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Violence Experience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간호사의 폭력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백지범 (국립암센터?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부) ;
  • 강숙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부)
  • Received : 2018.09.10
  • Accepted : 2018.10.15
  • Published : 2018.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verbal, physical, and sexual violence experiences among nurse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experiences and turnover intentions among nurses. In this study, a nationwide data of 11,154 nurses from the 2016 Health Workers' Survey conducted by Korean Health and Medical Workers' Union(KHMU) were utilized. Results showed that about half (47.2%) of nurses were experiencing verbal violence from colleagues, patients, and caregivers. Also, 75.3% of nurses in this study had the turnover intention. Finally, nurses who experienced violence had 2.65 times more of turnover intention than nurses who did not have violence experiences. There is a need to conduct a research identifying significant moderating factors which could alleviate the effect of violence experiences on turnover intentions as well as a research to develop and apply the program assisting nurses to overcome violence experience.

본 연구는 간호사의 언어적, 신체적, 성적 폭력경험을 파악하고, 이러한 폭력경험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실시한 2016년 보건의료 노동자 실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국의 간호사 11,154명이었다. 본 연구 결과 과반수 정도(47.2%)의 간호사가 동료, 환자, 보호자로부터 언어폭력을 경험하였으며, 간호사의 75.3%가 이직의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폭력경험이 있는 간호사가 그렇지 않은 간호사보다 2.65배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폭력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를 감소시키는 조절 변수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간호사의 폭력 경험 극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Keywords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CCTHCV_2018_v18n12_570_t0001.png 이미지

표 2. 대상자의 폭력경험과 이직의도

CCTHCV_2018_v18n12_570_t0002.png 이미지

표 3. 폭력예방교육 및 해당 병원의 폭력 대처

CCTHCV_2018_v18n12_570_t0003.png 이미지

표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폭력경험에 따른 이직의도

CCTHCV_2018_v18n12_570_t0004.png 이미지

표 5. 대상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CTHCV_2018_v18n12_570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International Council Nurses, Position Statement;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Workplace Violence, 2017.
  2. J. K. Cook, M. Green, and R. V. Topp, "Exploring the Impact of Physician Verbal Abuse on Perioperative Nurses," Association of PeriOperative Registered Nurses Journal, Vol.74, No.3, pp.317-331, 2001.
  3. 홍민정, 간호사가 경험한 폭력의 실태, 을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4. M. M. Rowe and H. Sherlock, "Stress and Verbal Abuse in Nursing: Do Burned Out Nurses Eat Their Young?,"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13, No.3, pp.242-248, 2005. https://doi.org/10.1111/j.1365-2834.2004.00533.x
  5. R. Chapman, I. Styles, L. Perry, and S. Combs,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Workplace Violence in One Non- tertiary Hospita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9, No.3-4, pp.479-488, 2010.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9.02952.x
  6. S. Hahn, M. Müller, I. Needham, T. Dassen, G. Kok, and R. J. Halfens, "Factors Associated with Patient and Visitor Violence Experienced by Nurses in General Hospitals in Switzerland: A Cross‐Sectional Surve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9, No.23-24, pp.3535-3546, 2010. https://doi.org/10.1111/j.1365-2702.2010.03361.x
  7. 하은호, 조진영, 김진미, "임상간호사의 병원폭력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 개발," 성인간호학회지, 제27권, 제1호, pp.39-51, 2015. https://doi.org/10.7475/kjan.2015.27.1.39
  8. 이원희, 김춘자, "임상간호사의 우울과 지각된 스트레스, 피로 및 분노간의 관계,"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36권, 제6호, pp.925-932, 2006. https://doi.org/10.4040/jkan.2006.36.6.925
  9. M. Roche, D. Diers, C. Duffield, and C. P. Catling, "Violence toward Nurses, the Work Environment, and Patient Outcom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42, No.1, pp.13-22, 2010. https://doi.org/10.1111/j.1547-5069.2009.01321.x
  10. 김태숙, 김종임, "임상 간호사가 경험하는 폭력과 이직에 관한 실태조사," 간호행정학회지, 제10권, 제4호, pp.427-436, 2004.
  11. 강희순, 이은숙, "기혼여성 간호사의 직장가정 갈등,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경로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8권, 제2호, pp.206-217, 2017.
  12. L. O'Brien-Pallas, G. T. Murphy, J. Shamian, X. Li, and L. J. Hayes, "Impact and Determinants of Nurse Turnover: a Pan-Canadian Stud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18, No.8, pp.1073-1086, 2010. https://doi.org/10.1111/j.1365-2834.2010.01167.x
  13. 이지선, 최은희, 정혜선, "종합병원 여성간호사의 폭력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103-112,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103
  14. 노연호, 유양숙, "수술실 간호사의 폭력경험과 스트레스 및 이직의도," 성인간호학회지, 제24권, 제5호, pp.489-498, 2012. https://doi.org/10.7475/kjan.2012.24.5.489
  15. 박은옥, 강선정, 이은경, 지은주, 강럐형, 박창희. "임상 간호사가 병원에서 경험하는 폭력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제7권, 제2호, pp.187-202, 2001.
  16. W. H. Mobley,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Addison-Wesley, 1982.
  17. 황윤영, 박영례, 박성희, "중환자실 간호사의 폭력경험," 성인간호학회지, 제27권, 제5호, pp.548-558, 2015. https://doi.org/10.7475/kjan.2015.27.5.548
  18. 김현숙, 임현우, 정승희, 조선진, "일개병원의 특수부서 간호사에서 언어폭력,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연관성,"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제21권, 제4호, pp.388-395, 2009.
  19. D. A. Norman and D. G. Bobrow, "On Data-limited and Resource-limited Processes," Cognitive Psychology, Vol.7, No.1, pp.44-64, 1975. https://doi.org/10.1016/0010-0285(75)90004-3
  20. 정연경, 손승연, 정원호, "군 조직에서 상사의 근접관찰이 구성원의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가치일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방연구 (안보문제연구소), 제59권, 제2호, pp.105-127, 2016.
  21. H. Cox, "Verbal Abuse Nationwide, Part I: Oppressed Group Behavior," Nursing Management, Vol.22, No.2, pp.32-35, 1991. https://doi.org/10.1097/00006247-199102000-00017
  22. L. Sofield and S. W. Salmond, "Workplace Violence: A Focus on Verbal Abuse and Intent to Leave the Organization," Orthopaedic Nursing, Vol.22, No.4, pp.274-283, 2003. https://doi.org/10.1097/00006416-200307000-00008
  23. 권혜진, 김효심, 최귀순, 이경숙, 성영희, "의료기관내에서의 언어폭력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Vol.13, No.2, pp.113-124, 2007.
  24. 최웅지, 조수형, 조남수, 김광석, "응급실 폭력의 실태와 폭력 예방교육의 효과," 대한응급의학회지, 제16권, 제2호, pp.221-228, 2005.
  25. 강미정, 박인숙, "종합병원 간호사가 경험한 폭력 유형과 대처방식," 임상간호연구, 제21권, 제1호, pp.92-104, 2015. https://doi.org/10.22650/JKCNR.2015.21.1.92
  26. 정은하, 응급실 간호사의 폭력경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소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7. 신미영,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폭력, 소진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