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Housing Situation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Foreigners in Korea -Focusing on Seoul and Kyonggi Province-

재한외국인의 주거실태 및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 김영주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실내환경디자인전공) ;
  • 박동 (중앙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8.10.24
  • Accepted : 2018.11.27
  • Published : 2019.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using situation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foreigners in Korea, and to identify influential factors for housing satisfac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132 foreigners who reside in Seoul and Gyeonggi-do.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Chinese and the average age was 45.7. Over 90% of the respondents lived in a rented house and detached house was the most popular type of house. Overall score of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3.43 and it was above average. However, scores for parking lot, housing deterioration, and space planning showed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Factor analysis was used to summarize the variables related to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5 factors -'space planning and organization,' 'amenities & equipment', 'community facilities,' 'near environment' and 'housing expenses'- were drawn. Among those, 'space planning and organiza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residential satisfaction a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본 연구는 재한외국인의 주거실태와 주거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들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재한외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32부의 설문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대부분 중국국적으로 평균연령은 45.7세였다. 주택소유형태는 90% 이상이 차가였으며, 주택유형은 단독주택이 가장 많았다. 전반적인 주거만족도 점수는 3.43점으로 보통 이상이었으나 주차공간과 노후도, 공간구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주거만족도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공간계획 및 구성,' '시설설비,' '생활편의시설,' '생활환경,' '주거비부담'과 관련된 5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들 5개 요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중회귀분석 결과 '공간계획 및 구성'과 관련된 요인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CCTHCV_2019_v19n1_57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재한 체류외국인의 연도별 증가 현황

표 1. 설문 문항 구성

CCTHCV_2019_v19n1_574_t0001.png 이미지

표 2.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CCTHCV_2019_v19n1_574_t0002.png 이미지

표 3. 응답자의 주거 실태

CCTHCV_2019_v19n1_574_t0003.png 이미지

표 4. 응답자의 주거 계획 및 주택정보원

CCTHCV_2019_v19n1_574_t0004.png 이미지

표 5. 주거만족도 세부 변수별 평균 점수

CCTHCV_2019_v19n1_574_t0005.png 이미지

표 6. 응답자 특성별 주거만족도 차이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574_t0006.png 이미지

표 7. 주거만족도 변수 요인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574_t0007.png 이미지

표 8. 전체주거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중회귀분석

CCTHCV_2019_v19n1_574_t0008.png 이미지

References

  1. 이홍성, 이연숙, "다문화가정의 국적별 주거요구 비교분석 -전주시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4권, 제4호, pp.1-8, 2013. https://doi.org/10.6107/JKHA.2013.24.4.001
  2.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제8월호, 2018.
  3.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4.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www.immigration.go.kr
  5. 장지연, 아파트 거주가구의 주거조절 성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6. E. Morris and M. Winter, Housing, Family, and Society, New York: John Wiley & Sons, 1980.
  7. 김은희, 서치호, "공동주택 주거만족도의 체계적인 분류를 위한 이론적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7권, 제1호, pp.50-59, 2008.
  8. 장한두, "주거만족 영향요인과 주거환경 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제5호, pp.11-21, 2008.
  9. 박윤태, 원유호, 김구희, "저소득층의 주택유형 및 점유형태에 따른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6권, 제6호, pp.115-126, 2015. https://doi.org/10.6107/JKHA.2015.26.6.115
  10. 이재현, 고봉성, "공동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지, 제10권, 제3호, pp.1-14, 2012.
  11. 최용부, 아파트 주거만족도의 구성요소와 관련 요인 분석: 가중치 부여방법을 이용한 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2. 김승희, "지방도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주거만족도 분석: 강원도 공공임대주택 입주자를 중심으로," 주거환경학회논문집, 제5권, 제2호, pp.175-190, 2007.
  13. G. Fleury-Bahi, Marie-Line Felonneau, and D. Marchand, "Process of Place Identification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Environment & Behavior, Vol.40, No.5, pp.669-682, 2008. https://doi.org/10.1177/0013916507307461
  14. 손희주, 남궁미, "가구 생애 주기별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2016년도 주거실태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30권, 제1호, pp.169-196, 2017.
  15. 이혜경, "외국인 이주자의 생활공간에 관한 연구: 주거.소비.여가공간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다문화, 제2권, 제1호, pp.133-173, 2012.
  16. 김영미, 장희순, "다문화가정의 주거환경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춘천시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7-29, 2012
  17. 하성규, 마강래, 안아림, "서울시 외국인 주거지의 공간적 분리패턴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12권, 제3호, pp.91-105, 2011.
  18. 류주현, "수도권 외국인 노동자의 직주거리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12권, 제1호, pp.77-90, 2009
  19.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분석, 여성가족부, 2016
  20. 최병숙, 박정아, 노정옥, "한국에서 유학하는 중국 대학생의 주거실태 및 주거만족도," 한국생활과학학회지, 제21권, 제6호, pp.1235-1249, 2012.
  21. 안선민, 장상옥, 신경주, "외국인 유학생의 주거계획을 위한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13권, 제1호, pp.31-44,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