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Semi Annual
Domain
- Health Sciences > Biomedical Sciences
1993.04a
-
Among the Glycosaminoglycans (GAGs), Heparin and its fractions or fragments, obtained by several different processes, are of considerable interest .In these last few years, the goal of the researchers in this field has been finding molecular species having selective action, like for instance species having only antithrombotic activity disjointed from any anticoagulant effect, and assessing the effects of these GAGs and of other GAGs, like dermatan sulphate, not only in the field of venous or arterial thrombosis but also on cell factors like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 and even on aspects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
The Development of new asymmetric induction methods useful for syntheses of biologically active natural products and drugs, using C4-chiral 1,3-th-iazolidine-2-thiones, has been a recent focus of interest. 1-8) The present account describes the significance of particular heterocycles in the synthetic development of new 1
${\beta}$ -substituted carbapenems. A fungal metabolite, (+)-thienamycin (1) has attracted one's attention as a hopeful candidate for new-generation antibiotic drugs because of its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wide antimicrobial spectra due to the extensive inhibition against various${\beta}$ -lactamases. However, it has been serious problems toward a practically useful drug that (+)-thienamycin is fairly labile in the solution and can be metabolized by renal dehydropept- idase-I (DHP-I). Recently, a Merck Sharp & Dohme research group exploited a non-natural${\beta}$ -lactam, imipenem (2) which has been appeared in the drug market as the first carbapenem-type antibiotic drug. 9) However 2 must be used with a DHP-I inhibitor, cilastatin sodium (3).9) Thus, a 1,${\beta}$ -methyl- carbapenem derivative 4 has been disclosed by the same group. 10) It seems to be more hopeful candidate as a new-generation antibiotic because it can directly resist against metabolism by the renal DHP-1 without an enzyme inhibitor 3. 10) -
DA-125의 분광학적, 물리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규명하고 HPLC 및 Bioassay에 의한 정량법을 개발하였다. DA-125는 용액중에서 pH의존적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원말의 안정성은 상대습도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았다. DA-125의 합성수율은 약 10% 향상되었으며, 연구용 시료는 약 72g을 합성하였다. DA-125는 ADM 내성암주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매우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 in vivo애서도 ADM보다 우수한 종양성장억제율과 연명율을 나타내었고 특히 장기생존수에서 ADM 투여군에서는 생존예가 없는 반면 DA-125 투여군에서는 7/8이 생존하는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DA-125의 일반약리작용은 ADM과 유사하였으나 작용은 보다 경미하였다.
-
1) 급성독성시험: 랫드와 마우스 공히 투여후 5~6일에 농도의존적의 강한 독성이 발현 되었으며 표적장기로는 소화기계, 임파계, 조혈기계 등으로 나타났다. 랫드에서의 반수 치사량은 암수 각각 771.9(505.6~1178.4)mg/kg과 479.8(302.7~760.4)mg/kg이었으며 마우스에서는 암수 각각 527.4(393.7~701.1)mg/kg과 463.0(308.8~694.2)mg/kg 이었다. 2) 유전독성: S. typhimurium을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시험, CHL세포를 이용한 염색체이상 시험, 마우스에서의 소핵시험결과 DA-125는 돌연변이 유발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국소자극성: 혈관주위주사에 의한 피부자극성 시험결과 DA-125는 adriamycin의 3배 용량에서 궤양, 괴사등 유사한 병변이 유발되었으나, 병변회복은 adriamycin에 비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끼에서의 안점막자극시험 결과에서 DA-125는 실제적으로 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DA-125투여에 따라 심근 조직내 지질과산화산물이 증가하였으나 동일용량의 ADM투여군보다는 적게 증가하였다. 적출십장기능 시험과 심전도 측정시 DA-125 투여와 관련된 특이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심장조직의 병리학적 검사에서는 심근세포의 약한 과립화 현상이 관찰되었다. 반면 ADM 투여군에서는 현저한 적출심장 기능의 저하, 특징적인 심전도변화 및 심근세포내 공포령성 및 과립화등의 변화가 나타났다. 조혈기독성시험에서는 DA-125와 ADM투여에 따라 백혈구 수의 감소가 가장 컸으며 백혈구 수는 약물투여후 4일째 최저치를 나타냈다가 8일후부터 회복하기 시작하여 약물투여 16일후에는 투여전치로 회복되었다. DA-125와 ADM의 조혈기독성의 pattern은 같으나 독성의 정도는 DA-125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To find out the novel anticancer agent for the treatment of solid tumors, 1-arylsulfonyl-2-alkoxy-4-arylimidazolines were designed and prepared from substituted styrenes through three steps. Compared to 5-fluorouracil, these analogues exhibit moderate cytotoxicity against human solid tumor cell lines, A-549(lung carcinoma) and SK-Mel-2(malignant melanoma). Th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indicates the high potential of this series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antineoplastic agent.
-
2-Benzoyloxyacetophenones were prepared by reaction of benzooic acids and 2-hydroxyacetophenones in the presence of dicyclohexylcarbodiimide and 4-dimethylaminopyridine. The rearrangement of 2-Benzoyloxy acetophenones to 2-Dibenzoylmethans has been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tetrabutylammoniumfl uoride( a phase transfer catalyst ). Both methods have been applied first for the synthesis of flavones and gave better yields of products and the reaction ran in shorter reaction time.
-
현재 유일하게 AIDS 치료제로 허가된 AZT를 비롯하여 항 virus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의 대부분은 구조적으로 Nucleoside계에 속하는 화합물로서 수많은 약리학적 연구 및 합성 화학적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합성 화학적 측면에서 이들 화합물의 합성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그것은 Sugar 부위의 변형을 통한 방법과 염기 부위의 변형을 통한 방법에 의해 새로운 항 바이러스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최근의 연구 동향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변화의 하나는 Sugar 부위의 구조적 변형을 시도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5원환 형태에서 환이개열된 형태의 Acyclic Nucleoside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좋은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사실이다. Acyclovir, Ganciclovir 등의 개발이 그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Acyclic Nucleoside계의 새로운 항 virus제를 합성하여 그 생리 활성을 검색하고자 한다.
-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은 혈압 상승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효소이다. 따라서 이 효소의 작용 억제는 혈압 강하를 초래한다. 본 실험에서는 ACE와 여러점에서 유사점을 가진 Carboxypeptidase A에 대하여 강력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간단한 구조의 억제제를 개발한 바 있는데. 이때 사용한 억제제 설계방법을 ACE 억제제 개발에 적용시켜 ACE 억제를 통한 고혈압 강하제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ACE 억제작용에 있어서의 알려진 구조-활성 상관 관계와 ACE의 활성부위를 기초로 해서 아래와 같은 구조의 물질을 억제작용 보유의 물질로 설계하고 합성하였다.
-
Robinson annotation과 입체선택적 alkylation으로 새로운 pimarane diterpene 의 A,B-ring system을 합성한 후 cyclohexane의 allylation과 Claisen 전위를 이용하여 4급탄소 unit를 얻고 Mcurry coupling 반응으로 C-ring을 도입함으로써 새로운 pimarane diterpene을 전합성하였다. 전합성 중에 개발된 방법들을 이용하여 기본 골격들을 합성한 후 효능 검색하여 구조-활성관계를 확립하고 lead compound를 유도해 내었다.
-
Rat 기관 평활근에서 GS 283은 Carbachol에 의한 수축을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시켰으며 특히
$Ca^{2+}$ -free 용액에서 G5 283은 농도에 비례하여$Ca^{2+}$ 에 의한 수축을 억제 시켰으며, 전형적인$Ca^{2+}$ 길항제인 Verapamil도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GS 283보다 강력하였다. GS 283은 칼슘 길항 효과 이외에도 약하지만 Antihistamine 및 Antimuscarine작용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Rat 대동맥에서 GS 389는 Phenylephrine(PE)에 의한 수축을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시켰으며$Ca^{2+}$ -free 용액에서 PE에 의한 수축과 KCI에 의한 수축율 모두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GS283과 GS 389는$Ca^{2+}$ 에 길항적용이 있음을 암시하며 특히 수용체를 통한$Ca^{2+}$ -channel과 세포막의 voltage를 통한$Ca^{2+}$ -channel을 모두 억제함을 강력히 시사한다. 향후 in vivo model에 대한 이들 약물의 효과를 연구해 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하며 이러한 효과가 직접$Ca^{2+}$ -channel에 대한 작용인지 또는 GS화합물이 cyclic nucleotide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어서 이로 인한 2차적 작용인지를 더욱 밝혀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
괄루근으로부터 분리된 다당류에 대하여 continuous gel electrophoresis, SDS-Polyacrylamide gel eletrophoresis,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Hydroxyapatite column chromatography 및 Gel filtration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황산암모늄 분별침전법에 의한 렉틴의 정제도는 초추출물의 4.85배이며 DEAE Sephadex A-50 column chromatography법에 의한 정제도는 24.17배로 나타났고, 마지막 정제단계인 Sephacryl S-200 gel filtration에 의한 정제도는 47.34배로 나타났다. 2) 정제된 렉틴의 분자량은 60,000da1ton으로 나타났다. 3) 사람의 혈액형에 따른 응집효과는 90-100%로 특이성은 없었다.
-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betaine, one of the , components of Lycii Fructus, on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primary cultured chicken brain cells were examined. Betaine was found to attenuate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at the concentration of 5-10 mM in both morphological and chemical aspects. The pretreament of chicken brain cells with 5-10 mM betaine for 2 hr at the 12th day of culture before the 40 min-exposure to 500
${\mu}$ M glutamat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urvival rate of nerve cells in chicken brain. Betaine could also raise the decreased LDH-level due to the neurotoxicity induced with 100${\mu}$ M glutamate in chicken braill cells. LDH value was decreased to 63% of control level in chicken brain cells at the time of 48 hr after the exposure to glutamate. However, the pretreament of chicken brain cells with 5 mM betaine for 2 hr before the exposure to glutamate could prevent the decrease of LDH-level in brain cells showing 90% of control level. Nevertheless, tile remarkable neuroprotective effect of betaine on the glutamate-inducer in neurotoxicity in cultured chicken brain cells could not be observe when betaine was simultaneously administered with glutamate. -
조구등(Uncaria Hooks)은 한방에서 고혈압, 동맥경화 및 편두통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는 셍약이다. 한방에서 조구등은 오래 달이면 약효가 감소하고 약 15분 정도 달이는 것이 가장 약효가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조구등의 수치에 환한 연구의 일환으로 조구등으로부터 혈압 강하 성분을 관리하고 이들 성분이 생약을 달이는 과정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항종양성 물질의 탐색과 개발을 지향한 해양생물유래의 생물활성물질의 화학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해조류(12종류), 해면동물(3종류), 강장동물(2종류). 극피동물(4종류), 연체동물(10종류) 및 원색동물(2종류)의 각 용매분획을 대상으로 brine shrimp bioassay에 의한 세포독성을 검색한 결과, 극피동물의 별불가사리 초산에틸액스(LC
$_{50}$ : 283$\mu\textrm{g}$ /ml) 및 해삼 클로르포름엑스(LC$_{50}$ : 274$\mu\textrm{g}$ /ml) , 연채동물의 보말고동 부타놀액스(LC$_{50}$ : 263$\mu\textrm{g}$ /ml) 및 따게비의 물엑스(LC$_{50}$ : 360$\mu\textrm{g}$ /ml)에서 가장 강력한 세포독성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생물별로 살펴본 세포독성빈도는 극피동물이 가장 유망한 것으로 생각되었다.로 생각되었다. -
간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효과를 민간생약을 대상으로 screening한 결과, 덩굴차, 해당화, 보리수나무, 인진호가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 외 죽역, 엉겅퀴, 등나무흑, 비파등도 중정도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활성성분을 규명할 목적으로 각 분획별로 활성을 검토해 보았다. 인진호는 CHCl
$_3$ Fr. 및 EtoAc Fr.이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그들은 모두 용량의존적으로 세포독작용을 나타내었으며, CHCl$_3$ Fr.이 더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등나무혹은 CHCl$_3$ Fr 및 EtoAc Fr.이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EtoAc Fr.이 용량의존적으로 세포독작용을 나타내었다. 비파는 Hexane Fr 및 CHCl$_3$ Fr.에서 강한 활성이 있었고, 그들은 용량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며, CHCl$_3$ Fr.에서 더 강한 활성이 인정되었다. 그리고 비파에서 분리된 ursolic acid는 6-100$\mu\textrm{g}$ /m1에서 용량의존적으로 간암세포 독성작용을 나타내었다. -
최근의 암치료용 제제는 암세포의 분화를 재개시켜서 정상적인 세포로 분화 유도하는 약재개발에 촛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F9 EC세포주에 의한 분화인자 스크리닝 시스템을 확립하고 나아가 새로운 분화 유도인자를 스크리닝 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F9 EC세포의 세포 배양조건을 먼저 확립하였으며 retinoic acid에 의한 F9 EC세포의 분화유도 시스템을 다음과 같이 확립하였다. 1 단계: F9 EC세포에 스크리닝할 물질의 단독처리 2 단계: 스크리닝할 물질에 dibutyryl cyclic AMP(dbc-AMP)와 theophylline을 첨가하여 처리 3 단계: 분화 marker유전자의 발현조사 그리고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천연 식물 및 해양동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대상으로 하여 새로운 분화인자의 검색을 시도한 결과, saponin, steroid 및 glycolipid계열의 물질이 분화인자로서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
In considering the mechanism of action of the calcium antagonists, it is important to realize that there are three distinct receptor types and that the new classification divides these three drugs as members of the dihydropyridine, phenylalkylamines and benzothiazipines, respectivel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Union of Pharmacology and Cardiology have adopted this classification. Unlike every other class of drugs, such as the alpha and beta adrenergic blocking agents, diuretics, etc., the calcium antagonists need to be thought of as three distinct drug classes. The reason they share some, but not all of the pharmacological profile is that they all act at specific receptor domains present in one large protein of 165 daltons present in all excitable tissue. This protein along with several other subunits make up what is known as the voltage-dependent calcium channel (the so-called "L"type, L-VDCC). The mechanism of action of the three drugs involve first a specfic binding and then an inhibition of the movement of calcium into the cell Some of these drugs, such as diltiazem, may have other interesting intracellular effects perhaps associated with protection of the mitochondria during ischemic insults. The nature of the receptor is being explored by molecular genetic techniques, and we have recently cloned two of the major subunits; some of the data will be presented.
-
Two strains of genetically epilepsy-prone rats (GEPRs) have been derived from Sprague Dawley stock. One strain, known by the acronym GEPR-9, has a more pronounced epileptic condition than the other strain, known by the acronym GEPR-3. Only a small fraction of commercially available Sprague Dawley rats exhibits evidence of epilepsy. GEPRS are similar to most humans with epilepsy in that their general behaviors appear normal . GEPRS also share other traits with their non-epileptic counterparts. They are susceptible to forebrain and brainstem seizures produced by convulsant drugs and electrical currents. Because GEPRs and normal rats share these seizure non-epileptic brain rather than to an understanding of epilepsy. However, humans wi th epilepsy, the GEPR and other mammal inn models of genetic epilepsy are distinctive because they are characterized by seizure predisposition.
-
Farnesyl Protein transferase(FPT)는 발암유전자 ras의 단백질 산물인 p
$^{21}$ 의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의 첫 단계인 ras-farnesylation에 관여하는 효소로 본 연구에서는 정제된 FPT와 E. coli에서의 발현 system을 이용하여 FPT의 구조와 기능을 밝히고 이를 FPT 방해제의 설계에 이용하고자 한다. Bovine testis에 존재하는 FPT를 30%-50%의 Ammonium sulfate로 fractionation하고, DEAE-Sephacel, Sephacryl S-300 column을 통과시킨 후 peptide(KKCVIM) affinity column을 이용하여 순수 정제하였다. 정제된 효소의 분자량은 gel-filtration에 의해 100KDa으로 추정되었고 SDS-PAGE 결과 49KDa과 46KDa의 두 subunit로 구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효소활성에는$Mg^{2+}$ 와$Zn^{2+}$ 가 필수적이며 최적 pH는 7.0이었다. Yeast의 FPT의 두 subunit 유전자는 Yeast genomic DNA를 template로 사용하고 각 subunit에 specific한 합성된 primer들과 vent polymerase를 이용하여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하여 얻었다. 두 유전자를 pBluescriptII SK+ vector를 변형시킨 두 vector, pBSK+4와 pBChl+4에 재조합 시킨 후 E.coli에 transformation시켜 발현시켰다. 현재 정제된 Bovine FPT와 E. coli에서 발현된 Yeast FPT의 chemical modification과 site-directed mutagenesis를 통하여 FPT의 active site와 substrate binding site에 관한 연구를 진행시키고 있다. -
새로운 cell cycle 특이적 억제제의 스크리닝 방법의 확립과 이를 이용하여 cell cycle 억제제의 검색 및 세포분열 및 성장을 억제하는 작용의 분석과 이들의 항암작용 및 세포성장 및 분열 억제 작용의 signal transduction mechanism을 규명한다. 이상의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흰쥐 재생간 조직 및 흰쥐 일차 배양 간세포를 연구 모델로 하여 스크리닝 방법을 확립하고, 세포 분열 및 성장 억제제의 연구 대상 약물로는 기존의 천연물 및 미생물의 2차 대사 산물을 분리 정제한 물질등을 사용하여 그 작용 효능을 연구한다. 1) 흰쥐 부분 간 절제 수술 26시간 후 핵 단백질을 분리 2) MPF activity 측정 3) MPF 활성 저해제 생산 균주의 1차 탐색
-
단백질 분해효소는 염증주변에 축적된 파괴조직이나 변성단백질등을 분해하여 염증, 특히 만성염증의 순환을 정상화함으로써 소염제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 Chymotrypsin, Trypsin, Promelain, Papain, Serrathiopeptidase, Pronase 등이 소염효소제로써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주로 미생물 배양액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정제하여 사용하며, 유전자 재조합기술을 사용하여 재조합 균주에서 생산할 경우 그 생산성을 증대시킬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면역 조절능이 우수하고 독성이 적은 신물질의 개발을 목표로 하여 초유에 들어있는 면역물질을 검색한 결과 초유로부터 자연 살해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물질을 순수분리 하였다. 이 물질은 초유의 유청으로부터 ammonium sulfate에 의한 침전, DEAE-cellulose ion exchange, Sephadex G-200 gel filtration 등의 방법에 의하여 분리되었으며, 초유의 유청 100ml로부터 최종 수득량은 1.2 mg이었다. 이 물질은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에서도 분자량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부터 interchain disulfide bond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물질은 실온에 방치하거나 또는 37
$^{\circ}C$ 로 가온하면 침전을 형성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4$^{\circ}C$ 로 냉각시키면 다시 용해되는 특이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침전이 형성되는 정도는 농도, 온도 및 이온 강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전에 최적 pH는 중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물질을 사람의 말초혈액으로부터 분리한 림파구의 배양액에 가하고 18 시간동안 배양한 결과 림파구의 적 백혈병 암세포인 K-562 세포에 대한 자연 살해능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연살해 세포의 활성화는 1.0 - 0.01$\mu\textrm{g}$ /ml의 농도 범위에서 확인되었다. -
비방사능물질인 Biotin을 DNA probe에 표지하여 nonisotopic hybridization 방법을 사용하여 감도를 높임으로써, 손쉽게 생물공학 의약품의 품질관리에 사용되도록 하였다. Bethesda Research Laboratories(BRL) 회사 제품인 biotinylated probes-avidin alkaline phosphatase를 이용한 chemiluminescene detection방법으로 행하여 λ phage DNA, yeast DNA, E.coil DNA의 한계 검출 농도를 알아내고, 생물 공학 제품에 적용하였다. Dot blot hybridization 방법으로 행하여 λ phage DNA는 0.1pg, Yeast DHA는 4.5pg, E. coli DNA는 8.9pg까지 검출되었고, 기존 생물공학 제품에서는 숙주 유래 DNA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
새로운 항생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균주를 액체배지에서 배양하여 그 배양액을 여러 검정균에 대하여 종이디스크법으로 항균효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G(+), G(-)균에 강한 항균효력을 보인 토양균 SNUS 9101-55와 C. aibicans와 같은 진균류에 항균력을 보인 토양균 SN-US 9101-68을 선택하여 각각의 배양액에서 항생물질을 분리하고, 분리한 항생물질의 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토양균 SNUS 9101-55의 배양액으로부터 항생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양이온 교환수지 관 크로마토그래피와 셀룰로오스 관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시료 AMJ-I-212-B를 얻었다. 시료 AMJ-I-212-B의 IR,
$^1$ H-NMR, FAB-MS 스펙트럼을 얻어 분리한 항생물질의 구조를 분석하고 Sakaguchi test와 같은 정색반응을 통하여 그 발색단을 동정하여 이 항생물질의 구조가 스트렙토마이신과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사람의 혈액의 백혈구로부터 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으로
$\beta$ $_2$ -adrenergic receptor 유전자를 증폭하였다. 이 증폭된 유전자를 pbluescript KS(+)에 cloning하였으며, 제한효소지도 작성과 부분적인 염기배열 확인으로 증폭된 유전자가 사람의$\beta$ $_2$ -adrenergic receptor 유전자임을 확인하였다.$\beta$ $_2$ -adrenergic receptor 유전자를 N말단의 아미노산이 21개 제거되도록 결손시킨후 yeast의 pSec5의 Killer toxin signal sequence의 뒤에 in-frame으로 연결하였다. 현재 효모에서의 발현양상 및 발현된 단백질의 활성을 조사중이다. -
Morphine은 강력한 진통작용으로 약효를 나타내고 있고 이와 같은 진통작용은 대체로 크게 대별하여 두 가지 기전으로 설명이 된다. 그 첫째는 수의 opioid수용체에 작용하여 척수에서 상행으로 전달되는 통각정보를 차단하는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뇌에 존재하는 opioid수용체에 작용하여 진통작용을 발현한다고 알려져 있다. 실지로 임상에서 morphine을 실내에 주입하여 강한 진통작용을 가진바가 많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아직 마약성 진통제가 뇌를 통하여 진통작용을 가지는 그 기전에 대해선 잘 밝혀지지 않았다. 많은 연구가 마약성 진통제가 뇌에 주입되면 뇌에 존재하는 opioid수용체에 작용하고 이 수용체를 가진 신경세포가 하향성 억제를 함으로써 척수에서 통각정보를 차단하여 진통작용을 나타냄을 시사한다. 그러나 아직도 이의 정확한 기전이 명쾌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즉, 뇌실내에 morphine을 주입하면 이것이 과연 척수세포를 억제할 것인가에 대한 답이 없기 때문이다. 그와는 반대로 뇌실내 morphine주입은 척수세포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본 실험은 뇌실에 주입된 morphine이 척수세포를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Phospoinositide-specific phospholipase C (PLC)는 세포막의 phosphoinositide를 분해하여 inositol phosphates와 diacylglycerol을 전달하는데 핵심적인 효소이다. PLC는 분자량과 1차구조의 비교에 의하여 type (PLC-
$\beta$ ,${\gamma}$ ,$\delta$ )로 구분되며, 각 type마다 2-4종의 subtype이 존재하고 PLC isozyme들에 대한 현재가지의 각종 신호 전달 및 조절에 대한 연구를 종합하면: (1) PLC-$\beta$ type은 G-protein과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받고, (2) PLC-${\gamma}$ type은growth factor receptor tyrosine kinase에 의하여 인산화 되어 활성화됨으로, 세포의 성장 신호를 전달하며. (3) PLC-$\delta$ type에 대한 신호 전달이나 조절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
당해년도에는 HBV-X와 결합하는 상대 단백질을 탐색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이 목적으로 1) 우선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하는 X-단백질을 E. coil system에서 다량으로 생산하는 공정을 확립하였으며 2) 이 X-단백질을 labelling한 후 Probe로 사용하여 liver cell내에 존재하는 43Kd, 48Kd, 55Kd, 100Kd의 단백질이 HBV-X에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3) liver cell expression library를 screening하여 HBV-X와 결합하는 단백질을 coding하는 유전자를 cloning하여 현재 각 clone들을 규명하고 있는 중이다. 4) 또한 암억제 유전자 산물인 p53과 X-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X-단백질이 간암의 발생에 작용하는 기작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발견이다.
-
봉합율의 최적 조건을 구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리포좀을 제조했으며, 인지질과 봉합 약물의 비는 20:1 이상이어야 하고, 리포좀 제조 방법에 따라 봉합율이 차이가 났으며, REV, REV를 freezing-thawing한 것과 SUV를 freezing-thawing한 리포좀에서 봉합율이 좋았다. REV를 freezing-thawing한 리포좀이 가장 좋았다 (66.7%, BPB; 115.7 ug trypsin/mg lipid). 콜레스테롤의 함량은 봉합율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인지 질과의 비를 7.3으로 고정시켰다. 안정성은 투과성, light scattering, qucnching 등으로 측정했으며,4
$^{\circ}C$ ,용액 상태에서 두 달 이상동안 보관했을 때 약 10% 정도가 리포좀 내에서 빠져나왔으며, 리포좀의 크기 변화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Calcein봉합 리포좀을 Vero E6 cell에 투여했을 때, 매우 적은 양이 cell내로 들어가는 것을 형광 현미경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혈액 세포 형성 과정인 조혈 작용은 콜로니 자극인자 (Colony Stimulating Factor, CSF)라 불리는 몇 종류의 당 단백질에 의해 조절된다. 이들 자극인자 중, GM-CSF는 다계통에 작용하는 조절인자로서 과립구와 거식세포의 생성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GM-CSF는 생체내에서 백혈구의 형성을 조절하는 인자이기 때문에 골수이식을 한 환자 및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를 받는 암환자에게서 발생하는 백혈구의 감소현상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혈액의 보조화와 관련하여 의학적 효능을 나타낼 것으로 간주되는 GM-CSF를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효모에서 발현, 정제하여 물리화학적 특성 및 역가를 측정하는 것이 이 연구의 기본목적이다.
-
GM-CSF의 중추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추구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에 대한 일반 약리 작용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항목과 방법은 hexobarbital-Na(70mg/kg, ip)에 의한 마우스의 수면시간 측정, Dunham 등의 rotarod시험 (12rpm)에서 마우스가 회전봉에 지탱하는 시간의 측정, locomotor activity cage에서의 마우스의 운동 활동성측정, 흰쥐의 정상체온에 미치는 작용, 0.7% HAc(0.1ml/10g, b.w.) 복강투여에 대한 마우스의 writhing의 억제율의 측정 실험, strychnine(1.5mg/kg)을 피하주사시 마우스의 경련성 치사에 미치는 효과, pentetrazole(85mg/kg)의 피하주사에 의한 마우스 경련의 억제실험을 실시하였다.
-
대상환자는 15예로, 14예에서 평가 가능하였다. 남녀비는 8:6, 중앙연령 32세(10-70세)이었고, 대상질환은 악성골육종 7예, 악성임파종 2예, 위암2예, 폐암 2예, 그리고 자궁악성육종 1예였다. CSF 50 ug/
$m^2$ 3예, 100 ug/$m^2$ 3예,150 ug/$m^2$ 3예, 250 ug/$m^2$ 3예, 350 ug/$m^2$ 3예, 500 ug/$m^2$ 6예, 700 ug/$m^2$ 용량 3예에서 시행되었다. 1주기 시행한 환자는 7예, 2주기 5예, 3주기, 4주기 각각 1예씩이었다. 부작용은 50-150ug/$m^2$ 에서 WHO grade I의 발열, 전신쇠약, 식욕부진등이 관찰되었으나 grade II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 250 ug/$m^2$ 이상의 용량에서도 grade II의 발열이 관찰되었을 뿐 다른 중증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최고용량인 700 ug/$m^2$ 에서도 grade II의 발열 외의 중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각 용량에 따른 백혈구 증가율(%투여제2일/투여제1일)은 130-500% 이었다. 시행된 약동태는 CSF 투여 2-4 시간후 최고치 (0,42-15.4 ng/ml)를 나타내고 투여 12시간까지 0.2-2 ng/ml의 농도로 지속되었다. 소변내 CSF 배설량은 총투여량의 1% 미만이었다. CSF 중화항체는 전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
Carboxylesterase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tissues of vertebrates, insects, plants and mycobacteria. Among various tissues of animals and humans, the highest esterase activity with various substrates is found in the liver. Kidney has moderate carboxylesterase activity in the proximal tubules. Considerable esterase activity is also found in the small intestine epithet elial cells and serum of mammals. Besides these tissues, carboxylesterase has been found in the lung, testis, adipose tissue, nasal mucosa and eve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Hepatic microsomal carboxylesterase catalyzes the hydrolysis of a wide variety of endogenous and exogenous compounds such as carboxylester, thioester and aromatic amide. Since carboxylesterases are important for metabolic activation of prodrugs and detoxification of xenobiotics, differences in substrate specificity and immunological properties of this enzyme are important in connection with choosing a suitable laboratory animal for the evaluation of biotransformation and toxicity of drugs. On the other hand, liver, kidney, intestine and serum were found to contain multiple forms of carboxylesterases in animal species and humans. In fact, we have purified more than fifteen isoforms of carboxylesterases from microsomes of liver, kidney and intestinal mucosa of nine animal species and human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isoforms were compared each other in terms of their physical and immunochemical properties. On the other hand, we have reported that hepatic microsomal carboxylesterases are induced by many exogenous compounds such as phenobarbital,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roclor 1254, aminopyrine and clofibrate. Later, we showed that some isoforms of hepatic carboxylesterase were induced by glucocorticoids such as dexamethasone and 16
${\alpha}$ -carbonitrile, but other isoforms were rather inhibited by these compound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volvement of carboxylesterases in the metabolism and toxicity of drugs should be explained by the isoforms involved. Since 1991, we have carried out detailed research investigating the types of carboxylesterases involved in the metabolic activation of CPT-11, a derivative of camptothecin, to the active metabolite, SN-38. The results obtained strongly suggest that some isoforms of carboxylesterase of liver microsomes and intestinal mucosal membrane are exclusively involved in CPT-11 metabolism. In this symposium, the properties of carboxylesterase isoforms purified from liver, kidney and intestine of animal species and humans are outlined. In addition, metabolism of CPT-11, a novel antitumor agent, by carboxylesterases in relation to the effectiveness will also be discussed. -
Chan'su the dried toad venom preparation, has been used for centuries as a cardiotonic a local anesthetic and in the treatment of ecphyma. Bufadienol ides are major effective components of Chan'so. Their pharmacological activities have been studies to date. However, their pharmacokinetic and metabolism have not been studied. Considering variously divergent pharmacological actions of bufadienolides we decided to examine their metabolism and their other biological activites. We isolated and purified various components of bufadienolides. Cinobufagin and bufalin are prominent components. Firstly we examined metabolism of cinobufagin and found that this compound was extensively metabolized into various metabolites by mixed-function oxidase and deacetylase.
-
제3세대 백금착체 항암제 신약개발 1. Design, synthesis and antitumor activity of 3rd generation platinum complexes.As part of a research program to develope 3rd generation anti tumor platinum complexes, a series of platinum complexes which have 4, 5-bis-(aminomethyl)- 1, 3-dioxolane derivatives as bidenate amine ligands, represented by the general structual formula was prepared. The R
$_1$ and/or R$_2$ substituents in this series of platinum complexes can be hydrogen. alkyl, of jointly formed cyclohexane. Two Xs can be a bidenate leaving ligand such as 1, 1-cyclobutanedicarboxylate, malonate, dimethylmalonate, ethylmalonate, glycolate, L-lactate, or N-methyliminodiacetate. From based on the pharmacological and toxicological studies, we have chosen SKI 2053R, cis-malonato[(4R, 5R)-4, 5-bis(aminomethyl)-2-isopropyl-1, 3-dioxolane] platinum(II) complex (NSC D644591) as a candidate for clinical evaluation. The antitumor activity of a new anti tumor platinum complex, cis-malonato [(4R, 5R)-4, 5-bis(aminomethyl)-2-isopropyl-1, 3-dioxolane] platinum(II) (SKI 2053R, NSC D644591), was compared with those of cisplatin and carboplatin using murine tumors. We evaluated three platinum complexes against L1210/CPR, a subline of L1210 leukemia resistant to cisplatin for their abilities to overcome tumor resistance to cisplatin. The in vitro cytotoxicity of SKI 2053R to L1210 cell line was 2.5-fold less potent thann that of cisplatin, and was 10-fold more cytotoxic than that of carboplatin. SKI 2053R retained similar cytotoxic effect and anti tumor activity to L1210/CPR cell line, like the cytotoxicity of SKI 2053R to L1210 cell line, while either cisplatin or carboplatin had not property to overcome the acquired cisplatin-resistance. SKI 2053R exhibited greater or comparable antitumor activity than cisplatin or carboplatin in murine tumor models. -
The in vitro cytotoxicity of SKI 2053R was evaluated against human tumor cell lines along with those of cisplatin and carboplatin using MTT assay. The cell lines tested were two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and five human stomach cancer celt lines. The level of cytotoxic effects of SKI 2053R against two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was located between cisplatin and carboplatin. However, the cytotoxic activity of SKI 2053R against five human stomach cancer cell lines was similar to that of cisplatin. SKI 2053R is considered to be selectively cytotoxic toward human stomach cancer cell lines. We carried out pharmacokinetic and ex vivo phrmacodynamic studies of SKI 2053R in beagle dogs to predict the clinical antitumor effect of SKI2053R, comparing with those of cisplatin and carboplatin. In ex vivo pharmacodynamics which used MTT assay as bioassay on the 2 lung and 5 stomach cancer cell, mean antitumor indexes (ATIs) of SKI 2053R were highest among three compounds in both lung and stomach cancer cell lines, especially in stomach cancer cell. Much higher ATI profile and maximal inhibition rates of SKI 2053R appeared in the stomach cancer cells will give desirable advantages to clinical trial s against gastric carcinoma. The anti tumor activity and target organ toxicity of SKI 2053R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isplatin on stomach cancer cell line, KATO III xenografted into nude BALB/c(nu/nu) mice. All groups of cisplatin and SKI 2053R showed active tumor regression. The inhibition rates(IR) of SKI 2053R were higher than that of cisplatin on the basis of mean IR. Though the loss of body weight was observed in all groups from the first week, the SKI 2053R group recovered it soon from the third week after the initiation of treatment, maintaining the most active anti tumor activity among three groups.
-
The general pharmacological profiles of SKI 2053R were investigeted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iratory-cardiovascular system, digestive system and other systems. SKI 2053R had no significant pharmacological effects. Pharmacokinetic studies on time-course of blood levels, tissue distribution and excretion of SKI 20S3R were performed in rats and beagle dogs after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14}$ C-labeled SKI 2053R. The blood level of radioactivity decreased in bi-or tri-exponential manners: rapidly decreased at$\alpha$ -phase but slowly decreased at$\beta$ -or${\gamma}$ -phase.$^{14}$ C SKI 2053R was well distributed to all tissues except central nervous system. Tissue concentration profiles of radioactivity were almost consistent wi th those of blood, but higher than those of plasma from 1 to 168 hrs after administration. Also,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 th those of whole body ARG study. The urinary and fecal excretions of radioactivity within 168 hr after administration were 84-87 and 9-11 % of total radioactivity of$^{14}$ C-SKI 2053R administered. In lactating rats, the levels of radioactivity in the milk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blood, but slightly higher than that in the plasma. The disapperance of the radioactivity from the milk was similar as that in the plasma. -
헤파린은 혈액응고계에서 antithrombin III 존재하에서 thrombin과 factor Xa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항응고제로서 작용을 한다. 심정맥혈전증 등 임상에 응용성이 높지만 장기적 사용시 혈소판 감소효과, 출혈, 골다공증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본연구는 식물성 생약으로부터 당을 분리 정제하여 화학적으로 sulfation시켜 in vitro와 ex vivo에서 항응고활성을 비교하였다. 우선적으로 aPTT를 측정하여 응고시간의 연장을 시키는 다섯종류의 식물생약을 선택하였고 이 중에서 청호(Artemisiae apiaceae)로부터 산성당을 분리하여 pyridine과 chlorosulfonic산으로 sulfation 시켰율 때 in vitro상에서 항응고활성은 sulfation전에 비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농도를 달리 하여 실험동물에 투여시 응고시간의 연장 역시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Thrombin 억제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sulfate기와 항응고 활성과는 관계가 있는 것처럼 보였다.
-
약물 내성 (tolerance) 및 의존성 (dependence)은 그 약물이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 약리작용과 관련되어 형성된다. 약물의 반복투여 후, 나타나는 작용이 처음의 반응 (response) 보다 감소되어 나타나는 현상 즉, 내성과, 이와는 반대로 약물반복 투여 후 나타나는 작용이 처음의 반응보다 점점 증가하는 역내성 (reverse tolerance 또는 sensitization) 측정에 있어서 약물에 따라 적절한 검색 방법을 설명한다. 의존성에 있어서 약물 섭취 결과 mood가 변하거나 도취감 또는 만족감을 일으키게 되면 그 감각을 재 경험하고 싶다는 욕구가 일어나게 되는 정신적 의존성(psychic dependence)과, 약물을 반복 투여하다가 갑자기 투여를 중단 했을때 여러가지 생리학적인 또는 행동적인 변화가 급격히 증가하여 금단증상을 나타내는 신체적 의존성 (physical dependence) 측정 방법을 제시한다. 내성과 의존성은 근본적으로 다르지만 대부분의 경우 내성이 형성되면 의존성이 형성된다. 여기서는 주로 morphine과 psychostimulants를 투여한 후 나타나는 약리작용에 대한 내성과 opioids (마약성 진통제)의 의존성 평가 방법에 대한 model을 설명하고자 한다 진통성 내성(analgesic tolerance)에 있어서 진통제의 진통력은 진통력 측정 방법(tail pinch, paw-withdrawal, tail flick, tail-withdrawal, hot plate, writhing, etc)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각각의 진통제의 정합한 내성 측정 방법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역내성 (roversetolerance)은 cocaine, amphetamine, opioids둥의 만성투여에서 일어난다. 이들 역내성을 측정하는 한 방법으로 자발운동을 측정하는데 locomotor activity cage나 tilting cage를 이용한다. 정신적 의존성(psychic dependence)은 약물 섭취 욕구를 이용한 CPP (conditioned place preference)법을 소개한다. 신체적 의존성 (physical dependence)은 opioids를 만성적으로 투여한 후 naloxone으로 precipitation하여 나타난 여러 가지 금단증상을 측정하고 몇몇 평가 model을 제시한다.
-
1) 측좌핵파괴 후 muricide를 비롯하여 startle, struggle등의 정동행동의 변화가 뇌손상 초기에는 현저히 발현되나 muricide를 제외하고 기간경과와 함께 점차 감소한다. 2) 봉선핵파괴 동물은 muricide, moose-eating behavior 등의 극심한 정동행동의 변화를 유발한다. 3) 측자핵파괴로 유발된 muricide는 1-DOPA, nomifensine, desipramine 등에 의하여 현저히 억제되었으나 HPD 에는 감수성이 낮았다. 봉선핵파괴로 유발된 muricide는 L-5-HTP, 4) 봉선핵파괴로 유발된 muricide는 L-5-HTP, clomipramine, nomifensine 등에 의하여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
BALB/C mice 에게 FVA를 감염시킨 후, zidobudine을 1 mg/ml 의 농도로 식수에 용해하여 18일 동안 자유롭게 섭취 시켰을때 (150-200 mg/kg/day) 비장비대가 90% 억제되었고, 혈액 중 reverse transcriptase 활성은 85%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빈혈지수는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ddI 는 AZT와 동일 용량에서 비장비대는 17%, 혈액 중 reverse transcriptase 억제효과는 34%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ddC는 단독투여시 비장비대를 38% 억제하였으며, interferon
$\alpha$ 와 병용투여시 83%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은 FVA 감염에 의한 mice의 비장비대를 지표로 하여 reverse transcriptase의 억제효과를 지닌 항 AIDS약물의 약효검색법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해준다. -
(목적)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바이러스는 HIV-1 nef유전자가 일부 삭제되고 대신 Chloramphenicol acetyltransferase(CAT)가 pSVCAT recombinant 바이러스다. 이러한 recombinant 바이러스를 사용하는 이유는 첫째, CAT activity가 매우 민감하므로 바이러스의 복제억제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 할 수 있고 둘째,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SIV)의 경우 nef 유전가 in vivo에서는 바이러스의 복제에 필수적이므로 HIV가 SIV와 유사한 것으로 미루어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recombinant SVCAT 바이러스가 안전한 것으로 고려되기 때문이다. (방법) 특히 화합물이 HIV-1의 복제에 얼마나 영향이 있는가는 1) 어느정 도의 virus inoculm을 넣었는지 2) 사용하는 cell line 3) 사용한 cell line의 infection kinetics 4) 실험의 지속기간 5) 테스트하는 assay의 sensitivity에 의존한다. 따라서
$10^{5}$ cell의 H9과 sup T1을 24 well plate에 넣고 sup T1 cell line의 경우 3일 후 항 화합물에 의한 syncytia 형성 및 CAT activity의 억제정도를 현재 AIDS drug으로 쓰이고 있는 Zidovudine을 control로 비교 관찰하였다. H9 cell line의 경우 3일 간격으로 media의 3/4을 fresh media로 바꾸어 주고 9일 후 CAT assay를 하였다. 이러한 assay에서 activity를 보이는 화합물을 reverse transcriptase와 P24 ELISA assay를 재확인하였다.다. -
Reverse transcriptase가 유도되는 것을 SDS-PAGE 및 효소활성 분석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효소의 정제를 위한 예비실험으로 ammonium sulfate 및 DEAE 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rgraphy를 시행하였을 때 specific activity의 증가를 보여주므로서 reverse transcriptase의 분자클로닝 후 발현된 효소가 활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MAL; cRI 재조합 유전자에 있는 protease의 유전자 발현을 유도했을 때 E. coli세포의 성장에 toxic하게 작용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발현된 protease가 E. coil의 번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믿어지며 Protease의 유전자 발현을 위한 host의 선택, inducer의 첨가시간 등 실험조건의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허혈-재관류손상 심근세포의 DNA에서 8-hydroxydeoxyguanosine (8-OHdG) 생성을 검토하였다. 흰쥐 적출심장의 Langendorff 관류 표본에서 대동맥 차단에 의한 60분 허혈후 산소가 포화된 Kredb-Henseleit용액으로 30분간 재관류 하므로서 허혈-재관류 손상을 유도하였다. 재관류 후 심근세포에서 DNA를 추출하고 HPLC(EC detector)를 이용하여 8-OHdG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허혈-재관류 심근세포의 DNA에서 8-OHdG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O_2$ 제거물질인 superoxide dismutase와 OH 제거물질인 mannitol에 의하여 방지되었다. Xanthine oxidase외 경쟁적 길항약인 allopurinol도 8-OHdG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단백분해효소 억제제인 phenylsulfonylfluoride 그리고 관류액에서 칼슘의 제거 또한 허혈-재관류 심근 DNA의 생성을 방지하였다. 이상의 결과 허혈심근의 재관류시 8-OHdG 생성이 증가하며 이는 재관류 손상과 같은 산화성 심근손상을 평가하는 좋은 Index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생체내 기능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prostaglandins(PGs)는 신경계 세포, 순환기계세포, 거삭세포, 섬유아세포 및 암세포 등 여러 부위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PGs생체내 전구체인 arachidonic acid와 구조유사체인 eicosapentaenoic acid(EPA) 및 docosahexaenoic acid(DHA)에 의한 순환기계효과를 TXA
$_2$ 생합성과 관련하여 규명하고져 하였다. 또한 여러 가지 면역요법 중 암세포 살해능이 있는 lymphokine activated killer(LAK) 세포의 생성력과 생체내 면역세포 중 암세포의 일차적인 방어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natural killer(NK) 세포의 활성도를 PGs생성과 연관시켜 검토하므로써 암환자에 저하되어 있을 면역기구와 PGs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취장 외분비 기능 부전은 임상적으로 영양결핍, 발육부전, 지방변동을 유발하나 이의 치료로는 결려된 소화효소 보충 등 보존적 요법만 시행될 뿐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는 실정이다. 지난해 과제는 합성 단백분해 억제물질인 Camostat이 취장의 비대와 중식을 일으키며 또한 단백분해 효소분비를 증가시킴을 보고한 바 있다. 이를 토대로 최근 보고된 실험적 취장 외분비기능 부전 모델을 이용하여 camostat의 효과를 검색하고자 하였으며 아울러 이를 CCK효과와 비교하였다. 실험동물로는 몸무게 200 g 안팎의 수컷 Sprague-Dawley계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취장기능 부전은 oleic acid (25
$\mu$ /100 g bw)를 취관내 주입하여 유발하였다. Camostat은 200 mg/kg씩 위내 투여(i.g.)하였으며 CCK(CCK-8)는 5$\mu\textrm{g}$ /kg씩 하루 2회 피하주사하였고 투여기간은 각각 3, 7, 14 일간으로 하였다. 각 약물 투여 후 취장 외분비 기능과 조직학적 검색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온 결과를 얻었다. 1. Oleic acid의 취관내 주입으로 흰쥐의 취장 무게, 조직내 효소단백 함량 및 효소분비량이 현저히 감소되었고 조직학적으로 심한 위축과 섬유화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주입 후 기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진행하였다. 2. 취장기능 부전 유발 흰쥐에서 camostat 처치로 조직내 효소단백 함량 및 효소분비가 증가 되었으며 이는 14일간 처치군에서 뚜렷하였다. 3. 취장 기능부전 유발 횐쥐에서 camostat 처치는 조직학적으로 기능적인 외분비 조직이 유지되었으며 이는 3일군에서 특히 뚜fut하였다. 4. 취장기능부전 유발 횐쥐에서 CCK 처치효과는 camostat 처치효과와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oleic acid 주입은 취장기능부전 연구에 유용한 실험모델로 생각되며 합성 단백 분해 효소 억제제인 Camostat은 취장외분비 기능 부전의 진행을 억제하고 어느정도 그 기능을 호전시킬 수 있으며 이는 CCK유리에 기인한다고 생각한다. -
뇌동맥계는 일과성 저혈압에 반응하여 혈관확장이 야기되고, 혈압 상승시에는 혈관수축이 일어남으로서 뇌혈류가 일정하게 조절된다. 이러한 자가조절은 뇌손상 등의 병적 상태에서 야기된다. 연구의 목적은 \circled1 Cromakalim, CGRP(calcitonin-gene related peptide), 및 substance P에 의하여 뇌연막동맥의 직경이 어떻게 변동하는가를 관찰하고 \circled2 이들 신경성 peptide의 작용에 대하여
$K^{+}$ 통로 개방 봉쇄제인 glibenclamide의 전처치 효과를 검색하고 \circled3 Capsaicin 전처치가 뇌혈류 자가조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혈류 자가조절은 대퇴동맥을 통한 사혈에 의하여 혈압하강을 일으킬 때 뇌연막 동맥은 이완하였고, reservoir내의 혈액을 체내로 주입함로서 혈압반전을 일으켰을 때는 혈관 수축이 일어났다. 2. 연막동맥은 glibenclamide (1~3$\mu$ M)의 관류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아니하였다. 3. 혈압변동에 따른 혈관직경의 변화를 회기직선으로 분석하였다. Glibenclamide 1과 3$\mu$ M의 전처치 관류에 의하여 혈압하강에 따른 혈관 이완경사도와 혈압반전에 따른 혈관수축 경사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약화되었다. 4. Cromakalim (0.1-30$\mu$ M)의 각 농도를 대뇌표면에 관류시 연막동맥의 기초직경은 약물농도에 의존하여 증가되었고, 이는 glibenclamide (1$\mu$ M) 전처치 관류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5. CGRP (0.1~100 nM)와 substance P (0.1~10nM)도 용량에 의존하여 혈관이완을 일으켰다. 전자는 glibenclamide (1$\mu$ M) 전처치 관류에 의하여 억제되었으나 후자는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6. Capsaicin(50 nmol: intracisternally) 주사에 의하여 뇌혈류자가조절의 변동이 초래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CGRP가 혈압변동에 의하여 반사적으로 유리되고, 이는 glibenclamide-sensitive$K^{+}$ 통로에 작용하는 것으로 시사된다. -
혈관근의 수축 또는 이완 반응에서
$Na^{+}$ /Ca$^{2+}$ exchange계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먼저 가토와 흰쥐 흉부 대동맥에서 수축과 이완 반응을 검색하고 이때의 혈관 이완 반응을 증개하는 cAMP와 cGMP농도를 측정하였다. 내피세포가 존재한 표본에서 acetylcholine은 norepinephrine 수축 반응을 이완시켰고 이완 반응은 methylene blue로 소실되었으며 isoproterenol과 nitroprusside는 내피 존재와 제거 양표본에서 이완 반응을 일으켰으며 이때 isoproterenol은 CAMP농도를, nitroprusside는 cGMP농도를 증가시켰다. -
항 Histamine쟤의 효과적인 응용과 그 개발율 위한 자료를 얻고자 이들 약물의 H
$_1$ -receptor와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작용의 상대적 역가를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 이용된 기니픽 회장에는 [$^3$ H]QHB어 대한 단일 muscarinic receptor가 존재하였으며 [$^3$ H]QNB의 affinity와 결합부위농도는 각각 54 pM 및 156 fmol/mg이었다. 항 histamine제는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3$ H]QNB결합을 억제하였으며 [$^3$ H]QNB 결합억제로부터 추정된 항 histamine제의 Ki치가 0.008$\mu$ M-1.6$\mu$ M로서 항 histamine제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고, 이 결과는 carbachol 반응억제로부터 추정된 각 항 histamine제의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affinity(K$_{M}$ )와 유사하였다. 한편 histamine수축반응 억제로부터 추정된 항 histamine재의 H$_1$ -receptor에 대한 affinity(K$_{H}$ ) 역시 0.15nM-56.5nM로서 약물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각 약물의$K_{M}$ /K$_{H}$ 비가 3-2300으로 H$_1$ -receptor에 대한 역가와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역가 사이에는 상관성이 없었다. 즉 유사한 항 allergy 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치료혈중농도에서도 muscarinic receptor 차단작용이 다르며 본 실험에 사용한 13종의 기존 항 histamine제중 triprolidine이$K_{M}$ /K$_{H}$ 비가 가장 높았고 diphenidol이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항 histamine제의 muscarinic receptor 차단작용은 이들 약물의 항 alleragy 효과에 필요한 작용이 아니며 본 실험에서 추정된 항 histamine제의 H$_1$ -receptor와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상대적 역가는 이들 약물의 선택과 평가에 중요한 지표가 될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The vast number of compounds which have been introduced into our environment in recent years is far beyond our capacity to assess for carcinogenicity using expensive, life-time carcinogenicity studies in rodents. Several in vitro short term assays which are very rapid and inexpensive have therefore been applied as mass screening methods. However, increasing evidence has indicated that mutagenicity results do not always correlate with long-term carcinogenicity. Therefore, the existence of discrepancies dictates the necessity of suitable in vivo rapid assay systems which could bridge the gap between mutagenicity and conventional long-term testing.
-
Point mutations in a highly conserved central region of the HIV-1 integrase protein were analyzed for their effects on viral replication and virion morphogenesis. Conservative amino acid replacements of two amino acid residues invariant un retroviral integrases, D116 and E152 of HIV-1, as well as the highly conserved amino acid S147, completely blocked viral replication in two CD4
$\^$ +/ human T cell lines. Mutation of four other highly conserved amino acids in the region had no detectable effect on viral replication, while Mutations at two positions, N117 and Y143, resulted in viruses with a delayed replication phenotype. Characteristic and reproducible defects id virion core structure were observed by electron microscopic analysis of sore of the replication defective integrase point mutants, indicating that mutant integrase proteins can interfere with the process of virion core maturation. -
도파민 D 수용체 및 5-HT 수용체 차단기전을 지닌 새로운 항정신분열증 약물인 risperidone은 활성형 대사물로 9-OH risperidone을 체내에서 생성하는 바, 이 대사과정의 유전적 다형성의 여부 즉 hydroxylation 과정에 CYPIID6의 관여 여부를 검토코자 하였다. Metoprolol 100 mg 경구투여로 CYPIID6의 대사능의 표현형을 결정한 12명의 정상 피험자(11명: extensive metabolizer, 1명: poor metabolizer)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피험자는 risperidone 1 또는 2 mg 경구투여후 혈중 risperidone 및 9-OH risperidone 농도를 경시적으로 radioimmunoassay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들 피험자중 6명의 extensive metabolizer는 quinidine 600 mg/day의 용량 투여로 CYPIID6의 활성도를 완전 억제시킨 후 risperidone 1 mg 경구투여에 따른 약동학적 성상을 재검토하여 risperidone hydroxylation에 CYPIID6의 관여 여부를 검토하였다. 1) 1명의 poor metabolizer는 extensive metabolizer에 비해 현저히 긴 risperidone 반감기를 보였다. 2) 12명의 피험자에서 관찰된 metoprolol metabolic ratio는 risperidone 혈장 반감기 및 log(risperidone AUC/9-OH-risperidone AUC)와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3) Quinidine 투여는 risperidone의 반감기의 유의한 증가와 9OH risperidone AUC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9-hydroxylation 대사과정이 완전히 억제되지는 않았다.
-
Angiotensin 전환효소 억제제를 재료로하여 다기관 협동을 통한 시판 후 조사방법론을 개발하고, 아울러 Angiotensin 전환효소 억제제 투여시 나타나는 기침의 발생율과 이와 관련된 요인을 밝히고자 시판 후 조사를 시도하였다. 방법: 1992년 2월부터 1992년 10월까지 11개 병원 가정의학과를 방문하여 Angiotensin 전환효소 억제제를 투여한 고혈압 환자 34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남자가 147명, 여자가 201명이었으며, 연령별로는 39세이하 38명, 40-54세 156명, 55세 이상이 154명이었다. 최초 약물투여 후 2, 4, 8, 12주에 추적 관찰하였으며, 기침의 발생율은 PC-SAS 6.04를 이용하여 Kaplan-Meier 방법과 Log-Rank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
대상환자는 15예로, 14예에서 평가가능하였다. 남녀비는 8:6, 중앙연령 32세(10-70세)이었고, 대상질환은 악성골육종 7예, 악성임파종 2예, 위암2예, 폐암 2예, 그리고 자궁악성육종 1예였다. CSF 50 ug/
$m^2$ 3예, 100 ug/$m^2$ 3예,150 ug/$m^2$ 3예, 250 ug/$m^2$ 3예,350 ug/$m^2$ 3예, 500 ug/$m^2$ 6예, 700 ug/$m^2$ 용량 3예에서 시행되었다. 1주기 시행한 환자는 7예, 2주기 5예, 3주기, 4주기 각각 1예씩이었다. 부작용은 50-150ug/$m^2$ 에서 WHO grade I의 발열, 전신쇠약, 식욕부진 등이 관찰되었으나 grade II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 250 ug/$m^2$ 이상의 용량에서도 grade II의 발열이 관찰되었을 뿐 다른 중증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최고용량인 700 ug/$m^2$ 에서도 grade II의 발열외의 중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각 용량에 따른 백혈구 증가율(%투여제2일/투여제1일)은 130-500% 이었다. 시행된 약동태는 CSF 투여 2-4 시간 후 최고치 (0.42-15.4 ng/ml)를 나타내고 투여 12시간까지 0.2-2 ng/ml의 농도로 지속되었다. 소변내 CSF 배설량은 총투여량의 1% 미만이었다. CSF중화항체는 전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
간부분 절제술을 하지 않는 비수술적 방법으로서 D-galactosamine을 이용한 중기발암성 시험의 개발을 목적으로 F344 수괵 랫드를 이용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I 에서는 실험방법에 따라 3가지 모델로 구분하고, 각 모델에 처치군과 대조군을 두었다. 모델 1 에서는 실험개시시에 diethylinitrosamine (DEN)을 200 mg/kg body weight로 복강내로 1회 투여하고, 실험개시후 2및 5주에 D-galactosamine을 300 mg/kg body weight로 복강내로 각각 1회 투여하였다. 처치군에는 실험개시후 2주부터 6주간 2-acetylaminofluorene을 0.01%로 혼합한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대조군에는 기초사료를 계속 급여하였다. 모델 2에서는 모델 1의 4주차까지의 처치를 2회 반복하였다. 모델 3은 간부분 절제술을 하는 DEN-PH (diethylnitrosamine-partial hepatectomy) 모델과 같은 방법으로 처치하였다. 사육기간 중 매주 체중 및 사료소비량을 측정하였고, DEN 투여후 8주에 전동물을 부검하여 적출한 간의 중량을 측정하고, glutathione S-transferase placental form (GST-P) 양성 foci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표본을 만들어 GST-P 양성 foci의 수 및 면적을 측정하였다. 실험 II에서는 모델 1의 방법으로 phenobarbital(PB), 3-methylcholanthrene (3-MC), n-ethyl-n'-nitro-n-nitrosoguanidine 및 3,3'-diaminobenzidine외 GST-P 양성 foci의 발현정도를 조사하였다. 실험 I의 결과, 모델 1이 정상적인 체중 증가를 보여주었으며, 간조직의 GST-P 양성 foci 의 발현율이 가장 좋았다. GST-P 양성 foci의 면적은 큰것 부터 미상엽, 내측우엽, 외측우엽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foci의 수는 모델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실험 II의 PB 투여군과 3-MC 투여군에서 GST-P 양성 foci의 수 및 면적의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때, 비수술적 방법인 D-galactosamine 을 이용한 중기 발암성 검색법은 간부분 절제술을 이용한 중기발암성 검색법에 비하여 GST-P 양성foci의 발현능력이 동등하거나 더 우수하였으며, 간 및 간이외 장기의 발암물질에 대한 발암성 검색에 보다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과제에서는 적출판류간실험법 (isolated perfused liver technique)을 약물의 간독성 유발 및 보간작용에 관한 실험법으로 개발하고자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을 이용하여 보간실험을 하였다. BHA를 식이투여한 흰쥐로부터 적출한 간에 간독성 모델물질로 2,6-dichlorophenolindophenol (DCPIP) 을 관류시켜 관류액내의 DCPIP의 유리형, 환원형, glucuronide, sulfate 포합체의 대사체를 측정하여 DCPIP 외 대사양상을 관찰하였으며, 동시에 간세포 손상으로 관류액내로 유출된 lactate dehydrogenase (LDH)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DCPIP예 의할 간세포독성 유발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그리고 BHA에 의한 보간작용이 약물대사효소의 변와에 기인한 것인가를 관찰하기 위하여 모델약물로 7-ethoxycoumarin (EC) 이나 EC의 phase I 대사산물인 7-hydroxycoumarin (HC) 을 관류시켜 관류액내의 HC의 유리체, glucuronide 포합체, sulfate 포합체로의 대사량을 측정하여 약물대사시 약물의 활성화에 관계하는 phase I mixed function oxidase (MFO) 효소와 약물의 해독화에 관계하는 phase II 포합효소 (UDP-glucuronyltranesferase(UDPGT)와 sulfotransferase (ST))의 활성도 변화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간독성 모델물질인 DCPIP를 적출한 흰쥐의 간에 관규시켰을때 BHA 전처리군이 LDH가 유출되기 시작하는 시간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늦었으며, LCH가 유출량도 유의적으로 감소되어 DCPIP에 의한 간독성 유발능력이 BHA에 의하여 감소됨을 관찰하였다. 아울러 DCPIP의 대사체중 환원체와 glucuronide 포합체의 생성량이 증가되어 BHA에 의하여 quinone reductase와 UDPGT 활성도가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BHA 전처리에 의하여 MFO효소계와 ST의 활성도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UDOGT 의 활성도는 약 2.2배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BHA에 의한 보간작용은 간독성 물질을 활성화시키는 phase I MFO 효소의 활성도에는 변화없이 해독작용에 관여하는 phase II효소들의 활성도 증가에 기인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적출한 관류간실험법은 여러 약물의 보간효과를 관찰하는 실험법으로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어류를 이용한 독성 평가방법 및 기작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여성 호르몬의 일종인 17
$\beta$ -estradiol (E$_2$ )의 갑상선 종양 유발 촉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화 후 7+1일 된 암수동체성 어류인 점박이송사리 (Rivulu marmoratu) 를 N-methyl-N'-nitrosourea (MNU) 가 10 ppm 의 농도로 녹아있는 완충 사육수에 2시간 동안 전신 노출시켜서 갑상선 종양의 유도를 촉발 (initiation) 시킨 후, E$_2$ 가 포함된 시험 사료 (E$_2$ 20 mg/kg diet와 E$_2$ 80 mg/kg diet) 와 이에 대한 대조 사료를 30일간 먹여 사육하였다. 그 후 80일 동안 정상사료인 염전 새우의 유생으로 키우며 매 15일 간격으로 갑상선 종양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발암원 처리 후 E$_2$ 가 함유되지 않은 사료로 사육한 대조군에서는 2.4% 의 개체에서 갑상선 종양이 유도된 반면, E$_2$ 20 mg이 함유된 사료를 투여한 실험군에서의 갑상선종양 유발율은 34%로, 대조군에서 보다 14배 정도 증가하였다 (p<0.01). MNU 처리 후 E$_2$ 60 mg/kg 사료를 먹인 실험군에서의 갑상선 종양 유발율은 E$_2$ 20 mg/kg 사료를 먹인 실험군에 비하여 발암 잠재기 (latency)가 15일 정도 단축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E$_2$ 가 다단계 (multistage)로 이루어진 갑상선 종양 발생기작에 발암 촉진제로써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입증할 뿐만 아니라, 본 종이 갑상선 종양의 발생 및 촉진기작을 연구하는데 매우 적합한 실험동물 모델임을 보여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미 benzo(a)pyrene유도 소핵시험에서 뚜렷하게 소핵생성억제능을 보인 polyhydroxy flavonol유도체중의 하나인 Galangin에 대하여 C57BL/6 mice를 이용하여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이하 MNNG)에 의해 유도된 소핵생성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spleen lymphocyte 배양을 통해 bleomycin 및 MNNG유도 염색체이상에 미치는 영향과 MNNG에 의해 유발된 DNA adduts중 biomarker로서 7-methylguanine형성에 대한 Galangin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서 ,Galangin의 유전독성 억제효과 및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하며 향후 Galangin을 모핵으로하는 cancer chemopreventive agent로의 유도체 합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
Antiestrogen은 에스트로젠 의존성 유방암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써 표적 세포 내에서 에스트로젠 수용체와 작용하여 세포 증식 억제 작용을 나타내고 동시에 에스트로젠 수용체와는 구분되는 소포체 분획의 antiestrogen specific binding site (AEBS) 와도 결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직 이 AEBS의 생리적 또는 약리적 기능은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AEBS의 기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cytochrome P45O III 효소군과 AEBS와의 관계를 자옹 백서를 이용하여 면역 화학 반응 실험 및 경쟁적 결합 반응 실험을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EBS에 대해서 SKF-525A와 metyrapone은 결합 능력을 나타내었다. 2) 자성쥐에서는 주령이 증가함에 따라 cytochrome P450양이 감소하였다. 3) 자옹성쥐 모두에서 phenobarbital 처치에 의해 cytochrome P450 III 효소양이 증가하였고, AEBS도 증가하였다. 4) 웅성쥐에서는 testosterone에 의하여 AEBS가 증가하였다. 5) 자웅성쥐 모두에 tamoxifen 관류시 cytochrome P450 III 효소양이 증가하였고 estradiol과 병용 관류시에는 tamonifen 단독 관류시보다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tamoxifen이 cytochrome P450 III을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cytochrome P450 III 효소군과 안티에스트로젠 결합부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사용한 CPZ, PPZ, TFZ 및 TRZ의 약물이 UVA조사에 의해 용혈독성이 크게 나타났으며 CPZ, PPZ, TRZ에 의한 광용혈정도는 ascorbic acid에 의해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또한 적혈구를 가하기 전 각 약물을 미리 조사시켜 생성된 물질에 의한 광용혈현상의 광독성생성물질은 chlorpromazine과 thioridazine에서 보여졌으며, cholrpromazine의 광독성생성물질에 의한 적혈구 용혈현상만 ascorbic acid에 의해 감소되었다. UVA조사전 후의 각 약물에 대한 TA98, TA100에서의 발암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
제1차년도 연구에서 Goto등의 방법을 응용하여 생체에 대하여 안전하고 transit 양상에 대해 재현성이 확보되는 경구용 방출조절성 마이크로캅셀을 개발 하였다. 즉 methacrylate polymer(Eudragit RS, RL, E, S 및 L)의 특성을 이용하여 B-락탑계 항생물질(amoxicillin 및 cephaiexin)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캅셀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 있어서는 제1차년도에 in vitro 실험결과 유용한 서방성 제제로 판단되는 cephalexin 함유 Eudragit RS/RL, S/L 및 RS/PEG 마이크로캅셀을 제조하여 가토에 경구투여 후 생체이용률을 평가하였다. 또한 소화관에서 약물의 방출속도 및 흡수속도등을 고려한 모델을 구축하여 약물속도론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실제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경구투여용 마이크로캅셀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1. in vitro 실험 입도분포, 함량시험, 용출시험 2. in vivo 실험 1) AUC에 의한 평가 2) Vallver 등의 방법에 의한 평가 3) 약물속도론적 방법에 의한 평가 결론: 1. Eudragit 의 특성을 이용하여 유중건조법으로 40% cephalexin 함유 Eudragit RL/RS, S/L 및 RS/PEG 마이크로캅셀을 제조할 수 있었고 각 조성비를 변화시킴으로써 약물방출을 조절할 수 있었다. 2. 약물속도론적 해석결과 마이크로캅셀제제의 Ka는 변화하지않고 Kr이 감소되는 즉, 약물흡수의 율속단계가 방출단계임을 보여주었다. 3. Eudragit RL/RS 마이크로캅셀은 제어방출 효율 및 흡수속도 효율이 우수한 서방성 제형으로 평가되었다.
-
목적: Estroge 결핍으로 나타나는 폐경기의 주요 증상을 경감 치료하기 위해, estrogen경구 투여시 위장장애, 위장에서의 대사, 간 초회효과, 자주 투여로 인한 환자의 불편 등의 단점이 있나,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한 투여경로의 하나로 피부를 통해 일정약물을 장기간 일정속도로 송달시키는 경피 흡수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EE)의 장기제어방출을 위해 ethylene vinyl acetate (EVA)를 사용하여 장기 제어방출 및 경피 흡수의 최적화 조건을 설정하여 경피흡수 시스템을 위한 막의 개방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VA 함량이 18-40%까지의 EVA를 사용하여 EE를 함유한 matrix를 casting 방법으로 제조하고 변형된 Keshary-Chien cell을 이용하여 방출실험을 실행하였다. 이때 방출에 미치는 여러 가지 인자로서 EVA 주의 VA함량, 막의 두께, receptor 중 PEG 400의 용량비율, 방출 매개체의 온도, loading 된 약물의 량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점개한 mouse skin에 대한 투과 실험을 행하고 이에 미치는 PEG 400과 자질층의 역할을 검토하였다. 결과: EE의 용해도는 saline so PEG 400의 용량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VA 함량이 증가될수록, PEG 400의 용량비율, 방출 매개체의 온도, loading 된 약물의 양이 증가될수록 PEG 400의 용량비율, 방출 매개체의 온도, loading 된 약물의 양이 증가될수록 EE의 방출속도와 부과속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투과속도는 막두께의 역수와 직선상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EVA matrix로부터 EE가 방출되는 양상은 diffusion-controlled model을 따랐으며 이때 단위면적당 방출된 총량은 T에 비례되었다. 절개한 mouse skin을 통한 EE의 permeation은 PEG 400의 첨가에 의해 상승되었다. 이와 같이 EVA 막이 EE의 부과 및 방출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아 경피 흡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시방성 제제에 대한 연구는 주로 제제학적 수단에 의한 약효의 지속화로서 제제설계상 제형개발 및 투여제형에서의 약물방출 조절로 체내의 유효 혈중농도를 유지한다. 이에 약물 방출 조절용 물질의 하나로서 체내 분해가 가능하고 독성이 없는 생체 고분자인 Chitosan이 약물방출 담체로서 양호함에 착안하여 약물의 서방화를 기하고자 본 실험에 착수 하였다. 모델 약물로서는 sulfamethoxazole, acetaminophen, sylimarin을 사용하여 chitosan gel 과 혼합비를 달리하여 고형 문산체를 조제하고 이것을 formaldehyde, glutaraldehyde, 1acetaldehyde, butylaldehyde 4종의 aldehyde를 사용하여 농도에 따른 가교화가 in vitro에서의 약물용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또한 위장을 거쳐 소화효소 또는 장내미생물 효소에 의한 chitosan 분해로 약물 방출의 촉진을 실험한바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한다.
-
랫드 및 마우스에 1회 경구 및 정맥투여하였을때의 급성독성을 관찰한 결과 랫드에서 급성경구 시험결과의 LD
$_{60}$ 치는 암수 각각 5,000mg/kg 이상이었으며, 급성정맥시험 결과의 LD$_{50}$ 치는 수컷에서 1,151mg/kg, 암컷에서 1,184mg/kg이었다. 마우스에서 급성경구시험 결과의 LD$_{60}$ 치는 암수 각각 5,000mg/kg 이상이었으며 급성정맥시험 결과의 LD$_{50}$ 치는 수컷에서 2,698mg/kg, 암컷에서 2,833mg/kg이었다. Sal. typhimurium을 이용한 돌연변이시험, 마우스를 이용한 소핵시험, 배양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 시험을 실시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왔으므로 DWC-751의 돌연변이 유발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타났다. -
DWC-751은 그람양성 및 음성균주에 대하여 광범위한 항균스펙트럼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람양성균 S. aureus에 대하여는 cefpirome과 동등하며, cefotaxime 보다 4배, ceftazidime보다 16배 우수하였고 그람음성균에 대하여 DWC-751의 항균력은 cefpirome, cefotaxime보다 2배, ceftazidime보다 4-8배 우수하였다. Ps. aeruginosa에 대한 DWC-751의 항균력은 ceftazidime과 거의 동등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cefpirome보다 2배, cefotaxime보다 4-8배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임상분리균주 및 ofloxacin 내성균주에 대한 DWC-751의 항균력은 표준균주에 대한 결과와 같이 대조약물보다 우수하였다. 전신감염치료효과에 있어서 Streptococcus pyogenes, Serratia marcescens, Acinetobacter calcoaceticus, Morganella morganii, Proteus mirabilis에 대한 동물실험 결과, ED
$_{50}$ 치에 의한 효능은 cefotaxime 보다 우수하였으며,Enterobacter cloacae,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하여는 ceftazidime과 거의 동등하였다. -
결과 및 고찰: 이 약의 흰쥐에서의 체내동태는 혈중농도로 볼 때 2-exponential pharmacokinetics에 따르고, HPLC법으로 정량한 경우의
$T_1$ /$_2$ $\alpha$ ,$T_1$ /$_2$ $\beta$ , AUC, C$L_{T}$ , C$L_{R}$ , V$D_{SS}$ 는 각각 1.90min, 21.89min, 1899.36$\mu\textrm{g}$ ㆍmin/ml, 10.66ml/min/kg, 7.48ml/min/kg, 0.28l/kg으로 bioassay법과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분포특성은 간장과 신장에 많이 이행하였으며, 폐로의 이행도 적지만 관찰되었다. 이 약의 단백결합률은 그 농도가 31.3$\mu$ M일 때 42.3%였고 water/n-octanol계에서의 유상으로의 분배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이 약의 분포용적이 작은 것은 단백결합 때문이라기보다는 높은 극성때문으로 추정되었다. 이 약의 C$L_{R}$ 은 GFR의 문헌치보다 컸으며 C$L_{T}$ 의 약 2/3을 차지하므로 약물소실에 있어서 신장의 기여도가 크고 신배설 과정에 신분비가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사실은 CAZ나 CTX등의 기존 세파계 항생제들과 유사했으며, 추후 다회투여시와 용량의존적 체내동태에 관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되었다.되었다. -
Anthracycline의 합성에 있어서 aglycone 뿐만 아니고 sugar도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Anthracycline에 이용되는 sugar인 daunosamine의 전합성의 확립을 통하여 daunosamine의 anlogue을 합성할 목적으로 daunosamine의 전합성을 검토하고 있다. Methyl D-mannopyranoside을 원료로 하여 0-methylation, PhCH(OMe)
$_2$ 에 의한 OH의 보호, n-BuLi을 이용한 위치선택적 deblocking, oxime생성, 이어서 Vitride를 이용한 환원으로 daunosamine 합성에 있어서 중요한 중간체인 methyl-3-amino-4,6-benzylidene-2,3-dideoxy-$\alpha$ -D-hexopyranoside을 합성하였다. -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을 위하여 합성된 핵산유도체 11개에 대한 in vitro 항바이러스 약효검색을 수행하였다. 검색대상 바이러스로서 외피보유 DNA 바이러스인 human herpesvirus에 속하는 herpes simplex virus type 1과 type 2에 대해서는 Vero 세포체계에서 3일 후 CPE 저해정도를 MTT 검색법으로 cytomegalovirus에 대해서는 HEL 세포체계에서 7일 후 Giemsa 염색법으로 약효를 측정하였다. 외피비보유 RNA 바이러스인 picornavirus에 속하는 poliovirus type 1과 type 3과 coxsackie B virus type 3에 대한 약효를 HeLa 세포체계에서 2일 후 CPE 저해정도를 MTT 검색법으로 측정하였다. 아울러 selectivity index를 구하기 위하여 Vero와 HeLa 세포에 대한 약물자체의 독성인 cytocidal effect를 MIT 검색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항 herpesvirus 약효는 어떤 물질에서도 발견되지 않았으나 한 물질이 poliovirus type 1과 3에 대하여 selectivity index 10정도 (CC
$_{60}$ 38 ug/ml, EC$_{50}$ 1-4 ug/ml)를 나타내었고 자세한 기작은 좀 더 조사할 필요가 있다. -
항바이러스 작용을 기대하여 6-azauridine의 2',3'-seco 유도체와 이들의 cyclic phosphate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6-azauridine으로부터 periodate oxidation에 의해 2',3'위치를 개열, 환원하여 얻은 triol의 3',5'위치를 acetonide 형으로 보호한 후 2'위치를 tosylation, azidation 하고 deprotection하여 2'-azido-2',3'-seco 유도체 (1)를 얻었다. 2',3'-diazido-2',3'-seco 유도체(2)는 6-azauridine의 2',3'-위치를 먼저 보호한후 5'위치를 benzoylation, 2',3'-deprotection, periodate oxidation 개열로 얻은 diol을 tosyl화 azido화 하고 deprotection하여 얻었다. 5'-azido-2',3'-seco 유도체(3)는 화합물 (2)의 합성시와 동일하게 먼저 2',3'-acetonide로 한후 5'-위치를 tosyl화, azido화 하고 deprotection, 2',3'-perodate 산화 개열등으로 얻었다. cyclic phosphate 유도체 (4)는 상기화합물 (2)를 4-NPPDC로 처리하여 3',5'-p-nitrophenylphosphoryltrioxy 유도체 (5)를 얻고 이것으로부터 3',5'-phosphoryltrioxy 유도체의 ammonium salt(4)를 얻었다. 이들 화합물의 DNA 및 RNA virus에 대한 antiviral activity는 현재 수행중이다.
-
항암성 또는 항 virus성 약물개발 목적으로 천연의 pyrimidine nucleoside의 구조유사체로 pyrimidine acyclonucleoside들을 합성하였다. Pyrimidine acyclonucleoside를 염기 uracil, thymine 및 5-fluorouracil을 원료로 하여 합성하고 구조를 NMR, IR data를 써서 확인하였다. 이들 합성 화합물들은 L
$_{1210}$ 암세포를 이용하여 in vitro 항암성 작용을 검색하였다. 합성된 화합물들 중 5-fluorouraoil-acyclonucleoside들은 약간이나마 모 5FU보다 높은 항암성 작용을 보였다. 유도체들은 5-FU의 N$^1$ 에 glycosidic 결합이 아닌 alkyl 결합을 하고있어, 모 5FU를 그리 쉽게 유리시키리라 보아지지 않으므로 이들의 작용성은 acyclonucleoside형태일 것 같아 이들의 작용기전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아진다. 한편 얻은 유도체들은 HSV-1 및 HSV-2를 이용하여 항 virus성 작용을 검색한 결과 2500$\mu\textrm{g}$ /ml 농도에서 유의성 있는 억제 작용성을 보이지 않았다. -
i) total ginsenoside의 분리 시판백삼(900g)을 상법에 따라 처리, 조 saponin을 얻었으며 (24g) 이를 20(S)-protopanaxadiol을 얻는 원료로 사용하였다. ii) 20(S)-protopanaxadiol의 분리연구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는 20(S)-protopanaxadiol을 다량 얻는 것이다. 그러나 인삼 saponin을 산으로 가수분해하면 진성 aglycone 인 20(S)-protopanaxadiol이 얻어지지 않고 artifact sapogenol인 panaxadiol이 얻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sodium ethoxide의 ethanol 용액, sodium butoxide의 butanol 용액, sodium methoxide의 pyridine 용액, sodium methoxide의 DMSO 용액등의 조건에서의 가수분해를 검토한 결과 aprotic polar splvent인 DMSO용매중에서의 분해가 가장 좋음을 알았다. iii) ginsenoside Rh
$_2$ 의 합성연구 Koenigs-Knorr 법에 의하여 bromosugar와 20(S)-protopanaxadiol의 glycosidation 반응결과 약 40%의 수득률로 합성됨을 확인하였다. -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질병인 AIDS의 원인 virus인 HIV에 활성이 있는 nucleoside 유도체를 개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HIV에 활성이 있는 3'-deoxythymidine 유도체의 일종으로써 3'-위치에 hydroxy기 대신에 heterocyclic thio기가 치환된 3'-deoxy-3' -(pyrimidin-2-yl)thio thymidine 및 3'-deoxy-3'-(1-methyltetrazol-5-yl) thiothymidine을 thymidine을 출발물질로 각각 합성하였다. 그러나 이 두 화합물은 항 HIV-1 (CEM cell line)에 대하여 활성이 없었다.
-
3. 연구결과 출발물질로 L-tyrosine을 사용하여 요오드화, 에스테르화, N-CBZ 및 0-Bn보호기화 및 N-methyl화를 행하여 5단계에 걸쳐 41%의 수율로 N-CBZ-N-methyl-0-Bn-3-iodo-tyrosine을 합성하였다. Ullmann coupling의 반응성 검토를 위해 t-bromophenylala-nine에 반응시킬 3-hydroxytyrosine 유도체를 합성하고자 L-tyrosine에 Friedel-Craft acyl화, 에스테르화, 아민의 보호기화 및 Baeyer-Villiger 반응들을 행하였다. 또한 특이한 아미노산인
$\beta$ -hydroxytyrosine의 합성을 위해 출발물질로 p-hydroxybenzalde-hyde를 사용하여 6단계에 28%의 수율로 oxazolidinoe acid를 합성하였다. 이로부터 4단계 반응을 행하여 보호된$\beta$ -hydroxy-tyrosine을 52%의 수율로 합성하였다. -
퀴놀론 모핵의 합성은 기존에 알려진 합성 방법인 Could-Jacobs방법과 Bayer방법에 의해서 Intermediate로 사용된 7-chloro-1-ethyl-6-fluoro-1, 4-dihydro-4-oxoquinoline-3-carboxylic acid와 1-cyclopropyl-7-chloro-6-Fluoro-1,4-dihydro-4-oxoquinolne-3-carboxylic acid를 합성하였다. Heteroaromatic tin compound는 furan, thiophene, 3-bromopyridine, 2-fluoropyridine에 n-BuLi을 사용하여 metallation 한후 electrophile로 tributyltin chloride를 사용하여 2-tributylstannofuran, 2-tributylst-annothiophene, 3-tributylstannopyridine, 2- fluoro-2-tributylstannop-yridine을 합성할 수 있었다. 이상의 Intermediate와 tin compounds를 p-alladium 촉매하에서 반응시켜 1-ethyl-7-(2-fura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carboxylic acid (compound 3), 1-ethyl-7-(2-th-iophe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 in carboxylic acid(compound 5), 1-ethyl-7-(3-pyridi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7), 1-ethyl-7-(2-fluoro-3-pyrid-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9), 1-cyclopropyl-7-(2-furanyl) -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4), 1-cyclopropyl-7-(2-thiophe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6) ,1-cyclopropyl-7-(3-pyridi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8), 1-cyclopropyl-7-(2-fluoro-3-pyridi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10)를 합성하였다.
-
안트라싸이클린계 항암항생제의 부작용 발생기전으로는 C-고리의 퀴논 부위에 전자가 전달되어 퀴논 고리가 환원되는 과정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의 전자가 전달되어 생성되는 활성산소(activated oxygen)가 심장독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 퀴논 고리의 환원력(전자흡수능력)이 C-고리자체의 변환, 또는 인접 B-고리에 도입된 치환체의 영향으로 억제될 수 있다는 보고를 이론적 근거로 하여 안트라싸이클리논 골격을 전자흡수 능력을 가진 acridone 골격으로 치환한 화합물(1)과 안트라싸이클리논 골격을 유지하면서 aminosugar 부위를 pentopyranose계열을 도입 한 2 합성하였다. 화합물 1은 1,3-butadiene 과 1,4-benzoquinone 의 Diels-Alder adduct 3을 출발물질로 하여 7 단계의 반응과정으로 합성하였다.
-
목적: Aminothiazole-oxime type의 세파로스 포린계 항생제가 개발되어 제3, 4세대 항생제로 쓰이고 있거나 개발중에 있다. 본 저자들은 pseudomonas균에도 항균력이 우수하고
$\beta$ -Iactamase에도 안전하며 기존에 보고된 화합물 보다 개선된 약물을 찾으려는 시도에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Cephem의 C-7위치에 aminothiazole methoximetype를 도입시키고C-3위치에 약리 활성이 기대되는 5-(aryl or hot.)-4-phony고-3-mercapto-4H-1,2,4-triazole 화합물들을 합성하여 도입시켜 gram(+), gram(-) 및 fungus균에 대하여 항균력을 실험 하였다. 결과: 합성된 복합물들의 항균력 판정은 Pseudomonas균에는 항균력이 대조 물질 보다 떨어졌으나 몇몇균에 대해서는 대조물질과 비슷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의 효과적인 억제제를 합성하기 위하여 ketomethylene dipeptide isoster와 2-isoxazoline dipeptide isoster를 얻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상기 등입체성 분자들은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아미노 니트릴 옥사이드의 고리더함반응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합성하였다. 얻어진 이 화합물로부터 ACE 억제제 후보물질 (1, 2)의 합성이 연구되고 있다.
-
살균, 정균, 살진균, 정진균등의 효능이 있는 나프토퀴논꼴 화합물인 6-oxo-3, 4, 4a, 5-tetrahydro-3-hydroxy-2,2-dimethylnaphtho [1,2] pyran(1)과 그의 유도체인 9-methoxy-6-oxo-3, 4, 4a, 5-tetrahydro-3-hydroxy-2, 2-dimethylnaphtho [1,2] pyran(2), 8,9-dimethoxy-6-oxo-3, 4, 4a, 5-tetrahydro-3-hydroxy-2, 2-dimethylnaph-the [1,2] pyran(3), 9-bromomethyl-6-oxo-3, 4, 4a, 5-tetrahydro-3-hydroxy-2, 2-dimethyl-naphtho [1,2] pyran(4)와 8, 9-methylenedioxy-6-oxo-3, 4, 4a, 5-tetrahydro-3-hydroxy-2, 2-dimethylnaphtho [1,2] pyran(5)을 손쉽게 구할 수 있는 benzene, anisole, 1, 2-di-methoxybenzene, bromomethylbenzene, 1, 3-benzodioxole등을 원료로 하여 합성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Acetylsalicylic acid (aspirin)와 인삼의 항산화 성분인 maltol의 축합반응으로 합성된 신물질 Aspalatene이 저용량: 장기 복용시 항산화활성과 더불어 지혈시간 연장효과가 탁월함을 보고 한 바 있다. Aspalatone은 aspirin과는 달리, 장기 복용시에도 위궤양 유발 작용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므로 말초순환개선제로서의 개발이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Aspalatone의 항혈전작용을 in vivo, ex vivo 및 in vitro에서 연구하였다. Mouse thromboembolism test를 이용한 in vivo실험에서 Aspalatone은 aspirin과 유사하게 collagen에 의한 치사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ADP에 의한 치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10일간의 장기 투여 실험에서는 저용량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10일간의 장기 투여 실험에서는 저용량에서 항혈전 작용을 나타내며 투여 중단 4일 후에도 약효가 유지되는 것을 밝혔다. 이는 Aspalatone이 aspirin과 같이 cycloosygenase에 작용하여 항혈전 작용을 나타냄을 강력히 시사하고 있다.
-
녹용은 강심작용, 여성홀몬작용, 강장작용, 창상치유작용 등의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데 녹용의 상용량에서는 강장작용, 창상치유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용의 창상치유작용은 생체내 질소 평형이 음의 방향으로 되었을 때 이를 빠른 시간내에 정상적으로 회복시키는 약리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도 흰쥐에 turpentineee oil (TPO)를 주사하여 acute-phase response를 일으켜 질소평형을 깨뜨린 실험 모델에서 녹용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Acute-phase reactants중에서
$\alpha$ $_2$ -macroglobulin,$\alpha$ $_1$ -cysteine pretense inhibitor (T-kininogen), ceruloplasmin을 측정 하였는데 이 중에서 creuloplasmin의 측정이 재현성이 높았다. TPO로 급성염증을 유발시키면 2일 후에 ceruloplasmin의 혈청내 농도가 약 100% 증가하며 4일까지 지속하다가 5일째부터 감소하는데 이때 미리 녹용추출물을 투여한 군은 TPO주사 후 4일째에 50% 감소하였다. TPO로 염증을 유발하기 전에 녹용을 투여했을 때가 염증유발 후에 투여했을 때보다 녹용의 효과가 현저히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급성염증에 의해 깨어진 단백질 평형을 신속히 정상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러한 녹용의 효과를 지표로 하여 녹용의 유효성분 분리를 수행하고자 한다. -
Saikosaponin은 한방에서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는 시호의 항염증작용 성분으로서 주로 염증의 후기 단계에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호는 생약자체로만 사용되고 성분이 약물로서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Saikosaponin의 용해성이 극히 저조하여 제제화하기 힘든 때문이다. 연자는 시호 Saponin의 용해성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시호 Saponin의 하나인 saikosaponin-a를 Pyridine 중에서 succinic anhydride와 반응시켜 6"-hemisuccinyl saikosaponin-a를 얻고 이를 THF에 용해한 후 KOH와 반응시킨 후 다량의 THF를 추가하여 hemisuccinyl esler의 potassium염을 합성하였다. 이 화합물의 용해도를 원래의 Saponin과 비교시험하였다.
-
암을 유발시키는 원인은 생물, 물리, 화학적 요인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근자에 들어 산업후에 따르는 환경오염의 증가는 화학적 원인에 의한 발암가능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화학적 인자의 발암 기전 중 많은 부분이 유전자에 상해를 일으킴으로써 암을 발생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항암실험을 수행하였던 파푸아뉴기니아산 열대식물 13과 23종 부위별 36시료에 대하여 항변이원성 검색실험을 통하여 유전독성을 가진 화학적 요인에 의한 발암 가능성에 대한 예방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발암에 대한 예방약물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
작약의 메타놀에기스를 작용성분을 추적하면서 분리하였으며 EtOAc 분획으로부터 gallic acid methylester(GA-1) 및 paeonoldmf 혈소판 응집억제 작용 물질로서 분리하였으며 Paeonol은 혈소판 응집억제 작용이 이비 보고된바 있다. GA-1은 오가피로부터 혈소판 응집억제 작용물질로서 분리된 DBA-1과 구조적으로 매우 유사하며 혈소판 응집억제 작용물질로서 알려진 aspirin의 구조와 유사하다. Platelet aggregometer을 이용하여 DBA 및 GA analogs 13종(DBA-1-10 및 GA-1-3)들이 ADP 또는 collagen에 의하여 유도된 혈소판 응집에 대하여 억제작용을 보이는가를 검색하였다. 이들중 aspirin과 유사하게 억제작용을 보인 DBA-1-3-7-9-10, GA-3 및 paeonol에 대하여 mouse를 이용한 in vivotlfgja을 시행하였다. 즉 endotoxin 또는 collagen 과 epinephrine을 정맥주사하여 intravascular thrombosis를 일으켜 혈소판수를 감소시키며 이때 이들 물질들의 혈소판 감소 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대조약물로서 사용한 aspirin은 collagen과 epinephrine에 의한 혈소판 감소를 현저히 억제한 반면 endotoxin에 의한 혈소판 감소에는 효과가 없었다. DBA-9, -10, GA-3 및 paeonol은 endotoxin에 의한 혈소판감소에 대하여 약한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검색시료 전부가 collagen과 epinephrine에 의한 혈소판 감소에는 aspirin보다 작용이 적었으나, DBA-10, GA-3 및 paeonol은 현저하게 억제효과 있었다. 또한 collagen과 epinephrine 동시 투여에 의한 치사 실험에서는 DBAD-7, GA-3 및 paeonol이 aspirin과 같거나 강한 사망 억제 효과가 있었다.cyclopropyl-7-(2-furanyl) -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4), 1-cyclopropyl-7-(2-thiophe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6) ,1-cyclopropyl-7-(3-pyridi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8), 1-cyclopropyl-7-(2-fluoro-3-pyridi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10)를 합성하였다.10^{-7}$ M)에 의한 단백인산화에 대하여는 더 미약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PDE-1과 항우울약들의 항혈소판작용은 PKC-기질인 41-43 kD와 20 kD의 인산화를 억제함에 기인되는 것으로 사료된다.다. 것으로 사료된다.다.바와 같이 MCl에서 작은 Dv 값을 갖는데, 이것은 CdCl
$_{4}$ $^{2-}$ 착이온을 형성하거나 ZnCl$_{4}$ $^{2-}$ , ZnCl$_{3}$ $^{-}$ 같은 이온과 MgCl$^{+}$ , MgCl$_{2}$ 같은 이온종을 형성하기 때문인것 같다. 한편 어떠한 용리액에서던지 NH$_{4}$ $^{+}$ 의 경우 Dv값이 제일 작았다. 바. 본 연구의 목적중의 하나인 인체유해 중금속이온인 Hg(II), Cd(II)등이 NaCl같은 염화물이 함유된 시료용액에 공해이온으로 존재할 경우 흡착에 의한 제거가 -
총 40종 생약의 hyaluronidase에 대한 저해 효과를 검색한 결과, 백지, 오수유, 향부자, 섬백리향, 배풍등, 황금, 황련, 진피, 소리쟁이, 반디나물 등 10종 생약에서 저해 활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권백의 n-BuOH 분획에서 2개의 biflavonoid 성분인 amentoflavone, isocryptomerin을 분리하였으며, chloroform 분획에서 cryptomerin B를 분리하였다. 이들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각종 기기분석 data를 이용하여 결정하였으며, 이들 화합물중 cryptomerin B는 Selaginellaceae에서 처음으로 분리 보고되는 화합물이다. 현재 이들 화합물의 생리 활성에 대하여 검사중이다.
-
현재 암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는 항암제들은 therapeutic index가 낮아서 면역 및 조혈기능 장애 등 해결 되어야 할 문제점 들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여구자는 우수하고 안전한 항암제를 개발하여 암의 치료에 이바지하고자, 화학연구소에서 in vitro 세로독성을 확인한 화합물에 대하여 in vivo 항암력을 실험, 치료효과가 높은 유도체/유사체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에 본 연구의 목표를 두고 있다. 1차년도 연구에서는 화학연구소측이 제공한 KS 0409를 실험 약물로, sarcoma 180 복수암에 대한 in vivo 항암력을 실험하였다. 약 4주령의 SPE(specific pathogen-free) ICR계 마우스 및 BALB/c 마우스를 실험동물로 하여 sarcoma 180 암세포 부유액(세포 농도, 1
$\times$ $10^{7}$ cells/ml)을 실험동물의 복강내에 0.1ml 씩 이식하고 암이식 24시간 후부터 매일 1회씩 9회 약물 주사를 시행하였다. 대조약물 cisplatin은 2% DMSO-생리식염수를 주사하였다. 생존일수 관찰은 60dlfRK지 하였으며 % T/C를 계산하여 항암력을 평가하였다. 단 60일 생존 동물은 평균수명 계산에서 제외하였다. -
실험목적: KR 53170 및 KR 53234 는 천연물에서 분리 추출한 화합물로 terpene lacton ring을 가진 약산성 물질이다. in vitro 항종양 실험에서 종양억제효과가 있었고 in vivo 항종양 실험에서도 유의성 있는 효과가 있었으며 급성 경구독성시험에서도 독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 되었다. 이에 따라 KR 53170 등의 약물동태학적인 성질을 연구하여 독성실험과 임상실험을 위한 용법용량을 결정하고 나아가 본약물의 제제개발에 도움이 되도록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KR 53170 및 53234은 경구시 20mg/kg, 정맥투여시는 10mg/kg로 투여하였다. Rat의 혈장 sample 채취는 ether로 흡입마취 시킨 후 heart puncture 하였다. 뇨시료는 대사 cage를 이용하여 채취하였으며 얻어진 모든 시료는 HPLC로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는 computer program 'Multi-free'를 이용하여 주요 pqarameter를 산출하였다. 인체혈액에 대한 혈청단백결합율 측정은 ultrafiltration법을 이용하였다. 즉 YMT membrane을 이용하여주요 parameter를 산출하였다. 인체혈액에 대한 혈청단백결합율 측정은 ultrafiltration법을 이용하였다. 즉 YMT membrane을 이용하여 유리약물을 분리하여 HPLC로 정량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KR 53170 10mg/kg 정맥투여시 최고혈중농도는 0.55ug/ml, 반감기는 0.51hr, 분포용적은 4.5L이었다. 20mg/kg를 경구 투여시 최고 혈중농도는 0.18ug/ml, 반감기는 3.5기산이고 AUC는 0.91ug.ml, 분포용적 28Lm, Ka 3.49
$hr^{-1}$ 그리고 Cl는 5.5L/hr/kg이었다. 이는 투여용량에 비해 매우 적은량이 흡수되고 배설 된 것으로 약물이 혈액에 대한 용해도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2. KR 53234 10mg/kg 정맥투여후의 최고혈중농도는 1.14ug/ml, 반감기는 0.50hr, 분포용적은 2.2L이었다. 20mg/kg 경구 투여시의 최소 혈중 농도는 0.33 ug/ml, 소실반감기는 1.5시간, AUC는 0.942ug.hr/ml, 분포용적 11L, Ka는 3.05$hr^{-1}$ 그리고 Cl는 5.3L/hr/kg이었다. 이는 KR 53170에서와 같이 매우 적은량이 흡수되고 배설되었다. 3. KR 53170의 혈청단백 결합율은 5-500 ug/ml 범위에서 78.7-86.2%이었고 KR 53234의 혈청단백결합율은 5-100 ug/ml 범위에서 79.6-71.2%이었다.이었다. -
위암의 화학요법 성적이 만족스럽지 못하므로 기존의 항암제와 alpha-interferon을 병용사용하므로써 상승적 항암효과가 있는가를 연구하였다. R-25 flask에 위암세포주 SNU-1 및 SNU-16을 배양하면서 항암제 5-FU 혹은 cisplatin에 alpha-interferon 2A(제일제당)를 분자량의 비에 따라 병요처리하였다. 96시간 배양후 cytotoxicity를 Mosman의 방법에 따른 MIT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Chou등의 combination index 분석 program을 처리하였다. 위암세포주 SNU-1에 대하여 5-FU와 alpha-IFN은 상승작용을 보였다. 5-FU의
$IC_{50}$ /가 14.25$\mu$ M 이었고 IFN처리시는$IC_{50}$ /가 0.02$\mu$ M이었으며 combination index(CI)는 모든 용량에서 1이하였다. SNU-16에 대하여도 5-FU와 alpha-IFN의 병용사용은 상승적 작용을 나타내었다. (CI<1.0). cisplatin과 alpha-IFN의 병용시에는 CI가 1이상을 나타내어 상승작용을 증명할 수 없었다. -
정상세포의 암세포로의 전환에 수반하는 세포표면상에 당구조 변화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에 탄수화물이 세포간의 상호작용, 성장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당구조 변화를 야기 시키는 당분해소효소나 전이활성 효소의 활성이 주요한 임상적 지표가 될 수 있다. 또한 천연물에서 유래된 다당류 등이 면역증강 효과를 나타내면서 항종양 효과를 보여준다. 이와같은 일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당을 분석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당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많이 이용된 것 중의 하나가 유도체를 만들어 GC에 의해서 확인하는 것이고 또한 당은 chromophore가 없기 때문에 굴절율의 검출기를 이용한 HPLC에 의해서도 분석이 가능하다. HPLC에 의한 또 다른 방법으로 당의 환원당 말단에 형광기를 결합시켜 감도를 매우 높게하여 역상 칼람을 이용해 당을 분리할 수 있다. 환원당에 결합시킬 수 있는 물질로는 대부분 amine기를 띄고 있고 결합하여 형광을 나타내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형광기를 결합시켜 전기영동과 HPLC에 의해 동시에 추적이 가능한 물질을 결합시켜서 분석을 용이하게 한 방법을 이용하여 단당류를
$C_{18}$ column에 의해서 분리하였고 또한 모델로서 면역증강제로 사용되는 운지버섯 및 영지버섯 다당류와 생약에서 분리한 지유의 당을 분석하였다. 현재까지의 결과로 가장 좋은 방법은$C_{18}$ -->phenyl column을 연결하여 isocratic 방법으로 분리하였을 때이었다. 버섯의 당은 대부분이 glucose로 이루어졌고 지유는 arabinose가 주 구성성분이었다. 위의 분석 기술을 이용하면 피코몰 범위내에서 정확한 구조를 가진 항암효과의 올리고당 및 암세포의 발현에 따른 당단백질의 당의 구조를 규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aeonol이 aspirin과 같거나 강한 사망 억제 효과가 있었다.cyclopropyl-7-(2-furanyl) -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4), 1-cyclopropyl-7-(2-thiophe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6) ,1-cyclopropyl-7-(3-pyridi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8), 1-cyclopropyl-7-(2-fluoro-3-pyridi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10)를 합성하였다.10^{-7}$ M)에 의한 단백인산화에 대하여는 더 미약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PDE-1과 항우울약들의 항혈소판작용은 PKC-기질인 41-43 kD와 20 kD의 인산화를 억제함에 기인되는 것으로 사료된다.다. 것으로 사료된다.다.바와 같이 MCl에서 작은 Dv 값을 갖는데, 이것은 CdCl$_{4}$ $^{2-}$ 착이온을 형성하거나 ZnCl$_{4}$ $^{2-}$ , ZnCl$_{3}$ $^{-}$ 같은 이온과 MgCl$^{+}$ , MgCl$_{2}$ 같은 이온종을 형성하기 때문인것 같다. 한편 어떠한 용리액에서던지 NH$_{4}$ $^{+}$ 의 경우 Dv값이 제일 작았다. 바. 본 연구의 목적중의 하나인 -
DA-125의 rat blood중 분해반감기는 4.28분으로, DA-125는 정맥 투여후 신속히 M1으로 분해되었으며, DA-125는 투여 10분 후부터 검출되지 않았다. Mouse에 25mg/kg 정맥주사 한 후의 M1의 phamacokinetic parameter는 terminal t
$\frac{1}{2}$ 344분, MRT 371분, Vss 25.7$\ell$ /kg, CL$_{total}$ 69.3 ml/min/kg이었으며 투여 2hr후에 M1및 대사체가 폐, 위, 신장등에는 다량 존재하였으나 심장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Rat에 10 mg/kg 정맥주사한 후의 혈장농도는 terminal phase에 도달하지 못하고 혈장농도가 변동을 나타내었다. 담즙으로의 배설은 주로 M2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M1이 소량 차지하고 M3와 M4는 검출되지 않았다. DA-125는 rat 및 mouse liver homogenate에 의해 대사되어 FT-ADM(M1) ,13-dihy-dro FT-ADM(M2), 7-deoxy-adriamycinone(M3) 및 7-deoxy-13-dihydro adriamyci-none(M4)를 형성하였다. DA-125는 혐기, 호기 및 보효소, 종차에 관계얼이 반응개시 30분후에 약 90%가 분해되었으나 각 대사체의 생성여부 및 속도는 조건에 따라 변화하였다. -
Tn3 Transposon을 이용한 Shuttle Mutagenesis방법으로 효모의 Genome 상에 무작위적으로
$\beta$ -gal 표지 유전자를 삽입하고 효모생활사의 각 세포시기 마다 특이하게 발현되는 유전자를 X-Gal plate상에서 찾아내고 이들 효모 유전자의 단백질이 세포내에 어떤 위치에 분포하는가를 간접 면역현미경법으로 추적해보았다. 먼저 효모의 genomic library를 38bp의 Tn3 Termial repeat를 가지고 있지 않은 pHSS6 Vector에 patial fill-in 방법으로 조성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 Genome equivalent에 해당하는 18개 Pool의 genomic library를 만들었다. 이들 library를 조사하여 본 결과 모든 클론이 평균 3kb 크기의 insert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99.99%의 효묘 genome을 대표하였다. 특정한 유전자의 발현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mini-Tn3로 shuttle mutagenesis를 실시하고 vegetative growth동안 발현되는 유전자를 X-gal을 사용하여 골라내었다. 지금까지 16823개의 클론을 조사하였는데 이중 13%에 해당하는 2187개가 X-gal plate상에서 양성반응을 보여주었다. 양성반응을 보여주는 융합단백질의 세포내 분포틀 anti-$\beta$ -galactosidase 항체를 사용하여 추적해보았다. 항체론 이용한 형광염색결과 약 70%의 세포가 background이상의 염색을 보여주었으며 이중 novel한 염색 pattern을 나타내는 클론도 다수 탐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Tn3틀 이용한 Shuttle Mutagenesis 방법으로 지금까지 전통적인 유전학적인 접근 방식으로 탐지되지 않았던 다수의 새로운 효모 유전자를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tamine제중 triprolidine이$K_{M}$ /K$_{H}$ 비가 가장 높았고 diphenidol이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항 histamine제의 muscarinic receptor 차단작용은 이들 약물의 항 alleragy 효과에 필요한 작용이 아니며 본 실험에서 추정된 항 histamine제의 H$_1$ -receptor와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상대적 역가는 이들 약물의 선택과 평가에 중요한 지표가 될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ing ischemic insults. The nature of the receptor is being explored by molecular genetic techniques, and we have recently cloned two of the major subunits; some of the data will be presented.LIFO, 우선 순위 방식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확장하였다. SIMPLE는 자료구조 및 프로그램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SMPLE에서 새로이 추가된 자료구조와 함수 및 설비제어 방식등을 활용하여 실제 중형급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 구현과 시스템 분석의 예를 보인다._3$", chain segment, with the activation energy of carriers from the shallow trap with 0.4[eV], in he amorphous regions.의 증발산율은 우기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결과 0.05 - 0.10 mm/hr 의 범위로서 이로 인한 강우손실량은 큰 의미가 없음을 알았다.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9례 (75%)에서는 현재까지 재발소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
신호전달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다기능 serinei/threonine 단백질인산화효소인 protein kinase C(PKC)의 연구를 위해 이 효소의 정제를 뇌에서 착수하였다 PKC의 활성측정을 myelin basic protein을 기질로 하여 20 mM Tris 완충용액 PH 7.5, 0.15 mM [
${\gamma}$ -$^{32}$ P]ATP(3$\times$ $10^{5}$ cpm), 0.1 mM$Ca^{2+}$ , 10$\mu\textrm{g}$ phosphatidylserine과 2$\mu\textrm{g}$ diolein을 넣어 반응시켰다. 반응은 TCA로 정지시킨 후 방사성 단백질을 Millipore filter paper로 걸러 섬광 계수기로 읽었다. Cytosol PKC의 정제과정은 첫 단계에서 DEAE-cellulose를 사용하였으며, phenyl sepharose CL-4B와 protamine agarose를 연속적으로 이용하여 800배의 정제에 성공했다. SDS-PACE 상에서 80 kD로 나타났으며 순도는 95 % 이상이였다. 이를 이용 PKC의 각종 기질 연구에 착수하기 시작했으며, 이중 MBP의 인산화연구를 통한 myelin의 안정성과 MBP와의 구조 관계가 일부 수행되고 있다 연차적으로 PKC와 이와 관련된 단백질의 특성을 살피기 위해 뇌의 PKC 기질 중 cold stress를 통해 환경에 민감한 것을 찾고 있으며, 현재 autoradiography를 이용해 80 kD, 54 kD, 49 kD와 35 kD의 단백질이 연구대상이 되고있다. 그 중 49 kD는 B-50(또는 GAP43, neuromodulin이라고도 함)일 가능성이 높아 이 단백질 조절과 PKC 활성화 사이의 관계 정립이 흥미로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다. -
immunotoxin으로 쓰일 수 있는 리보솜 불활성화 단백질 (RIP, ribosome-inactivating protein)을 보리 씨앗에서 분리하였다 이 단백질은 분자량이 약 30,000 kDa 정도되고, pl가 9.0 보다 높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Na-phosphate 완충용액으로 추출하고, 황산암모늄 60-80% 포화로 분획화하였다. 다음 CM-cellulose를 이용한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Sephacryl S-200 HR 컬럼을 이용한 gel filtration을 하여 순수히 분리하였고, 이를 전기영동하여 확인하였다.
-
방사선, 자외선, 화학물질 등 여러 변이원에 의해 생긴 DNA 손상의 대부분은 생체내에 존재하는 효소들에 의해 수복(repair)되어 DNA는 안정하게 유지된다. T
$_4$ phage 유래의 T$_4$ endonuclease V는 자외선에 의해 DNA에 pyrimidine dimer가 생겼을때 이것을 특이적으로 절제 수복하는 효소이다. 인간의 질환인 색소성 걸피증(Xeroderma pigmentosum)은 태양광선, 특히 자외선에 의해 고빈도로 피부암을 발생한다. 이 질환은 유전적으로 DNA 수복기구에 장애가 있기 때문에 일어난다. 색소성 건피증의 배양세포에 T$_4$ endonuclease V를 도입하면 세포의 DNA 수복능력이 회복되기 때문에 인간과 phage라는 서로 멀리 떨어진 생물종에 공통의 DNA 수복기구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인슈린 유사체를 유전공학적 방법으로 생산하여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로써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인슈린 B 사슬의 C 말단 아미노산 codon을 threonine 대신을 methionine을 지령하도록 하고 여기에 인슈린 A사슬을 지령하는 염기를 바로 부착시켜, 이를 대장균에서 발현시키므로써 외사슬 인슈린 선구체를 제조하고, 이를 분리 정제한 다음 취화브롬 으로 절단하므로서 (
$B^{30}$ -homoserine) 인슈린을 제조한다. 1. 외사슬 인슈린 전구체 유전자를 합성한 후 대장균의 발현 운반체내 e-galactosidase 유전자와 융합시켜 도입하므로서 재조합된 융합단백질을 생산하였다. 2. 재조합 대장균을 발효한 후 urea 융합단백질을 분리하고 DEAE-Sephacel과 Sephadex G-200을 이용하여 순수 정제하였다. -
토양으로부터 Actinomycetes 분리: Actinomycetes는 항생물질이나 항암물질을 많이 생산하는 중요한 균주로 의학계나 농업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Adenosine deaminase 저해제를 생산하는 균주를 찾기 위해 토양으로부터 actinomycetes를 분리하였다 Suluble-starch-casein배지와 AS-1배지를 이용하였는데 이들은 탄소원으로 용해성 전분을 공통적으로 함유하고 있다. 나무밑이나 산, 언덕등의 건조한 토양이나 두엄이나, 두엄밑의 토양을 탄산칼슘을 처리하여 주었을 때 actinomycetes가 많이 생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러한 흙들을 채취하여 actinomycetes 분리에 이용하였다.
-
말징버섯 Calvatia craniformis의 culture broth 40 liter를 여과하여 얻은 균사채를 열수 추출하여 진한 갈색 건조분말(Fr. A) 13.1g을 분리하였다. Fr. A에 대하여 DEAE-cellulose ion chromatography를 시행하여 중성분획인 흰색 분말 (Fr. B) 2.50g을, 산성분획인 갈색 분말 (Fr. C) 3.50g을 각각 분리하였다. Fr. B 500mg에 대하여 Sepharose CL-4B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를 시행하여 흰색분말 Fr. D(Calvatan) 350mg을 분리하였다. Calvatan 350mg에 대하여 Con A-Sepharose 4B affinity chromatography를 적용하여 미흡착 분획인 Fr. F(
$\alpha$ -form)와 흡착 분획인 Fr. E ($\beta$ -form)로 정제하였다. 항암작용의 기전을 구명하고자 마우스에 대하여 면역학적 실험을 시행하였다. macrophage의 활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투여군의 활성화된 macrophage에 의해 유리되는 superoxide anion의 양은 대조군에 비해 1.4배 증가하였고 Calvatan 투여군의 용혈반 형성세포(PFC)는 대조군에 비해 3.1배 증가하였다. 화학 분석에 의해, Calvatan은 다당체 87.2%, 단백질 1.8% 및 hexosamine 1.3%로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항암성 분획들은 protein-bound polysaccharide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분획의 다당체를 구성하고 있는 단당류는 glucose, galactose, mannose 및 xylose 였으며 단백질 부분은 16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IR 스펙트럼은 3300-3400$cm^{-1}$ 에서 0-H stretching frequency, 2900$cm^{-1}$ 에서 C-H stretching frequency, 1630$cm^{-1}$ 에서 C-0 stretching frequency. 1000-1100$cm^{-1}$ 에서 C-H 및 C-0 bending frequency를 나타내는 다당체의 전형적인 특성을 보여주었다.을 보여주었다. -
생쥐에서 sulfotransferase 생산 군주를 검색한 결과 호기성균보다 혐기성균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것은 전번 보고와 일치한다. 황산전이효소 생산 균주 검색용 배지에서 형광을 나타내는 호기성 균주를 분리하여 K-12라 명하였다. 동정한 결과 K-12균주는 그람 음성으로 운동성이 없는 통성혐기성 균주인 Haemophilus sp.로 사료된다. 이 균주의 황산전이효소 생산성은 공여체 기질만을 배지에 첨가했을때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탄소원으로는 sucrose와 lactose를 사용했을때 가장 높은 효소유도를 보였으며, 질소원으로는 yeast extract, peptone이 우수하였다. 배양최적 pH는 7부근이었으며 온도는 37
$^{\circ}C$ 가 가장 좋았다. 금속이온으로는$Mg^{2+}$ 이 우수했다. 최적 배지 10 L에 K-12 균주를 배양하여, 집균 초음파 처리, 원심분리한 상등액을 70%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2회, Sephcryl S-300 superfine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한 결과 specific activity가 0.267$\mu$ mole/min/mg protein인 효소를 부분 정제하였다. -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정장용 생균 제제에 함유되어있는 정장 균주의 하나인 Bifidobacterium bifidum은 항결핵제 중 rifampicin에 감수성으로 rifampicin과 병용 투여시 본래의 정장 효과를 기대할 수없다. 따라서, rifampicin에 내성인 돌연변이 균주를 얻기 위해 B. bifidum을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로 처리하여 rifampicin에 내성인 30 종의 균주를 선별하였고, rifampicin에 대한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해 본 결과 내성이 1,000 배 이상 상승하였다. 균주 동정을 위하여 fructose-6-phosphate phosphoketolase test를 실시해 본 결과 Bifidobacterium임이 확인되었다. 이들 내성 균주들의 유기산 생산량을 측정하여 그 생산량이 모균주와 가장 유사한 3 종의 균주를 선발하였다. 이들에 대하여 Escherichia coli 생육 억제능을 시험해 본 결과 E. coil 생육 억제능이 모균주와 유사하였다. 또, rifampicin을 함유한 배지에서 돌연변이 균주를 배양시킨 경우 rifampicin이 안정한 상태로 잔존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으로 보아 돌연변이 균주들은 rifampicin을 분해 또는 변형시키는 효소를 생산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돌연변이 균주들, 즉 B. bifidum RFRll, RFR21 그리고 RFR61은 rifampicin에 내성이면서 모균주와 동일한 생화학적 특성을 갖는 정장 균주로 여겨진다.
-
한국에서 유행하는 페염균 type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 실험을 수행하여 서울대병원과 서울중앙병원의 환자로부터 분리한 88개의 폐염균주를 담즙산에 의한 용해도 및 Optochin에 대한 민감성 등을 측정하고 폐염균의 type을 결정하기 위해서 Double diffusion, Countercurrent immunoelectrophoresis, Rocket immunoelectrophoresis 방법 등으로 폐염균 항혈청과 반응하였다. 또한 ATCC로부터 구입한 폐염균주를 이용하여 배지조성의 변화에 따른 폐염균 생장을 측정하기 위해 CAT broth, Brain Heart Infusion broth, Defined Media에서 3가지 type의 균주(Type I, III, IV)를 접종하고 37
$^{\circ}C$ 에서 배양하면서 1시간마다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가지 type (Type I, III, IV)의 폐염균주로부터 협막다당류를 phenol Iysis 추출법으로 폐염균 Capsule 다당류의 분리하여 Total Sugar 함량, Uronic acid 함량, 0-Acetyl 함량, 단백질 함량, 핵산 함량, 분자량분포 Countr-current immunoelectrophoresis 등을 실시하여 폐염균 백신 규격에 부합되는지 확인하였다. 수집한 88개의 폐염균주가 모두 담즙산에 의해 용해되고 6mm Optochin disc를 사용하였을때 성장 저지원이 모두 14mm 이상으로 나타나 감수성이 있어서 폐염균임을 확인하였으며 폐염균의 type 결정에 필요한 방법을 설정하였다. 배지조성에 따른 폐염균의 생장을 측정한 결과 CAT broth 에서는 Type I만이 잘 배양되었고 Type III, IV는 늦게 배양되었으나, Brain Heart Infusion broth에서는 3가지 Type이 모두 잘 배양되었고, Defined Media 에서는 Type I만이 성장되었을 뿐 나머지 두 Type은 배양되지 않았다. 본 실험방법으로 분리된 폐염균 다당류는 폐염균 백신 규격중의 6가지 항목에서 적합하였으며 Statens(Denmark)로부터 구입한 항체와 뚜렷한 침강선을 나타내었다. -
일반적으로 단백질의 정제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affinity chromatography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베타 수용체의 순수정제를 위한 효과적인 affinity matrix를 제조하고 이의 특징을 확인함으로써 수용체 정제를 위한 기초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Bisoxirane reagent인 1,4-butanediol diglycydyl ether를 Sepharose CL-4B gel과 반응시켜 탄노원자 10개 길이의 spacer arm을 부착시켰다. 여기에 sodium persulfate, dithiothreitol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SH기를 도입시긴 추 free radical 반응을 이용하여 베타수용체 길항제인 alprenolol을 부착시킴으로써 affinity gel을 제조하였다. alprenolol치 부착반응을 위한 최적온도는 4
$0^{\circ}C$ 로 나타났으며, semimicro Kjeldahl 질소 분석법을 적용하여 gel을 분석한 결과 ml당 0.4-0.6$\mu$ mol의 alprenolol이 결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신장에서 브라디키닌(Bradikinin, BK)의 생리적 역할을 규명하기 위한 첫 단계로 토끼신장 근위세뇨관의 일차배양세포를 이용, BK 수용체를 (
$^3$ H) BK를 이용하여 수용체결합실험을 함과 아울러 세포배양과정에서 여러 성장인자들의 BK 수용체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첫째, 토끼 신장의 피질, 수질 및 근 위세뇨관 둥 각 부위에 대한 BK 수용체결합 실험결과 신수질 부분에 가장 많은 BK 수용체가 발견되었으며 이때 해리항수는 0.52 nM, 그리고 최대결합부위는 mg 단배질당 112.5 fmol이었다. 둘째, serum free 배지에서 insulin, transferrin 그리고 hydrocortisone이 성장인자로 사용될 때 BK 수용체발현이 가장 높았으며 이 중 인슐린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한편 인슐린의 최적농도를 결정하는 실험의 결과 5$\mu\textrm{g}$ /ml매서 가장 높은 수용체발현을 나타내었으며 그 이상에서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세째, 위의 세 성장인자에 prostaglandin E$_1$ 이나 triiodothyronine을 첨가시 BK 수용체발현은 오히려 저하되었다. 네째, fetal bovine serum (FBS)과 위의 세 성장인자간의 수용체발현능을 비교한 실험에서 세포배양 후 첫 일주일에는 FBS가 세 성장인자보다 약간 나은 수용체발현능을 나타내었으나 그후 이주째에는 세 성장인자가 BK 수용체발현에 더 적절한 요소임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토끼 근위세뇨관 상피세포에서의 BK 수용체발현은 세포성장인자로 insulin, transferrin, hydrocortisone 중 insulin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것으로 보이며, 이들 세가지 성장인자는 serum free 배지에서 세포성장 및 기능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prolidine이$K_{M}$ /K$_{H}$ 비가 가장 높았고 diphenidol이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항 histamine제의 muscarinic receptor 차단작용은 이들 약물의 항 alleragy 효과에 필요한 작용이 아니며 본 실험에서 추정된 항 histamine제의 H$_1$ -receptor와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상대적 역가는 이들 약물의 선택과 평가에 중요한 지표가 될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ing ischemic insults. The nature of the receptor is being explored by molecular genetic techniques, and we have recently cloned two of the major subunits; some of the data will be presented.LIFO, 우선 순위 방식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확장하였다. SIMPLE는 자료구조 및 프로그램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SMPLE에서 새로이 추가된 자료구조와 함수 및 설비제어 방식등을 활용하여 실제 중형급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 구현과 시스템 분석의 예를 보인다._3$", chain segment, with the activation energy of carriers from the shallow trap with 0.4[eV], in he amorphous regions.의 증발산율은 우기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결과 0.05 - 0.10 mm/hr 의 범위로서 이로 인한 강우손실량은 큰 의미가 없음을 알았다.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9례 (75%)에서는 현재까지 재발소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보고자들과 유사한 결과를 -
신생쥐의 DRG 배양에서 접종후 1일째 neurite의 형성을 관찰할수 있었고 배양한 세포가 신경세포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경섬유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조직화학적 실험을 실시한 결과 붉게 염색된 세포를 볼 수 있었으므로 이 세포들이 DRG신경세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양한 신경세포중 capsaicin에 대한 감수성을 갖는 신경세포군을 확인하기 위하여 cobalt stain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capsaicin에 대한 감수성율 갖는 신경세포룰 관찰할 수 있었고 비교를 위하여 함께 실험한 resiniferatoxin, KR 25018, 6-paradol, NE-19550, RDL-201등의 capsaicin 유사체들의 경우도 정도는 달리 하였으나 유사한 반응을 보였으므로 일차배양한 신경세포에 대한 작용이 capsaicin의 작용과 같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진통효과 검정결과 진통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capsaicin 구조 유사체들인 resiniferatoxin, 6-paradol, NE-19550, RDL-201, KR-25018모두 농도 의존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칼슘 도입을 위해 요구되는 관능기로는 알킬측쇄와 P-위치의 수산기, 3-methoxy기 및 acyl amide 구조가 중요하였다. 알킬측쇄는 NVA의 경우처럼 탄소 8개 정도가 적당했으나 구조적으로 현저히 다른 치환기를 가진 resiniferatoxin이나 KR-25018의 경우에도 유효하였다. Vanillin환의 P-수산기도 필수적이었고 3-methoxy기의 존재시에는 칼슘 도입효과가 강하였다. Acyl amide 결합도 중요하나 필수적은 아니였다.
-
본 실험에서는 유전자 재조합으로 제조한 [
$^{125}$ I]-labeled human GM-CSF을 사용하여 GM-CSF의 HL-60 (promyelocytic leukemic cell)의 표면에 존재하는 GM-CSF의 수용체의 특성을 알고 GM-CSF의 수용체에 어떤 parameter로 결합하는지를 밝히고 나아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유전자 재조합으로 제조된 Prokine(Sargramostim)과 Lucky에서 제조된 GM-CSF (LDB-005)의 수용체에 대한 결합율을 측정,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보면 유전자 재조립으로 제조된 Human[$^{125}$ I] GM-CSF가 HL-60 cell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표면수용체에 saturable하게 결합함을 알 수 있었으며 scatchard analysis 결과한 종류의 GM-CSF의 K3값은 2.03$\times$ $10^{9}$ /M로($IC_{50}$ /=~493pM) 세포당 결합부위의 수는 75개 정도로 J. DiPersio et al과 Linda S. Park et al.의 보고와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
목적:동식물세포에는 superoxide(0
$_{-2}$ )의 불균화 반응을 촉매하는 superoxide dismutase (SOD)가 존재한다. 이 효소의 생리적 의의는 지금까지도 명확하게 되어있지 않는면이 많지만, 그 의의를 명확하게 하기위해서도 측정법의 확립이 필요하다. 방법: SOD측정 방법으로는 1) Cytochrome C method 2) Nitroblue tetrazoliun method (NBT법) 3) 면역학적 방법 4) 화학발광법 등이 있다. 실험 재료는 흰쥐, mouse, 토끼의 간을 이용하였으며, 또한, 노화 및 암세포를 이용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Cytochrome C 방법을 통해서 각 장기조직 (신장, 간장, 폐)에서 SOD를 측정하였으며 SOD 활성이 낮은 암조직이나 배양세포에서는 NBT 방법이 측정방법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장세포내에서의 SOD의 존재부위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면역 황금 표지방법을 사용하므로 간장 mitochondria 내에 Cu, Zn-SOD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
목적 :크롬친화세포는 카테콜아민 (CA)을 분비하는 새포로서 무신 수질내에 주로 존재한다. 따라서 부신피질의 영향을 배제하여 여러가지 자율신경계 작용 약물의 약리작용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조직이다. 그러므로, 부신으로부터 크롬친화세포를 분리하여 배양하는 방법을 습득하여 자율신경계 작용약물연구에 이용코자 히스타민을 이용하여 CA 분비작용을 연구하였다. 방법: 도살장에서 소를 즉사시킨 후 좌우양측 부신을 분리하여 collagenase digestion으로 부신수질로부터 분리하고 Percoll gradient에 의해서 chromaffine cell을 정제하였다. 이렇게 정제한 크롬친화세포는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에 10% fetal calf serum과 함께 culture dish에다 넣어 5%
$CO_2$ , incubator에서 유지시켜 주면서 실험을 시행하였다. 배양세포는 분리후 일주일 이내에 사용하였다. Catecholamine측정은 electrochemical detector를 연결하여 HPLC로 측정하였다. -
A. 1. 중추신경계에서 일어나는 병변들, Alzheimer's disease, Parkinsonism 및 정상적인 노화현상들을 구명하는 연구의 일부분으로 뇌내의 신경세포들의 세포내물질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이 실험을 시도하였다. 2.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각종 약물들의 작용기전, 그리고 부작용을 구명하여 그의 예방 및 치료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B. 1.Preparations: rat brain cytosol & culture cell-line(NIE-115) 2. Method: NO or NOS의 생성함량을 직접측정 할 수 없으므로 간접방법을 택한다. [3Hlarginine 및 [3Hlguanine을 Preparation에 incubation시켜 일정한 시간 후 생성되는 [3H]citrulline 또는 cyclic GMP을 scintillation counter로 측정하여 그 함량으로 NO or NOS의 생성을 측정한다.
-
혈전 등에 의한 혈행 장애 예방 및 치료 약물의 개발을 목적으로 혈소판 기능에 대한 약물의 영향을 연구하는데 있어, 효율적인 실험 조건의 선택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마늘 메탄올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 억제능을 platelet rich plasma(PRP), washed platelet (Ca
$^2$ 비첨가), washed platelet(Ca$_{2+}$ 첨가) 등 세가지 분리 조건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마늘 추출물의$IC_{50}$ /이 각각 2348$\mu\textrm{g}$ /ml, 221$\mu\textrm{g}$ /ml, 851$\mu\textrm{g}$ /ml로서, washed platelet(Ca$_{2+}$ 비첨가)가 마늘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에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늘 추출물과는 다른기전으로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menadione과 propranolol도 이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실험 조건에 따른 이러한 차이가 PRP 중에 존재하는 알부민 등과의 단백 결합에 의한 약물의 유효농도 감소에 기인한다고 추정되어, washed platelet에 여러 농도의 알부민을 첨가하여 혈소판 응집 억제 실험을 실시한 결과 약물의$IC_{50}$ /은 알부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혈소판 응집과 함께 혈소판 기능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인 혈소판 분비능을 분비된 ATP를 Luciferin-Luciferase로 측정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thrombin에 의한 혈소판의 ATP 유리에 미치는 마늘 추출물의 영향을 위의 세 실험 조건에서 실험하여$IC_{50}$ /을 비교한 결과 그 값이 washed platelet에서 가장 낮고 PRP에서 가장 높아, 혈소판 응집 억제 실험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세가지 혈소판 분리 조건 중 washed platelet(Ca$_{2+}$ 비첨가)가 약물에 의한 혈소판 기능 억제실험에 가장 효율적임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주요한 원인은 알부민 등 단백 결합에 의한 유효 약물 농도 감소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
Prostaglandin은 인체의 여러 조직에서 생성되어 체내에 널리 분포되어 있지만 그 함유량은 극히 적다. 또한 대사산물의 반감기가 매우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알기 위하여는 조직 또는 체액을 추출하여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고 측정방법에 있어서 정밀성이 요구된다. 또 여러가지 대사산물과 전구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Prostaglandin가 생성되고 대사되는 과정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여러가지 대사산물을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한편, prostaglandin은 전신의 거의 모든 조직에 분포하며 그 이용도 다양하다. 뿐만 아니라, prostaglandin이 임상적으로 생체기능의 조절(고혈압, 신기능조절, 난소와 자궁의 생리 등) 및 prostaglandin analogue의 길항약물 및 생합성 억제약물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prostaglandin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1. 조직의 추출과 조작에 대한 일반적 방법 2. 생체조직에서 eicosanoid의 추출 방법 3. Prostaglandin, thromboxane 및 leukotriene에 대하여 평활근을 이용한 생물학적 검정 4. Eicosanoids의 방사면역학적 검정 5. 효소면역 검정법 6. Cyclooxygenase의 측정, 정체 및 특성 7. Lipoxygenase의 특성과 측정 8. 지질과산화 반응의 측정 등을 다루었다.
-
1. 목적: 수종의 방법에 의하여 유발된 서로 다른 종류의 경련의 발현시간 또는 지속시간 등의 변화론 대조군과 비교하여 새롭게 개발된 항경련 약물의 효능을 검토한다. 2. 방법 1) a-MT또는 6-OHDA론 말초 및 중추로 처리하고 일정시간 후 간대성경련 발현시 간과 지속시간을 측정한다. 2) 뇌중 cathecholamine함량을 alumina 흡착법에 의하여 THI법으로 정량한다. 3. 결과 및 고찰 1) 전기자극에 의한 경련 i) a-MT 및 6-OHDA 처리 후 강직성 신전경련의 지속시간은 현저하게 길어지나 간대성 경련 지속 시간은 오히려 단축된다. ii)뇌중 cathecholamine함량이 현저히 감소된다. 2) pentetrazole경련 i) 약물처리 후 강직성신전경련의 발현 역치가 현저하게 저하된다. ii)뇌중 catecholamine 함량도 비례되어 현저하게 감소한다. 4. 결론 약물 또는 뇌중 특정물질에 의해 경련유발 및 지속이 변화됨을 지표로 하여 새로운 항경련제의 효능 검색 및 작용기전을 감색하는 좋은 자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항우울약인 rolipran(RP)등 phosphodiesterase-억제 약(PDE-1)들이 thrombin(TB: 0.25 U/ml)에 의한 혈소판 응집에 미치는 작용을 가토-혈소판에서 일차 검토하였다. 신 PDE-1인 KR-30075(KR)의
$IC_{50}$ /은 sodim nitroprusside의 것보다 낮았고 PDE-1들은 혈소판내 cAMP와 cGMP를 증가시켰으며 특히 KR은 타 PDE-1와 달리 I$P_3$ 를 감소시켰다. 아울러 rolipram은 cGMP와 I$P_3$ 를 증가시켰으나, amitriptyline(AT), sertraline(57), chlorpromazine(CP) 및 spermine은 I$P_3$ 를 증가시켰다. 그러나 이들과 PDE-1들은 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TB에 의한 혈소판응집을 모두 억제하였다. 따라서, PDE-1 중 IBMX(2$\times$ $10^{-5}$ M), KR(5$\times$ 10$_ -7/M), 및 rolipram(10$_{-3}$ M) 그 외에 항우울약인 AT(1.5$\times$ 10$_ -4/M) 와 ST(10$_ -4/M) 및 항정신병약인 CP(10$_ -4/M)둥이 혈소판내 I$P_3$ , [C$a^{++}$ ], Tx$B_2$ , 및 PG$I_2$ 함량과 단백-인산화의 TB에 의한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TB에 의한 혈소판내 I$P_3$ , [C$a^{++}$ ], Tx$B_2$ , 및 PG$I_2$ 함량의 증가가 PDE-1들과 항우울약들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단, 항우울성약들과 CP는 정상 혈소판 I$P_3$ 를 증가시켰다. 아울러 혈소판-단백인산학에서 TB는 41-43 kD와 20 kD의 인산화를 현저히 증가시키며 19 kD의 인산화는 감소시켰고, PKC의 기질인 41-43 kD와 20 kD의 단백인산화가 PDE-1들과 항우울약들 뿐 아니라 CP에 의하여 현저히 억제되었다. 단, 20 kD 인산화에 대한 AT의 억제작용은 미약하였고, cAMP와 PDE-1들은 22kD 인산화를 증가시켰다. AT, ST, 및 CP는 A23187에 의한 41-43 kD 인산화는 현저히 억제하나 20 kD 인산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PMA(3.2$\times$ $10^{-7}$ M)에 의한 단백인산화에 대하여는 더 미약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PDE-1과 항우울약들의 항혈소판작용은 PKC-기질인 41-43 kD와 20 kD의 인산화를 억제함에 기인되는 것으로 사료된다.다. 것으로 사료된다.다. -
본 연구에서는 생체 뇌 국소부위의 세포외액을 대상으로 실험할 수 있는 뇌 미세투석법을 이용하여 후시상하부에서 유리되는 monoamine의 세포외액 농도에 대한 전신 혈압변화의 영향을 관찰함으로써, 심혈관 조절에 대한 후시상하부의 monoamine성 뉴론의 생리적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마취한 흰쥐의 머리를 뇌정위 고정장치에 고정시키고 미세투석관 (microdialysis probe)을 후시상하부에 위치시킨 후 링거액으로 관류하였다. 미세투석액내에 존재하는 monoamine성 신경 전달물질들과 그 대사체들의 정량분석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와 전기화학검출기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전신 혈압을 40분 동안 약 40mmHg 상승 혹은 30mmHg 감소시키기 위하여 L-phenylephrine hydrochloride (800ng/100 g/min) 혹은 nitroprusside dihydrate (500 ng/100 g/min)를 대퇴정맥을 통하여 주사하였다. 후시상하부로 부터 20분 간격으로 얻은 투석액에서 신정화학물질들의 농도는 미세투석관 삽입후 2시간에 안정되었다. 관류액의
$K^{+}$ 농도를 90 mM로 증가시켰을 때 후시상하부의 투석액에서 norepinephrine (NE) 과 serotonin (5-HT)의 농도는 각각 기준치의 176.5$\pm$ 14.8%, 149.1$\pm$ 2.3%로 증가하였다. Phenylephrine (i.v.)으로 유발된 전신 혈압상승에 의하여 NE과 5-HT의 양은 각각 기준치의 79.3$\pm$ 4.4%, 61.4$\pm$ 10.3%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nitroprusside (i.v.)에 의하여 전신혈압이 감소하였을 때 투석액내 5-HT의 양은 기준치의 195.0$\pm$ 23.0% 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후시상하부의 투석액내 monoamine성 대사체들의 경우에는 전신 혈압의 변화에 대한 유의한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을 종합하면 전신 혈압이 증가되었을 때는 말초 압수용체의 흥분에서 기시한 신경충동이 후시상하부에 전달되어 신경말단에서 5-HT 과 NE 의 유리가 감소되고, 5-HT의 경우에는 전신 혈압이 감소되었을때 그 반대 현상이 일어난다는 가설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생체상태에서 혈압변화에 대한 후시상하부의 monoamine성 조절양상을 규명한 것으로서 특히 후시상하부의 serotonin성 신경계를 통한 심혈관 중추조절의 가능성을 처음으로 제시한 것이다. -
TMI는 알라닌과 글리신이 풍부한 18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분자량이 약 1,400Da인 물질이었으며, 가수분해 효소 처리후 억제력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Porcine liver, spleen, testis에서 정제한 PM II에 대하여 TMI가 비상경적 억제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Ki value는 각각 300 nM, 250 nM 297 nM이었다. 그리고 돼지 간장에서 부분정제한 PM I, PM II, PM III, phospholipid methytransferase에 대한 정제된 TMI의 영향을 조사해 보면 각각 33%, 47%, 31%, 35%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노화현상에 따른 여러 가지 병태생리조건의 형성과 난치성 성인병질환의 발병 및 진행과정에 활성산소류들과 이들에 의해 유도되어지는 free radical이 관여하고 있다는 증거가 여러연구진에 의해서 보고되어지고 있다. 산소를 이용하여 생명현상을 이어가는 생물체들은 필연적으로 활성산소들을 생성하는 생화학적 산화반응기구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항상성을 유지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활성산소의 생성과 분해과정의 평형유지는 생물학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임상적으로 alcohol은 질병의 악화 내지는 질환의 발병조건을 조성하는 병태생리기구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어 대부분의 환자에게 금주시키고 있으나 그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충분히 설명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lcohol을 급ㆍ만성으로 실험동물에 투여하고 생체에서 활성산소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xanthine oxidase와 aldehyde oxidase의 활성변화를 관찰하면서 전자의 형전환속도와 과산화지질 생성속도와의 상관성을 중점 비교 관찰하므로서 alcohol성 간손상 실험 model을 계획하였다. 간 및 신장조직에서 alcohol에 유래되는 활성산소의 생성계에 관여하는 효소 활성의 변화와 조직의 과산화지질 생성반응 속도는 alcohol의 투여방법, 기간, 시간(diurnal variation), 나이 및 암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
개의 관상동맥평활근세포를 이용하여
$K^{+}$ channel openers인 cromakalim과 pinacidil의 이완반응을 관찰하고, 이러한 이완반응의 세포내 기전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하였다. Collagenase로 소화시켜 구한 평활근 세포들은 frypan blue 배출 검사 및 전자현미경학적으로 검사시 건전하고 생존해 있었다. 분산평활근세포들은 phenylephrine(PE)의 용량에 의존하여 수축하였고, EC$_{50}$ 는 2.3$\times$ $10^{-12}$ M이었다. PE에 의한 수축반응은$K^{+}$ channel openers인 cromakalim 및 pinacidil의 용량에 의존하여 억제되었고 이때의 EC$_{50}$ 치는 각각 1,2$\times$ $10^{-10}$ M 및 6.B$\times$ $10^{-10}$ M이었다. 비교실험으로서 근절편의 장력을 측정하여 수축을 검정한 실험에서는 cromakalim의 이완반응의 ECEC$_{50}$ 치는 1.94$\times$ $10^{-7}$ M로 근세포실험에 비하여 감수성이 훨씬 약하였다.훨씬 약하였다. -
목적: Guinea pig heart의 ATP sensitive
$K^{+}$ channel xenopus oocyte에 발현시켜 연구하고져 본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방법: 기니픽 심장으로부터 ,RNA를 분리하여 50ng/$\mu$ l의 농도로 50nl를 xenopusdp 주입하였다. Xenpus oocyte에서 conventional electrode를 이용 막전휘를 측정하였고, pH selective 미세전극으로 세포내 pH를 측정하였다. 막전위에 미치는 potassium channel opener, blocker, KCN의 작용을 관찰하였다. 결과: 기니픽 심장 mRNA를 주입하거나 주입하지 않은 xenopus oocyte에서$K^{+}$ channel opener인 cromakalin, RP49356등은 과분극을 일으키지 못하였다. 그러나 세포내 ATP 감소제인 KCN은 농도 의존적으로 과분극을 일으켰으나 ,glibenclamide에 의해 차단되는 않았다. mRNA를 주입한 oocyte에서 Na-H 자극제인 NH$_4$ Cl은 pH 변동을 일으켜 NA-H exchange를 expression 시켰다. 결론: Xenopus oocyte는 cromakalin등에 의해 open되는$K^{+}$ channel 은 없었고, 기니픽 심근의 ATP sensitive$K^{+}$ channel로 expression 되지 않았으나 Na-H exchange 는 expression 됨을 알 수 있었다. KCN으로 open 되는$K^{+}$ channel이 있었으나 glibenclamide에는 차단되지 않는 channel이였다. -
중추 Cholinergic성 신경계 작용약의 유발한 치매동물 모델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흰쥐에 Scopolamine, Physostigmine 및 생약을 반복 투여하였을 때의 active avoidance에 미치는 영향을 단회 투여하여 가역적인 작용을 가질때의 영향과 비교하고 이때 대뇌피질에서의 Cholinergic성 신경계의 활성 변화를 측정하여 중추 Cholinergic성 신경계의 학습, 기억 과정에서의 역할 및 나아가 치매의 발생 원인 및 발병 져로 규명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6 주된 Wistar계 웅성 래트에 Cholinergic성 신경계 작용약인 Scopolamine(1 mg/kg), Posostigmine (0.1mg/kg)과 생약인 Ginseng Total Saponine(100 mg/kg), 오미자 추출물 (150 mg/kg)등을 단독 혹은 병용으로 피하와 복강내로 7 일간 반복 투여하면서 Shuttle Box를 이용하여 Active Avoidance 의 습득율을 측정하고 이후 실험동물을 단두치사하여 대뇌피질 영역에서의 Acetylcholine 농도와 Acetylcholinesterase 활성 변화를 Chemi luminosence 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제 3세대 platinum complex인 SKI 2053R에 의한 Salmonella typhimurium의 복귀변이빈도, CHL세포(Chinese Hamster Lung)에 대한 염색체이상 유발율 및 ddY계 마우스에서의 골수분화세포에 대한 염색체이상유발로 기인한 소핵의 빈도수를 관찰하여 SKI 2053R의 유전독성을 평가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시험에서 SKI 2053R은 매우 경미한 정도의 돌연변이 유발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균주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성으로 보아 염기쌍치환형의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포유류배양세포를 이용한 염색체이상실험에서 대사 활성 부재 및 존재하의 모든 시험 농도에서 10% 이상의 염색체이상을 가진 세포가 관찰되었으며 염색체 상의 종류로는 염색분체형 교환 (cse)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설치류를 이용한 소헥시험에서는 ddY계 마우스 골수세포의 분화과정에서 염색체이상을 유발하며, 다염성적혈구의 정염성적혈구에 대한 출현비율이 감소하는 결과로 볼때 방추체기능의 저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본 시험조건데 있어서 SKI 2053R은 소핵을 유발하는 물질로 결론지었다.
-
대상환자는 모두 23명이였으여, 이중 12명은 fluconazole을, 11명은 nystatin을 투여받았다. 두 군사이에 연령, 남여비, 기저질환, 진균감염의 위험요소는 차이가 없었다. 투약기간은 fluconazole군(F)이 24일, nystatin군(N)이 23일이였다. 중도탈락은 3례로 F중 MRSA ?혈증 1례, N중 오심, 구토 1례외 Stevens-Johnson증후군 1례였다. 평가가능한 20례중, F 11례중 8례와, N 9례중 4례에서 진균감염중의 예방에 성공하였고, F 3례와 N 5례는 실패하였다. 실패한 F 3례는 코의 피부조직에서 aspergillus가 중명된 1례와 경험적으로 amphotericin을 투여한 2례였고, N 5례는 혈액배양에서 Candida tropicalis가 분리된 1례와 경험적 amphotericin을 받은 4례였다. 진균의 colonization은 F중 3균주는 치료중 소실되었으나, 2례는 증가하였다. N은 1균주가 소실된 반면, 3례는 증가하였다. Colonization이 증가한 F 2례는 C. albicans와 Trichosporon beigelli가 대변에서 분리된 경우이고. M 3례는 대변에서 C. albicans가 분리된 1례, 구강에서 aspergillus가 분리된 1례, 혈액배양에서 C. tropicalis가 분해된 1례였다. 부작용은 오심 구토가 F중 1례, N중 2례 였으며, 이중 N의 1례는 증상이 심하여 투약을 중지하였다. 간기능 검사상 SGOT/SGPT의 상승은 F 12중 3례, N 11중 2례에서 관찰되었으나, 두 군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Nicorandil의 심근허혈 감소효과를 평가하고운동부하 201-Thallium 심근허혈 감소효과의 임상적 판정에 적용 가능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약투여 후 시행한운동부하 201-thallium-SPECT 상에서 가역적 thallium 결손을 보였던 49명의 노작성 협심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7일후 nicorandil을 10mg (group 1:n=19)혹은 20mg (group 2: n=20) 1회 경구투여한후 다시 운동부하201- thallium-SPECT를 시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다답차운동 부하의 최대 운동량에 도달시 201-thallium을 정주하여 1분간 운동을 지속시킨후 부하영상을 얻고 안정 4시간후 재촬영하여 thallium결손 범위를 비교하여 심근허혈 범위를 정하였다.
-
목적:지금까지 Risperidone의 치료 효능과 안전성에 대한 연구들이 모두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효율적인 약물 요법의 중요한 지침이 되는 유효치료용량(effective therapeutic dosage)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초발인 급성 정신분열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첫째, Risperidone의 항정신병 효과(antipsychotic effect)와 추체외로계증상(extrapyramidal symptoms)을 평가하고 둘째, Risperidone의 항정신병 효과와 혈장 Risperidone 및 9-hydroxyrisperidone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유효혈장농도(therapeutic dose range)와 유효치료용량(effective therapeutic dosage)의 존재 여부를 검토코자 한다. 방법: DSM-III-R 진단기준(APA 1987)예 의해 정신분열병형 장애로 진단된 환자 11명(남자 5, 여자 6)을 대상으로 Risperidone을 이중맹검법(double blind design)으로 6주간 투약하였다. 정신병리의 평가는 PANSS(Kay 1988)를 이용하였고 추체외로계 부작용의 평가는 ESRS(Chouinard 1980)를 이용하였다. 혈장 Risperidone 농도와 혈장 9-hydroxyrisperidone 농도는 Jansen사의 Radioimmunoassay Kit를 이용하여 3회 측정하였다. 결과: PANSS 점수는 Risperidone 투여 후 1주째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arkinsonism과 dyskinesa에 대한 physician's examination 점수는 전체 연구 기간 동안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Dystonia에 대한 physician's examination 점수는 Risperidone 투여 후 1주째에는 평균 5.96점으로 높았으나 2주째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어 6주째에는 유지되었다. 혈장 Risperidone 농도와 혈장 9-hydroxyrisperidone 농도는 PANSS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
만성 신부전환자에서 isoniazid(INH)의 약동학적 변화여부를 검토하고 특히 N-acetylation 대사능의 억제 여부를 평가함으로써 만성신부전환자에서 적정 INH 항결핵 요법율 위한 기본자료를 제공코자 하였다. 본 연구는 pararell group 디자인에 의한 일차 연구와 sequential 디자인에 의한 2차연구로 진행하였다. 일차 연구는 37명의 정상 성인군과 14명의 만성신부전 환자군을 대상으로 INH 400 mg 경구 투여 후 INH 및 AcINH의 약동학적 성상을 비교하였다. 이차연구는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신이식에 따른 INH의 acetylation 대사능의 변화를 관찰코자 1차연구에 참여하고 성공적인 신이식을 받은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INH 및 AcINH의 약동학적 검토를 재시행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방법을 통하여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Acetylation 대사능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
신물질의 면역독성 평가방법을 체계화하고 독성기작을 규명하고저 기존 면역독성 유발물질을 대상으로 in vivo 및 in vitro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비장세포-간세포 공동배양 시스템을 대사를 요구하는 물질의 면역독성 평가에 in vitro system으로 사용하고저 DMN을 대상으로 공동배양 조건 및 배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장세포원으로 BALB/c 마우스를 사용하였고, 간세포원으로 Spraque-Dawley 랫드를 사용하였다. DMN은 홀몬이 첨가된 배지에서 항체 형성반응을 크게 저하시켰으나 배지의 종류에 따른 DMW의 대사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또한 procarcinogen인 DMBA에 의한 면역독성은 DMBA의 대사물에 의해 유도되며 DNA가 primary target 임을 규명하였으며, 2-acetylaminofluorene (AAE)에 의한 면역 억제작용의 기작에서 인터루킨의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Protein methylase inhibitor인 SF와 SIBA웨 면역억제 작용을 연구한 결과 lymphoproliferative response에서 protein methylase 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여함이 입증되었다.
-
신의약품의 생식독성 평가를 위해서는 타독성시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NOEL (no observed effect level) 의 범위를 확립하는 일이 매우 중요한데, 이것은 정상치(control values), 자연발생소견 (spontaneous findings)등과 비교함으로서 가능하다. SPF 동물을 이용한 독성실험은 선진국에 비해 역사가 짧을 뿐만 아니라 아직 풍부한 기초자료가 확립되지 않아 외국의 자료들을 인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랫트를 이용한 최기형 시험결과의 효율적인 평가를 위해 생식독성 검사항목의 기초 데이타를 확립하였다. 이를 위해 화학연구소 실험동물육종실에서 입수한 SPF: Sprague- Dawley 랫트를 이용해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실시한 생식독성 시험의 대조준 데이타 (체중, 사료소비량, 장기중량, 제왕절개성적, 외표, 내부장기 및 골격검사성적, 자연분만군 시험성적 등)를 분석하였다. 요늑의 발현율, 견인력 시험결과 및 피모발생 일평이 외국의 타 연구기판 데이타와 다소 차이를 나타냈을 뿐 기타 항목들은 거의 일치하는 정상치를 보였다. 아울러 기형, 변이, 골화지연 등으로 구분되는 골격소견의 합리적인 평가를 위해 랫트 골격소견 평가기준을 정했고 최기형 시험에서 얻어지는 데이터의 통계처리 방법을 보완, 체계화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Sprague-Dawley 계통 랫트외 생물학적 정외는 물론 효율적인 생식독성 평가를 위한 소중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동물의 일반활동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에 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약물의 중추신경계에 대한 독성평가는 물론이고 중추신경계 작용약물의 검색에도 널리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기전으로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들의 일반활동을 분석하여 중추신경계 작용 약물들의 작용기전에 따르는 일반활동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장치는 UGO BASILE제 활동측정 장치를 이용하였으며, 실험동물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실험동물 사육장에서 사육한 ICR mouse를 사용하였다. 동물의 활동측정은 환경요인을 최소한으로 배제하기 위하여 매일 9:00-11:00 까지 2시간 동안의 행동을 10분 간격으로 측정 기록토록 하였다. 중추신경 흥분제 amphetamine, 진정수면제 phenobarbital, 항불안제 diazepam, 항정신병약 chlorpromazine, 항우울제 haloperidol는 모두 용량 의존적으로 동물의 자발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특기할 것은 항불안제 diazepam 은 용량의존적으로 운동 억제를 나타내었으나 진정수면제 phenobarbital의 경우는 용량 의존전 운동억제를 나타내기 이전에 초기약물 유발성 aggressive behavior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결과는 동물의 자발행동의 분석으로 중추신경계 작용약물의 작용기전 규명 및 이에 따르는 약물의 분류 방법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유전독성물절외 검출과 평가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모델 시스템의 개발 및 DNA 회복기작을 규명할 목적으로 수종의 돌연변이, 발암원을 이용하여 배양 포유동물세포 및 어류세포에서 세포생존률, DNA 합성 및 복제억제의 양상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MMS및 MNNG 와 같은 알칼라제는 CHO 세포에서 유의한 DNA 합성저해, DNA 복재억제, DNA 단사절단 및 비주기성 DNA 합성률의 증가를 유발하였다. Benzo(a)pyrene과 3-methylcholanthrene좌 같은 DNA 상해 전구물질의 경우 유전독성 여부의 판정에는 반드시 S-9/15과 같은 대사활성계 또는 mouse embryonic fibroblast와 같은 대사 활성능이 있는 세포와의 co-culture system들이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에 의한 DNA 상해와 복재억제 유도의 작용양상은 자외선의 작용양상과 유사하였다. 배양 어류세포에서 자외선에 의한 세포생존율의 측정, 광재활성능의 분석 및 자외선에 의해 유발된 피리미딘 이량체 절제능 검토 및 DNA 합성 저해능의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유전독성 평가를 위한 모델 시스템 구축의 기초결과를 얻었다.
-
발암물질의 조기검색법을 개발하고자 변이원성 물질의 스크리닝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Ames test 및 chromosomal aberration test를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DNA 및 Protein-adduct 형성시험법과 비교 연구하였다. 벤조피렌과 아플라톡신 B
$_1$ 을 모델 발암물질로 하여 실시한 Ames test에서는 두 화합물 모두 양성을 나타냈으나 용량-반응 관계가 뚜렷하지 않았다. 또한 고농도에서는 시험물질의 독성체 의해 정상적인 Ames test의 수행이 어려됐다. Chromosomal aberration test에서도 Ames test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고농도에서 시험을 실시했을 경우 Ames test에서와 마찬가지로 세포독성의 현상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새로이 개발한 DNA 및 Protein-adduct형성 시험법은 저농도에서 고농도에 이르기까지 뚜렷한 용량-반응 관계를 나타냈으며 Ames test 및 chromosomal test에서 일어날 수 있는 false positive나 false negative의 결과를 가져다 줄 우려가 없다. 또한 시험시간이 1-2시간 정도 소요되므로 기존의 방법보다 시험시간을 약 40배 가량 단축시킬 수 있었다. -
Acetaminophen(이하 AAP)은 간의 mixed function oxidase system에 의해 toxic metabolite로 대사되어 간괴사를 일으킨다. 최근에는 지금까지 임상적으로 사용되어온 한약이나 생약의 cytochrome P450의 활성과 간의 glutathion 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AP의 간독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규명하고자 민간이나 한방에서 보간 또는 해독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생약을 screening하였다. 그 결과 간의 약물대사 효소계에 엉힝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강활(Angelica koreana)과 민간이나 한방에서 간질환치료의 목적이나 해독제로 쓰여온 시호(Buplerum falcatum), 토복령(Smilax china) 및 금은화(Lonicera japonica)가 AAP로 유발된 간독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방법: 예비실험을 통해 강활, 시호, 토복령 및 금은화의 MeOH ext.가 AAP로 유도된 간독성에 방어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hexane, ether, ethyl acetate 및 butanol로 계통분획하여 랫트에 전처치한 후 고농도의 AAP를 투여하여 간 손상을 일으키고 혈청중의 효소활성과 지질ㆍcholesterolㆍbilirubin함량 등을 측정하였다.
-
kit는 cisplatin 투여 1시간전에 투여하였을때가 동시투여 후투여에 비해 좋은 효과를 나타났으며, 시장독선 지표를 모두 정상치까지 끌어내려 독성이 없으면서 cispltin의 신장독성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물질로 생각되었다. BNA는 cispltin투여 1시간후에 투여 하였을때가 동시투여, 전투여에 비해 효과가 좋았으며 용량증가는 오히려 신독성의 증가를 가져왔고 전투여가 특히 독성이 높다. 간 microsomal효도 유도가 cisplatin독성에 영향을 줄지 모른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목적: Cinnamic acid의 유도체들중에서 항돌연변이 효과가 보고된 바 있어, 본 연구에서는 E. coil PQ37균주를 사용한 SOS chromotest를 이용하여 약 170개 cinnamic acid의 유도체들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고, 1차로 확인된 수종의 유도체들에 대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SOS chromotest는 sul A:: lacz fusion strain 인 E. coli PQ37 에서의 chemical로 인한 DNA damage에 대한 SOS response를
$\beta$ -galactosidase enzyme activity level로서 측정하는 실험이며, m-RNA 또는 protein synthesis에 대한 test chemicals의 cytotoxic저해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alkaline phosphatase를 병행측정하여 보완하였다. 결과 및 고찰: (-)S-9 경우는 4-nitroquinoline 1-oxide(4-NQO)를 유도물질로 하였으며 대략 Induction factor가 9.7 정도였고, (+)S-9의 경우는 aflatoxinB$_1$ 을 유도물질로 하였고 이때의 Induction factor는 13.8 정도였다. 이결과 1차로 test된 cinnamic acid유도체 6개중에서 RK001, RK002, RK003, RK004, RK005는 거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RK006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보여주어 이들의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SAR) 및 Dose-response와 RK006의 항돌연변이 효과의 mechanism에 관해 M13 mp2 viral DNA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항돌연변이 기전연구를 수행중이다. -
Streptozotocin, which is a naturally occurring nitrosoamide used extensively to produce diabetes mellitus in experimental animals, has been known to be chemically stable only under acidic condition (pH 4).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its degradation products formed under various conditions can induce hyperglycemia in female rats. Streptozotocin in phosphate buffer saline (pH 7.4) resulted in spontaneous degradation rapidly. Furthermore, streptozotocin incubated with plasma isolated from rats was degraded even faster than those in neutral buffer. When streptozotocin was administered iv to rats, significant elevations in blood glucose level were observed within 24 hours. However, rats treated with equimolar concentration of streptozotocin degradation products under the phosphate buffer saline as well as the plasma did not lead to hyperglycem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streptozotocin administered undergo spontaneous breakdown in vivo, its degradation Products do not induce the hyperglycemia in rats.
-
임상적으로 많이 노출될수록 간단백과 결합하여 항원을 생성함으로써 면역매개성 간염을 유발하는 Halothane을 사용하여 mice에서의 세포매개성 면역선택하였다. Halothane을 복강투여로 2회, 4회 투여한 후 11, 15, 18일 후 지라세포를 이용하여 ConA유도 임파구 분열능을 검색해본 결과 2회 및 4회 투여 시에 15일까지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저하되나 18일 후 오히려 증가하고 ConA유도 IL-2의 생성능은 2회 투여 시 15일 까지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18일 이후 현저히 증가하였다. 4회 투여 시 15일까지는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저하되었고 18일 이후에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혈청 ALT, AST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이와 같은 실험 결과가 개체간의 차이를 보이는가 알아보기 위하여 개체별로 검정을 한 결과 개체간의 편차는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뇌모세혈관내피세포로 구성된 혈액-뇌관문(BBB)은 tight junction으로 구성되어 있을뿐만 아니라 fenestra가 없는 등 BBB가 가진 특성으로 인해 물질 수송에 장벽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로 중추신경계 질환시의 약물요법에 많은 제한이 따른다. 따라서 뇌로의 효율적인 약물 송달방법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중에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BBB의 hyperosmotic opening법을 이용하여 뇌로 잘 수송되지 않는 약물의 뇌송달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먼저 수용성으로 인해 BBB 에 잘 통과하지 않는 물질로 신장 및 뇌영상 촬영시 사용되는 방사성 의약품이 Tc-DTPA를 이용하여, hyperosmotic opening법에 의한 뇌투과 증가정도를 검토하였으며, 실험방법이 확립됨에 따라 뇌암의 항암요법을 위해 뇌로의 투과가 적은 항암제(5-Fluorouracil, 5-FU)의 뇌송달에 대해 본 방법을 적용하여 검토하였다. 실험동물로는 S.D.계 웅성 랫트를 사용하였으며,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랫트의 좌측 외경동맥(left external carotid artery)에 혈류의 역방향으로 혈관 분지점에서 1-2mm 전까지 PE-50 catheter를 삽입하고, 1.6 molal L-(+)- arabinose 고장액(1580mOsm)을 0.12ml/sec의 일정한 속도로 30초간 infusion함으로 BBB를 opening 한 다음, 5분 후에 Tc-DTPA를 대퇴 정맥으로 주사하여 0, 10, 30초, 1, 1.5, 2, 3, 4, 5, 7 및 10분 간격으로 대퇴동맥에 설치한 카테타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마지막 혈액을 취한 후 즉시 단두하여 뇌를 적출하였다. 채취한 뇌를 액체질소에 담근 후 tissue Tek으로 고정하고 autoradiography를 하기 위한 slice와 농도측정을 위해 필요한 부위를 취한 후 감마카운터로 Tc-DTPA의 brain각 부위별 및 혈장농도를 측정하였다. 뇌조직중 혈액부피의 측정은 Tc-albumin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5-FU에 대한 실험도 행하였고, 이때 각 혈장 및 조직중의 5-FU함량은 HPLC로 하였다.
-
생리활성 펩타이드류의 경점막 수송을 검토하기 위하여 토끼의 비강, 직장, 질 또는 눈 점막 구출액에서의 메치오닌엔케팔린 (Met-Enk) 및 그 합성 유사체인 [D-알라
$^2$ ]-메치오닌엔케팔린아미드 (YAGFM)의 효소적 분해를 억제하고자 수종 효소억제제를 검토하였다. 방법: 토끼의 질, 직장 및 비강 점막을 차례로 적출하여 신속히 Valia-Chien투과셀에 마운팅하고, 눈의 각막은 절취하여 따로 각막 투과셀에 마운팅한 다음 등장 인산염 완충액 3.5ml씩으로 8시간씩 3회 추출하여 점막측 및 장막측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추출 완료 직후 이들 추출액에 Met-Enk 또는 YAGFM 50$\mu\textrm{g}$ /ml의 농도로 첨가하고 여러 효소억제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첨가한 조건에서 37$^{\circ}C$ 에서 60 rpm으로 24시간 동안 흔들면서 경시적으로 시료를 취하여 잔존 펩타이드의 양을 HPLC법으로 정량하여 속도론적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한 효소억제제로는 아미노펩티다제의 억제제인 amastatin (AM), bestatin (BS). 엔케팔리나제 A의 억제제로 알려진 thiophan (TP), 엔케팔리나제 B의 억제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thimerosal (TM), metalloenzyme의 억제제인 에데트산나트륨 (EDTA) 등을 검토하였고 또$\beta$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인 디메칠-$\beta$ -시클로덱스트린과 2-히드록시프로필-$\beta$ -시클로덱스트린이 펩타이드의 분해억제효과도 함께 검토하였다. -
1. PS및 CP의 flux는 전류의 새기 및 donor의 약물농도에 비래하였다. 2. pH의 flux는 pH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CP(pKa=9.2)의 flux는 pH=2에서 최대치를 보였다. 이는 약물의 해리 정도와 H
$^{+}$ 이온의 mobility, 또 피부의 permselectivity의 balance에 의해 결정된 것으로 생각된다. 3. donor cell에 NaCl을 첨가하면 두 약물 공히, 그러나 특히 PS의 flux가 저하되었다. 이는 두 약물의 이온과$Na^{+}$ 의 mobility차이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4. PS의 경우 taurodeoxycholate(TDC)같은 음이온을 donor cell에 공존시키면 flux가 감소하였다. 이는 PS와 TDC가 전기적으로 중성인 ion-pair complex를 형성함으로써 PS이온의 유효농도가 감소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소프트하이드로겔의 합성은 IR, DSC등으로 확인되었으며, 전연성의 물성을 나타내었다. PPO 하이드로겔은 대부분 수팽윤도가 10%미만 정도로서 야굴방출시 팽윤에 의한 변형도가 낮아 부착형, 또는 이식형 조절방출성 제제에의 활용도가 기대되었으며, 약물방출은 주로 가교도/주쇄연장도에 의한 고분자 네트?의 세공크기(mesh size)에 의해 조절되었다. IPN하이드로겔의 경우는 pH의존성이 일반적이 겔보다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하유된 약물이 물성에 따른 약물방출양상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