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SCI for Basic Research Programs in Science and Technology Measured at the Quality Level of Individual Articles

개별 논문의 질적 수준에서 측정한 과학기술분야 기초연구사업의 SCI 성과 분석

  • 이방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R&D투자분석센터) ;
  • 임종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R&D투자분석센터) ;
  • 이우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R&D투자분석센터) ;
  • 원동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R&D투자분석센터)
  • Received : 2019.06.25
  • Accepted : 2019.09.05
  • Published : 2019.09.28

Abstract

In Korea, there is a high demand for the operation of differentiated programs in basic researc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fie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research competence, the higher the quality of research outputs. The results also tell us that the quality level of the research outputs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field of study.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a method to differentiate the selection rate of each discipline in the system that operates the individual basic research projects by the level of research capacity.

우리나라 개인 기초연구사업은 연구역량단계별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학문분야별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운영이나 학문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연구비 배분에 대한 수요가 높다. 또한 기존 수월성 위주의 기초연구지원사업 틀로는 다양성과 창의성을 골자로 하는 연구자주도형 기초연구 확대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초연구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투자시스템 전환에 관한 논의의 시발점을 제공하기 위해, 논문의 질적 성과지표를 활용하여 연구역량단계별, 학문분야별 연구 성과를 분석한 후 기존 기초연구사업의 운영방향에 대해 제언을 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개인 기초연구사업의 경우 연구역량단계가 높을수록 연구의 질적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살펴본 결과 학문분야별로 연구 성과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연구역량단계별로 운영하는 개인 기초연구사업의 운영체제에 취약 기초과학을 선배정후 학문분야별 선정률에 차이를 두는 방안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s://www.weforum.org/agenda/2016/01/thefourth-industrial-revolution-what-it-means-a d-how-to-respond, 2019.08.01.
  2. 이윤빈, 이상남, 채수연, 김준수, 학문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개인기초 연구과제 지원 방안 연구, KISTEP, 2015.
  3. 임길환, 기초연구지원 R&D사업 평가, 국회예산정책처, 2016.
  4. W. J. Baumol, "Entrepreneurship: Productive, Unproductive, and Destructive," Th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98, No.5, Part.1, pp.893-921, 1990. https://doi.org/10.1086/261712
  5. G. Tullock, "The welfare costs of tariffs, monopolies, and theft," Economic Inquiry, Vol.5, No.3, pp.224-232, 1967. https://doi.org/10.1111/j.1465-7295.1967.tb01923.x
  6. 염철현, "말레이시아 적극적 우대정책(Affirmative Action)의 배경, 성과, 그리고 최근 동향," 교육법학연구, 제26권, 제2호, pp.101-123, 2014.
  7. D. Romer, Advanced Macroeconomics(3rd edition) , McGraw Hill, pp.115-116, 2006.
  8. 제3차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 미래창조과학부, 2013.
  9. 제4차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10. https://behindsciences.kaist.ac.kr/2018/09/01/연구자의-척도, 2019.08.01.
  11. 2단계 BK21 사업 기본계획, 교육인적자원부, BK21기획단, 2006.
  12. 제3차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기본계획 2015,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5.
  13. E. Garfield, "Citation indexes for science: A New Dimension in Documentation through Association of Ideas," Science, Vol.122, No.3159, pp.108-111, 1955. https://doi.org/10.1126/science.122.3159.108
  14. B. K. Sen, "Normalised Impact Factor," Journal of Documentation, Vol.48, No.3, pp.318-325, 1992. https://doi.org/10.1108/eb026901
  15. I. Marshakova-Shaikevich, "The Standard Impact Factor as an Evaluation Tool of Science Fields and Scientific Journals," Scientometrics, Vol.35, No.2, pp.283-290, 1996. https://doi.org/10.1007/BF02018487
  16. A. I. Pudovkin and E. Garfield, "Rank-Normalized Impact Factor: A Way to Compare Journal Performance Across Subject Categorie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41, No.1, pp.507-515, 2004.
  17. 합리적인 R&D 평가체계 확립을 위한 성과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과학재단, 2007.
  18. 오동훈, 김영준, 김용정, "상대적순위보정지수(R2nIF) 를 활용한 주요국의 SCI 논문 질적 수준 비교 분석," 기술혁신연구, 제21권, 제1호, pp.85-108, 2013.
  19. C. T. Bergstrom, D. W. Jevin, and A. W. Marc, "The $Eigenfactor^{TM}$ Metrics," Journal of Neuroscience, Vol.28, No.45, pp.11433-11434, 2008. https://doi.org/10.1523/JNEUROSCI.0003-08.2008
  20. H. F. Moed, "Measuring Contextual Citation Impact of Scientific Journals," Journal of informetrics, Vol.4, No.3, pp.265-277, 2010. https://doi.org/10.1016/j.joi.2010.01.002
  21. L. Bornmann, L. Leydesdorff, and R. Mutz, "The use of percentiles and percentile rank classes in the analysis of bibliometric data: Opportunities and limits," Journal of Informetrics, Vol.7, No.1, pp.158-165, 2013. https://doi.org/10.1016/j.joi.2012.10.001
  22. J. Lundberg, "Lifting the crown-citation z-score," Journal of informetrics, Vol.1, No.2, pp.145-154, 2007. https://doi.org/10.1016/j.joi.2006.09.007
  23. W. Glanzel, B. Thijs, A. Schubert, and K. Debackere, "Subfield-specific normalized relative indicators and a new generation of relational charts: Methodological foundations illustrated on the assessment of institutional research performance," Scientometrics, Vol.78, No.1, pp.165-188, 2009. https://doi.org/10.1007/s11192-008-2109-5
  24. L. Waltman, N. J. van Eck, T. N. van Leeuwen, M. S. Visser, and A. F. van Raan, "Towards a new crown indicator: Some theore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informetrics, Vol.5, No.1, pp.37-47, 2011. https://doi.org/10.1016/j.joi.2010.08.001
  25. A. Hazen, "Storage to be provided in impounding reservoirs for municipal water supply," Transactions of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77, pp.1539-1640, 1914. https://doi.org/10.1061/taceat.0002563
  26. 채서일, 사회과학조사방법론(제3판), 학현사, 2003.
  27. 박광균, 전지성, 조주연, 정원윤, 학문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기초연구 지원 사업 개선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2015.
  28. 유경만, 취약 기초과학 분야 육성을 위한 출연(연)의 역할 강화 방안,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