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among Rehabilitation Specialist

장애인 재활전문가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윤예숙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
  • 조성열 (나사렛대학교 인간재활학과) ;
  • 변용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송근창 (예산군장애인종합복지관)
  • Received : 2018.10.29
  • Accepted : 2018.11.21
  • Published : 2019.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s of rehabilitation specialists by using data on the "improvement of labor conditions and human rights of rehabilitation Specialist" which was conducted both in 2016 and in 2017.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rehabilitation specialists was analyzed with personal factors, job-related factors, and factors related with client violence, discrimination, and burnout. Among these factors, variables of wag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client violence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rehabilitation specialists. While the variables of wag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re likely to decrease the turnover intention of rehabilitation specialists, the variable of client violence significantly increase the turnover intention of rehabilitation specialist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mplies that the labor conditions including salary, the work environment for the rehabilitation specialists, and client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and strengthened to decrease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rehabilitation specialists.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재활전문가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 재활전문가의 이직억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335명의 재활 전문가를 대상으로 개인적 특성 변수, 직업관련 변수, 폭력 및 차별 경험, 그리고 소진 등의 변수를 통해 교차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6년과 2017년에 실시한 장애인 재활전문가 처우 및 인권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임금만족도, 직업자긍심, 그리고 폭력 경험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대한 자긍심과 직무 만족 그리고 장애인 재활전문가가 폭력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직장문화의 조성과 클라이언트에 대한 인권 교육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장애인 재활전문가의 이직의도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임금에 대한 만족도 제고와 처우개선뿐만 아니라, 근무환경 개선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Keywords

CCTHCV_2019_v19n1_559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모형

표 1. 분석에 사용된 변수의 코드

CCTHCV_2019_v19n1_559_t0001.png 이미지

표 2. 분석에 사용된 재활전문가의 일반 특성

CCTHCV_2019_v19n1_559_t0002.png 이미지

표 3. 개인적 특성별 이직의도의 분포

CCTHCV_2019_v19n1_559_t0003.png 이미지

표 4. 직업관련 특성별 이직의도의 분포

CCTHCV_2019_v19n1_559_t0004.png 이미지

표 5. 폭력 및 차별 경험 여부별 이직 의도의 분포

CCTHCV_2019_v19n1_559_t0005.png 이미지

표 6. 분석에 사용된 변수의 상관 분석

CCTHCV_2019_v19n1_559_t0006.png 이미지

표 7.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로지스틱 회귀분석

CCTHCV_2019_v19n1_559_t0007.png 이미지

표 8.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로지스틱 회귀분석

CCTHCV_2019_v19n1_559_t0008.png 이미지

표 9. 주요 가설 검증 결과

CCTHCV_2019_v19n1_559_t0009.png 이미지

References

  1. 조성열, 변용찬, 송근창, 윤예숙, "장애인 재활전문가의 인권 및 처우실태 및 과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제46회 RI Korea 재활컨퍼런스 발표자료, pp.168-200, 2017.
  2. 국가인권위원회 및 한국노동연구원, 사회 복지사의 인권 상황 조사, 2013.
  3. 강길현,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형성과정에서 결정 요인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지방자치사회, 제26권, 제4호, pp.129-148, 2014.
  4. 최일섭, 손영은, 신경안, 2015년 사회복지사 통계연감.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15.
  5. 김자영, 홍송이, 한창근, "정신건강 증진센터에 종사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 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학, 제47권, 제3호, pp.113-138, 2016.
  6. 문동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의 억제와 관련된 변인에 대한 메타회귀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제16권, 제11호, pp.7564-7574,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11.7564
  7. 장윤정, "공공, 민간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제51권, pp.361-382, 2011.
  8. 이동하, 우석진, 강현아, 정익중, 노충래, 전종설, "임금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에 미치는 효과," 유라시아연구, 제13권, 제2호, 통권41호, pp.87-102, 2016.
  9. 박영옥, 이경자, 조은희, 박혜자,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간호학회지, 제11권, 제1호, pp.81-89, 2009.
  10. 김민주, "장기요양대산 노인에 의한 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공급기관 지원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보건연구, 제33권, 제2호, 제81집, 2017.
  11. 강현아, 노충래, 박은미, 신혜령, "아동복지 종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 소진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3호, pp.107-127, 2008.
  12. 임민숙, 이영은, "아동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제22권, 제1호, pp.37-44, 2016. https://doi.org/10.4094/chnr.2016.22.1.37
  13. 지은아, 김지수, "근무기간에 따른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24권, 제1호, pp.51-60, 2018.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1.51
  14. 윤금숙, 김숙영,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16권, 제4호, pp.507-516, 2010. https://doi.org/10.11111/jkana.2010.16.4.507
  15. 최영광, 전동일,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 성, 직위 별 비교를 중심으로," 재활복지, 제18권, 제2호, 통권49호, pp.101-125, 2014.
  16. M. Townsend, Enrichment and acceleration: Lateral and vertical perspectives in provision for gifted and talented, In D. McAlpine & R. Moltzen (Eds), Gifted and talented: New Zealand perspectives, 1996.
  17. 강위영, 조인수, 정대영, 직업재활과 지원고용, 도서출판 성원사, 2009.
  18. 공마리아, 강윤주, 조미숙, 황정우, 정광희, 박철현, 장애인을 위한 직업적응훈련, 학지사, 2013.
  19.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용어사전, 2008.
  20. 이인재, 최은미, "자활후견기관 실무자 이직의도 결정요인," 사회복지연구, 제22호, (가을), pp.229-255, 2003.
  21. J. Price and C. Mueller, "A causal model of turnover for nurs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4, No.3, pp.543-565, 1991. https://doi.org/10.2307/255574
  22. W. Schudrich, C. Auerbach, J. Liu, G. Fernandes, B. McGowan, and Claiborne, "Factors impacting intention to leave in social workers and child care workers employed at voluntary agencie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Vol.34, pp.84-90, 2012.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11.09.004
  23. 심숙영, "근무여건과 개인적인 특성에 따른 소진이 유아교육 교사의 이직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제20권, 제3호, pp.339-349, 1999.
  24. 한우리, 조영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요인탐색 :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경영관리연구, 제7권, 제1호, pp.1-20, 2014.
  25. 최소현, 장현숙,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회복지사의 업무관련특성과 소진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3집, pp.297-31, 2012.
  26. 방하남,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결정요인과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연구," 노동경제논집, 제23권(특별호), pp.133-154, 2000.
  27. 박우성, 노용진,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만족 결정요인," 인사관리연구, 제26집, 제1호, pp.151-173, 2002.
  28. 윤기웅, 제갈돈, 김병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보수만족 및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행정논집, 제29권, 제1호, pp.141-166, 2017.
  29. 이은희, 김경호,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연구, 통권 제16호, pp.167-193, 2008.
  30. 정효선, 윤혜연, "호텔 및 패밀리레스토랑 종사원의 불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제31권, 제5호, 통권 제149호, pp.635-641, 2015. https://doi.org/10.9724/kfcs.2015.31.5.635
  31. 최국환, "재활복지 전문인력에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관련변인 연구," 재활복지, 제16권, 제4호, 통권43호, pp.119-136, 2012.
  32. 이정은, 조영은, "클라이언트 폭력과 사회복지종사자의 스트레스, 소진, 조직몰입이 및 이직의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19권, pp.83-104, 2008.
  33. S. Jayarante, D. Vinokur-Kaplan, B. Nagda, and W. Chess, "A National study on violence and harassment of social workers by clients," Journal of Applied Social Sciences, Vol.20, No.1, pp.1-14, 1996.
  34. L. Rey, "What social workers need to know about client violence. Families in Society," Vol.77, pp.33-39, 1996. https://doi.org/10.1606/1044-3894.839
  35. 최영광,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재활복지, 제19권, 제4호, 통권55호, pp.109-139, 2015.
  36. C. Maslach, Burnout: A Social Psychological Analysis. Job Stress and Burnout, Research Theory and Intervention perspectives edited by W. Paine,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s, pp.30-53, 1982.
  37. B. Drake and G. Yamad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burnout and job exit among child protective services workers," Social Work Research, Vol.20, No.3, pp.179-187, 1996.
  38. 김순귀, 정동빈, 박영술, (SPSS를 활용한)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이해와 응용, 한나래출판사, 2008
  39. R. M. Hodgetts and S. Altman, Organizational Behavior, W. B, Saunders Company, 1979.
  40. 김영기,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인천지역 전기공업자 종사자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석사학위논문, 2006.
  41. 김경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고갈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2호, 2013.
  42. 김종경, 김명자, "병원간호사 이직의도에 관한 문헌 분석," 간호행정학회지, 제17권, 제4호, 2011.
  43. A. M. Nasurdin, T. C. Ling, and S. N. Khan, "The relation between turnover intention, high performance work practices(HPWP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study among private hospital nurses in Malaysia," Asia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3, No.1, 2018.
  44. I. Saeed, M. Waseem, S. Sikander, and M. Rizwan, "The relationship of turnover intention with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leader member exchange,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 nizational commi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learning and development, Vol.4, No.2, 2014.
  45. J. O'Connor,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turnover intent of executive level central office administrators in Texas public school districts: A qualitative study of work related constructs, Lamar University, USA,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