리된 활성물질은 각종 spectral data를 검토하여 chimaphilin (L1210의 ED
$_{50}$ : 0.6$\mu\textrm{g}$ /ml, K562의 ED$_{50}$ :< 0.6$\mu\textrm{g}$ /ml) 임을 확인하였고 이 물질은 5,8-dihydro-2.7-dimethyl-4-naphtoquione의 변성물질 임을 알 수 있었다.있었다. -
Acteoside는 일명 Verbascoside로 불리우는 Phenylpropanoid glycoside에 속하는 화합물로 이미 보고되어진 생리활성으로는 Cytotoxic effect, Anti bacterial effect, Immunosuppressive effect, C-AMP Phospaestrase의 저해활성등 여러가지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저자등은 마주송이풀의 성분을 규명하는 가운데 acteoside가 주성분임을 확인하게 되었고 이 식물이 한의서에서 관절염등에 사용되어 진다는 점에서 소염활성을, 식물을 건조할때 흑색으로 변하는데 착안하여 iridoid glycoside의 존재가 추정되어 iridoid glycoside의 일반 생리활성인 담즙분비 촉진작용과 간장보호 작용을 검색하던 중 phenylpropanoid glycoside인 acteoside에서도 담즙분비촉진 작용과 간장보호작용의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목적 : 가래나무는 일부 민간방과 한방에서 암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이 식물을 대상으로 세포독성물질의 분리, 구조결정에 관한 연구는 이미 보고되어 있는 성분인 juglone이 새포독성을 나타낸다는 단편적인 보고만 있을뿐 전혀 되어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자생하는 가래나무 (Juglans mandchurica)로부터 세포독성물질을 분리, 구조결정함으로서 새로운 항암제 개발에 일차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방법 : 가래나무 뿌리의 methanol 추출물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hanol, water로 분획하고 세포독성을 측정하였으며, 이들중 ethyl acetate 분획으로부터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물질들을 분리하였으며 현재 이들의 구조를 분광분석학적인 방법으로 결정하고 있다. 결과 : 현재까지 분리된 물질들은 약한 세포독성을 나타내고있으며, 그들 중 한물질의 구조를 결정하였다.
-
PAF (Platelet-activating factor: 혈소판 활성화인자)는 1972년 Benveniste등에 의해 토끼의 호중구 배양 상청액중에서 발견되어 1979년 그 구조가 1-alkyl-2-acethyl-sn glycero-3-phosphocholine의 구조를 갖는 에테르형 인 지질임이 밝혀졌다. 그후 혈소판 이외 과립구, 단구나 macrophage, 혈관내피세포등 조직의 염증담당세포가 다양한 자극에 응하여 PAF를 생성됨이 보고되었다. PAF가 나타내는 대표적 활성으로는 혈소판, 호중구, 단구들의 활성화, 호중구의 유주 활성, 혈관투과성 항진, 혈압강하작용. 기관지 수축 등이 알려졌으며. 또한 염증, 알러지, 천식 endotoxin shock 등 여러질병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함이 알려졌다. 이와같은 여러 생리 현상은 PAF의 특이적수용체를 개재하여 일어난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PAF의 다양한 질병의 관여가 밝혀짐으로서, PAF길항제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지금까지 PAF길항제의 개발은 PAF 구조 유사체. benzodiazepam유도체, thiazole유도체 등과 같은 합성품과 ginkolide, kadsurenone과 같은 천연물 유리의 것이 알려져 in vivo model에서도 그 효능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배경에서 20여 종의 생약에서 PAF 길항제를 검색하던 중 5종류의 생약에서 PAF 길항작용을 갖는 분획을 찾았기에 이에 보고한다.
-
진정성 cyclopeptide인 sanjoinine-A의 진정작용을 분자 수준에서 밝히고자 sanjoinine-A의 ionophore 활성과 칼슘 결합 단백질인 calmodulin과의 결합을 CD와 NMR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sanjoinine-A는 칼슘과 마그네슘에 대하여 ionophore 활성이 있었으며 calmodulin과 두 단계로 결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anjoinine-A는 칼슘의 유무에 관계없이 calmodulin과 결합하였으며 CD와 NMR 스펙트럼상에서 현저한 변화가 있었다. sanjoinine-A가 calmodulin과 결합시 생체 내에서 활성 상태인 칼슘결합 calmodulin에 비하여 a-helix 구조비율이 감소하였으며 칼슘결합 loop에서 수소결합을 하고있는 amide 수소들의 exchange rate가 현저히 빨라졌다. sanjoinine-A는 calmodulin과 결합하여 칼슘결합 loop 주위의 공간구조를 변형시켜 그 활성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
1차년도에서 이미 확립한 다양한리포좀의 제조 방법에 따라간세포를표 적하기 위해 이들 리포좀의 조성에 galactocercbroside를 함유시켜 targeted liposomes을 제조하였다. 표적리포좀의 제조 방법에 따른 봉합율 (cncapsulation)과 안정성을 조사했을 때, freezing-thawing 과정을 거친 리포좀이 encapsulation 과 stability가 가장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In vitro 간세포 표적능력을 in vitro cell culture system에서 간세포 cell line (Hep G2, 2.2.15과 다른 cell line (Vero E6, J82)에 대한 표적리포좀과 control liposomes의 uptake를 FTTC 또는 CF 형광으로 측정했을 때, 표적리포좀이 간세포 cell line에 더 많이 uptake하는 것을 알았다. In vivo 실험에서는 6 - 8 주령의 mouse tail vain에 표적리포좀과 control liposomes을 주사하여 각 장기에 존재하는 리포좀의 양을 형광으로 측정했을 때, 표적리포좀 (targetcd liposomes)이 다른 장기에 비해 liver에 선택적으로 많이 분포함을 알수있었다. 또한 간암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간세포와 암세포를 동시에 표적할 수는 double targeting liposomes을 design 하였다.
-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정장용 생균 제제에 함유되어있는 정장균주의 하나인 Bifidohacterium bifidum은 항결핵제 중 rifampicin에 감수성으로 rifimpicin과 병용 투여시 본래의 정장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rifampicin에 내성인 돌연변이 균주를 얻기 위해 B. bifidum을 N-methyl-N'-nitro-N-nitroso- -guanidine(MNNG)로 처리하여 rifampicin에 내성인 30종의 균주를 선별 하였고, rifampicin에 대한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를 측정해 본 결과 내성이 1,000배 이상 상승하였다. 또한 rifampicin에 내성인 균주 RFR61을 자연 돌연변이시켜 ofloxacin에도 내성인 돌연변이 균주 20종을 선별 하였고, MIC를 측정한 결과 내성이 4배 이상 증가하였다. 또, fructose-6-phosphate phosphoketolase test를 실시해 본 결과, 모두 Bifidobacterium임이 확인되었다. 유기산 생성량을 측정하여 모균주의 유기산 생성량과 가장 유사한 3균주, B. bifidum RFRll, RFR21, RFR61 그리고 OFR9을 선별하였다. 이 네 균주의 E. coli 생육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모두 모균주와 유사한 E. coli 생육 억제능을 가지고 있었다. Rifampicin 내성균주들에 대하여 내성 유지 시험을 한 결과 복귀 돌연변이에 의해 내성이 소실될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내성 균주에 의한 rifampicin 불활성화 여부를 알아 본 결과 rifampicin이 불활성 화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실에서 개발한 B. bifidum RFR11, RFR21 그리고 RFR61 균주들은 rifampicin에 내성이며, B.bifidum OFR9은 rifampicin과 ofloxacin에 이중 내성을 갖는 균주로서 모균주와 유사한 생화학적 특성을 갖는 우수한 정장 세균으로 여겨진다.
-
영지와 구름버섯의 원형질체 융합 균주 F-1의 배양 균사체로 부터 열수추출한 분획 Fr.I을 DEAE-cellulose ion chromatography와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분획 Fr.II, III, IV,로 분리 정제하였다. Sarcoma 180에 대한 종양억제율을 검사한 결과 Fr.IV는 68.73%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동계 복수암에 대한 수명 연장 효과도 140 %의 유의적인 결과를 얻었다. 면역 관련 장기의 중량에 대한 영향을 실험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간, 비장 및 흉선의 중량을 증가시켰고, 마우스 암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독성 작용을 보이지 않았으나 면역 실험을 실시한 결과, 마우스에서 용혈반 형성세포수를 1,36배 증가시켰으며 암이식군에서 감소된 T lymphocyte활성을 정상수준까지 회복시켰고 또, macrophage의 superoxide anion 분비를 2.25배 증가시켰다. 이로써 이 항암 성분은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항암 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Fr.IV히 분자량은 7.9
$\times$ $10^4$ dalton이고 75,57%의 다당체와 4.47%의 단백질로 이루어졌으며 그 다당체는 주로 glucase, xylose와 mannose로 구성된 heteropolysaccharide이었으며 그 단백질은 Alanine과 Valine을 위시한 15종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생물공학 의약품매 혼입될수 있는 숙주유래 단백질을 검출하기 위하여 숙주계로 사용되고 있는 Saccaromyces cerevisiae KCTC 1720과 Escherichis coli k12의 total protein을 분리 정제하여 토끼와 guinea pig으로부터 total protein 항체를 얻었다. 이때 토끼항체의 단백질 농도는 yeast의 경우에 4.05mg/m1, E. coli의 경우에 7.14mg/m1이었고, guinea pig의 단백질농도는 yeasat의 경우에 1.90mg/m1이었고 E. coli의 경우에 7.17mg/m1이었다. S. cerevisiae와 E. coli를 숙주로 하여 생산된 생물공학 의약품의 숙주유래 단백질을 검출하기 위하여 guinea pig항체를 96 well microptate에 흡착시키고 검체와 토끼항체의 순으로 microplate에 첨가하는 방법인 sandwich ELISA방법올 사용하였다. 이 방법을 생물공학 의약품의 숙주유래 단백질 검출에 적용한 결과 사람 성장 호르몬의 경우에는 5ng/vial 이하로 검출되었다. 또한 생물학적 제제 생물공학 제품의 경우에는, B형 간염백신제재와 인터페론 감마는 1ng/vial 이하로 검출되었고 인터페론 알파의 경우에는 25ng/vial이하로 검출되었다. 또한 이 방법은 현재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 생물공학 의약품 내에 혼입된 숙주유래 단백질을 검출하는데 쓰일 것이다.
-
MIEF는 소의 초유중에 함유되어 있는 분자량 22,000 dalton의 peptide로서 말초혈액 림파구의 배양액에 첨가할 경우 자연살해세포를 활성화 시켜 암세포에 대한 자연살해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이미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유기간별 MIEF의 함량 및 MIEF가 B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유기간별 MlEF의 함량을 competitive ELISA inhibition assay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MIEF의 함량은 수유 첫째날의 초유에 109
$\mu\textrm{g}$ /ml로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로 급격히 감소하여 3일째 이후에서는 3-4$\mu\textrm{g}$ /ml이하로 존재하였다. MIEF가 B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은 사람의 편도선에서 분리한 림파구의 배양액에 MIEF를 가하고 5-9일간 배양한후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의 수를 ELISPOT assay로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MIEF는 10-30$\mu\textrm{g}$ /ml의 농도에서 B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켰으며, 그 정도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LPS와 유사하여 MIEF가 B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작용이 아주 강력함을 알수 있었다. -
폐렴균(Streptococcus pneuminiae)은 그람양성균으로 병원성을 갖는 것은 협막을 갖는 S type이며 협박다당류의 항원성에 의해 84가지의 serotype으로 분류되어 있다. 미국에서는 이중 23가지 type이 폐렴환자의 90%이상에서 발견되는 것을 최근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polyvalent vaccine을 구성하는 23가지 type의 폐럼균주로부터 협막다당류를 분리, 정제하고 각 성분함량이 각 type에 대한 vaccine기준 함량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한국형 vaccine개발의 기초로 활용하고자 한다.
-
생쥐의 장내세균으로 부터 황산전이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인 sulfotransferase를 생산하는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동정결과 Haemophilus속 균주로 확인되어 Haemophilus K-12라 명명하였다. 균의 성장과 효소활성과의 관계를 보면 균은 10시간에서 완전히 성장하였으며 효소활성도 이와 비례하였다. Haemophilus K-12의 배지조성에 따른 sulfotransferase의 생산성을 Brain Heart Infusion 배지에서의 생산성과 비교해보면 탄소원으로는 sucrose가 0.2%농도에서 584%로 가장 좋았으며 질소원으로는 yeast extract가 266%로 가장 좋았다. 공여체로 PNS를 최종농도 1mM로 하여 배지에 첨가하였을때 212%로 가장 높은 효소증가를 보였다. 2가금속이온에 의한 효소증가는 현저하지 않았으며
$Mn^{2+}$ 이 107%로 가장 높았고$Zn^{2+}$ 와 EDTA에 의해서는 저해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균배양을 위한 이상적인 배지조성을 sucrose 0.2%, yeast extract 1%,$Na_2$ HPO$_4$ 0.25%, NaCl 0.5%로 결정하였다. 결정된 최적배지에 균을 10L 배양하여 초음파 처리, 원심분리한 것을 70 %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를 2회, Hydroxyapatite column chromatography, chromatdfocusing column chromatography, Silica PAE column chromatography, Sephacryl S-300 superfine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한결과 specific activity가 6.76 umoie/min/mg protein인 효소액을 얻었으며 homogeneous enzyme였다. 이렇게 해서 얻은 효소를 이용하여 수용체 기질 특이성을 측정한 결과 1-naphthol이 phenol을 100%로 하였을 때 233%로 가장 좋았으며 Eubacterium A-44 sulfotransferase의 좋은 기질이었던 p-acetaminophenol, tyramine, 9-phenanthrol은 좋은 기질이 되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Haemophilus K-12 sulfotransferase는 지금까지 보고된 bacterial sulfotrasferase와는 다른 효소로 사려되며 효소반응기전의 규명이 이루어지면 산업적 응용이 가능할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토양균이 생성하는 2차 대사산물로부터 세포증식 촉진인자 (Maturation Promoting Factor. MPF)인 cdc2/cdk2-cyclin의 복합체를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물질을 분리하고 그 물질의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토양으로부터 순수분리된 300여개의 토양균에서 생성된 배양액을 취하여 MPF의 특이적인 기질인 합성 peptide (CSH103 :HATPPKKKRK)를 사용하여 인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중 MPF 활성 억제능이 90% 이상인 19개의 균주를 1차적으로 선정한 후 각각에 대하여 열/pH에 대한 안정성, 각종 용매에 대한 추출성 등 이화학적 성질을 규명하였으며 이중 균주 LPL 931로부터 MPF 활성 억제제를 분리하고자 하였다. 예비실험의 결과로부터 토양균 LPL 931을 대량배양하여 열처리하고, 비이온성 수지인Amberlite XAD-2에 결합시키고 70% acetone으로 용출시켰다. 이 추출물로부터 ethylacetate와 n-butanol을 사용하여 MPF 억제 활성물질을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취 TLC, 분취 HPL를 하여 MPF 활성 억제 분획을 분리하였다.
-
Protein kinase C (PKC) participates in many cellular signal transduction. Previously we found that PKC activity of whole rat brain was altered after an exposure to cold temperature of 4
$^{\circ}C$ (Lee and Choi, Exp. Neurobiol., 2, 6, 1993). In this time PKC activity in each region of rat brain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know each regions is affected mostly by the stress. -
Mammalian pyruvate dehydrogenase complex(PDC) enzyme consists of multiple oopies of three major oligomeric enzymes-El, E2 E3. And protein X is one of the enzymatic constituents which is tightly bound to E2 subunit This complex enzyme is responsible for the oxidative decarboxylation of pyruvate producing of acetyl CoA which is a key intermediate for the entry of carbohydrates into the TCA cycle for its complete metabolic conversion to CO
$_2$ . And the overall activity of the complex enzyme is regulated via covalent nodification of El subunit by a El specific phosphatase ad kinase. Protein X has lipoyl moiety that undergoes reduction and acetylation during ezymatic reaction and has been known h be involved in the binding of E3 subunit to E2 core and in the regulatory activity of kinase. The purification of protein X has not been achieved majorly because of its tight binding to E2 subunit The E2-protein X subcomplex was obtained by the established methods and the detachment of protein X from E2 was accomplished in the 0.1M borate buffer containing 150mM NaCl. During the storage of the subcomplex in frozen state at -70$^{\circ}C$ , the E2 subunit was precipitated and the dissociated protein X was obtained by cntrifegation into the supernatant The verification of protein X was accomplished by (1)the migration on SDS-PAGE, (2)acetylation by 〔2$\^$ -l4/C〕 pyruvate, and (3)internal amino acid sequence analysis of tryptic digested enzyme. -
Bovine milk xanthine oxidase (E.C.1.1.3.22, XO) purchased from Sigma Chemical Co. had the three protein fragments below 150 kDa on 7.5% SDS-PAGE, which did not show enzyme activity. To remove these fragments, the enzyme preparation was further purified through Sephadex G-200 column chromatography. Two peaks exhibiting enzymatic activity were separated very closely to the void volume, which were revealed as two different enzyme forms, dimeric and monomeric, confirmed by activity staining on native PAGE. Anti sera-against each of the two enzyme forms were raised by subcutaneous injection at multiple sites on the back of rabbits during 4 weeks. On the immunodiffusion test, it was found that both of the antisera of the two forms could react with each other, which implied that their epitopes were identical In the Western blot analysis of mouse liver cytosol fraction, it was found that rabbit anti-XO antibody bound well with the protein band of monomeric mouse liver XO of about 150kDa. Based on this result, mouse liver cDNA 1 ibrary was screened by in situ hybridizat ion wi th rabbi t anti -XO antibody as probe. Through the immunological screening, recombinant phages giving positive signal by the production of XO were selected and further purified. To validate these clones, purified phages were lysogenized in E. coli Y1089 and their lysates were analysed for enzyme activity and immunoreactivity, It was verified that lysates of the purified recombinant phage lysogens exhibited the enzymatic activity as well as bound wi th XO antibody, when induced by IPTG. The above results assert that selected recombinant phage carries mouse liver XO gene.
-
Ras oncogene의 산물로서 대부분의 암조직이나 transformed human cell에서 거의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p21 단백질은 C-terminal processing에 의해 먼저 C-terminal cysyeine에 palmition 된 후 carboxylmethylation 된다. Palmitation은 transforming activity의 요건인 세포막에 대한 친화력을 유지시키기 위한것으로 추측되며, cysteine residue의 carboxylmethylation의 의미는 아직 확실히 밝혀지고 있지 않으나 세포막에 대한 친화력을 증가 시키는 것으로 추측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S-Farnesylcysteine Methyltransferase의 기질로서 N-acetyl-S-trans, trans-farnesyl-L-cysteine(AFC)을 합성하였으며, 본 실험실에서 계속 연구하여 온 돼지 간장으로 부터 정제한 천연 단백성 Methylation Inhibitor의 S-Farnesylcysteine Methyltransferase 활성에 대한 억제효과를 검색하였다. 천연 단백성 Methylation Inhibitor는 돼지 간조직의 soluble fraction을 열처리하여 Sephadex G-25 column chromatngraphy한 후 reverse phase HPLC로 정제하였다. 본 inhibitor는 약 1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peptide성 천연물질로 분자량은 1,400 Da 으로서 합성한 AFC를 기질로 하였을 때, 흰쥐 뇌 조직내 S-Farnesylcysteine methyltransferase에 대한
$IC_{50}$ /은 0,82$\times$ $10^{-6}$ M이었으며 또한 human cancer cell line의 S-Farnesylcysteine Methyltransferase에 대해서도 현저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
Annexin I is a member of the in family of calcium dependent phospholipid banding proteins and is an in vitro phospholipase
$A_2$ (PLA$_2$ ) inhibitor. The mechanism of PLA$_2$ inhibition by annexin I is still ambiguous. The structure of annexin I was studied at the atomic level by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ircular dichrotsm (CD) and fluorescence spectroscopy. Recombinant human annexin I and N-terminally truncated annexin I (1-31 deleted: d-annexin I) were purified and their NMR spectra were compared. The NMR spectra of the two were similar. When$Ca^{2+}$ ion added to annexin I ad d-annexin I, peak broadening occurred, but no significant spectroscopic change was observed. When porcine pancreatic PLA$_2$ was added to deuterium labeled annexin I, an interaction of annexin I with PLA$_2$ was observed as indicated by the disappearance and shift of several peaks in the NMR spectrum. This result supports a protein-protein interaction mechanism for PLA$_2$ inhibition by annexin I.I. -
본 연구는 보리 씨앗에 존재하는 리보솜 불활성화 단백질(RIP) 의 삼차원 구조를 X-선 결정학 방법을 이용하여 밝히고, 그 결과로 분자 차원에서 기능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리보솜불활성화 단백질은 N-glucosidase 반응을 통하여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세포를 죽일 수 있다. 따라서 암세포만을 특정적으로 인식하는 다른 물질과 결합시키면 암세포만을 특정적으로 죽일 수 있는 면역독소로 이용될 수 있다. 또, 최근에는 항바이러스의 작용을 함이 밝혀져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단백질 삼차원 구조 규명을 위해서는 여러가지 단계가 있는데 지난 번 과제까지 성공적으로 리보솜 불활성화 단백질의 대량 분리와 X-선 결정학의 필수 요건 좋은 결정을 길렀고, 이번에는 구조 해석을 위해 꼭 해결해야하는 위상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우선, 비슷한 구조인 피마자씨에서 분리한 Ricin의 A-체인과 미국자리공 잎에서 분리한 Pokeweed antiviral protein의 삼차원 분자좌표를 이용하여 분자치환법으로 위상문제 해결을 시도하였다. Ricin 의 A-체인을 이용하였을 때 분자의 위치가 정확히 찾아지지 않았고, 다른 모델인 Pokeweed antiviral protein을 이용하여 X-PLOR 프로그램내의 PC refinement법으로 분자치환을 시도하였다. Euler각도로 (187.37, 22.5, 311.94) 의 회전해 (Rotation solution) 를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해에 맞추어서 분자를 돌려둔 후, 이동해 (Transaltion solution) 을 구해서 그 위치 (Orientation) 로 분자를 이동하였다. 이 때 R값은 53.9 % (8.0 - 3.5
$\AA$ ) 이였고, 부분좌표 (Fractional coorcdinate) 에서는 0.102, 0.000, 0.261 이고, 직교좌표 (Orthogonal coorclinate) 에서는 4.616, 0.000, 13.167 의 결과를 얻었다. -
본 연구는 간염 바이러스의 X 및 elongated X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E. coli에서 대량 발현시진 후, 그 기능을 여러 측면에서 연구하교 지금까지 알려진 oncogene products, tumor suppressor, 그리고 그 밖의 다른 암 유발인자와의 interaction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간암 생성의 분자적 기작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간암의 예방 및 치료제의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그 일차적 연구로서 이전에 플로닝된 mutant hepatitis Bvirus genome으로부터 X 및 elongated X 유전자를 클로닝하였으며, E. coli에서 대량 발현시키기 위하여 T7 bacteriophage promoter아래에 재 클로닝하였다. 이러한 X 및 ebngated X 유전자를 E. coli에서 대량 발현시킨 후, rabbit anti-X antibody를 이용하여 western blotting을 수행함으로서 이를 확인하였으며 DEAE-cellulose와 heparin-agarose chromategraphy를 이용하여 순수분리하였다. 순수분리된 X 및 etongated X 단백질을 highly differentiated hepatoma cell인 HepG
$_2$ cell에 처리하여 transactivation activity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순수분리된 단백질들이 SV4O promoter를 transactivation 함을 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클로닝된 유전자들이 모두 정상적인 기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그러고 X 유전자의 작용기작을 규명하기위하여 restriction endonuclease를 이용하여 5 개의 mutant X 유전자를 구성하였으며 현재 이를 HepG2 cell에 transfection 하여 그 기능을 연구하고 있다. -
$B^{30}$ 위치에 homoserine이 치환된 사람 insulin 유사체 ($B^{30}$ -homoserine) insulin을 생산하기 위해, insulin의 B 사슬 유전자에 A 사슬 유전자를 직접 연결한 insulin 유전자를 설계하였다. 이 유전자는 10개의 oligonucleotide로 나누어 합성하여 T4 DNA ligase로 결합시킨 후, pUC19 plasmi의 polylinker 영역에 삽입하였다. 이 유전자의 발현을 높이기 위해 이 유전자는 다시 tac promoter의 지배를 받는 lacZ 유전자의 Cia I 또는 Hpa I 제한부위에 도입하여 융합시켰다. 이렇게 구축된 운반체 pTBA나 pKBA를 Escherichia coli JM103 균주에 형질도입시킨 후, 이를 4시간 배양한 후 0.05mM이상의 isopropyl-$\beta$ -D-thiogalactopyranoside (IPTG)를 배지에 공급해 주고 2시간 더 배양하였을 때 유전자 발현이 잘 유도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생산된 insulin 전구체들은 세포내 불온성인 inclusion body로 축적되어지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그 생산량은 세포내 전체 단백질량의 30%에 달하였다. -
In order to obtain insight into the mechanism by which DNA containing a thymine photo-dimer is recognized by the excision repair enzyme, T
$_4$ endonuclease V, we have taken NMR study of this protein and its complex with oligonucleotides. The conformations of five different DNA duplexes DNA I : d(GCGGATGGCG).d(CGCCTACCGC), DNA II d(GCGGTTGGCG) .d(CGCCAACCGC), DNA III : d(GCGGT ^ TGGCG) .d(CGCCAACCGC), DNA IV d(GCGGGCGGCG).d(CGCCCGCCGC) and DNA V d(GCGGCCGGCG) . d(CGCCGGCCGC) were studied by$^1$ H NMR. The NMR spectra of these five DNA duplexes in the absence of the enzyme clearly show that the formation of a thymine dimer within the DNA induces only a minor distortion in the structure, and that the overall structure of B type DNA is retained. The photo-dimer formation is found to cause a large change in chemical shifts at the GC7 base pair, which is located at the 3'-side of the thymine dimer, accompanied by the major conformational change at the thymine dimer site. The binding of a mutant T$_4$ endonuclease V (E23Q), which is unable to digest DNA containing a thymine dimer, to the DNA duplex d(GCGGT ^ TGGCG)ㆍd(CGCCAACCGC) causes a large down-field shift in the imino proton resonance of GC7. Therefore, this position is thought to be either the crucial point of the interaction wi th T$_4$ endonuclease V, or the si to of a conformational change in the DNA caused by the binding of T$_4$ endonuclease V. Usually, it is very difficult to assign NMR peaks in DNA * protein complex because of severe peak overlaps. In order to overcome these peak overlaps, we used a method of deuterium incorporation. -
포자의 전자현미경사진과 mycelium의 광학현미경사진을 찍어 strain V-8 균주의 형태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을 때 방선균 계열인 streptomyces로 확인되었다. 이 균주의 배양액은 노란색을 띠고 있고 이 노란색은 430 nm에서 특징적인 흡광을 보였다. 이 물질은 유기 용매로 추출되었다. 이 물질의 자외선 흡광스펙트럼의 특징을 기존에 보고된 화합물과 비교하여 이 물질이 actinomycin계열에 속함을 발견하였다. 이 물질의 FAB mass spectrum에서 각 분획들의 주성분들의 분자의 질량 + H 이온이 1290과 1292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이 화합물들은 분자량이 1258인 actinomycin D와는 상이한 구조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분획 성분들의 proton 및 carbon HIR spectra를 얻어 기존에 알려진 화합물의 자료와 비교하였을 때 actinomycin계열에 속하는 신물질로 생각되었다. 지금까지 actinomycin 계열의 항생물질이 adenosine deaminase의 효소 활성을 저해한다는 사실은 보고된바 없다. 본 연구자는 분리한 2개의 화합물에 대하여 구조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
GABA shunt에 관여하는 두 가지 효소인, GABA transminase와 Succinic semialdehyde reductase에 대한 단일 클론 항체를 생산하고 이들 항체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소의 뇌에서 순수 정제된 효소를 동물에 주사한 후 immunodot-blot 분석법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항체를 분비하는 hybridoma를 골라낸 후 생산된 단일 클론 항체가 특이적으로 이들 효소와 반응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Western blot 분석을 실시하였다. 뇌조직에서 추출한 총단백질을 SDS 전기영동법에 의하여 분리한 후 이들 항체를 처리한 결과, GABA-T에 대한 항체는 특이적으로 분자량이 50kDa에 해당하는 단백질 밴드만을 인지하였고 SSA reductase에 대한 항체의 경우 분자량이 34kDa 크기의 단백질 밴드와 반응하였다. 이들 분자량은 순수 정제된 소뇌의 효소 단백질의 크기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들 소뇌의 효소에 대한 항체를 추적물체로 사용하여 다른 포유동물자 조류의 효소와 비교하는 cross-reactivity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 돼지, 토끼, 쥐 (rat), 개, 고양이 그리고 닭의 뇌를 제거한 후 총단백질을 추출하고 Western blot을 해본 결과 GABA transaminase의 경우 조류를 제외하고 다른 포유동물에서는 같은 분자량의 단일 단백질 밴드를 확인하였고 SSA reductase의 경우 조류를 포함하는 모든 동물에서 같은 분자량의 밴드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포유류 뇌에 있는 이들 효소들은 변역학적으로 아주 유사하다고 사료된다.
-
돼지 뇌조직으로부터 순수 분리 정제된 Glutamate decarboxylase (GAD)는 효소 dimer당 0.8mole 보조 인자인 pyridoxal-5-phosphate(PLP)가 강하게 binding되어 있었다. 이러한 부분적으로 resolved된 효소에 외부로부터 PLP를 넣어주면 효소의 활성도는 최대값으로 증가하였다. 정제된 GAD는 sulfydryl시약에 의한 화학변형에 의하여 효소의 활성도를 상실하였으며 환원제인 dithiothreitol이나 2-mercaptoethanol의 첨가에 의하여 효소의 활성도가 복구되는 것으로 보아 효소의 활성부위의 활성에 직접 관여하는 중요한 cysteinyl잔기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NADPH-dependent succinic semialdehyde reductase를 소의 뇌조직으로부터 여러가지 크로마토그래픽 방법을 이용하여 순수 분리 정제하였다. 효소는 분자량 34kDa을 가진 monomeric 단백질이며 substrate specificity. 분자량, 최적 pH, 아미노산 조성 등을 다른 sources의 효소들과 비교하였다. 이 비교 결과들로부터 본 연구에서 정제한 효소는 다른 sources와 다른 효소로 밝혀졌다. 반응의 산물이나 유사 기질 등을 저해제로 사용하였을때의 반응기작은 intermediate ternary complex를 형성하고 NADPH가 먼저 효소에 binding하는 ordered Sequencial mechanism을 보인다는 사실을 관찰할 수 있었다.
-
신약개발에 있어서 대사연구는 약효의 species difference, 독성기전, 그리고 in vitro와 in vivo의 약효차이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그 연구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혈전제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phosphodiesterase inhibitor인 KR30289의 rat과 rabbit에서 대사 연구를 통하여 약리효과의 상이점을 밝히고져 하였다. Mass analysis를 통하여 urinary 대사체의 구조를 규명한 결과 KR30289를 경구 투여 (1mg/kg)시 hydroxy derivative(M1)와 O-dealkylated derivative(M2)로 변환되어 urine으로 배설되었고 parent compound는 검출되지 않았다 M1과 M2 모두 free form, glucuronide conjugate, 그리고 sulfate conjugate 형태로 검출되었으나 rat과 rabbit 두 종간의 M1과 M2의 비율에서는 커다란 차이점을 보여주었다 rat의 경우 M2가 94% (free form : 14%, glucuronide conjugate 58%. sulfate conjugate, 22%)이었으며 rabbit에서는 M1이 54%로 상대적으로 많이 생성되었다(free form : 11%, glucuronide conjugate : 22%, sulfate conjugate 21%). 이와같이 두종간의 상이한 metabolic profile로 인하여 약리효과의 차이가 유발될수 있다고 추론된다.
-
Renin-angiotensin system(RAS)의 기능억제에 의한 고혈압치료제 개발연구는 ACE억제제와 target organ에서의 AII의 수용체 특히 AT1 type의 길항제가 유망한 것으로 보여 현재 전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AII수용체의 길항제 개발연구가 가장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AII수용체의 길항제 개발연구를 위해서는 신속, 정확한in vitro, in vivo검색방법의 확립이 가장 중요하며, 특히 많은 대상물질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검색하는 in vitro screening, 즉 AII 수용체 결합율 시험방법의 확립이 일차적인 과제이다.
-
본 연구에서는 토끼신장 근위세뇨관 일차배양세포에서 브라디키닌의 생리작용이 phospholipase D (PLD)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살펴 보기위해 PLD 효소반응의 특이한 성질인 transphosphatidylation 반응의 생성물인 phosphatidylethanol (PEth) 의 세포내 양을 측정함으로 PLD 효소의 관련성을 규명할 수 있었다. 시간경과에 따른 phosphatidic acid (PA) 및 diacylglycerol (DAG) 의 생성을 살펴본 결과 PA가 DAG보다 먼저 생성되어 최고치 (30초)에 도달하였고 DAG는 1분이후부터 5분까지 서서히 생성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0.5에서 5%까지의 에탄올 존재하에 PA 및 PE소 생성량을 비교해본 결과 에탄올량이 증가함에 따라 PA는 감소하는 반민 PEth 의 생성은 계속 증가하였다. 한편 브라디키닌 농도 변화 실험에서는 브라디키닌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PA 및 PEth 둘다 생성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토끼신장 근위세뇨관 세포막에 존재하는 브라디키닌수용체는 브라디키닌에 의해 activation 시 PLD를 직접적으로 활성화시켜 그들의 작용을 세포내로 전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LD 효소활성의 activator로 수용체효능 제외에 칼슘이온, protein kinase C (PKC) 등이 몇몇 다른 실험에 의해 밝혀져 있고, G protein 역시 PLD 효소 활성을 조절하는 역할이 있음이 알려졌다. calcium ionophore 및 칼슘채널길항제인 verapamil을 이용한 실험에서 우리는 브라디키닌의 PLD 활성화는 칼슘이온에 의존적인 경로 및 비의존적인 경로가 같이 존재함을 알수 있었다. 또한 브라디키닌의 PLD 활성화기전이 PKC 의존적인지를 살펴보기위해 PKC activator(PMA) 및 inhibitor (staurosporine)를 이용한 실험에서 브라디키닌은 신장세포에서 PKC를 통하여 PLD를 활성화시킴으로 신호전달을 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수분해안되는 G protein 유도체인 GTPrS 및 G protein 활성물질 NaF, 백일해독소등을 이용한 실험에서 G protein 의 PLD 조절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생체시료 중 극미량성분분석에 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기존의 분석기기를 사용하여 분석방법을 개발하는 연구나 새로운 분석기기를 개발하는 연구들을 통하여 이들 물질들을 분석하고자 하고있다. 특히 극미량성분인 경우 생체내에 수십 Pg이 존재하면서 이들의 농도변화가 생리활성에 변화를 주기 때문에 검출한계가 낮은 검출기가 필요하게되며 또한 생체시료중의 여러물질들로 인하여 이들을 분리하는 크로마토그라피기술과 이들이 분리된 후 실제로 어떠한 물질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즉 정성까지 가능한 검출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
지구 환경문제의 하나인 오존충의 파괴는 지구상에 분포되어있는 자외선량을 증가시키는 외에 지금까지 지상에 도달하지 않았던 단파장역의 자외선량의 증가를 초래하여, 이것에 피부암, 백내장등의 발병율 증가등의 건강 피해가 염려된다. 이들 발병기전은 아직 확실치 않으나 에너지가 큰 단파영역의 자외선에 폭로되면 세포내의 물분자의 이온화에 기인되어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이 막지질, 핵산. 단백질등에 산화적 손상을 가져와 이것에 돌연변이, 세포사를 초래하는 것이 그 원인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자외선 중 UVB의 조사로 인한 장해와 유도단백질을 찾아내어, 자외선의 유해성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UVB를 농도별로 1회 hairless mouse에게 조사하여, 경시적으로 피부를 채취하여, UVB 조사로 인해 유도되는 단백질을 2차 전기영동법을 이용해 관찰하고. 유도단백질이 HSP인지를 면역염색을 통해 밝히고, 유도된 단백질을 protein sequence를 하여, 어떤 단백질인지 밝혔다.
-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HIV-1 )은 복사에 필수적인 전사촉진단질유전자인 tat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유전자 재조합기법을 사용하여 tat 유전자와 nef 유전자가 결핍된 HIV-1을 제조하였다. nef, tat-결핍 HIV-1 은 C
$D_4$ $^{+T}$ 세포에서 전혀 복제를 하지 못하였다. 반면, tat 단백질을 발현하도록 만들어진 재조합 Jurkat-tat세포에서는 복제능력을 다시 회복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nef, tat-결핍 바이러스를 Jurkat-tat 세포에서 두달이상 계대배양했을 때, revertant가 전혀 생기지 않았다. 또한, nef, tat- 결핍 HIV-1 에 chloramphenicol acetyltransferase 유전자를 삽입시키고, 이의 발현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원형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민감하면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바이러스의 복제를 측정할 수 있었다. nef, tat- 결핍 바이러스는 항 HIV-1 제의 활성도를 측정하고자할 때 원형 바이러스의 대용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을것이다.다. -
HIV와 유사하게 retro virus의 일종인 Friend virus of Anemia strain (FVA)을 BALB/c mice 에게 감염시 reverse transcriptase 의 활성에 의해 비장의 erythroid progenitor cell 에서 증식되므로서 비장의 비대 및 빈혈을 초래하게 된다. 이를 지표로 하여 reverse transcriptase 억제작용을 지닌 항 virus 약물을 천연성분으로 부터 검색하고자 하였다. 우선, 대조약물로 사용한 기존의 항 AIDS 약물인 zidovudine (AZT) 을 FVA 가 감염된 BAB/c mice 에게 18일간 투여시 (약 100 mg/kg/day, p.o. ) 대조군에 비해 비장의 비대 및 reverse transcriptase 활성이 90% 이상 억제되었으며, 이들의 혈청을 정상 BALB/c mice 에게 재투여시에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reverse transcriptase 를 억제하므로서 항 virus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그러나, 혈액중 Hemoglobin등 빈혈의 지수는 대조군과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므로서 정상으로 회복되지를 못하였다. 이것은 zidovudine 자체가 지니는 골수억제에 의한 부작용 때문인 것으로 고려된다.
-
Fibrinolytic proteases, piscivorase I (PI) and piscivorase II (PII), were isolated from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eastern cotonmouth moccasin) venom using gel filtration on Bio-Gel P100 and ion-exchange chromatography on CM-Sepharose. The molecular welghts of two proteases were approximately 23400 and 29000. Their isoelectric points 6.6 and 8.5, respectively. The partial amino acid sequences of PI were characterized by tryptic digestion. PI readily cleaves the A
${\alpha}$ -and B${\beta}$ -chaln of fibronogen, but PII rapidly cleaves A${\alpha}$ -chain and more slowly the B${\beta}$ -chain, They were activated by Ca$\^$ 2+/, Mg$\^$ 2+/ and Ba$\^$ 2+/, but inhibited by Zn$\^$ 2+/, Cu$\^$ 2+/ and Mn$\^$ 2+/. Two enzymes were also inhibited by cysten,${\beta}$ -mercapto -ethanol, and by metal chelators such as EDTA and EGTA, but not by benzamidine, PMSF, soybean trypsin inhibitor and aprotinin. They did not act like thrombin, plasmin and kallikrein, using specific chromogenllc substrates. Two protease did not induce platelet aggregation. PI showed low hemorrhagic activity at dosage of 50$\mu\textrm{g}$ . -
혈행 장애 예방 및 치료 약물의 개발을 목적으로 혈소판 기능에 대한 약물의 영향을 연구하는데 있어, 효율적인 실험 조건의 선택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마늘 메탄을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 억제능율 platelet rich plasma(PRP), washed platelet(Ca
$^2$ 비첨가), washed platelet(Ca$^{2+}$ 첨가) 등 세가지 분리 조건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마늘 추출물의$IC_{50}$ /이 각각 2348$\mu\textrm{g}$ /ml, 221$\mu\textrm{g}$ /ml, 851$\mu\textrm{g}$ /ml로서, washed platelet(Ca$^{2+}$ 비첨가)가 마늘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에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늘 추출물과는 다른 기전으로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menadione과 propranolol도 이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실험 조건에 따른 이러한 차이가 PRP 중에 존재하는 알부민 등과의 단백 결합에의한 약물의 유효농도 감소에 기인한다고 추정되어, washed platelet에 여러 농도의 알부민을 첨가하여 혈소판 응집 억제 실험을 실시한 결과 약물의$IC_{50}$ /은 알부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혈소판 응집과 함께 혈소판 기능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인 혈소판 분비능을 분비된 ATP를 Luciferin-Luciferase로 측정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thrombin에 의한 혈소판의 ATP 유리에 미치는 마늘 추출물의 영향을 위의 세 실험조건에서 실험하여$IC_{50}$ /을 비교한 결과 그 값이 washed platelet에서 가장 낮고 PRP에서 가장 높아, 혈소판 응집 억제 실험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세가지 혈소판 분리 조건 중 washed platelet(Ca$^{2+}$ 비첨가)가 약물에 의한 혈소판 기능 억제 실험에 가장 효율적임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주요한 원인은 알부민 등 단백 결합에 의한 유효 약물 농도 감소때문 이라고 추정된다. -
1) 인삼 엑기스는 morphine의 진통력을 길항하지 않으나 사포닌은 진통력을 길항한다. 2) 인삼 엑기스는 morphine의 내성 및 의존성 형성을 억제한다. 3) 인삼 엑기스는 몰핀의 역내성 (정신독성) 형성을 억제한다. 4. 결론 : Morphine의 진통력 길항작용, 내성 및 의존성 형성 억제 작용, 정신독성 형성억제작용 (자발운동에 대한 역내성 형성 억제 작용)등은 항마약성 약물의 효능검색에 좋은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Radioligand결합실험에 의하여 7가지 이상의 5-hydroxytryptamine serotonin, 5-HT)수용체 subtype가 규명되어 있고, 1983년 5-HT agonist로 알려져 있던 8-hydroxy-2-(di-n-propylamino) tetralin (8-OH-DPAT)가 〔
$^3$ H〕5-HT수용체에 대한 결합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며, 본 수용체를 직접 표식함이 알려진 이래, 본 수용체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 오고있다. 특히 항불안약으로 임상에 사용되어 왔던 benzodiazepines이 5-HT neuron의 활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보고되면서 5-HT neuron과 불안과의 관련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항불안약으로 주목을 받고 있던 buspirone이 5-$HT_{1A}$ 수용체에 높은 친화성을 가짐이 확인되었다. 그 외에도 5-$HT_{1A}$ 수용체작용약이 항우울약, 항고혈압약으로서의 응용가능성 이 시사되면서 본 수용체작용약의 개발 및 그 기능해명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5-$HT_{1A}$ 수용체작용약인 8-OH-DPAT와 항불안약을 개발할 목적으로 합성된 화합물인 1-[3-(3,4-methylenedioxyphenoxy)propy〕-4-phenyl piperazine (8P-554)을 이용하여, 화합물의 5-HT$_{1A}$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을 검토하는 방법과. 본 수용체를 통하여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는 5-HT의 약리작용을 검토하는 방법을 기술하므로서, 여러가지 임상적 응용을 위하여 새롭게 합성되는 화합물의 5-$HT_{1A}$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을 검색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다. -
뇌기능개선 약물들(nootropic drugs)은 항치매약물로 기대되나 현재까지 약리학적으로 공통점이 보고되어 있지는 않다. 최근 수종의 뇌기능 개선약물의 작용이 중추도파민신경 활성을 매개로 함이 보고된바 있다. 따라서 apomorphine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상동행동을 지표로 하여 현재 사용중인 뇌기능개선약물과 국내 자원생약 성분의 작용을 비교 검토하였다. 1. apomorphine 투여에 의하여 유발된 상동행동에 대하여 centrophenoxine 과 N-methyl -D-glucamine은 현저한 상승효과를 나타내었으나 Piracetam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인삼사포닌 성분 중 panaxatriol 및 Rgl 성분은 현저한 상승효과를 나타내었으나 total saponine, panaxadiol 및 Rbl 성분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entazocine은 opioid 수용체에 대한 흥분작용과 길항작용을 겸유한 opioid계 약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흰쥐 적출 관류부신 으로 부터 pentazocine의 catecholamine (CA) 분비작용을 관찰하여 그 기전을 규명하고 또한 다른 opioid의 작용과 비교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Pentazocine (30-300
$\mu\textrm{g}$ )을 부신정맥내에 주사하였을때 현저한 용량 의존성의 CA 분비 작용을 나타내었다. Pentazocine의 이러한 CA 분비작용은 chlorisondamine ($10^{-6}$ M), naloxone (1.22$\times$ $10^{-7}$ M), morphine (1.73$\times$ $10^{-5}$ M). enkephalin (9.68$\times$ $10^{-6}$ M), nicardipine ($10^{-6}$ M) 및 TMB-8 ($10^{-5}$ M)등의 전처치로 뚜렷이 억제되었으나 pirenzepine (2$\times$ $10^{-6}$ M)의 전처치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Ca^{++}$ -free Krebs 용액으로 30분간 관류한 후에 pentazocine의 CA 분비작용은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Pentazocine (1.75$\times$ $10^{-4}$ M)을 20분간 관류시킨 후에 ACh (5.32$\times$ $10^{-3}$ M)과 DMPP ($10^{-4}$ M)에 의한 CA 분비작용이 의의있게 감약되었다. -
Naproxen을 개의 정맥내 투여하였을때 뇨량의 감소와 더불어 삼투질제거율(Cosm), 뇨중
$Na^{+}$ 과$K^{+}$ 의 배설율($E_{Na}$ ,$E_{k}$ )의 감소와 신세뇨관에서의$Na^{+}$ 과$K^{+}$ 의 재흡수율($R_{Na}$ ,$R_{k}$ )과 K/Na비의 증대를 나타내었으며 신혈류량(RPF)이 감소하였다. 한쪽 신동맥내에 naproxen을 투여하였을때 투여신(실험신)에서의 이뇨작용과 대조신에서의 항이뇨작용을 나타내었다. 경동맥에 naproxen을 투여하였을때도 뚜렷한 항이뇨작용을 나타내었다. 이와같은 두경우에서의 항이뇨 작용시의 신기능변화는 정맥내 naproxen의 경우와 같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경동맥내의 naproxen의 항이뇨작용은 신신경 제거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정맥내로의 arachidonic acid나 indomethacin의 전처리에 의하여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경동맥내의 naproxen은 정맥내의 spironolactone의 이뇨작용을, 정맥내의 spironolactone은 경동맥내의 naproxen의 항이뇨작용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naproxen은 중추성 항이뇨작용과$Na^{+}$ 저류를 나타내며 이는 prostaglasdin의 합성억제와 aldosterone양 작용에 의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Thrombin (0.25 U/ml : TB), 소-피부 collagen (200
$\mu\textrm{g}$ /ml : CG), adenosine 5'-diphesphate (4,0$\times$ $10^{-5}$ M : ADP), 및 epinephrine (4,0$\times$ 10$^{-5}$ M : EPI)의 가토-혈소판 응집과 단백인산화작용에 미치는 PDE-I (3-isobutyl-1-methylxanthine : IBMX, 및 KR 30075), amitriptyline (AP), chlorpromazine (CP), 및 sodium nitrogrosside (SNP)의 염향을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 KR은 2,2$\times$ $10^{-7}$ M 이하의$IC_{50}$ /에서 EPI > ADP > CG > TB 순으로 각각을 억제하였으며, SNP 보다도 강하였고; KR-30075보다 약하나 IBMX, AP, 및 CP도 각 응집재의 작용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EPI에 대하여$10^{-8}$ M 이하의$IC_{50}$ /에서 유의한 억제력을 보였다. 각 응집제들은 41 kD 인산화는 유의하게 증가시키며 47 kD와 20 kD 단백인산화는 감소시켰는데; 모든 항응집성 약물이 41 kD 인산화-증가는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아울러, AP와 CP는 47 kD 단백인산화-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20 kD 단백인산화-감소는 억제하였다. PDE-I (IBMX와 KR)와 SNP는 47 kD와 20 kD 단백인산화-감소를 다소 약화시켰으며, 43 kD와 22 kD 단백인산화를 KR > IBMX > SNP순으로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KR의 22 kD 단백인산화작용은 현저하였다. -
In the present study, it was aimed to asses the possibility that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 released in response to transient hypotension may contribute to the reflex autoregulation of cerebral blood flow as a putative modulator. Changes in pial arterial diameter (mean, 33.0
${\pm}$ 1.1$\mu\textrm{m}$ ) with changes in systemic arterial blood pressure (mean, 101.9${\pm}$ 2.7 mmHg) were observed directly through a closed cranial window in anesthetized normotensive rats. Image of the pial vessels was captured with a stereoscope connected to a CCD video camera and the diameter was measured with a microscaler. In the capsaicin-treated rats (one day prior to experiment, 50 nmol capsaicin injected intracisternally), both vasodilater and vasoconstrictor responses evoked by a transient hypotension and the reverse of blood pressure were markedly attenuated or almost abolished. When changes in pial arterial diameter were plotted as a function of changes in blood pressure, the slopes of both regression lines (for vasodilators and vasoconstrictors ) were markedly reduced. Similar reductions were evidenced under treatment wi th the CGRP antibody serum (1:1,000) and following CGRP receptor desensitization. However, the autoregulatory mechanics were neither affected by treatment wi th spantide (1${\mu}$ M), substance P antagonist, nor by substance P receptor desensitization. Suffusion wi th mock cerebrospinal fluid containing CGRP and cromakalim caused a vasodilat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respectively and their effects were antagonized by glibenclamide. Substance P produced a vasodilatation, which was, however, little affected by glibenclamide.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the CGRP released from the perivascular sensory fibers in response to a hypotension is implicated in the modulation of the autoregulation of cerebral blood flow. -
1.목적
$K^{+}$ 통로 개방제인 cromakalim과 levcromakalim이 원형질막의$K^{+}$ 통로를 개방시켜 막의 과분극을 일으킴으로서 강력한 혈관 이완작용을 일으킨다는 것은 주지하는 바다. 본 연구진들은 지난 2년간의 신약개발 연구사업을 통하여 cromakalim과 pinacidil 등 여러종의 K+통로개방제가 건전한 평활근 세포에서 phenylephrine뿐만 아니라 saponin처리에 의한 투과성 근세포 (permeabilized cells)에서 inositol 1,4,5-triphosphate (IP$_3$ )에 의한 수축도 억제함을 보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축작용에 대한 SPEX fluolog-2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돼지의 관상동맥 혈관근의 세포질내$Ca^{++}$ 의 농도 ([$Ca^{++}$ ])의 변동을 관찰하였다. 정상 관상동맥 혈관근 조직에서 acetylcholine (0.1-1$\mu$ M)에 의한 [Ca$^{++}$ ]농도의 증가와 b-escin 처리에 의한 skinned strip에서의 IP3 (1-5$\mu$ M)에 의한 [Ca$^{2+}$ ]의 증가는 cromakalim과 levcromakalim의 전처치에 의하여 현저히 억제되었다. Skinned strip에서 이러한 K+ 통로 개방제에 의한$IP_3$ -요도 ($Ca^{2+}$ )i 증가의 억제가 apamin (1-5 mM)과 glibenclamide (1$\mu$ M)에 의하여 봉쇄되었으나, chrybdotoxin (0.1$\mu$ M)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한편 skinned strip에서 cromakalim은 GTP${\gamma}$ s에 의한 [$Ca^{2+}$ ]i의 증가는 봉쇄하였으나 caffeine에 의한 [$Ca^{2+}$ ]i의 증가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보아 cromakalim과 levcromakalim과 같은$K^{+}$ 통로 개방제가 세포막의$K^{+}$ 통로를 개방하는 작용 뿐만 아니라 적어도 sarcoplasmic membrane에서$Ca^{2+}$ 의 유리를 봉쇄함으로써 강력한 혈관 평활근 이완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시사된다. -
흰쥐 적출 대동맥을 이용하여 혈관근의
$Na^{+}$ /$Ca^{2+}$ 교환계의 기능과 성질을 구명코자$Na^{+}$ /$Ca^{2+}$ 교환계를 통한 수축 반응을 관찰하고 이때의 조직내$Ca^{2+}$ 농도, cGMP 농도 및 이 수축에 대한 차단제와 저산소 처리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흰쥐 적출 대동맥은$Na^{+}$ free 영양액하에서 수축반응을 일으켰고 이 수축 반응 ($Na^{+}$ free 수축반응)은 KCl 농도 증가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KCI 21.6mM 하의$Na^{+}$ free유발 수축반응은 amiloride전처리하에서 용량-의존성으로 억제되었고 특히 tonic 수축반응이 예민하게 소실되었으며, benzamil과 verapamil 전처리하에서도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
The binding characteristic of oxomemazine to muscarinic receptor in the cerebrum, heart, and ileum were compared to those of pirenzepine to investigate whether oxomemazine could classify the muscarinic receptor subtypes. 〔
$^3$ H〕Quinucl idinyl benzilate(QNB) identified a single class of muscarinic receptors with apparent K$\sub$ D/ value of about 60 pM in three tissues. Analysis of the pirenzepine inhibition curve of 〔$^3$ H〕QNB binding to cerebral microsome indicated the presence of two receptor subtypes with high (Ki=16 nM, M$_1$ -receptor) and low (Ki=400 nM, M$_2$ -receptor) affinity for pirenzepine. Oxomemazine also identified two receptor subtypes with high (Ki=84 nM, On-receptor) and low (Ki=1 4${\mu}$ M, O$\sub$ L/-receptor) affinity in rat cerebral microsome, The percentage population of the M$_1$ -and M$_2$ -receptors to the total receptors were 61 : 39, and those of the O$\^$ H/- and O$\sub$ L/-receptors 39 : 61, respectively, However, the Hill coefficients of these two drugs for the inhibition of 〔$^3$ H〕QNB binding to the heart and ileum were close to unity which indicated that these drugs bound to a uniform population of receptors in these two tissues. The Ki values for the low affinity sites of pirenzepine and oxomemazine in the cerebrum were similar to those of these drugs in the heart ileum. Both pirenzepine and oxomemazine increased K$\sub$ D/ value for 〔$^3$ H〕QNB without affecting the binding sites concentration and Hill coefficient for the 〔$^3$ H〕QNB binding. Oxomemazine had a 10-fold lower affinity at Ma-receptors than at M$_1$ -receptors, and pirenzepine a 8-fold lower affinity at O$\sub$ L/-receptors than OH-receptors. Analysis of the shal low competition curves of oxomemazine for the H$_1$ receptors and pirenzepine for the O$\sub$ L/-receptors yielded that 69% of the M$_1$ -receptors were of the O$\sub$ H/-receptors and the remaining 31% of the O$\sub$ L/-receptors, and that 29% of the O$\sub$ L/-receptors were of the M$_1$ -receptors and 71% of the M$_2$ -receptors. However, M$_2$ for oxomemazine and O$\sub$ H/ for pirenzepine were composed of a uniform pop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oxomemazine could discriminatethe muscarnic receptor subtypes and may subclassify the M$_1$ -receptors into two subtypes. -
Ibotonic acid와 FeCl
$_3$ 투여군은 phosphate buffered saline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흰쥐의 능동적 회피학습 습득율을 감소시켰고 해마영역의 과산화지질 형성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acetylcholinesterase의 활성을 감소시켰으나 acetylcholine의 농도에는 별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이들 약물은 신경세포 지질막등에 작용하여 노인성 치매에서와 유사한 cholinergic신경계통에 neuronal degeneration을 유발하여 학습능력 감소를 유발한 것으로 보인다. 4,결론 중추 Cholinergic성 신경계활성의 변화와 뇌내 과산화지질의 과다 형성이 학습능력 감소 및 노인성치매의 원인이라고 말할수는 없지만 이러한 뇌내의 변화률이 치매과정과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보여진다. -
Catecholamines acting through
${\beta}$ -adrenergic receptors regulate a wide range of metabolic activities in mammalian tissue. Of the various receptors coupled to adenylate cyclase, the${\beta}$ -adrenergic receptors are the most extensively characterized and have been purified from both nonmammal ian and mammal inn sources. However, most studies of the molecular properties of${\beta}$ -adrenergic receptors have been confined to peripheral tissues. Less progress has been achieved in characterizing the brain${\beta}$ -adrenergic receptor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herefore, to purify and characterize the neurotransmitter receptor proteins.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stepwise experiments were performed. At first, the membrane-bound${\beta}$ -adrenergic receptors were. solubi1ized from brain tissue. Secondly, conditions for affinity chromatography were determined to purify the solubilized receptors effectively. Finally, the large-scale purification was perform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rified${\beta}$ -adrenergic receptor were examined. -
본 연구에서는 Scutellariae Radix (黃芩)으로부터 분리한 다섯종의 플라보노이드와 그외 구조면에서 관심이 있는 아홉가지 관련 플라보노이드 물질들에 대한 브라디키닌 길항활성물 적출장관 및 여러 in vivo 실험을 통하여 검색하였다. 적출회장 및 자궁실험에 서는 검체들이 거의 모두 BK 길항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적출 자궁실험에서 skullcalflavone 11 와 2'-methoxyflavone이 40
$\mu\textrm{g}$ /ml 농도에서 각각 90 및 87%의 억제율을 나타내어 가장 억제적이었다. in vivo 검색에서는 플라보노이드들과 양성대조약물로 사용된 마스피린은 각 실험개시 24시간 및 1시간전에 200 mg/kg의 용량으로 생쥐에게 경구투여하여 BK 길항활성을 비교하였다. 혈장일출, 초산으로 인한 신전반응 및 LPS-유도 septic shock 유발억제 실험에서 특히 2'-methoxyflavone은 신전반응 및 내독소 실험에서 거의 완전하게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플라보노이드들은 펩타이드구조를 가진 BK길항제와 비교하여 효력을 낮으나 non-peptide구조로 인해 생리적조건에서 보다 안정한 물질로 연구될 가치가 있다. 본 실험에서는 또한 체내에서 BK와 그 생리작용이 아주 유사한 히스타민에 대한 길항제들중 피페라진핵을 지니고 있는 약물들에 대한 BK 억제효과를 검토해본 결과 homochlorcyclizine이 가장 큰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이 물질의 해리함수는 6.25 이었고 correlation coefficient는 0.984 로 경쟁적 길항제 이었다. 반면 수용체 결합실험에서는 이 약물은 25%의 수용체결합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
To investigate analgesic mechanism of capsaicin and its analogues (capsaicinoids), release of adenosine was measu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rom dorsal spinal cord synaptosomes, Exposure of synaptosomes to K
$\^$ +/ and morphine produced a dose dependent release of adenosine in the presence of Ca$\^$ ++/. Capsaicin (0.1, 1, 10 M), and its analogues 6-paradol (1, 10 M), NE-19550 (1, 10, 100 M), DMNE (1, 10, 100 M) and KR 25018 (0.1, 1, 10 M) produced a dose dependent release of adenosine in the presence of Ca$\^$ ++/. Nifedipine, L-type voltage sensitive calcium channel blocker, inhibited K$\^$ +/ (6, 12 mM)- and morphine (10 M)-evoked release of adenosine completely, but inhibited capsaicin, and capsaicinoids-evoked release of adenosine partially. Capsazepine, a novel capsaicin select ive antagonist, blocked only capsaicin and capsaicinoids induced release of adenosine. Therefore, the adenosine release by capsaicin and capsaicinoids having antinociceptive effects involve activation of capsaicin specific receptor and capsaicin sensitive Ca$\^$ ++/ channel. -
The human
${\beta}$ $_2$ -adrenergic receptor (h${\beta}$ $_2$ AR) contains seven clusters of hydrophobic amino acids suggestive of membrane-spanning domains and its gene is intronless. The genomic gene encoding h${\beta}$ $_2$ AR has been isola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To express h${\beta}$ $_2$ AR in Saccharomyces cerevisiae, a modified h${\beta}$ $_2$ AR gene was fused to signal peptide sequence of Killer toxin gene from Kluyveromyces lactics. This fusion gene was expressed under the galactose-inducible GAL10 promoter. The ligand binding experiments showed that the functional h${\beta}$ $_2$ AR was expressed at a concentration three times as much as that found in Hamster lung. -
수술시 근육 이완제로 사용되고 있는 metocurine iodide는 항생물질 투여환자, 중증 근무력중, 전해질 평형실조, 중증 신질환이 있는 환자 등에서는 작용이 증가되어서 상용량에서도 약화사고의 우려가 있어 규제가 필요한 약물이다. Metocurine iodide를 생체 시료중에서 분석하기 위해 rosebengal과 착제를 형성시켜 유기용매로 이온쌍 추출을 한 후, HPLC를 이용하여 rose bengal율 분석함으로써 metocurine iodide를 간접 정량하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이 방법은 뇨와 혈액증에 함유된 metocurine iodide를 0.09 - 9.10
$\mu\textrm{g}$ /m1농도에서 분석할 수 있었으며, 상관계수는 0.994 - 0.999로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었고, 동시 처방 약물의 영향은 거의 없었다. 뇨 및 혈액중 metocurine iodide의 검출 한계는 각각 0.8ng. 1.2ng (S =3)이었다. -
It has been known that adrenal corticosteroids influence the expression of adrenomedullary catecholamine-synthetizing enzymes and also suppress the emission of axonal-like processes in cultured chromaffin cells. In the present study, it was attempted ta investigate the effect of 17
${\alpha}$ -estradiol on catecholamine(CA) secretion evoked by acetylcholine(ACh), DMPP, McN-A-343, excess K$\^$ +/ and Bay-K-8644 from the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gland. The perfusion of 17${\alpha}$ -estradiol (10$\^$ -6/ 10$\^$ -4/M) me an adrenal vein for 20min produced relatively dose-dependent inhibition in CA secretion evoked by ACh (5.5${\times}$ 10$\^$ -3/M), DMPP (10$\^$ -4/M for 2min), McN-A-343 (10$\^$ -4/M for 4min) and Bay-K-8644 (10$\^$ -5/M for 4min), while did not affect the CA secretory effect of high K$\^$ +/(5.6 x 10$\^$ -2/M). Also, in the presence of 17${\beta}$ -estradiol, CA secretion of ACh, DMPP and McN-A-343 without any effect on excess K$\^$ +/-evoked CA secretion. However, in adrenal glands preloaded with 17${\alpha}$ -estradiol (10$\^$ -5/M) plus tamoxifen (10$\^$ -5/M), which is known to be a selective antagonist of estrogen receptors (for 20min),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ACh, DMPP and McN-A-343 were considerably recovered as compared to that of 17${\alpha}$ -estradiol only, but excess K$\^$ +/-induced CA secretion was not affected. -
Norepinephrine이나 angotensin II가 그 작용을 나타내는데
$Ca^{+2}$ 의 세포내 유입 또는 유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관점에서$Ca^{+2}$ -channel차단제중 benzothiazenpine계인 diltiazem의 norepinephrine과 angiotensin II의 혈압상승작용에 대한 영향을 가토에서 관찰하였다. Norepinephrine과 angiotensin II의 혈압상승작용에 대한 diltiazem의 영향을 관찰하는 경우는 diltiazem을 투여한 일정시간후에 norepinephrine이나 angiotensin II을 투여하여 나타나는 혈압변화를 diltiazem투여전의 norepinephrine이나 angiotensin II의 혈압상승치와 비교 검토하였다. Diltiazem은 norepinephrine과 angiotensin II의 혈압상승작용을 억재하였으나 그 억제 시간은 지속적이지 않았다. 이와는 달리 diltiazem투여 30-40분에는 norepinephrine의 혈압상승작용의 강화현상이 나타났다. Diltiazem은 교감신경말단차단제인 bethanidine이나 신경절 차단제인 chlorisondamine 처리 가토에서도 norepinephrine이나 angiotensin II의 혈압상승작용을 억제하였다. -
펩타이드 약물의 일종인 LHRH 및 그의 analogue인 〔D-Ala
$^{6}$ )LHRH의 경점막 수송경로를 개발하기 위하여 이들 약물을 점막 균질액과 배양시 점막에 존재하는 효소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저자등은 LHRH 및 〔D-Ala$^{6}$ 〕 LHRH의 점막 균질액 중에서의 분해산물을 HPLC에 의해 정량하였다. 또한 PITC법에 따라 아미노산 분석을 실시하여 이들 분해산물의 아미노산 조성을 밝히고 아울러 분해위치를 규명하였다. 즉 LHRH또는 〔D-Ala$^{6}$ 〕 LHRH를 직장, 비강 및 질점막과 일정시간 배양 후 시료를 HPLC에 주입하여 각 분해산물의 peak time에 용리액을 분획 수집하였다. 이것을 6N-HCl로 가수분해하여 유리아미노산으로 만들고 phenylisothiocyanate 유도체화 하여 PTC 아미노산으로 한후 아미노산 분석용 컬럼을 사용하여 HPLC로 정량 하였다. -
$Na^{+}$ ,$K^{+}$ -ATPase activity,$Na^{+}$ -dependent phosphorylalion, and [$^3$ 〕ouabain binding in sarcolemma prepared from 4 week old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HR) ventricles were compared to the same parameters in sarcolemma from age matched normotensive Wistar-Kyoto(WKY) rat ventricles to examine whether the reduced myocardial$Na^{+}$ -pump activity in SHR is an inherited enzymatic defect or a second phenomenon due to sustained hypertension. The total body weights, ventricular weights, and blood pressures were the same for SHR and WK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rcolemmal protein content and protein recovery were noted between the two pups. Sarcolemma isolated from SHR ventricles showed sigificantly less$Na^{+}$ ,$K^{+}$ -ATPase activity and number of phosphorylation sites when compared to snrcolemma 1mm the WKY ventricles. Equilibrium binding of [$^3H$ 〕ouabain and the turnovcr number of myocardial$Na^{+}$ ,$K^{+}$ -ATPast however, wee the same for both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ow affinity(${\alpha}$ , or${\alpha}_1$ ) isoform for ouabain is reduced in SHR compared to WKY but that the high affinity(${\alpha}$ +, or${\alpha}_2$ ) isoform is the same in ventricles of SHR and WKY. The reduced amount of at isoform of the$Na^{+}$ ,$K^{+}$ -ATPasc in prehypertensive SHR ventricles may play some pole in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
〔
$^3$ H〕Ouabain binding parameters(K$\_$ D/ and B$\_$ max/,) in homogenates prepared fpom control rat ventricular strip and Langendorff preparations which were not previously exposed to ouabain were compared to those in homogenates from ventricular strip and Langendorff preparations that had been first exposed to a complete ouabain dose-response curve(10$\^$ -7/M to 10$\^$ -4/ M). In rat ventricular strips and Langendorff perfused rat heart preparations, cumulative dose-response cruves of ouabain revealed biphasic positive inotropic effects, a "low-dose" and a "high-dose" effect with ED$\_$ 50/ values of 0.5${\mu}$ M and 35${\mu}$ M ouabain, respectively- The "low-dose" effect in rat ventricular strips disappeared or was diminished significantly when the ouabain dose-response curve wag repeated after the washout of the effects of the first curve, whereas the maximal "high-dose" effect was identical in both exposures to oubain. However, there was no change in the "low-dose" effects in both sets of the Langendorff perfused hearts. The contractile activity of the pre-exposed strips did not indicate the presence of residual ouabain since their basal contractile force was decreased 10% compared to initial control. 〔$^3$ H〕Ouabain binding parameters, K$\_$ D/ and B$\_$ max/, were not changed comparing homogenate of control ventricular strips with that of strips pre-exposed to ouaba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gitalis receptor desensitization in the rat ventricular strip may due to the change of post-receptor events induced by ouabain binding to a high affinity site(${\alpha}$ $_2$ isoform). -
오메프라졸의 산 불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신규 합성한 오메프라졸 cholestyramin resin 염 복합체와 오메프라졸 hydroxypropyl-
$\beta$ -cyclodextrin (HP-$\beta$ -CD) 포접화합물의 약효를 검색하였다. 생체외 실험 (in vitro test)으로 H$^{+}$ /K$^{+}$ -ATPase 활성도 저해효과를 검토하였으며 생체내 실험 (in vivo test)으로 Shay 결찰법에 의한 위산분비 억제효과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오메프라종 염 복합체와 오매프라졸 포접화합물은 1$\times$ $10^{-5}$ -1$\times$ $10^{-3}$ M농도 범위에서 용랴의존적으로 H$^{+}$ K$^{+}$ -ATPase 활성을 억제시켰으며$IC_{50}$ /치는 오메프라졸 결과와 유사하였다. 셍체네 실험에서는 오메프라졸 HP-$\beta$ -CD 포접화합물이 오메프라졸과 그 resin염복합체보다 위액분비량, 펩신 활성도에 대한$IC_{50}$ /치가 낮았으며 이는 생체내에서 포접 화합물이 오메프라졸의 안정성을 증가시킴으로서 위산분비 억제효과를 증가시킨것으로 사료된다. -
ICV infusion of morphine (MOR) produces strong analgesia in man and animals. The analgesic effect is thought to be mediated by the centrifugal inhibtory control, But neural mechanisms of the analgesic effect of ICV morphine are not well understood. For example, in the previous studies, ICV morphine does not inhibit nociceptive transmission in the spinal cord. On the contrary, ICV MOR often excites activity of dorsal horn neuron in the spinal cord. In the present study, we found that ICV MOR had dust actions on activity of dorsal horn neuron that it produced both inhibition and excitation of dorsal horn neurons. Since MOR exerts i Is action via three different types of opioid receptors, we further sought to investigate if there are differential effects of opioid receptor agonists on dorsal horn neurons when administered ICV.
-
The possible mechanisms of ginseng saponins on the inhibition of development of morphine tolerance and physical dependence were investigated in the aspects of morphine metabolism by morphine 6-dehydrogenase. Administration of morphine causes a reduction of non-protein sulfhydryl contents in liver, because morphinone is metabolized from morphine by morphine 6-dehydrogenase conjugates with sulfhydryl compounds. However, ginseng saponins inhibited the activity of morphine 6-dehydrogenase which catalized the production of morphinone from morphine. In addition, ginseng' saponins inhibited the reduction of non-protein sulfhydryl levels by Increasing the level of hepatic glutathio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ual action of the abov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nhibition of development of morphine tolerance and physical dependence. On the other hand, it was observed that less polar components of ginseng saponins with parent structures were more active components in vitro.
-
It has been shown that there are several subtypes of
$\kappa$ opioid receptor, We have evaluated the properties of non-${\mu}$ , non-$\delta$ binding of 〔$^3$ H〕DIP, a nonselective opioid antagonist, in rat cortex membranes. Binding to${\mu}$ and$\delta$ sites was inhibited by the use of an excess of competing selective agonists (DAMGO, DPDPE) for these sites. (-)Ethylketocyclazocine(EKC) inhibited 〔$^3$ H〕DIP binding with Ki. of 70 nM. However, arylacetamides (U69593 and U50488H) gave little inhibition. Also, we have examined the opioid modulation of K$\^$ +/(30 mM)-induced histamine release in rat frontal cortex slices labeled with 1-〔$^3$ H〕histidine. The 〔$^3$ H〕histamine release from cortex slices was inhibited by EKC, a$\kappa$ $_1$ -and$\kappa$ $_2$ -agonis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10 to 10,000 nM). The IC$\sub$ 50/ of EKC was 107${\pm}$ 6 nM. However, the$\delta$ receptor selective agonists, DPDPE and deltorphine II,${\mu}$ receptor agonists, DAMGO and TAPS,$\kappa$ $_1$ -agonists, U69593 and U50488H, and$\varepsilon$ -agonist,${\beta}$ -endorphin, did not inhibit histamine release even in micromoiar dose, indicating that${\mu}$ ,$\delta$ or$\kappa$ $_1$ receptors are not involved. The concentration-response curve of EKC was shifted to right in the presence of naloxone (300 nM), a${\mu}$ preferential antagonist, norbinaltorphimine(300 nM), a$\kappa$ $_1$ preferential antagonist and bremazocine(1 nM), a$\kappa$ $_1$ -agonist and$\kappa$ $_2$ -antagonist. These results suggest that$\kappa$ $_2$ opioid receptor regulates histamine release in the frontal cortex of the rat. -
항암화학요법후 가장 심각한 부작용의 하나는 중성구 감소에 의한 감염이다. 본원에서는 rhGM-CSF을 이용한 제 I상 임상연구에서 150-500
$\mu$ g/M$^2$ /day가 biologically active dose임을 보고한 바 있다. 연자들은 연세암센터에 내원하여 진행성 악성종양으로 병리조직학적 진단을 받고 항암화학요법시행후 골수억제가 예상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GM-CSF 용량에 따른 안전성 및 독성을 검토하고 백혈구 감소증 및 감염의 예방, 치료효과를 분석하여 임상사용권장량을 결정하기위한 2상 연구를 대상환자의 동의를 얻은후 시행하였다. 대상환자는 37명 (여 26, 남 11)이었고, 항암제는 Adriamycin, Cisplatin, VP-16이 주로 사용되었다. 최적임상사용권장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1500$\mu\textrm{g}$ /M$^2$ /day을 12명, 250$\mu\textrm{g}$ /M$^2$ /day을 12명, 350$\mu\textrm{g}$ /M$^2$ /day을 13명의 환자에게 투여하였다. 첫번째 항암 요법에는 rhGM-CSF을 투여하지않고 (비투여기) 두 번째 항암요법에서는 항암요법후 익일부터 10일간 연속, 매일 1회 피하주사하여 (투여기), rhGM-CSF 투여기와 비투여기의 백혈구 감소증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유전자 재조합으로 제조한 〔
$^{125}$ /I〕-labeled human GM-CSF를 사용하여 GM-CSF의 HL-60 cell의 표면에 존재하는 GM-CSF 수용체의 특성을 밝히고 수용체에 대한 binding parameter를 확인하고 Immunex(미국) 사에서 제조한 Prokine(Sargramostim)과 Sigma사에서 구입한 GM-CSF(C-9666)를 표준물질로 하여 (주) Lucky에서 제조한 GM-CSF(LBD-005)의 수용체에 대한 결합율을 측정, 각각 비교하고자 하였다. 한편 LBD-005는 glycosylation된 form과 안된 form의 혼합물이므로 당화의 정도가 수용체에 대한 결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glycosylated form과 혼합물(LBD-005)의 수용체에 대한 결합율을 측정 비교하였다. -
열분석 (DSC, TG/DTA)을 통해 Q-35는 A, B, C의 세가지 다형이 존재함을 알수 있었으며 이중 상대습도에 따른 흡습성의 변화가 적고, 가습에 의해 다형전환이 일어나지 않는 C형이 제제에 유리하다고 사료된다. 또한C형은 분쇄, 연합 및 타정에 의한 다형의 전환이 없었다. Q-35의 용해도는 물, 메탄올, 에탄올에 각각 0.30.3.55,6.31mg/m1 이었으며 PH5이상에서는 급격히 용해도가 감소하고 산성에서는 용해도가 크게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적층시험, 배합시험을 통해 선정한부형제의 표준 처방 혼합물로 정제를 저조한 결과Q-35의 성형성은 양호하였고 Q-35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붕해시간이 다소 지 연됨을 알수 있었다. 그러나 Q-35원료는 유동성이 적어 직타법이 적합하지 않았으며, 습식 과립압축법에 따라 저조한 정제의 붕해시간은 5-9분, 15분 후 용출은 91.
$\pm$ 5.0% 이었다. Q-35정제를 4$0^{\circ}C$ , 4$0^{\circ}C$ ㆍ 75%RH에서 6개월, 6$0^{\circ}C$ 에서 3개월 보존후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 100.0, 98.7, 98.9%이었으며 그밖의 항목에서도 안정한 결과를 얻어 Q-35정제는 온도 및 습도어 안정한 것으로 사료된다. 대량생산 연구결과 Q-35의 결정수가 이탈되지 않도록 건조, 코팅 공정 중 정제의 온도를 5$0^{\circ}C$ 이하로 유지시켰다. -
DA-125에 당류로서 Inositol, Dextrose, Iactose, Mannitol 및 Sorbitol을 첨가하여 DA-125 단독으로 용해한 시료와 비교 평가하였을 때 DA-125의 안정성에 큰 영향이 없었으며, 아미노산 중 L-lysine첨가시 안정성이 향상되는 컷으로 나타났다. 염류를 사용하였을 때는 NaCl, MgSO
$_4$ 첨가시 안정성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NaCl의 첨가 농도에 따른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 NaCl의 농도 증가에 따라 DA-125의 안정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타 안정화제로 Sodium Bisulfite 첨가시 안정성이 증가되었다. 안정성 시험 중 pH및 용액상태는 변화하지 않았다. -
1. 항암력 평가 : 마우스 고형종양 M5076, Colon26, Colon38에 대하여 DA-125는 DXR보다 높은 종양억제율과 많은 완치예를 보였다. 2. 일반약리작용 : M1의 호흡순환기계 및 적출 평활근에 대하여 유의한 약리작용은 인정되지 않았다. 3. 대사 및 대사효소유도작용 : DA-125를 랫드에 14일간 반복투여시 약물대사효소유도작용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랫드에서의 DA-125의 주대사경로는 M1->M2->M4로 추정되었다. DA-125 4mg/kg을 랫드에 정맥투여시, 24시간동안 담즙으로 배설된 M1, M2, M3 및 M4의 양은 투여량의 25.3%에서
$\beta$ -glucuronidase 처리후 39.5%로 증가하였으며, 효소처리후 포합체 형태로 배설되는 6개 이상의 형광을 갖는 미확인 대사체가 발견되었다. -
어류를 이용한 화학물질의 독성평가 방법 및 기작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암수동체 점박이 송사리에서 N-methyl-N'-nitrosourea (NMU)에 의해 유발되고 여성 호르몬의 일종인 17
$\beta$ -estradiol (E$_2$ )에 의해 촉진유도된 갑상선 종양의 조직학적 특징을 광학 현미경과 전자현미경 수준에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도된 갑상선 종양은 광학현미경 수준에서 포유류와 유사하게 hyperplasia형, medullary형, papillae형, follicle형, 그리고 papillae형과 follicle형의 혼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미토콘드리아의 변형, 핵의 크기 증가 및 핵내 세포질 봉입체 함입등의 특징이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양상과 매우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본 종이 신약의 갑상선 종양유발성을 검증하는데 매우 유용한 실험동물 모델임을 시사한다. -
중추신경계 작용약물은 동물행동에 대단히 민감하게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물일반 활동에 대한 중추신경계 약물의 효과와 단독 사육동물의 공격성 행동에 대한 중추신경계 약물의 효과를 연구한 결과 생쥐의 일반활동 pentobarbital, chloral hydrate, paraldehyde 등 수면제 투여 후 마취에 이르기 전 초기활동이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diazepam, clomazepam등 항불안제 투여 동물에서는 초기활동 증가현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생쥐를 단독 사육후 침입자에 대한 행동은 항불안제 약물투여시 공격성 행동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중추신경계 작용약물중수면, 마취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과 항불안제의 효과를 감별하는 방법으로 대단히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대상환자는 40예중 37예에서 평가가 가능하였고 남녀비는 11:26. 중앙연령 42세 이었으며 대상질환은 위선암 12에, 유방암 10예. 골옥종 5예등 이었다. rhGM-CSF에 의한 부작용은 150.250
$\mu\textrm{g}$ /$m^2$ /d 용량군에서는 Grade I-II의 전신쇠약감, 근육통.심계항진등이 관찰되었으나 특별한 조치없이 회복되었다. 350$\mu\textrm{g}$ /$m^2$ /d 용량군에서는 8예에서 WHO grade II-III의 전신쇠약, 전신열감, 흉부압박감, 호흡곤란 등을 호소하였고 1예에서 투여 1일러 WHO gradeIII의 피부반응이 나타났으며, 이 중 2예에서는 rhGM-CSF를 250$\mu\textrm{g}$ /$m^2$ /d로 감량투여후 상시 증상이 소실되었다. rhGM-CSF 투여전의 대조기와 투여기의 혈액학적 소견 비교시. 평균 중성구 최저치는 세 용량군에서 모두 관찰기에 비해 시험기어서 증가하였고. 평균 총 백혈군 최저치는 150.350$\mu\textrm{g}$ /$m^2$ /d 용량군은 차이가 있었고 250$\mu\textrm{g}$ /$m^2$ /d 용량군은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비혈구치가 최저치에서 4.000/㎣ 이상으로 회복되는 평균일수와 호중구치가 최저치에서 2.000/㎣ 이상으로 회복되는 평균일수는 세 용량군 모두에서 관찰기어 비해 시험기에서 증가하였다. 고용량 항암약물요법후 중성구 감소에 의한 발열은 rhGM-CSF 비투여기에서 18예. rhGM-CSF 투여기에서 8예 관찰되었다고 발열기간은 각각 5-7일. 2-3일 이었다. 임상 양상은 세 용량군 간 차이가 없었으나, 시험기에서 발열의 발현율이 낮았으며, 발열일 수와 항생제 사용일 수가 짧았다. 결론: 골수억제 조절 효과는 용량에 따른 혈액소견에 미치는 영향, 부작용, 감염의 빈도, 감염발생에 따른 항생제 사용기간 등을 고려하여 그 임상 유효성 평가시, 제 3상 시험에 사용할 권장량 (recommended dose) 은 250 ug/$m^2$ /d$\times$ 10d 으로 관찰되었다. -
대상환자는 15예로, 14예에서 평가 가능하였으며 남녀비는 8:6, 중앙연령 32세(10-70세) 이었고, 대상질환은 악성골옥종 7예, 악성임파종 2예, 위암 2예, 폐암 2예, 그리고 자궁평활근육종 1예였다. rhGM-CSF 50
$\mu\textrm{g}$ /$m^2$ 3예, 100$\mu\textrm{g}$ /$m^2$ 3예, 150$\mu\textrm{g}$ /$m^2$ 3예, 250$\mu\textrm{g}$ /$m^2$ 3예, 350$\mu\textrm{g}$ /$m^2$ 3예, 500$\mu\textrm{g}$ /$m^2$ 6예, 700$\mu\textrm{g}$ /$m^2$ 용량 3예에서 시행되었다. 1주기 시행한 환자는 7예, 2주기 5예, 3주기, 4주기 각각 1예씩 있다. 부작용은 50-150$\mu\textrm{g}$ /$m^2$ 에서 WHO grade I의 발열, 전신쇠약, 식용부진등이 관찰되었으나 grade II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 250$\mu\textrm{g}$ /$m^2$ 이상의 용량에서도 grade II의 발열이 관찰되었을 뿐 다른 중증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최고용량인 700$\mu\textrm{g}$ /$m^2$ 에서도 grade II의 발열외의 중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각 용량에 따른 백혈구 증가율(%투여제2일/투여제1일)은 130-500% 이었다. rhGM-CSF는 투여 2-4 시간후 혈중최고치 (0.42-15.4 ng/ml)가 관찰되었으며 투여 12시간까지 0.2-2 ng/ml 의 농도가 지속되었다. 소변내 rh GM-CSF 배설량은 총투여량의 1% 미만이었다. -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Pfaffia paniculata, known as Brazil ginseng, caused occupational asthma. To assess a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ginseng and allergic reactions, total IgE in serum, allergologic parameter, was investigated. Serum total IgE were measured in 8 takers of ginseng for more than 5 yr, 4 subjects of weak constitution, 10 workers participated in the washing of fresh ginseng in factory and 7 control subjects, Blood samples were taken before and after the scheduled exposure to Korean ginseng, sera were kept frozen until assay. Total IgE levels after the scheduled exposure to Korean ginse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group and total IgE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control subjects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groups at the start of experiment and at the end of experi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osure to Korean ginseng dose not affect significantly the IgE immune response in volunteers. No changes of levels of IgE on the exposure of Korean ginseng may represent additional evidence of the lack of antigenic potential of Korean ginseng.
-
자외선 등에 의한 DNA 합성억제의 회복과정에서의 기작을 규명하기 위하여 자외선에 의하여 억제되었던 DNA 합성이 새로운 replication origin을 사용하는 지를 DNA 복제가 일어나는 장소로 알려진 nuclear matrix와 연관지어서 살펴 보았다. 자외선 조사후 새로 합성된 DNA 분자들의 크기는 시간이 경과하여도 대조군의 DNA 분자들의 크기보다 작았으나 그 성장 양상은 차이가 얼었고, 자외선이 조사된 세포에서 parental DNA의 부가적인 결합이 DNA 합성률의 회복에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외선 상해의 회복과정에서 생기는 알카리 민감성 부위는 RNA linker에 의해 생겨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자외선에 의해 pyrimidine dimer가 생기면 첫째로 절제회복에 의해 제거되어지지만, 남아 있는 pyrimidine dimel에 의해서 DNA 복제억제는 여전히 억제되어 있다. DNA 복제억제의 회복은 새로운 복제원점이 활성화되어 nuclear matrix에 결합하여 새로운 DNA 합성이 시작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RNA linker는 복제진행시 DNA 상의 gap으로 생긴 tyopological strain을 제거하는데 이용되어진다.
-
생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환경성 물질들 (이하 약물로 칭함)은 세포내에서 일련의 대사과정을 받아 수용성으로 전환되어 체외로 배설된다. 생체내에서의 지용성 약물에 대한 생화학적 방어체계중 대사적 방어기구는 약물대사의 phase I활성화 과정인 독성화 과정과 약물대사의 phase II 포합과정인 해독화 과정이 상호균형을 이루어 생체내의 향상성을 유지하도록 방어기능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약물대사는 생체내 여러 장기에서 일어날 수 있으나 주로 대부분이 간에서 이루어진다. 즉, 간에서 약물의 약리학적 알성의 시작과 종료가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간은 약물대사, 약물의 독성 및 해독작용에 대한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약물대사의 기초연구는 물론 신물질 개발에 있어서 개발약물에 대한 간세포의 손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보다 효과적인 간독성 평가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절실히 요구된다.
-
Addition of AAF to murine splenocytes culture produced a dose-related suppression of lymphoproliferative response to lipopolysaccharide (LPS). The time course of the suppression showed that a significant inhibition was occured after a 18 hr AAF treatment. Total protein kinase C activity in splenocytes was decreased to 72% of control level after a 18 hr AAF treatment. Phosphorylation of a PKC specific 80 kDa protein was increased by LPS and AAF down-regulated LPS-induced PKC activity. LPS-induced phosphorylation of overall proteins in membrane and cytosolic fraction were also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AAF. A significant increase of PKC activity in membrane fraction was noticed within 10 min of AAF treatment compared to LPS alone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to LPS level in 60 min. Meanwhile, PKC activity in cytosolic fraction was increased slightly in 10 min by the treatment of AAF and then decrease to 80% LPS level in 30 mi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uppressive effect of AAF on LPS-induced lymphoproliferative response may be associated with the down-regulation of PKC and other susceptible kinases in spleen cells.
-
의약품등의 배아(태자) 독성물질에 의해서 유도될 수 있는 태자체중의 감소와 골화지연은 실험동물을 이용한 생식독성 시험에 있어서 자궁내 발육지연 (intrautering growth retardation)으로 평가된다. 태자체중은 측정이 매우 용이한 변수에 속하지만 골화지연의 평가에는 유해인자 (noxa) 의 작용시 기형이 유발되지 않는 골격부위가 가장 적합한데, 어느 골격부위가 발육지연 효과의 평가를 위하여 가장 적합한지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태자체중과 골화의 상관성 조사가 필수적이다. 연구결과 골격형성은 골격부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는데, 크게는 거의 골화가 종료된 부위 (예: 흉골) 와 골화가 진행증인 부위 (예: 천미추) 로 구분되었고 주요 골격부위의 골화와 태자체중의 관계를 조사한 바, 골격부위에 따라서 상이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로는 ICR 마우스에 있어서 천미추의 골화짐 수가 태자제중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천미추의 변이계수는 타 골격부위에 비해서 그다지 높지 않았다. 따라서 ICR 마우스를 이용한 생식독성시험에 있어서 천미추의 골화 진행도는 의약품등에 의해 유도될 수 있는 발육지연 효과의 평가를 위한 가장 적합한 지표라고 판단된다.
-
Carboxyethylgermanium sesquioxide(Ge-132)를 투여용량(300,600, 900mg/kg)과 투여일을 변화시켜 정상마우스와 cyclophosphamide(CY)로 처리한 마우스에 경구투여한 후, Ge-132가 CY 에 의해 변화된 마우스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하였다. SRBC 항원 주사전, 동시 또는 후에 Ge-132를 투여시 SRBC에 대한 적혈구 응집소가와 비장세포의 용혈반 형성세포(PFC)수가 항원 주사일과 관계없이 용량의존적으로 증가되어 체액성 면역반응을 강화시켰으며, 마크로파지의 탐식능도 항진시켰다. 그러나 DNFB에 대한 접촉성 지연형 과민반응은 DNFB 감작일과 투여용량에 관계없이 Ge-132투여로 억제되었다. CY를 투여한 마우스에 Ge-132를 병용 투여한 군이 CY 단독 투여군에 비하여 적혈구 응집소가와 PFC수 및 혈중 탄소입자의 제거율이 현저하게 증가되어, CY로 억제된 체액성 면역반응과 마크로파지의 탐식능이 항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DNFB 감작 전 CY 투여로 증폭된 접촉성 지연형 과민반응이 Ge-132 병용투여로 감소되어 CY로 유도된 면역독성 반응에 대한 Ge-132의 저지효과를 시사해 주었다.
-
다양하고 복잡한 기전에 의하여 정교히 조절되고 있는 면역 체계의 비정상적인 기능에 비롯된 자가 면역 질환을 개선, 치료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많은 면역 조절제가 개발되어 온 바 있으며, 이들의 면역 조절 기전은 약물에 따라 그 효능에 있어 차이가 크고 독성등의 부작용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현저히 제한되고있는 경우가 많아 보다 안전하고 효능있는 새로운 면역 조절제의 개발은 아직도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실에서는 천연물로부터의 새로운 면역 조절제의 검색을 수행하여 온 바 있으며, 그중 Brazilin이 Low-dose Streptozotocin의 반복 투여에 의해 유도되는 당뇨병 상태의 면역 조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검색하고자 하였다.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여보면, Brazilin은 외부항원 (SRBC)의 유입시 정상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저하되어 있는 T cell의 기능을 정상 대조군 혹은 그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B cell의 기능 역시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Brazilin은 Streptozotocin 유도 당뇨병 상태의 면역기능을 정상화시키는 면역 조절활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Gram 음성균의 세포벽 성분인 lipopolysaccharide (LPS)는 생체내에서 각종 생리 활성 물질의 생성을 증진 시킴으로써 내독성 shock등의 병변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중 prostaglandin (PG)합성 증진 작용에 대해서는 많은 보고가 이루어져 있으나 그 자세한 작용 기전이나 특성등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랫드의 폐포 macrophage를 대상으로 하여 LPS의 PG 합성 증진 작용에 대한 특성을 확인코자 하였다. 우선 LPS에 의한 PG 합성 profile을 시간별로 확인한 결과 처리 6 시간 이후에 현저한 합성 증가를 관찰하였으며, 이는 주로 cyclooxygenase의 활성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LPS는 짧은 시간 동안의 처리에 의해서도 PG 합성을 증진 시켰으나, 양적인 면에서, 장시간 처리에 비해 극히 적었고, 이 작용은 phospholipase
$A_2$ 활성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 되었다. LPS에 의한 PG합성 증진 작용은, TNF나 PAF의 생성을 매개로 하지는 않았으며, serum의 존재가 필수적임을 확인하였다. EGF, PDGF 등의 growth factor들은 그 자체로는 PG 합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지는 않았으나 LPS와의 병용 처리에 의해 어느 정도의 증진 작용을 나타내었다. 또한, 정상 랫드 serum도 LPS와의 병용 처리에 의해 PG 합성을 현저히 증가 시켰으며, 따라서, LPS는 serum 중의 각종 growth factor 외에도 LBP등의 serum factor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PG합성 증진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 되었다. -
Allyl alcohol은 간에서 두 단계의 효소 반응을 거쳐 대사되는데, 먼저, 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해 독성 활성체인 acrolein으로 바뀌고, 이후 계속하여 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해 acrylic acid로 무독화되어 배설된다. Ethanol 역시 간에서 대사되는데 있어 같은 효소들을 공유하므로 allyl alcohol과 경쟁적으로 반응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ethanol에 의한 대사 효소 경쟁반응에 의해 allyl alcohol 의 간독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하였다. 우선 ethanol과 allyl alcohol을 동시 투여할 경우 5시간째에 allyl alcohol에 의해 증가된 ALT level을 낮춘다는 보고를 확인하고자 ethanol 2 g/kg과 allyl alcohol 40 mg/kg을 동시투여했으나 오히려 치사율이 증가했고, ethanol을 2시간 전처리한 군에서도 역시 치사율이 증가되고, 간의 glutathione 양은 allyl alcohol 단독 처리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
5, 8-Quinolinedione모핵은 항진균, 항균, 항암제등의 pharmacophore 이다. 그리고 신약 창제의 lead compound로 생체내 전자전달계에 작용하여 환원을 받으면 quinone semiradical과 superoxide를 생성하여 진균, 세균등을 공격하여 항진균, 항균작용이 예상된다. 새로운 항진균제를 개발하기 위해 6-chloro-7-(halo-phenyl)-5,8-quinolindione유도체 (RCK1-12)을 합성하여 이들 화합물에 대하여 항균작용 및 항진균작용을 검색했다.
-
본 연구에서는 먼저 14종의 flavonoid화합물을 대상으로 발암물질로서 잘 알려져있는 benzo(a)pyrene[B(a)P]에 대한 소핵생성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소핵시험을 이용한 유전독성억제실험에서 비적적 큰 활성을 보이는 flavonoid는 2,3 이중결합과 3,5,7-trihydroxyl기를 갖는 polyhydroxy flavonol화합물들이었다. 이중에서 galangin은 활성이 비교적 컸으며, 이같은 유전독성억제효과는 galangin투여시 B(a)P의 대사활성화가 감소되고 활성본태산물들의 DNA binding을 저해함으로서 나타났다. 한편, galangin은 대사활성화가 필요없는 1차 발암물질인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에 의한 소핵생성도 감소시켰다. 이러한 galangin의 alkylating agent에 대한 유전독성억제효과는 calf thymus DNA를 이용한 실험에서 DNA의 메칠화를 저해하는 기전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galangin은 mitouycin과 같은 DNA cross-linking agent에 의한 소핵생성에도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동시투여(simultaneous treatment)나 사후투여(post-treatment)시보다 사전투여(pre-treatment)시에 소핵생성억제효과가 컸으며 사전연속투여(multiple Pre-treatment)시에는 낮은 용량에서도 효과가 컸다. 이러한 저용량의 사전연용투여에 의한 유전독성억제효과들은 B(a)P나 MNNG에 대해서도 잘 나타났다.
-
중금속이 양서류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Xenopus embryo 2 할구기부터 카드뮴, 수은, 납. 구리, 아연 등을 여러 농도로 지속적으로 처리한 후 치사율과 이상 발생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은, 카드뮴. 구리, 납. 아연의 순으로 독성이 강함을 알 수 있다. 중금속 중 카드뮴 처리시 나타나는 현상으로는 창자, 눈, 체축. 지느러미, 십장 등의 이상과 수포 등을 들 수 있다. FETAX (frog Embryo Teratogenesis Assay : Xenopus)의 분석 결과 LC
$_{100}$ 은 1.5 ppm, EC$_{100}$ 은 1PPm 이었고 기형 유발지수(TI)가 2. 8 인 점으로 보아 카드뮴을 Xenopus embryo에 있어서 기형유발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간손상에 대한 해독제의 연구 및 안전성 평가연구로서 H
$_2$ -rcccptor길항제와 한방에서 건위역으로 이용되는 생약추출물 (생강, 정향 및 후박나무의 수피추출물, 강활, 시호, 토복령 및 금은화)이 화합물로 유발된 간독성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또한 식물의 2차 대사산물로서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향신료 등의 첨가제로 이용되는 monotcrpcnoids중$\alpha$ -pinene, limonenc, gcraniol 및 cincol 이 phase II 효소계중 glutathione S-transferase(GST)의 class alpha 및 mu family계 효소와 microsomal cpoxidc hydrolase(mEH)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
광독성 및 광알러지를 일으키는 제반 약물이나 화학물질의 안정성과생체 이용율을 높이고 현재까지 확실하게 규명되어있지 않은 약물 및 화학물질에의한 광독성 광알러지성의 기전을 이해하고 설명할수있는 학문적 기초를 확립 하고저 phenothiazines 중 몇가지 약물를 택하여 적혈구를 이용한 광용혈 여부와 이에 미치는 ascorbic acid, butyl hydroxy anisole, dibutyl hydroxy toluen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 약물 농도를 50
$\mu\textrm{g}$ /m1로 하고 UVA(350nm.2.5 ㎽/cm)조사시간은 30분으로 하여 적혈구의 광용혈현상을 Kahn등의 방법에의해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한결과 chlorpromazine, perphenazine, thioridazine매 의한 광용혈정도는 ascorbic acid에의해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또한 적혈구를 가하기 전 각 약물을 미리조사시켜 생성된 물질에의한 광용혈현상의 광독성생성물질은 chlor- promazine과 thioridazine에서 보여졌으며, chlorpromazine의 광독성생성물질에 의한 적혈구 용혈현상만 ascorbic acid에의해 감소되었다. -
OMZ과 HP-
$\beta$ -CD 포접화합물의 유형은$A_{L}$ type의 가용성 복합체이며, CD, UV, IR, DSC, XRD pattern 및$^1$ H-NMR 방법으로 측정한 포접화합물의 결함형태는 OMZ의 benzimidazole부분이 HP-$\beta$ -CD 공동에 포접된 형태이었고, OMZ과 HP-$\beta$ -CD의 결합조성몰비는 1:1, 안정도 상수는 약 34 M$^{-1}$ 이었다. 또한 cholestyramine 수지와 OMZ 복합체는 방출양상이 신속하였다. OMZ-cholestyramine 수지염은 안정성이 양호하고 용출율이 우수한복합체로 경구용 재제를 개발할 수 있었으며, 용출시험 및 산 저항성이 양호하고 pellet의 제조에 있어서 core의 제조는 정제수 : 에탄올(7: 3) 결합액을 이용하여 lactose를 주로 사용하고 기타 PEG 6000, sorbitol, Avicel PH101, sodium lauryl sulfate 및 무수 PVP K-30을 적절히 배합하여 제조하고, 장용코팅의 내산성은 90.5% 이었으며, 소장에서의 용출경향이 85%이상이 10분 이내에 용출되어 규정에 적합하였다. -
항암화학요법후 가장 심각한 부작용의 하나는 중성구 감소에 의한 감염이다. 본원에서는 rhGM-CSF을 이용한 제 I상 임상연구에서 150-500
$\mu$ g/M$^2$ /day가 biologically active dose임을 보고한 바 있다. 연자들은 연세암센터에 내원하여 진행성 악성종양으로 병리조직학적 진단을 받고 항암화학요법 시행후 골수억제가 예상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GM-CSF 용량에 따른 안전성 및 독성을 검토하고 백혈구 감소증 및 감염의 예방, 치료효과를 분석하여 임상사용권장량을 결정하기위한 2상 연구덜 대상환자의 동의를 얻은후 시행하였다. 대상환자는 37명 (여 26, 남 11)이었고, 항암제는 Adriamycin, Cisplatin, VP-l6 이 주로 사용되었다. 최적임상사용권장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1500$\mu\textrm{g}$ /M$^2$ /day을 12명, 250$\mu\textrm{g}$ /M$^2$ /day을 12명, 350$\mu\textrm{g}$ /M$^2$ /day을 13명의 환자에게 투여하였다. 첫번째 항암요법에는 rhGM-CSF을 투여하지않고 (비투여기) 두번째 항암요법에서는 항암요법후 익일부터 10일간 연속, 매일 1회 피하주사하여 (투여기), rhGM-CSF 투여기와 비투여기의 백혈구 감소중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
최근 개발된 Teicoplanin은 glycopeptide계의 항생제로서 vancomycin과 그 작용 기전이 비슷하지만, 근육 주사가 가능하고, 반감기가 길어서 하루 한번 주사하여도 되며, 빨리 주입하더라도 red man syndrome이생기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그람 양성균에 의한 감염증을 치료하는데 teicoplanin이 효과적이고 안전한지를 vancomycin과 비교하는 것이다. 대상 환자 및 방법: 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하여 그람 양성균 감염증이 확인되거나 강력히 의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감염증의 종류는 패혈증, 골수염, 하기도 감염증, 감염성 관절염,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 요로 감염증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를 무작위로 teicoplanin또는 vancomycin군에 무작위 배정하였다. Teinoplanin은 처음에 loading을 위하여 400mg씩 12시간마다 3회 주사하고 이후에는 증증 감염이면 하루에 400mg, 중등중이면 200mg씩을 주사하였다. Vancomycin은 500mg을 6시간마다 또는 1. 0g을 12시간마다 정맥주사하였다. 치료 기간은 요로 감염증 5-10일, 하기도 감염증 5-10일, 패혈증 14-21일, 골수염 21-42일, 세균성 관절염 21-42일,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 5-10일로 하였다.
-
식이습관을 바꾸지 않는 상태에서 4주간의 placebo 투여후 혈청 Total-C치가 240mg/dl 이상인 원발성 고콜레스테 혈증환자 25예씩 두군으로 하여 제1군은 lovastatin 20mg에서 80mg을 1일 1회 저녁에 12주간 투여하였고, 제2군은 pravastatin 5mg을 12주간 아침 저녁으로 2회 경구 투여하였다. Lovastatin과 pravastatin 12주 투여후 혈청 Total-C치는 309
$\pm$ 46mg/d1에서 201$\pm$ 37mg/d1로, 281$\pm$ 41mg/d1에서 218$\pm$ 31mg/d1로, 혈청LDL-C치는 230$\pm$ 46mg/d1에서 125$\pm$ 40mg/d1로, 199$\pm$ 46mg/d1에서 137$\pm$ 37mg/d1로 각각 유의하게 감소 하였다. (p < 0.005)혈청 Apo B치는 183$\pm$ 32mg/d1에서 114$\pm$ 26mg/d1로, 164$\pm$ 38mg/d1에서 123$\pm$ 20mg/d1로, 혈청 Apo B / Apo A-1 ratio는 1.6$\pm$ 0.4에서 1.0$\pm$ 0.3으로, 1.4$\pm$ 0.5에서 1.0$\pm$ 0.3으로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005) Lovastatin 및 pravastatin 투여후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중상이나 검사상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
목적 : 만성신부전환자에서 carumonam의 약동학적 특성을 검토하고, 동시에 투석에 의한 carumonam의 제거 양상을 분석하여 이들 환자에서 carumonam의 적절한 투여용량 및 용법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방법 : 혈액투석(HD) 또는 지속성 복막투석(CAPD)을 받고 있는 14명의 말기 신부전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HD환자에서는 carumonam 1 g을 20분간 지속정주하고 4시간 이후 혈액투석을 4 또는 5 시간 시행하였으며 투약 후 36시간까지 경시적으로 혈액 및 투석액을 채취하여 체액내 약물 농도를 측정하였다. CAPD환자는 1일 3회 (6.6, 12 시간) 투석액을 교환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투석직후 carumonam 1g을 지속정주하고, 투약후 36시간 후까지 경시적으로 혈액 및 투석액을 채취하여 CAPD 환자에서 carumonam의 약동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체내 동태는 HD의 경우 dialyser를 포함하는 2-compartmental model에 의한 분석을 시행하였고, CAPD를 시행받는 환자의 경우에는 체액과 투석액사이에 bidirectional clearance 개념을 도입한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Omeprazole의 약동학적 Parameter는 tmax를 제외하고 두 군간에 유의한 (p<0.001) 차이론 보였다 : AUC의 평균치는 5-mephenytoin hydroxylation poor metabol izer에서 extensive metabol izer에 비해 약 6-7배 컸다. Omeprazole sulfone의 parameter는 omeprazole에서 관찰된 두 군간의 차이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5-hydroxyomeprazole의 경우에는 Cmax, AUC 등이 extensive metabolizer에서 더컸다. Omeprazole의 청소율은 S-mephenytoin hydroxylation 대사능(MR)과 유의한 상잔관계(rs=0.79, p<0.01)를 보였으며, omeprazole과 그 대사물(5-hydroxyomeprazole 및 omeprazole sulfone)의 반감기 또한 S-mephenytoin hydroxylation 대사능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
Possibility whether lead ingestion can cause selective toxicity to central serotonergic nervous system in rats was tested. Three groups of wistar rats; 1)Control, 2) Low dose and 3) High dose groups, were prepared. In prenatally lead-exposed rats, until parturition from dams, rat pups were intoxicated via placenta of mother rats having received drinking water containing either 0%(control ), 0.05%(low dose) or 0.2%(high dose) of lead acetate respectively, In postnatally lead-exposed rats, right after parturition from dams rat pups received drinking water containing either 0% (control), 0.05%(low dose) or 0.2%(high dose) of lead acetate. At 2, 4, 6 and 8 weeks of age, tryptophan hydroxylase (TPH) activity and Na
$\^$ +//K$\^$ +/-ATPase activity were measured in 4 areas of rat brain; Telencephalon, Diencephalon, Midbrain and Pons/Medulla. TPH activities were assayed by modified method of Beevers et al. (1983) using L-(5-$^3$ H)-tryptophan as substrate. TPH activity was determined as a criterion of lead poisoning to central serotonergic nervous system and Na$\^$ +//K$\^$ +/-ATPase activity as a criterion of non specific lead poisoning to any kinds of tissues. Selective toxicity of lead poisoning to central serotonergic nervous system was evaluated by the changes of TPH activities without concomitant changes of Na$\^$ +//K$\^$ +/-ATPase activities. In prenatally lead-exposed rats. this selectivity was found in Telencephalon (2 weeks of age), Diencephalon/Midbrain (2 weeks of age), Midbrain (4 and 6 weeks of age), Pons/Medulla (2, 4 and 6 weeks of age) In rats exposed to low dose of lead and Pons/Medulla (2 weeks of age) to high dose of lead. In postnatal Iy lead-exposed rats, this selectivity was found in Telencephalon (8 weeks of age), Diencephalon(8 weeks of age), Pons/Medulla (6 and 8 weeks of age) in rats exposed to low dose of lead and Pons/Medulla (8 weeks of age) to high dose of lead.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d poisoning may exhibit selective toxicity to central serotonergic nervous system. -
Cho, Dae-Hyun;Kim, Jun-Gyou-;Ahn, Mi-Young;Park, Mi-Kyung-;Moon, Byung-Woo;Moon, Hwa-Hwey;Lee, Byung-Mu- 336
In order to develope the in vitro short term screen-ing method for carcinogen, we studied a purification method for thymine glycol in oxidaized DNA. Thymine glycol (5,6-dihydroxy-5, 6-dihydrothymine) is the major stable radiolysis poduct in thymine by chemical oxidants and ionzing radiation and it is a useful biomarker among oxidized DNA adducts, related with carcinogenests. Standard thymine glycol was prepared by oxidation of 〔$^3$ H〕 thymine with KMnO$_4$ followed by purification with HPLC-LSC system and it was assayed by TLC and gas chromatography-MSD. 〔$^3$ H〕 DMA adducts was isolated from E. coli (wild type ) treated with oxidative agents such as benzo(a)pyrene, adriamycin, aflatoxin B$_1$ and KBrO$_3$ . These oxidative agents generated free radicals in cells by oxidative metabolism. As a result, thymine glycol was produced in cultured E. coli by four chemicals. This result shows that this methodology should be useful tool in screening oxidative carcinogen. -
Phenol, acetaminophen(AA) and salicylamide are all known to be sulfated in rats and mioe. We have previously demonstrated that capacity-limited sulfation of xenobiotics in rats is due to the reduced availability of hepatic PAPS, the co-substrate for sulfation, which in turn is limited by the availability of its precursor, inorganic sulfate. Because species differences have been reported in the extent of sulf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xenobiotics lower hepatic PAPS and sulfate in ICR mice. All three substrates decreased serum sulfate concentrations in a dose-and time-dependent manner. However. contrary to the observations in rats, phenol markedly increased hepatic PAPS concentraions in a dose-dependent manner, 1 hr after ip injection of 0-4 mmol/kg. Following ip injection of 2 or4 mmol/kg phenol, hepatic PAPS concentraions were enhanced 2-3 fold, 0.52 hr arter dosing and returned to control values 3 hr after dosing, whereas AA and salicylamide had little effect on hepatic PAPS concentrations. In summary. these studies demonstrate that phenol markedly enhances hepatic PAPS concentrations in mice, whereas hepatic PAPS levels are not affected by AA and salicylamide. Our data suggest that 1) hepatic sulfation for high dosages of xenobiotics in ICR mice is not limiod by the availability of co-substrate, and 2) there are significant species differences in the regulation of PAPS between rats and mice.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effects of d-1 imonene and cineole on the benzo(a) pyrene (BP)-induced mutagenicity, BP metabol ism and lipid peroxidation. Modified Ames assay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inhibitory effect of d-1 imonene and cineole on the BP-induced mutagenici ty. The number of revertant-bearing wet Is was decreased by 44∼77% in the presence of both BP and d-1 imonene compared with that of BP alone wherease cineole decreased the nutter of revertant-bearing wet Is by 28∼45% at the concentrations between 2
${\mu}$ M and 2mM. d-Limonene suppressed BP metsbolism by 16, 26 and 55% at the same concentrations. The EC$\_$ 50/ values for d-1 imonene and cineole in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were 2.0 mM and 16mM respectively, as assayed by thiobarbituric acid method. The pre sent study showed that d-1 imonene and cineole have common ant imutagenic effects although d-1 imonene appeared to be more effective than cineole in suppressing mutation and lipid peroxid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mutagenic effects of d-1 imonene and cineole nay be associated with alternation in enzyme activities and with inhibition of lipid pero xidation. -
It has been reported that Indole-3-carbinol (I3C), a naturally occurring compound In cruclferous vegetables, exerts anticarcinogenic activity In several organs In rodents. The modifying effects of I3C were therefore assessed uging a rat multi-organ carcinogenesis model. A total of 100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imals of groups 1 and 2 were sequentially treated with diethylnitrosamine (DEN; 100 mg/kg b.w., i.p.), N-methylnitrosourea (NNU; 20 mg/kg b.w., 4 times for 2 weeks, i.p), and dihydroxy-di-N-propylnitrosauine (DHPN; 0.1% In d.w. for 2 weeks) for 4 weeks (DMD treatment). Animals of groups 1 and 3 were given the diet of 0.25% I3C for 20 weeks after DMD initiation and then were given basal diet for 28 weeks. All animals were sacrificed at week 24 and 52, respectively. I3C has been clearly demonstrated promoting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glutathione S-transferase placental form (GST-P) positive hepatic foci at 24 weeks of the experiment. And I3C also exerted promoting potential In the hepatocellular adenoma (4/14; 29%) and the adenoma (7/14; 50%) of the thyroid gland at 52 weeks of the experiment. Therefore, I3C may promote hepatocarcinogenesis and thyroid tumorigenesis in the rat multi-organ carcinogenesis model.
-
Since total hepatic ischemia(IS) occurs with transplantation, there has been interest in evaluating hepatic function after ischemia and subsequent reflow of blood. Four groups of animals were studied: group 1 (sham), group 2 (30mins IS), group 3 (60mins IS), and g.cup 4 (90mins IS). Serum transaminase(STA), wet weight-to-dry weight ratio(W/D), lipid peroxides(LPO), glucose-6-phosphatase(G-6-Pase) activity, Na
$\^$ +//K$\^$ +/-ATPase(ATPase) activity were measured at 1, 5 and 24hrs after hepatic ischemia.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between 1 and 5hrs of reperfusion. STA was 3579${\pm}$ 401, 4593${\pm}$ 675 and 6348${\pm}$ 808 U/L in group 2, 3 and 4 respectively. These changes were ischemic time-dependent manner. W/D in group 3 and 4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at in sham group at all time points measured. In sham group, the level of LPO in the liver microsome remained constant at approximately 0. 5nmole MDA formed/mg protein througllout the experiment, In all ischemic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LPO started to increase at ischemia and markedly increased at all reperfusion period. Similar to STA, these changes were also dependent on duration of ischemia. Although G-6-Pase activity remained unchanged in both group 2 and group 3 until 5hrs of reperfusion, marked decrease in G-6-Pase activity was observed at grcup 4. ATP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1, 5 and 24 hrs of reperfusion in group 3, whereas it was not changed in group 2. Furthermore, ATPase activity in group 4 started to decrease at ischemia and markedly decreased for entire reperfusion period. These data suggest that severity of hepatocellular injury is associated with period of ischemia as well as period of reperfusion. -
생체막의 주요 구성성분인 인지질의 2번 위치에 결합한 불포화지방산은 각종 전이금속이나 각종 활성산소들의 공격을 쉽게 받아 지질과산화반응이 일어나서 생체에 유독한 화합물을 생성하게 된다. 생체는 이러한 기구의 해독을 위하여 크게 2가지 방어기전을 갖고 있다. 즉 Vitamin- C,
$\alpha$ -tocopherol, flavonoid, SOD, catalase 등과 같이 생성된 활성산소를 제거시키는 기구와. 활성산소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물을 제거시키는 기구로 glutathione peroxidase (GPX)가 알려졌으며 GPX에 의해 독성이 낮은 수산화물까지 환원시키는 기구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인지질의 과산화물 그대로는 GPX의 기질이 쥘수 없으므로, 산화된 지방산을 절단하는 효소에 대한 기구의 해석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여러질병에 관련되어 있는 인지질 2번위치의 지방산을 분해하는 phospholipase$A_2$ (PLA$_2$ )가 과산화지질의 분해에 관여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at liver microsome에$CCl_4$ 투여로 일어나는 과산화반응에 있어서 PLA$_2$ 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행하였다. -
(1) 바셀린은 30
$^{\circ}C$ 이하에서는 항복치를 갖는 의소성 유동거동을 나타내며 이때의 유동특성은 Herschel-Bulkley의 유동모델과 일치한다. (2) 30-50$^{\circ}C$ 범위에서는 Bingham 모델에 따른 이상 소성 유동 거동을 나타낸다. (3) 50$^{\circ}C$ 이상의 고온에서는 항복치를 갖지 않는 순수한 Newton 점성유체로 간주할 수 있다. (4) 바셀린의 유동곡선은 전단속도의 단계적 증감에 따라 비가역적인 히스테리시스 루프를 그리나 루프의 면적은 온도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 (5) 큰 전단속도로부터 급격히 낮은 전단속도를 부가하면 응력의 평형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 (6) 40$^{\circ}C$ 이상 온도에서의 유동거동은 시간에 무관하다. -
1. 목 적 : 혈액 중에 존재하는 약물은 대부분 혈장 단백질과 결합하며, 비단백 결합성 약물만이 생체막을 통과하여 여러 조직에 분포되고, target eel1에서 약리학적 작용을 나타내며, 대사, 배설 될 수 있다. 단백결합율이 높은 약물일수록 비결합성 약물의 양은 적어지며, 따라서 비결합성 약물의 증가는 약효의 상승을 의미하게 된다. 최근 만성 질환에 한약의 병용투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단백결합율이 높은 감초의 주성분인 Glycyrrhizic acid(GA)와 고혈압 치료제로 많이 사용되는 칼슘 길항제를 병용 투여할 경우, 칼슘 길항제의 혈장 단백결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2. 방 법 : Diltiazem hydrochloride, Verapamil hydrochloride, Nifedipine 와 GA를 model 약물로 하여 평형 투석법과 한외 여과법을 이용하여 fatty acid free human serum albumin(HSA), Low density lipoprotein( LDL ), of-Acid glycoprotein(AAG), plasma 각각에 대한 결합율을 HPLC로 분석하였으며 또한 Scatchard plot를 이용하여 binding parameter를 구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 GA는 Diltiazem의 HSA와 plasma의 결합율에 영향을 미쳤으며, Verapamil의 HSA, LDL, AAG, Plasma 결합율에, 그리고 Nifedipine의 HSA, LDL, Plasma의 단백 결합율에 영향을 주었으며, 각각 n과 Ka값에 변화를 주었다.
-
모델약물로 acetaminophen을 사용하여 우리나라에 자원이 풍부한 키토산을 약물전달체계에 응용하려고 시도하였다. 키토산 분산체는 단순혼합물과는 다른 형태였으며 용출지연을 나타냈다. 요출거동의 차이는 약물의 물성보다는 polycation인 키토산의 막형성능과 pH에 좌우되었으며 polyanion인 polyacrvlate을 첨가한경우는 막형성능은 저조했으나 겔형성이 뛰어나 키토산 단독보다 용출이 지연되었다 키토산의 아미노기와 shiff's base를 형성하는 수종의 aldellyde는 키토산분산막과 chitosan-polyacrylate분산막을 강하게 경화시켜 용출을 저하시켰다. 특히 가교제의 농도와 양, 막과 반응하는 시간과 방법에 따라 막의 물리적특성 및 용출거동이 큰영향을 받았다.
-
BBB opening 에 의란 수용성 약물 및 지용성 약물의 뇌혈관 투과 패턴을 알아보기 위해 모델약물로서 수용성 약물인
$^{99}$ Tc-DTPA, 지용성 약물인 Pherlytoin을 선택하여 뇌혈관 투과성(PA)의 증가율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랫트의 좌측 외경동맥(left external carotid artery)에 혈류의 역방향으로 PE-50 catheter를 분지점에서 1-2mm 전까지 삽입하고, 1.6 molal L-(+)-arabinosg 고장액 (1580 mOsm)을 0. 12ml/sec의 일정한 속도로 30초간 infusion 한 후.$^{99}$ Tc-DTPA 혹은 phenytoin 약물 용액을 대뢰정맥으로 주사하고, 대뢰동맥으로부터 약물 투여전 및 투여후 10, 30초, 1, 1.5, 2, 3. 4, 5. 7, 10분 간격으르 혈액을 채취하였으며. 마지막 채혈후 즉시 단두하여 뇌조직을 취하였다. 채취한 뇌를 좌, 우반구 및 각 부위별로 분리하고 감마 카운터와 HPLC를 이용하여 뇌증농도를 정량하였다. 또한 뇌 실질 조직내 약물량을 구하기 위해 뇌 혈관내에 존재하는 약물양을 보정하였는데, 이때 계산에 필요한 뇌증 혈액부피의 측정은$^{99}$ Tc-albumin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
1. 위장관통과 실험결과 polycarbphil 흑은 carbomer로 코팅한 생체막점착성 마이크로캅셀 모두가 Eudragit RS/RL 마이크로캅셀보다 위 및 소장상부에 다량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Polymer의 생체막점착성에 의해 제제의 위내용배출이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2. Polycarbophil 흑은 carbomer로 코팅한 생체점착성 마이크로캅셀의 AUC는 Eudragit RS/RL 마이크로캅셀의 결과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었다. Polycarbophil로 코팅한 생체막점착성 마이크로캅셀은 carbomer로 코팅한 제제에 비해 Cm의 증가뿐아니라 전체적인 약물흡수의 증가와 높은 혈중농도의 지속을 보여주어 생체막점착성 제제의 이상적인 약물흡수패턴을 보여주었다. 3. 흡수속도효율 (ARE)면에서 생체막점착성 마이크로캅셀이 코팅전의 마이크로캅셀에 비해 약간 떨어졌으나, polycarbophil 코팅제제의 경우 전체적인 흡수양상이 마이크로캅셀에 비해 우수하고 또한 제어방출효율 (CRE)이 현저하게 증가되어 생체막점착성 제제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위내용배출의 지연효과, AUC, CRE 등을 종합해 볼때, Polycarbophil 로 코팅한 생체막점착성 마이크로캅셀은 투여횟수의 감소 및 생체이용율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제제로 평가되었다.
-
효소억제제와 투과촉진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비강, 직장 및 질점막을 통한 YAGH니 투과정도를 검토한 결과 donor측 잔존률이 경시적으로 급격히 감소하여 24시간후각각 7.04, 4.21 및 51.34% 잔존하였다. 또한 receptor측으로의 투과량는 비강점막의 경우 8시간대에 3.9%의 투과율을 기점으로 다시 분해되었으며 직장 점막에서는 최대 0.72% 로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질점막의 경우에는 24시간대에 1.8%의 투과에 머물렀다. 한편 혼합효소억제제로 TM가 EDTA를 양측 셀에 첨가한 조건에서는 첨가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donor측에서의 YAGFM이 서서히 감소됨과 동시에 receptor cell로의 투과량이 다소증대되었다. 더욱 양측 셀에 혼합효소억제제를 넣고 donor cell에 투과촉진제를 첨가한 경우 점막투과성을 현저히 증대시켰으며 LPC를 사용한 경우 효소억제제만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비강에서 3.6배, 직장에서 3.2배 및 4.1배 투과 flux를 증가시켰다.
-
니코틴은 분자량이 작고 지용성이 커서 경피투과가 매우 잘 되므로 부작용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약물의 경피투과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 실험에서는 지속성 경피흡수제제로서 프로리포솜계를 응용한 니코틴 팻취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니코틴을 약물로, 60% egg lecithin을 인지질로, 솔비톨(105-3500m)을 담체로 선택하여 니코틴을 함유한 프로리포솜을 제조하였다. 프로리포솜이 재현성있게 잘 만들어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자현미경(SEM)으로 제조된 프로리포솜의 표면을 관찰하였고, 전자현미경(TEM)으로 프로리포솜의 수화 (hydration)과정을 관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