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spects and Meaning of "Wind" Accepted in Sijo

고시조(古時調)에 수용된 '바람'의 양상과 역할

  • Byun Seung-goo (Department of International Arts Industry, Mokwon University)
  • Received : 2024.04.22
  • Accepted : 2024.06.25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types of "wind (바람)" accepted in sijo (three-verse poems), focusing on the accepted pattern, and investigating its role and meaning.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works of "wind" were accepted in the sijo, and the total number of works was 620. There were 459 short sijo, and 161 long sijo. On the other hand, 148 authors wrote on "The Wind," 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90 authors composed 265 poems, the mos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50 poets composed 111 poems. Most of them were civil officials, and 170 poems were identified. Next, the aspect of jang (章) was confirmed to occur 684 times in total, with 632 instances of being single uses and 52 instances of duplication. Meanwhile, the core of the sijo, the first sentence of the last chapter, contains 'wind (바람)' 34 times in 25 words. And in terms of the aspect of the particle combined with 'wind,' the nominative particle appeared the most at 113 instances, and the auxiliary particle 'eun/neun (은/는)' was the most numerous at 58 instances. As for the types of wind contained in sijo, there are 6 major categories: 106 medium categories, with the total frequency is 688. 'Singular' appears 133 times in 6 words, and 'combination' appears 121 times in terms of total frequency. The combination with terrestrial objects was the most frequent at 79 times, and the combination with 'heavenly' objects was 75 times with 3 words, and 'mixture' indicated a mixture of several objects, with 7 words occurring 42 times. Second the literary acceptance and role of 'wind' in Sijo was examined. First, 'acceptance' and the role as a medium for conveying ideas, acceptance and the role as the development of ideas, and acceptance and role of literary expression.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wind' in Sijo was accepted in literature and played a major role. Lastly, the role and meaning of wind in Sijo can be seen in the fact that it remains differentiated from other form of ancient literature or other genres. It serves as a literary device that effectively expresses the theme, and the scope of the material accepted in Sijo was expanded through wind.

본 고는 시조에 수용된 '바람'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살피고 그 역할과 의미를 구명해 보았다. 이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조에 수용된 '바람'의 작품을 살펴보았는데 작품의 총수는 620수이며 단시조가 459수이고 장시조가 161수이다. 한편 '바람'을 소재로 한 작가는 148명이며 시기로는 조선 후기가 90명에 265수로 가장 많고 조선 전기는 50명에 111수가 나타난다. 신분으로는 대부분 문신(文臣)으로 59명에 170수가 확인된다. 다음으로 장(章)의 양상은 총 684회가 확인되며 단독이 632회이고 중복이 52회이다. 한편 시조의 핵심 처라 할 수 있는 종장 초구(初句)에 '바람'이 수용된 것은 총 25개의 어휘에 34회이다. 그리고 '바람'과 결합한 조사의 양상으로 격조사는 주격조사가 113회로 가장 많고 보조사는 '은/는'이 58회로 가장 많았다. 시조에 수용된 '바람'의 유형을 살펴보았는데 대분류는 6개이며 중분류인 어휘는 106개이며 총빈도수는 688회이다. '단독'은 6개 어휘에 133회가 나타나며 '조합'은 총빈도수는 121회이다. 지상의 사물과 조합한 것이 79회로 가장 많고 '천상'의 사물과 조합한 것은 3개 어휘에 75회이며 '혼합'은 여러 사물이 섞여 나타난 것으로 어휘는 7개이고 빈도수는 42회이다. 둘째로 시조에 수용된 '바람'의 문학적 수용과 역할을 살펴보았다. 먼저 '시상의 전달체로서 수용과 역할'과 '시상 전개로서 수용과 역할', 그리고 '문학적 표현의 수용과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시조에 수용된 '바람'은 문학적 수용 및 주요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끝으로 시조에 수용된 '바람'의 역할과 의미는 먼저 시조에 수용된 '바람'의 역할과 의미는 고대문학이나 타 장르와 차별성을 띠고 있다는 점과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출하는 문학적 장치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바람'을 통해 시조의 소재 수용의 외연을 확대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三國遺事」. 「春香傳」. 「薔花紅蓮傳」. 「朴氏傳」. 「東國歌辭」. 「時調」. 「雜誌」. 「靑丘詠言」. 「古今歌曲」. 「槿花樂府」. 「靑丘永言」. 「觀城雜錄」. 「淸溪歌詞」. 「樂府」.
  2. 杜甫, 「曲江」.
  3. 김광순 외, 「국문학개론」, 서울: 새문사, 2008.
  4. 김명희, 「시가(詩歌)에 나타난 달의 이미저리 고구(考究)」, 「동악어문학」 14, 1983.
  5. 김성문.이기성, 「디지털 기법을 활용한 시조의 '새(鳥)' 수용 양상 고찰: 「한국시조대사전」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 70, 2023. http://doi.org/10.17070/aeaas.2023.6.70.35
  6. 김영수, 「한국시와 달의 이미지」, 「현대문학」, 1979.
  7. 김용철, 「16세기 강호시조의 낭만적 성격」, 「우리어문연구」 19, 2002.
  8. 김웅섭, 「조선후기 사대부 시조의 연구: 강호시조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3.
  9. 김창원, 「왜, 다시 산수시조인가?」, 「시조학논총」 31, 2009. http://uci.or.kr/G704-001211.2009..31.004
  10. 김쾌덕, 「고전 시가와 관련된 '산'의 의미와 그 양상」, 「한국문학논총」 30, 2002. http://uci.or.kr/G704-000592.2002.30..006
  11. 김한주, 「고시조에 나타난 자연관: 목, 화, 조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77.
  12. 박을수, 「한국시조대사전(上)」, 서울: 아세아문화사, 1992.
  13. 박을수, 「韓國時調大事典」(別刷補遺), 서울: 아세아문화사, 2007.
  14. 신기철.신용철, 「새우리말 큰사전」, 서울: 삼성출판사, 1990.
  15. 이응백.김원경.김신풍 감수, 「국어국문학자료사전」,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1998.
  16. 조윤제, 「조선시가의 연구」, 서울: 을유문화사, 1948.
  17. 최동국, 「시조에 나타난 산수자연의 원망과 그 미적 성격」, 「시조학논총」 31, 2009.
  18. 최흥렬, 「고시가에 표출된 달의 심상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19. 황선국, 「한국시가에 나타난 달의 이미지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