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복지전공학생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2초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조사연구에 관한 태도 연구 (Social Work Students and Their Attitude toward Research)

  • 정순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4호
    • /
    • pp.219-23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조사연구에 관한 태도를 파악하고, 이러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표본은 조사가 가능한 수도권 지역 대학의 학생들을 중심으로 추출되었으며, 최종 321명의 자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 전공학생들의 조사연구에 대한 태도는 중요성과 유용성에서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선행연구에 비해 낮았다. 학부생과 대학원생간의 태도 조사연구태도 차이는 유용성에 대한 태도에서만 발견되었다. 조사연구수업에 대한 견해와 사회복지실무본질에 대한 견해가 조사연구태도인 중요성과 유용성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가지고 우리나라 사회복지교육과 조사연구에 대한 함의를 찾아보았다.

  • PDF

사회복지현장실습 관련 요인이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Work Field Practicum Related Factors on Empowerment of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 박순미;손지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58-569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복지현장실습 관련 요인이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역량강화를 위한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G지역과 J지역 대학에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 중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이수한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선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이수한 학생들의 임파워먼트 정도는 3.71점으로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복지현장실습 관련 요인을 실습생 개인 요인, 실습기관 요인, 학교요인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습생 개인요인에서는 실습수행도(${\beta}=.123$, t=2.405, p<.05), 실습기관 요인에서는 실습슈퍼바이저 만족도(${\beta}=.176$, t=2.446, p<.05), 학교 요인에서는 실습수업 만족도(${\beta}=.284$, t=5.061, p<.001) 등이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습생 개인 요인, 실습기관 요인, 학교 요인을 모두 고려할 경우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실습수업내용 만족도(${\beta}=.257$, t=4.495,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장년층의 사회복지 전공 선택 동기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tivating Factors Affecting the Middle-Aged People in Choosing Major in Social Welfare)

  • 배나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96-102
    • /
    • 2019
  •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전공 선택 이유를 살펴보고, 사회복지전공교육의 효과적인 환경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 재학 중인 학부생 41명을 대상으로 전공 선택에 관한 동기요인에 대해 질적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리적 목적으로 자격증 취득을 위해 사회복지 전공을 선택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타인에게 인정받기 위한 수단 및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전공을 선택하였다. 셋째 사회복지실천을 바탕으로 한 전문가로서 사회적 기여에 의한 전공 선택 동기요인이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가정환경 경험에 의한 동기요인이다. 사회복지전공교육의 학습효과를 높이는 학습전략 방안이다. 첫째, 자격증 취득을 위한 학습자를 위해 목적지향형 학습이 필요하다.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실제 적용이 가능한 실천기술과 전문지식을 익힐 수 있는 교육과정의 배치가 필요하다. 둘째, 타인에게 인정받기 위한 수단 및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회복지 전공을 선택한 학습자를 위한 교육은 자신의 인생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세대통합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실천을 바탕으로 한 사회적 기여를 위해 전공을 선택한 학생의 교육은 사회복지전문가로서 지역사회에서 전문 자원봉사자로 활동 할 수 있도록 자원봉사에 대한 교육이 구성되어야 하겠다. 넷째, 개인적 경험과 가정환경에 의한 동기를 위해 사회복지전공을 선택한 학습자를 위해 소외되고 도움을 필요로 하는 지역사회 사례관리 대상자를 발굴하고 그들이 학습한 사회복지전공이 가시적인 성과를 이룰수 있도록 사례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하겠다.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ocial work field training awareness on the impact of the research career)

  • 전성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19-128
    • /
    • 2014
  • 본 연구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전문직업인으로서 성장하는데 있어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G지역 4년제 대학교 사회복지전공학생 198명을 목적표집에 의하여 조사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대상 및 변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및 기술분석, T-test, F-test, ANOVA, 상관관계(correlation), 회귀분석(regression)을 위해 SPSS 14.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요인으로 실습생이 개인의 의사가 반영(${\beta}=.197$)되는 것과 사회복지학 전공을 선택한 것에 대해 만족감(${\beta}=.205$)이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개인요인으로 자신이 사회복지학을 전공으로 선택한 것에 만족감(${\beta}=-.291$)을 느끼는 경우와 부모가 사회복지학을 전공으로 선택한 것에 만족감을 느끼는 경우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개인요인으로 개인의사 반영(${\beta}=.156$)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사회복지과목 이수 대학생의 인권감수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원격대학 성인학습자를 중심으로 (Human Rights Sensitivity of Undergraduates in Social Welfare Classes : Focused on Adult Learner in On-line University)

  • 박형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91-200
    • /
    • 2013
  • 본 연구는 사회복지과목 이수 대학생의 인권감수성 수준을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요인, 인권관련 교육경험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고자 S사이버대학교에서 사회복지과목 수강중인 251명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변인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인권감수성은 5점 척도 기준에서 2.70으로서 중간 정도수준이었으며, 이주노동자의 노동권과 장애아동의 교육권에 높은 인권감수성을 나타냈다. 전공유형, (사회복지)윤리과목 수강여부에 따라 인권감수성에 차이가 있었는데, 사회복지계열 전공 학생과 (사회복지)윤리과목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학생의 인권감수성이 높았다. 또한 인권감수성 척도의 에피소드별로 인권감수성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권전문직인 사회복지사를 교육함에 있어 수업에서의 학생 권리 존중, 직간접적으로 인권갈등사례를 학습하면서 인권의식을 함양하는 교육방법의 필요성, 수업과정에서의 자기반성적 과정의 필요성, 학생들의 상황과 특성에 맞는 인권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SDS-24)의 타당화 및 적용 (Validation and Application of the Social Desirability Scale (SDS-24))

  • 김용석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3호
    • /
    • pp.87-114
    • /
    • 2018
  • 지금까지 국내 사회복지연구는 사회적 바람직성의 영향을 다루는 데 매우 소홀하였다. 반면, 국외 사회복지연구는 사회적 바람직성 수준이 높은 조사대상자의 응답을 밝히고 그 영향을 통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고 있다.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SDS-24)는 국내에서 개발된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로 자기기만 요인과 인상관리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이다. 본 연구는 이 척도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학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요인구조, 신뢰도,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615명의 사회복지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SDS-24)는 직장인 집단과 학생 집단으로 구분해서 실시된 분석에서 선행연구에서와 같이 자기기만과 인상관리 2개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임이 확인되었고 신뢰도와 타당도 또한 양호한 수준이었다.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SDS-24)는 기존의 척도에서는 접하기 어려운 한국적인 내용의 문항들을 담고 있는 장점을 갖는다. 사회복지연구에서 사회적 바람직성의 적용방법을 제시하였다.

COVID-19 상황 중 사회복지현장실습에 참여한 예비사회복지사의 실습경험에 관한 연구 (Study on Experience of Prospective Social Workers Participated in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during COVID-19 Pandemic)

  • 배나래;김지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301-310
    • /
    • 2021
  •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에 참여한 사회복지전공 재학생들의 실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의 의의는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재학생들의 실습 전후 사회복지현장실습에 대한 생각의 변화를 탐색하여 위기 상황 속에서 효과적인 사회복지현장실습 매뉴얼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상황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어려움으로는 일 학습 병행에 따른 시간조정의 어려움, 감염 우려로 실습 기관의 원활치 않은 실습상황, 제한된 실습 경험과 낮은 질의 수퍼비전, 실습기관의 선정에 대한 어려움, COVID-19 확산으로 인한 실습 중단의 두려움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현장실습 후 학생들이 인식한 실습의 긍정적인 경험으로는 사회복지에 대한 전공 본연의 의미를 이해하였고,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으며,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인권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또한 사회복지실천현장은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라포형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사회복지직 취업의도에 미치는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전공만족과 전공몰입의 효과 (The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and Major Commitment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on the Intention to have a Social welfare Job)

  • 강종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393-400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생을 대상으로 전공만족과 전공몰입이 졸업 후 사회복지직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강원도 소재 4개 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 442명의 설문조사를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전공만족은 일반 만족과 교과 만족으로, 전공몰입은 정서적 몰입, 행동적 몰입, 지적 몰입 및 시간적 몰입으로 구성하였으며, 사회복지직 취업의도는 예/아니오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응답자의 62.3%가 졸업 후 사회복지직으로 취업하고자 하였으며, 21.6%는 미결정, 16.1%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만족은 2.98, 전공몰입은 2.63으로 4점 리커트척도에서 중간값 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직 취업의도와 소속 대학에 따라 전공만족과 전공몰입에 차이가 있으며, 넷째,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전공만족의 두 하위요인 모두, 그리고 전공몰입의 정서적 몰입과 시간적 몰입이 졸업 후 사회복지직 취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공만족과 전공몰입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기초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구조모형 검증 (A Study on the Structure Model of Social Welfar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Social-cognitive Career Theory)

  • 유영주;박지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85-92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전공 특성에 부합한 적절한 진로지원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Lent 등(1994)의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기초하여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조사대상은 사회복지 현장실습을 경험한 3개 대학의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132명으로, 인지적 요인(결과기대), 흥미요인(전공선택만족), 목표요인(진로결정수준), 수행요인(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SPSS 24.0과 AMOS 24.0를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CFI=.904, TLI=.887, RMSEA=.068로 통계학적으로 적합한 수준을 보였다. 둘째, 주요변수 간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결과기대가 높을수록 전공선택만족이 높아지고, 이는 진로결정수준을 증가시켜 진로준비행동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향상을 위해서 학생 개인의 인지적 요인 및 흥미요인 등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지원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