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ement of Management of Long-Term Care Facilities Through FGI

FGI를 통한 노인장기요양시설 운영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박성원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정책.관리학과) ;
  • 이원재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정책.관리학과)
  • Received : 2018.10.18
  • Accepted : 2018.11.13
  • Published : 2019.01.28

Abstract

With the rapid aging of the nation's population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elderly people with difficulties in daily life, the elderly care system was implemented for social solidarity. Structural problems in the long-term care system that emerg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are demanded, and the problem of functional readjustment between nursing hospitals and facilities is raised due to the lack of continuity of care for the elderly by institutional and salary types. In this study, we set up research problems related to personnel, staff, and services to address the problem and conducted FGI. Research has shown that the number of elderly and recognized people in the region, the number of elderly and elderly patients, needs to be reflected in long-term care demand, the direction of appropriate institutional and manpower supply policies, and the establishment of local government goals and plans to strengthen the long-care institutions. It was revealed that non-medical accident arbitration bodies are needed to apply the cost of food insurance, provide programs through links with relevant institutions, and manage the admission smoothly.

우리나라 인구의 빠른 고령화와 일상생활이 어려운 노인들이 증가하여 사회적 연대를 위한 노인장기요양 제도가 실시되었다. 제도 도입 후 나타난 장기요양제도의 구조적 문제 해결을 요구하고 있으며 기관 및 급여유형별로 통합된 요양서비스 제공체계, 노인의료-요양의 연속성 부족에 따른 요양병원-시설 간 기능정립 문제 등도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입소정원, 종사인력, 제공서비스와 관련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 내 노인 인구와 인정자 수, 노인성 질환자수 등 장기요양 수요를 반영, 지역별 적정 기관 및 인력 수급 정책 방향 제시하고, 지자체별 목표와 수급계획을 수립하여, 장기요양기관 지정요건 절차 강화 및 지정 갱신제 등 인증제도 도입이 검토되어야 하며, 남성요양보호사 육성 및 수가 인상 등을 통한 종사자 처우개선을 통하여 원활한 인력수급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급식비의 보험적용과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프로그램 확대제공, 원활한 입소관리를 위한 의료외 사고 중재기구가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Keywords

CCTHCV_2019_v19n1_587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장기요양시설 입소 절차 (출처: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표 1. 장기요양신청 및 인정자 현황 (2018.02.28.)

CCTHCV_2019_v19n1_587_t0001.png 이미지

표 2. 연구대상

CCTHCV_2019_v19n1_587_t0002.png 이미지

표 3. 입소시설수와 정원 관련 설문

CCTHCV_2019_v19n1_587_t0003.png 이미지

표 4. 요양보호사 인력 운영실태에 관한 설문

CCTHCV_2019_v19n1_587_t0004.png 이미지

표 5. 서비스 운영 실태에 관한 설문

CCTHCV_2019_v19n1_587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Health Status Data, OECD.Stat, 2017(11).
  2. 2017년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 통계청, 2018.
  3. 행정안전부 주민등록통계 발표, 행정안전부, 2018.
  4.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 통계청, 2016.
  5. 2018 장기요양기관 업무안내, 보건복지부, 2017(12).
  6. 남미경,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7. 윤희숙, 정경희, 박능후, 전병유, 권용진, 노인장기 요양보험의 현황과 과제, 한국개발연구원, 2010.
  8. 선우덕, "요양보호사의 처우 개선 요양보호사 처우 및 제도 개선 토론회 : 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4년, 최우선 과제는?," 국회토론회 토론문, 2012.
  9. 임정도,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225-235,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25
  10. 배성호, 신창환, "장기요양보험 시설수가 수준에 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지, 제47권, 제3호, pp.621-645, 2018.
  11. 노재철, "노인보건의료의 현황과 법 제도적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170-18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4.170
  12. D. L. Morgan, "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ERIES, Vol.16, No.2, 2007.
  13. NOAA Coastal Service Center, "Introduction to Conducting Foucus Groups," http://www.csc.noaa.gov
  14. Charles D. Clark, "The Focus Group Interview and Other kinds of Group Acticities," College of Agricultural, Consumer and Environmental Sciences, http://ppa.aces.uiuc.edu
  15. M. Lim and J. H, Park, "The Effects of Occupational Reminiscence Therapy Applied to the Elderly With Dementia: A Pilot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21, No.2, pp.1-12, 2014. https://doi.org/10.3109/11038128.2014.926627
  16. "노인 의료복지시설 서비스 전환 경험," 국민건강보험공단 발표자료, 2016.
  17. 2015 노인학대 현황보고서, 중앙노인보호기관,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과,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