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Social Work Field Practicum Related Factors on Empowerment of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사회복지현장실습 관련 요인이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 박순미 (진주보건대학교 사회복지계열) ;
  • 손지아 (가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09.28
  • Accepted : 2018.11.05
  • Published : 2018.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work field practicum related factors on empowerment of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completing social work field practicum was conducted and data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mpowerment level of the students with completing social work field practicum is 3.7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sector by dividing the factors related to the social welfare field practicums affecting the empowerment into individual factors, practical institutional factors, and school factors. Degrees of practice(${\beta}=.123$, t=2.405, p<.05),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upervisor(${\beta}=.176$, t = 2.446, p <.05), the lecture satisfaction level of the practicum(${\beta}=.229$, t=4.018, p<.001) were found to affect the empowerment in each sector. But in final analysis with all factors have been concerned, the lecture satisfaction level of the practicum(${\beta}=.257$, t=4.495, p<.001)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powermen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복지현장실습 관련 요인이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역량강화를 위한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G지역과 J지역 대학에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 중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이수한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선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이수한 학생들의 임파워먼트 정도는 3.71점으로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복지현장실습 관련 요인을 실습생 개인 요인, 실습기관 요인, 학교요인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습생 개인요인에서는 실습수행도(${\beta}=.123$, t=2.405, p<.05), 실습기관 요인에서는 실습슈퍼바이저 만족도(${\beta}=.176$, t=2.446, p<.05), 학교 요인에서는 실습수업 만족도(${\beta}=.284$, t=5.061, p<.001) 등이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습생 개인 요인, 실습기관 요인, 학교 요인을 모두 고려할 경우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실습수업내용 만족도(${\beta}=.257$, t=4.495,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CCTHCV_2018_v18n12_558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표 1. 조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CCTHCV_2018_v18n12_558_t0001.png 이미지

표 2. 주요 변수 기술통계

CCTHCV_2018_v18n12_558_t0002.png 이미지

표 3. 주요 요인별 임파워먼트 비교

CCTHCV_2018_v18n12_558_t0003.png 이미지

표 4. 임파워먼트 영향요인 분석

CCTHCV_2018_v18n12_558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이정미, 이혜경, 사회복지현장실습 이론과 실제, 정민사, 2016.
  2. 최은희, "사이버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사회복지 현장실습성과 및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475-486,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475
  3. A. E. Fortune, M. McCarty, and S. Abramson, "Student learning processes in field education:Relationship in learning activities to quality of field instruction,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among MSW students," J of Social Work Education, Vol.37, No.1, pp.11-123, 2001.
  4. P. Lager and V. Robbins, "Field education: Exploring the future, expanding the vision," J of Social Work Education, Vol.40, No.1, pp.3-11, 2004. https://doi.org/10.1080/10437797.2004.10778475
  5. 이소민, 사회복지학 전공자들이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6. 최소연,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이 사회복지학 전공학생의 사회복지 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기관슈퍼비전과 학교연계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제22권, pp.201-226, 2013.
  7. 전성남,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9권, 제6호, pp.119-128, 2014. https://doi.org/10.9708/JKSCI.2014.19.6.119
  8. 황미영, 심경순, 김지연, "예비사회복지사로서의 진로결정을 제고시키는 실습수퍼비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4호, pp.217-234, 2008.
  9. 이경재,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전공만족도가 사회 복지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21세기사회복지연구, 제8권, 제2호, pp.5-31, 2011.
  10. 정수영,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1. 도향선, 조인주,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 전공학생이 인식한 전문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제29호, pp.561-58, 2014.
  12. 김유경, 전미애, "사회복지 현장실습에서의 학습 경험이 실습에 대한 인식을 매개로 사회복지실천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50권, pp.161-188, 2016.
  13. 전미숙, 이상주, "사회복지전공자의 진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제12권, pp.127-148, 2014.
  14. G. Holden, T. Meenaghan, J. Anastas, and G. Metrey, "Outcomes of Social Work Education The Case for Social Work Self-Efficacy," J of Social Work Education, Vol.38, No.1, pp.115-133, 2002. https://doi.org/10.1080/10437797.2002.10779086
  15. 김태순, 황혜원,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 전공학생들의 진로발달 및 전문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교육, 제9권, pp.97-126, 2009.
  16. 이혜경, 조우홍, "복지현장실습이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통계분석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8권, 제10호, pp.217-223, 2013. https://doi.org/10.9708/jksci.2013.18.10.217
  17. 강종수, "사회복지현장실습 슈퍼비전 특성이 전공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212-22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212
  18. H. Cleak and D. Smith, "Student Satisfaction with Models of Field Placement Supervision," Australian Social Work, Vol.65, No.2, pp.243-258, 2012. https://doi.org/10.1080/0312407X.2011.572981
  19. A. E. Fortune, M. McCarty, and J. S. Abramson, "Student learning processes in field education:Relationship in learning activities to quality of field instruction,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among MSW students," J of Social Work Education, Vol.37, No.1, pp.11-123, 2001.
  20. 정종화, 황미경, "한국의 사회복지현장실습체계와 개선방안,"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과제와 향후 정책방향,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한국사회복지사협회, pp.45-67, 2016.
  21. 오승환, "사회복지실습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1권, 제2호, pp.105-106, 2005.
  22. 오혜경, 하지영, 사회복지현장실습 매뉴얼, 양서원, 2007.
  23. 지은실, 인적자원관리용어사전, 한국학술정보 (주), 2009.
  24. D. R. Leslie, C. M. Holzhalb, and T. P. Holland, "Measuring staff empowerment development of a worker empowerment scale,"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Vol.8, No.2, pp.212-222, 1999. https://doi.org/10.1177/104973159800800205
  25. 최민영, 현장실습경험이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6. D. E. Alperin, "Empirical research on student assement in field education: What learned?," The Clinical Supervisor, Vol.14, No.1, pp.149-161, 1996. https://doi.org/10.1300/J001v14n01_11
  27. J. V. Garner, Empowerment in Social Work Field Education:Examining the Triadic Aspects of Empowerment in the Education Process of the Social Work Field Student,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2001.
  28. 순덕기,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9. 주은수, 대학의 사회복지교육이 사회복지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0. 김승용, 박은주,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17권, pp.1-26, 2012.
  31. 김희수, 안정선, 배진형, "사회복지실습생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대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740-75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740
  32. 안정선, 정상원, 김선숙,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제1권, 제2호, pp.101-129, 2004.
  33. 강희자, 사회복지전공 학생의 실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4. 김선환,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5. 한주빈, 사회복지 현장실습의 실습성과에 관한 연구-학교요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6. 이은지,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이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대전․충남지역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37. 강영숙,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전공만족도가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실천학회지, 제9권, 제1호, pp.30-54, 2017.
  38. 장수미, "사회복지현장실습 슈퍼비전에 대한 실습지도교수의 주관적 인식 유형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2권, 제2호, pp.235-255, 2010,
  39. H. Kanno and G. K. Koeske, "MSW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field placements: The role of preparedness and supervsion quality," J of Social Work Education, Vol.46, No.1, pp.23-38, 2010. https://doi.org/10.5175/JSWE.2010.200800066
  40. 유영준, 이현지, "대학의 사회복지교육이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 실천기술적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제32집, pp.47-68,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