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amination on Dongbeomwas if Convex Roofing Tiles

수막새의 동범와(同范瓦)에 대한 검토 - 월성해자 출토 단판연화문 수막새를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6.12.26

Abstract

Wolseong in Gyeongju is a historic fortress site of Silla constructed under the reign of Pasanisageum that played politically and militarily important roles. The moat surrounding Wolseong had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fortress in wartimes but became a part of gardening in the unified Silla era. Lots of relics have been excavated from Wolseong moat since 1985. Among them a great number and kinds of convex roofing tiles are regarded as invaluable sources to show different aspects of Silla, from its earlier time through to the unified and on. Roofing tiles were widely used for national buildings such as royal palaces, temples and fortresses and even for other popular architecture and have been dug out a lot more than any other relics. Research on them, however, has been done poorly. Vigorous study is in progress with increasing number of roofing tiles coming from many recent excavations, though it has been limited to the studies on general genealogy of patterns and manufacture processes. Thus this essay seeks to find which are dongbeomwas, roofing tiles of a same mold, out of convex tiles with the pattern of a unilobed lotus flower dug out of Wolseong moat. It also attempts to identify dongbeomwas by examining detail characteristics of roofing tiles which have been confusingly termed as yusawa, similar roofing tiles, or donghyeongwa, roofing tiles of the same shape. The significance of identifying dongbeomwas could be emphasized by various facts resulting from researches on dongbeomwas; the ways to identify them correctly, their time sequence and their excavated sites. In conclusion, dongbeomwas were identified out of many kinds of convex tiles. If they were excavated from the same site, they share some common features. The sites where they were dug out also tell what changes were made with passage of time and what relations they had with neighboring Anapji. Since roofing tile molds haven't been found yet, the only way to identify dongbeomwas is to examine details of roofing tiles. Dongbeomwas excavated in Wolseong moat help to discuss the time of each district of it. Meanwhil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rm 'dongbeomwa' be used only after exact examining.

경주 월성은 파사니 사금(婆裟尼師今)때 축조된 신라의 왕성으로서 정치적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던 유적이다. 그러한 월성을 에워싸고 있는 월성해자는 전시(戰時)에는 적으로부터 성을 보호하는 방어적 역할과 함께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서는 조경의 역할을 담당한 시설물이다. 월성해자 유적의 발굴은 1985년부터 시작되어 현재 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수많은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다. 그 중 다량 다종의 수막새들은 신라 초기부터 통일기를 거쳐 그 이후 시기까지 신라시대 막새의 변화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서 그 가치는 매우 높다 할 수 있다. 기와는 왕궁(王宮), 사찰(寺刹), 산성(山城) 등 국가적인 사업으로 이루어진 건물에서부터 일반적인 기타 건물지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었으며, 수량에서도 다른 유물들에 비해 절대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는 가장 취약한 분야로 남아있으며,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과제들이 무궁하게 남아있는 분야라 할 수 있다. 최근 수많은 발굴을 통한 기와 수량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반적인 문양의 계보와 제작과정 등에 한정되어 진행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이에 여기서는 월성해자 출토 단판연화문 수막새를 대상으로 동범와에 관한 판별을 하고자한다. 그 동안 유사와(類似瓦), 동형와(同形瓦)등으로만 판단되었던 막새들의 세부적 특징을 비교해 "동범와"임을 정확히 확인하고자 한다. 동범와에 관한 정확한 판단방법, 동범와로 묶인 형식의 시간적 순서 배열과 동범와가 출토되는 위치 등을 파악함으로써 동범와 판별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그 결과 다종의 수막새에서 하나의 범(范)으로 찍어낸 막새, 즉 동범와를 판별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동범와들은 출토위치에서 다시 하나로 묶이는 공통점이 확인된다. 동범와의 출토위치를 통해 월성해자의 시기적인 변천이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와 주변유적인 안압지와의 연관성도 살펴볼 수 있다. 현재 와범이 확인되지 않아 역으로 막새들의 세부적 특징을 비교해 동범와를 파악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 다. 하지만 여기서는 동범와라는 용어사용에 있어 동범요소의 정확한 확인 후에 사용되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월성해자 동범와를 통해 월성해자의 지역별 시기를 알아보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