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Study on Cognition and Investigation of Silla Tumuli in the Japanese Imperialistic Rule

일제강점기의 신라고분조사연구에 대한 검토

  • Published : 2006.12.26

Abstract

Japanese government college researchers, including Sekino Tadashi(關野貞), have conducted research studies and collected data, on overall Korean cultural relics as well as Silla tumuli(新羅古墳) in the early modern times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ic rule. They were supported by the Meichi government in the early stage of research, by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and by their related organizations after Korea was coIonialized to carry out investigations on Korean antiquities, fine arts, architecture, anthropology, folklore, and so on. The objective for which they prosecuted inquiries into Korean cultural relics, including Silla tumuli, may be attributed to the purport to find out such data as needed for the theoretical foundation to justify their colonialization of Korea. Such a reason often showed locally biased or distorted views. Investigations and surveys had been incessantly carried out by those Japanese scholars who took a keen interest in Korean tumuli and excavated relics since 1886. 'Korea Architecture Survey Reports' conducted in 1904 by Sekino in Korea gives a brief introduction of the contents of Korean tumuli, including the Five Royal Mausoleums(五陵). And in 1906 Imanishi Ryu(今西龍) launched for the first time an excavation survey on Buksan Tumulus(北山古墳) in Sogeumgangsan(小金剛山) and on 'Namchong(南塚)' in Hwangnam-dong, which greatly contributed to the foundation of a basic understanding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積石木槨墳) and stone chambers with tunnel entrance(橫穴式石室墳). The ground plan and cross section of stone chambers made in 1909 at his excavation survey of seokchimchong(石枕塚) by Yazui Seiyichi(谷井第一) who majored in architecture made a drawing in excavation survey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which numerical expressions are sharply distinguished from the previous sketched ones. And even in the following excavation surveys this kind of drawing continued. Imanishi and Yazui elucidated that wooden chambers with stone mound chronologically differs from the stone chambers with tunnel entranc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surveys of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Silla tumuli, the forms and size of tomb entrance, excavated relics, and so forth. The government-general put in force 'the Historic Spots and Relics Preservation Rules' and 'the Historic Spots Survey Council Regulations' in 1916, establishing 'Historic Spots Survey Council and Museum Conference. When museums initiated their activities, they exhibited those relics excavated from tumuli and conducted surveys of relics with the permission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A gold crown tomb(金冠塚) was excavated and surveyed in 1921 and a seobong tomb(瑞鳳塚) in 1927. Concomitantly with this large siz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attracted strong public attention. Furthermore, a variety of surveys of spots throughout the country were carried out but publication of tumuli had not yet been realized. Recently some researchers's endeavors led to publish unpublished reports. However, the reason why reports of such significant tumuli as seobong tomb had not yet been published may be ascribed to the critical point in those days. The Gyeongju Tumuli Distribution Chart made by Nomori Ken(野守健) on the basis of the land register in the late 1920s seems of much significance in that it specifies the size and locations of 155 tumuli and shows the overall shape of tumuli groups within the city, as used in today's distribution chart. In the 1930s Arimitsu Kyoichi(有光敎一) and Saito Tadashi(齋藤忠) identified through excavation surveys of many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and stone chambers with tunnel entrance, that there were several forms of tombs in a tomb system. In particular, his excavation survey experience of thos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which were exposed in complicated and overlapped forms show features more developed than that of preceding excavation surveys and reports publication, and so on. The result of having reviewed the contents of many historic spots surveyed at that time. Therefore this reexamination is considered to be a significant project in arranging the history of archaeology in Korea.

근대 초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세키노 타다시(關野貞)를 비롯한 일본인 관학파 연구자들은 신라고분을 비롯한 한국의 문화유적 전반에 대한 조사연구와 자료수집활동을 했다. 이들은 초기에는 메이지정부의 지원을 받았고 한국이 식민지화된 이후에는 조선총독부와 유관기관으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으면서 고고, 미술, 건축, 인류학, 민속학 등 전 분야에 걸친 조사를 하였다. 이들이 신라고분을 비롯한 한국의 문화유산을 조사한 목적은 한국에 대한 일본의 식민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와 필요한 자료를 찾기 위한 것이었으므로, 지역적으로 편중되고 왜곡된 시각이 나타나기도 한다. 1886년부터 한국의 고분과 출토유물에 대한 관심을 가진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한 방한 조사가 계속 끊임없이 이루어졌다. 1904년 세키노가 한국에서 조사한 건축조사 보고서인 "한국건축조사보고(韓國建築調査報告)"에는 오릉을 비롯한 여러 고분에 대한 내용이 간단하게 소개되었고, 1906년에는 이마니시 류(今西龍)가 최초로 소금강산에 위치한 '북산고분(北山古墳)'과 황남동 남총(南塚)에 대한 발굴조시를 한 후, 적석목곽분(積石木樹墳)과 횡혈식석실분(橫穴式石室墳)의 구조에 대한 초보적인 인식이 이루어졌다. 1909년 건축학을 전공한 야츠이 세이이치(谷井第一)는 서악동 석침총(石枕塚) 발굴조사에서 작성한 석실의 평면도와 단면도는 한국에서 이루어진 발굴조사에서 최초로 제작된 유구실측도면으로 수치가 표현된 점에서 이전의 스케치된 그림과는 뚜렷하게 구분된다. 또한 이후 발굴조사에서는 이러한 유구 실측도면의 작성은 계속 이어진다. 이마니시와 야쯔이는 신라고분의 입지적 특징, 분구의 형태와 규모, 출토유물 등에 대한 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적석목곽분과 횡혈식석실분은 서로 연대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조선총독부는 1916년에 "고적 및 유물보존규칙"과 "고적조사위원회규정"을 시행하고 고적조사위원회와 박물관협의회를 설치했다. 박물관이 활동하게 되면서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전시하고 유적을 조사하는 사업들은 모두 조선총독부의 허가를 얻어야 됐다. 1921년에는 금관총(金冠塚)이, 1927년에는 서봉총(瑞鳳塚)이 각각 발굴조사되면서 경주의 대형 적석목곽분은 화려한 출토유물로 주목을 받게 되지만, 전국 각지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면서 여러 고분들에 대한 보고서 발간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최근 몇몇 연구자들의 노력에 의해서 미발간 보고서가 간행되었지만, 서봉총과 같이 중요한 고분들에 대한 보고서가 아직 출판되지 못한 점은 당시의 한계로 볼 수 있다. 1920년대 후반에는 노모리 켄(野守健)이 지적도를 기초로 제작한 경주고분 분포도는 현재 통용되고 있는 155기의 고분의 규모와 위치를 명기한 자료로 시내에 소재한 여러 고분의 전체 모습을 확인시켜준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1930년대부터 아리미츠 쿄이찌(有光敎一)와 사이토 타다시(齋藤忠)는 다수의 적석목곽분과 횡혈식석실분에 대한 발굴조사를 통해서 한 묘제에 여러 가지 형식의 분묘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복잡하게 중복된 모습으로 노출된 적석목곽분에 대한 발굴조사경험은 이전에 이루어진 발굴조사와 보고서간행 등에 있어서 발전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번에 지난 근대~일제강점기에 발굴조사된 신라고분에 대한 발굴조사 내용을 살펴본 결과, 이때 조사된 여러 유적들에 대한 조사내용을 재검증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는 한국고고학사를 정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사실임을 재확인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