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yle Characteristics and Illustration of Armors Worn by high Navy Officer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1592~1598)

임진왜란기(1592~1598) 상급 수군 갑옷갑[甲]의 유형별 특성과 일러스트화

  • 이주영 (동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3.07.04
  • Accepted : 2013.10.07
  • Published : 2013.11.30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armors that high navy officers of Joseon wor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1592~1598). The kinds of armors that these officers wore during this period are Sueungap, cheolgap, pigap, jigap and myeongap. Sueungap, cheolgap, pigap are all described in literatures, which were released in that period and the early Joseon period. According to publications that were released during that period, Yuyeopgap was a type of an iron armor. Armors that are recorded in only literatures publish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include swaejagap, gyeongbeongap, dujeonggap, hwangdongdujeonggap and dudumigap. Myeongap is found only in publications that were made in the above war time. The styles of armor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chalgap and dujeonggap. The chalgap-styled armors used gapchal as their main component. Dujeonggap-styled armors used fabrics and dujeong. The nam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s of the gapchal did not changed since its creation in the early Joseon period until the above wartime. But, their shapes were considerably changed between the two times. This is clearly shown in armors that were found in the moat of the Dongrae-eup fortress. Dujeonggap-styled armors that were used during the period of the Japan-Korea war were a successor to those of dujeonggap-styled armors of the early Joseon period. But the former armors were different from the latter in that they had no gapchal inside. They are well represented by Jeong Chung Sin's armor.

Keywords

References

  1. 이주영 (2011), 임진왜란기(1592-1598) 상급 수군 투구[冑]의 유형별 특성과 일러스트화, 服飾, 61(3), pp. 22-23.
  2. 李康七 (1978), 韓國의 甲冑小考-豆錫鱗甲冑를 中心으로-, 고고미술, pp. 136-137.
  3. 李康七 (1981), 韓國의 甲冑, 服飾, 5.
  4. 송계현 (1988), 삼국시대 갑주의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송계현 (2002), 韓國 古代의 甲冑, 국립김해박물관(편), 한국고대의 갑옷과 투구.
  6. 국방군사연구소 (1997), 한국의 군복식 발달사(I).
  7. 김정자 (1998), 한국군복의 변천사 연구, 민속원.
  8. 장경숙 (1999), 영남지역 출토 縱長板胄에 관한 硏究,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장경숙 (2005), 한국 고대 갑옷과 투구의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박가영 (2003),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박가영 (2008), 조선시대의 갑주유물의 감정을 위한 현황파악과 시대 구분, 服飾, 58(5).
  12. 민승기 (2004), 조선의 무기와 갑옷, 가람기획.
  13. 박가영, 이은주 (2009), 서애 류성룡 갑옷의 형태 복원을 위한 기초조사, 服飾, 59(5).
  14. 부산박물관 (2009), 조선전기 동래읍성 해자출토 찰갑, 부산박물관 학술연구총서(30), p. 45.
  15. 부산박물관 (2009), 조선전기 동래읍성 해자출토 찰갑, 부산박물관 학술연구총서(30), pp. 10-13.
  16. 국조오례의 서례 권지4 병기도설
  17. 화메이, (2008), 중국문화 5 복식, 김성심 역, 서울: 대가, pp. 87-88.
  18. 왕웨이띠, (2005), 중국의 옷문화, 김하림, 이상호 역, 서울: 에디터, p. 196.
  19. 화메이, (2008), 중국문화 5 복식, 김성심 역, 서울: 대가, p. 88.
  20. 박가영 (2003),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0.
  21. 박가영 (2003),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7.
  22. 자료검색일 2013. 3. 5, http://depts.washington.edu/silkroad/museums/ubhist/chingis.html
  23. 자료검색일 2013. 3. 5, http://search.cha.go.kr/srch_new/search/search_top.jsp?searchCnd=&searchWrd=&mn=&gubun=search&query=%EC%A0%95%EC%A7%80%EC%9E%A5%EA%B5%B0+%EA%B2%BD%EB% B2%88%EA%B0%91
  24. 화메이, (2008), 중국문화 5 복식, 김성심 역, 서울: 대가, pp. 88-89.
  25. 국립중앙박물관 (2007), 하늘이 내린 재상 류성룡, pp. 102-103
  26. 김정자 (1998), 한국군복의 변천사 연구, 민속원. p. 220.
  27.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복식.자수편-, pp. 162-163.
  28.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복식.자수편-, pp. 157-158.
  29. 부산교통공단, 慶南文化財硏究院 (2010), 東萊邑城 垓字 II -본문.부록-, pp. 79-80, 133
  30. 부산박물관 (2009), 조선전기 동래읍성 해자출토 찰갑, 부산박물관 학술연구총서(30), p. 26.
  31. 부산박물관 (2009), 조선전기 동래읍성 해자출토 찰갑, 부산박물관 학술연구총서(30), pp. 26-50, 71-87.
  32. 국립중앙박물관 (2007), 하늘이 내린 재상 류성룡, p. 103
  33. 박가영, 이은주 (2009), 서애 류성룡 갑옷의 형태 복원을 위한 기초조사, 服飾, 59(5). pp. 3-18.
  34. 柳漢翊 (1985), 朝鮮時代의 甲冑에 대한 金屬學的考察, 대한금속재료학회지, 23(2), pp. 66-67.
  35. 中國織繡服飾全集編輯委員會編 (2004a), 中國織繡服飾全集 3, pp. 76-82.
  36. 中國織繡服飾全集編輯委員會編 (2004a), 中國織繡服飾全集 3, pp. 77-78.
  37. 中國織繡服飾全集編輯委員會編 (2004a), 中國織繡服飾全集 3, p. 80, p. 82.
  38. 中國織繡服飾全集編輯委員會編 (2004b), 中國織繡服飾全集 4, p. 225.
  39. 배상경 (1994), 鄭忠信 將軍 갑옷과 蔚山 二休亭 所藏 鳳凰紋緞 直領袍에 實施한 保存處理硏究, 보존과학회지, 3(1), p. 24.
  40. 김정자 (1998), 한국군복의 변천사 연구, 민속원. pp. 230-231
  41. 유희경 외 (2003), 조선후기 마예복식 고증.재현, 2003년도 국립민속박물관 학술연구용역 보고서, p. 24.
  42. 김정자 (1998), 한국군복의 변천사 연구, 민속원. pp. 227-228.
  43. 문광희 (2004), 조선후기 갑주 및 구군복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7(1), pp. 139-140.
  44. 티모시 메이 (2009), 몽골병법, 심우철 역, 서울: 대성닷컴, p. 135.
  45. 이주영 (2011), 임진왜란기(1592-1598) 상급 수군 투구[冑]의 유형별 특성과 일러스트화, 服飾, 61(3), pp. 32-33.

Cited by

  1. The Stylistic Features and Comprehensive Illustration of Heuk-Danryeung Worn by Joseon’s High Navy Officer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1592~1598) vol.70, pp.5, 2013, https://doi.org/10.7233/jksc.2020.70.5.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