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se of Information Gained from Survey of Korean Cultural Properties Overseas -Based on Collections of Overseas Museums

국외소재 한국문화재 현황파악을 통한 자료 활용 방안 - 주요 해외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

  • 이난영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공예연구실)
  • Published : 2006.12.26

Abstract

Interest in Korean cultural properties has rising in recent years, not only on the part of existing researcher and scholars but also among the general public. The scope of interest has expand also, no longer being confined to Korea, and has given rise to movements for redemption of cultural properties preserved overseas and plans on how to make use of information about them. Aside from the basic idea that all cultural properties overseas are subjects for redemption,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time to seek ways to actively make use of information on those cultural properties, and that this must be preceded by dear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through systematic on-site research and investigation of the channels through which they left the count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issue with a broader perspective. The cultural properties in question must be regarded not as the sole property of Korea, the country that produced them, but as artworks of the world with outstanding universal value, to be protected and utilized by all human being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organize studies the kinds of Korean cultural properties kept at three major museums in the United Stated, including the Museum of Fine Arts, Roston, and traces the routes and methods by which they were taken out of Korea. Based on the perception of Korean artworks overseas as explained abo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materials those cultural properties not only for academic research, but also todistinguish between those properties that should be redeemed and those that should be publicized overseas by clarifying how they were taken overseas, and thus provide basic materials for policy purposes.

최근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과 그 연구는 종래의 관련연구자 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참여가 높으며 그 범위도 국내에 한정치 않고, 국외 한국문화재에 대한 환수와 그 활용에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국외 소재 한국문화재 모두가 환수대상이라는 종래의 개념 이외에 다각적이고 적극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할 단계로 보고 이를 위해서는 유출경위 등 체계적인 현지조사를 통한 명확한 현황파악이 선생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출발이자 기본요지이다. 또한 국외소재 한국문화재를 좀 더 확장하여 유연하게 바라볼 수 있는 우리의 인식 전환 역시 필요한 시점이다. 이런 견지에서 한국문화재는 원래 생산국인 우리의 고유한 문화유산일 뿐만 아니라 인류가 공동으로 보호하고 활용할 인류의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가 있는 세계유산이라는 접근을 통해 그 활용의 폭도 넓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견해에 입각하여 미국 보스톤박물관 등 3개국의 대표적인 주요소장처의 한국문화재에 대하여 그 가치와 성격, 그리고 유출배경의 유형을 살펴 정리하였다. 본 논문은 위와 같은 인식의 바탕에서 향후에도 국외 한국문화재의 현지조사를 통해 유출배경의 명확성을 확보함으로써 학문적 연구는 물론 환수대상 혹은 홍보대상 들을 구분하여 정책기초 자료로 응용될 수 있도록 국외소재문화재 자료를 규명하자는 데 그 뜻이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