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based Sustainable Use of Environment : a Case of Jeju-Haenyeo's Common Resource Management

공동체 기반 자연환경의 지속가능한 이용 방안 -제주해녀의 공유자원 관리 사례-

  • Kim, Kwonho (Geography Education Major, Jeju National University) ;
  • Kwon, Sangcheol (Geography Education Major, Jeju National University)
  • 김권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
  • 권상철 (제주대학교 지리교육전공)
  • Received : 2016.01.16
  • Accepted : 2016.02.25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economic bipolarization have become major issues as the aftermath of the globalizing capitalism. Commons have received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capitalistic use of resources. The most representative is the neo-institutionalist approach where Elinor Ostrom's study summarizes fundamental principles of common resource management. Maria Mies also insists that co-relationship in a community is the most essential to manage common resource successful. In a similar vein, this study attempts to prove that common resource management can create solutions to socioeconomic problems and ways to prevent resource scarcities in the future. Jeju-Haenyeo community is chosen as a successful case to be examined based on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commons and community. Qualitative surveys have preceded for Jeju-Haenyeo to elaborate and extend the aspects of common resource use and management. This study can bring a positive influence on understanding the Jeju-Haenyeo community and other common resources management institutions.

자본주의 사회의 확립 이후 전 지구적 차원의 환경오염과 경제적 양극화 등 다양한 사회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유자원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고 있는데, 공유자원 관리의 제도적 원리를 분석한 엘리너 오스트롬과 공동체 내부의 상호관계를 강조한 마리아 미즈가 대표적이다. 같은 맥락으로 이 논문에서는 과도한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 야기되는 사회문제를 공유자원 관리체계를 통해 해결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성공적으로 운영되는 공유자원제도의 원리를 파악함으로써 대량소비사회가 일으킬 자원부족시대의 대비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제주해녀 공동체의 공유어장관리를 우수사례로 선정하여 원리를 분석하였으며, 질적 조사를 통한 추가적인 원리 추출 및 확대적용 방법을 모색하였다. 제주해녀 문화에 대한 본질적 이해 및 향후 보전전략에도 일부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민, 2011, 공유자원의 준사유화 과정에 대한 연구,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 권상철, 2015, 대안경제의 논의와 제주지역 공동체 경제사례, 2015년 한국경제지리학회 춘계 학술대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28-34.
  3. 김영돈, 1999, 한국의 해녀, 민속원, 제주.
  4. 안미정, 2008, 제주 잠수의 바다밭, 제주대학교 출판부, 제주.
  5. 양세진 외, 2006, 지역공동체 기반 자연자원관리제도개선방향연구, 2006 대학환경상 공모 수상집, 167-201.
  6. 윤홍근.안도경 역, 2010, 공유의 비극을 넘어, 랜덤하우스, 서울(Ostrom, E., 1990, Governing the Commons: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7. 제주도 수산과, 1996, 제주의 해녀. 제주도, 제주.
  8. 제주특별자치도 해녀박물관, 2009, 해녀의 생업과 문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9. 제주특별자치도, 2007, 제주민속조사보고서-하도리 민속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10. 좌혜경 외, 2006, 제주해녀와 일본의 아마, 민속원, 제주.
  11. Agrawal, A., 2013, Sustainable governance of common-pool resource: context, method, and politics, Annual Reviews Anthropology, 132, 243-262.
  12. Berkes, F., 2008, Sacred Ecology 2nd edition, Routledge.
  13. Breton, R., 1964, Institutional completeness of ethnic communities and the personal relations of immigrant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0(2), 193-205. https://doi.org/10.1086/223793
  14. Busch, L., 2000, The moral economy of grades and standards, Journal of Rural Studies, 16(3), 273-283. https://doi.org/10.1016/S0743-0167(99)00061-3
  15. Coombes, B., Jay T.J,. and Richard H., 2012, Indigenous geographies 1: Mere resource conflicts? The complexities in indigenous land and environmental claims, Progress in Human Geography, 36(6), 810-821. https://doi.org/10.1177/0309132511431410
  16. Hardin, G., 1968, The tragedy of the commons, Science. 162(3859), 1243-1248. https://doi.org/10.1126/science.162.3859.1243
  17. Mies, M., Veronika B.T., 2013, 자급의 삶은 가능한가. 꿈지모 역, 동연, 서울.
  18. 미디어 제주, 2007.01.08, '곶자왈 한평 사기운동' 본격추진, http://www.mediajeju.com/news/articleView.html?idxno=19746.
  19. 법제처 http://www.moleg.go.kr.
  20. 제주매일, 2005.4.28, 바다에 돈만 뿌리는 전복 종패사업, http://www.jejumaeil.net/news/articleView.html?idxno=11928.
  21. 제주매일. 2014.6.15, 제주바다 언제부터 해녀들것 됐나, http://www.jejumaeil.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105.
  22. 제주특별자치도사회복지협의회, 제주해녀(잠수) 현황 및 지원 내역, http://jejubokji.net/board/bbs/board.php?bo_table=bokji_table&wr_id=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