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ask design for ratio and rate: Focusing on problem-solving

초등 교사의 비와 비율 과제 설계 사례 분석: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 Ku, Nayoung (Gyeonggi Science High School)
  • 구나영 (경기과학고등학교)
  • Received : 2024.09.22
  • Accepted : 2024.10.18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sign problem-solving tasks for ratio and rate based on given original task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extbook and teacher education. Tasks designed by 20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an analytical framework derived from previous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most frequently modified the questioning in the "carrying out the plan" step of the four-step problem-solving process. They expanded conditions to address extra-mathematical problems or focused on posing problems by altering conditions. Based on the teachers' task design cases, we proposed suggestions for textbook writing and teacher education on problem-solving in ratio and rate, including prompts that require additional instruction and guidance at each problem-solving stage and considerations when posing problems by altering conditions.

본 연구는 비와 비율의 문제해결에 초점을 맞추어, 현직 초등 교사들이 주어진 원본 과제를 기반으로 과제를 어떻게 설계하는지에 확인함으로써 교과서 집필과 교사교육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20명의 교사가 설계한 과제를 선행 연구를 기초로 도출한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원본 과제의 문제해결 4단계 중 계획 실행 단계의 발문을 가장 많이 변형하였고, 조건을 확장하여 수학 외적 문제를 해결하게 하거나 조건을 바꾸어 문제 만들기에 중점을 두었다. 교사의 과제 설계사례를 바탕으로, 비와 비율의 문제해결에 관한 교과서 집필과 교사 교육에서 문제해결의 각 단계마다 추가적인 교육과 안내가 필요한 발문들과 조건을 바꾸어 문제 만들기에서 고려해야 할 점 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완, 나귀수, 백석윤, 이경화(2013). 초등수학 교수 단위 사전. 경문사.
  2. 강향임, 최은아(2015). 비와 비율에 관한 학생의 오류와 어려움 해결을 위해 필요한 교사지식. 학교수학, 17(4), 613-632.
  3. 교육부(2015). 수학 6-1 교과서. 천재교육.
  4. 교육부(2020).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0-236호 [별책 8]. 교육부.
  5. 교육부(202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8]. 교육부.
  6. 구나영(2024). 중등 예비교사의 삼각형의 외심 과제 설계 사례 분석: 정당화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7(3), 453-472.
  7. 구나영, 이경화(2020). 중학교 수학 교사의 기하 단원교육과정 자료 사용 연구: 한 교사공동체의 사례. 학교수학, 22(2), 251-275.
  8. 권미선, 김은경(2024). 초등학교 5~ 6학년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문제해결 차시의 문제와 발문 및 권고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8(2), 203-224.
  9. 권미숙, 김남균(2009).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교과서 비례 문제 해결과 비례 추론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2), 211-229.
  10. 김경선, 박영희(2007). 초등학생의 비례적 추론 지도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9(4), 447-466.
  11. 김경탁, 류성림(2013). 5, 6학년 수학교재의 문제만들기 내용 및 6학년 학생들의 문제만들기에서의 오류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2), 321-350.
  12. 김선희, 이승미(2017).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초.중학교 수학교육 실태 분석. 수학교육 논문집, 31(2), 167-185.
  13. 김성여 외(2023). 수학 6-1 교과서. 아이스크림 미디어.
  14. 김하림, 이경화(2016). 중등 수학 예비교사의 미분계수 과제 변형. 학교수학, 18(3), 711-731.
  15. 남승인, 류성림, 이종학(2014).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수학 문제해결 교수 학습법. 경문사
  16. 박경미 외(2015).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개발 정책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7. 박선영, 이광호(2018). 초등 수학 교과서 비와 비율단원의 모델 비교 분석-비례에 대한 곱셈적 사고 및 비례 상황의 구조를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21(2), 237-260.
  18. 박슬아, 오영열(2017).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교사의 PCK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1), 215-241.
  19. 박지연, 김성준(2016).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 분석-'비교'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105-129.
  20. 박진형(2021). 초등 수학 교과서의 문제 만들기 과제 분석: 5, 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5(4), 465-488.
  21. 방정숙, 이지영, 서은미(2016). 문제 해결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용도서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6(3), 583-605.
  22. 소경희, 최유리(2018). 학교 중심 교육 개혁 맥락에서 교사의 실천 이해: '교사 행위주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6(1), 91-112.
  23. 송동현, 박영희(2022).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비례추론 과제의 분석. 초등수학교육, 25(1), 57-79.
  24. 안병곤(2018).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 문제해결 지도의 개선점과 개선 방향-Polya 의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2(4), 405-425.
  25. 여승현, 서희주, 한선영, 김진호(2021). 초등 수학교과서의 문제해결 역량 및 과제 유형 분석: 수와 연산영역의 도전/생각 수학과 탐구 수학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60(4), 431-449.
  26. 우정호, 정영옥, 박경미, 이경화, 김남희, 나귀수, 임재훈(2006). 수학교육학 연구방법론. 경문사.
  27. 이수은, 정영옥(2017).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백분율 이해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2), 309-341.
  28. 이종학, 류성림(2014). 수학 문제해결 전략 학습법. 경문사.
  29. 이지영, 서은미(2022). 비와 비율에 대한 한국과 싱가포르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수학교육, 61(3), 499-519.
  30. 장혜원, 임미인, 유미경, 박혜민, 김주숙, 이화영.(2017). 비와 비율에 대한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1), 135-160.
  31. 정영옥(2015). 초등학교에서 비례 추론 지도에 관한 논의. 수학교육학연구, 25(1), 21-58.
  32. 정영옥(2016). 초등학교에서 백분율 지도에 관한 논의.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71-104.
  33. 정영옥, 정유경(2016).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의 비례 추론 능력 분석. 학교수학, 18(4), 819-838.
  34. Choppin, J. (2011). Learned adaptations: Teachers' understanding and use of curriculum resource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4, 331-353.
  35. Dole, S. (2000). Promoting percent as a proportion in eighth-grade mathematic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0(7), 380-389.
  36. Gonzalez-Martin, A. S., Nardi, E., & Biza, I. (2018). From resource to document: Scaffolding content and organising student learning in teachers' documentation work on the teaching of seri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98, 231-252.
  37. Polya, G. (2014). How to solve it: A new aspect of mathematical method (Vol. 34). Princeton university press.
  38. Reys, R. E., Lindquist, M. M., Lamdin, D. V., & Smith, N. L. (2012).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박성선, 김민경, 방정숙, 권점례 역.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9년 출판)
  39. Shield, M., & Dole, S. (2013). Assessing the potential of mathematics textbooks to promote deep learn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2, 183-199.
  40. Yin, R. K. (2009).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4th edition).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