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ategy Planning for the Development of the Facility-Based Lifecycle Integrated Project Information Portal

시설물 기반 생애주기 통합 건설정보 체계 구축 전략 연구

  • 김성일 (국토연구원 건설경제연구센터) ;
  • 조정희 (국토연구원 건설경제연구센터) ;
  • 장철기 (한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19.06.25
  • Accepted : 2019.08.31
  • Published : 2019.09.28

Abstract

Since more than 30 different information systems are collecting and providing construction related information, it is difficult for information users to figure out where and how to acquire the required information. Even if the user find the information, it is hard to meet users demand. Because the current systems accumulate the data just as administrative data and can do not connect the information from the different phases of the lifecycle for the specific facility. The information collected and managed in different information systems should be integrated in terms of lifecycle of the facility to improve money for value of public investment, the quality of life by improving quality of the facility and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big data utiliz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is paper suggested strategic planning for the development of the (assumed name) "The Lifecycle Integrated Construction Information Portal" as a foundation to use the data in construction industry, by investigating prerequisites and suggesting conceptual framework of the system.

현재 국내 건설사업의 건설 관련 정보는 약 30개 기관의 개별시스템으로 분산되어 수집 관리되고 있어 정보보유 기관, 정보항목 및 내용, 조회 방법 등을 파악하기 어렵고 데이터의 단절로 활용에 한계가 있다.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시설물 및 건축물의 생애주기 각 단계별 정보가 발주 업무수행 과정에서 형성되는 행정자료 구축의 성격에 머물러 전 생애주기에 걸친 이력정보 데이터 구축과 그를 바탕으로 한 수요자 맞춤형 빅데이터 활용이 부족하다. 공공시설 투자 및 관리 효율화를 통한 경제성 제고, 부실과 비효율의 최소화를 통한 품질향상, 시설물 건축물의 성능 향상을 통한 안전 및 삶의 질 제고 등을 위해 정보의 통합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의 생애주기 단계별로 각기 다른 정보 시스템(DB)에 흩어져 관리되고 있는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통합 활용할 수 있는 기반 구축을 위해 (가칭) "생애주기통합 건설정보포털"의 개념적 구성을 제안하고, 물리적 구축에 앞서 짚어봐야 할 제반여건 정비 등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데이터진흥원, 2017 데이터산업 백서, 한국데이터진흥원, 2017.
  2. 전익성, 손정락, 김경숙, 김재준, "Life-cycle management를 활용한 공공시설 유지관리 시스템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눈문집, 제5권, 제2호, pp.55-63, 2004.
  3. 국토교통부, 정보시스템 가이드북, 국토교통부, 2017.
  4. 옥현, 김진욱, "공공건설사업에서의 국가기반시설 건설정보 서비스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1026-103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1026
  5. 국토해양부, 제4차 건설사업정보화(CALS) 기본계획, 국토해양부, 2012.
  6. 국토교통부, 건설공사 사후평가 시행지침(국토교통부고시 제2014-284호).
  7. 국토교통부, 건설기술진흥업무 운영규정(국토교통부훈령 제783호).
  8. 국토교통부, 건설기술 개발 및 관리 등에 관한 운영규정.
  9. 국토교통부, 건설인.허가업무 전자처리(국토교통부고시 제2014-283호).
  10.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장관의 위탁업무 수행기관 지정 등(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445호).
  11. 법제처, 건설산업기본법 및 시행령.
  12. 법제처, 국가재정법.
  13. 법제처, 시설물 안전 및 유지에 관한 특별법.
  14. 법제처, 전자조달법.
  15. 법제처, 지방재정법.
  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6 건설사업정보시스템 운영 및 기능개선(I) (II), 국토교통부,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