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Invention on the Basis of TRIZ

TRIZ(트리즈)를 활용한 발명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Received : 2006.04.30
  • Accepted : 2006.06.24
  • Published : 2006.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orm the existing state of educational program for invention by TRIZ, theory of inventive problem solving.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follows : First, students had a chance to get a inventive solution from the problem they were inventing. Second, the new educational program for invention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ocedures on the standpoint of pedagogy with the TRIZ. Third, according to the survey of the new educational program for invention has found that as follows: -Students were of help to know the invention, to be beneficial, but the basic concepts of TRIZ were not easy to them. -Student wished to advice their colleague the new program for invention, because they had chances to overcome a fixed idea, extend creativity and think. Fourth, TRIZ, the systematic method of problem solving for invention, provide students with the thinking method to overcome fixed ideas and the tool of knowledge.

이 연구의 목적은 특허청 발명교육센터의 학생 발명교육프로그램 심화과정의 고급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기존 발명 교육의 가장 큰 문제는 문제해결 방법을 뚜렷하게 제시하지 못하는 것이었는데, 이 연구에서 개발한 발명 교육프로그램은 TRIZ를 활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에 필요한 기본 개념과 문제해결 방법을 모듈화 하여 제시하고 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문제를 창의적 해결안으로 이끌기 위한 기본개념과 체계를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세계 우수 기업의 활용하는 TRIZ에 교육학적 관점을 적용시켜 발명 교육프로그램으로 체계화 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셋째, 학생 발명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TRIZ적인 사고방법과 지식도구를 이해하고 집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교재를 개발하였다. 넷째, 개발한 발명 교육프로그램을 ${\bigcirc}{\bigcirc}$공업고등학교 기능반 학생들에게 적용한 후에 설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발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유익하였지만, TRIZ 기본 개념과 용어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느끼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에게 이 발명 교육프로그램을 권하고 싶고, 그 이유는 고정관념을 극복할 수 있었고, 창의력을 신장할 수 있었으며, 생각 폭의 확대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영화(2001).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 서울:학지사
  2. 김진화(2001).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론. 서울:교육과학사
  3. 김현수, 오국진(2005). 지속적인 창의적인 시스템, 서울:인터비젼
  4. 김효준, 정진하, 권정휘(2004). 생각의 창의성: Theory of inventive problem solving. 서울: 도서출판 지혜
  5. 변영계, 이상수(2003). 수업설계. 서울:학지사
  6. 성태제(2002). 현대교육평가. 서울:학지사
  7. 여상인, 강호감(2001). 과학영재교육센터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비교.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4, 131-155
  8. 한국교육개발원(2002). 공교육 차원의 발명영재교육 체제구축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9. Boris Zlotin, Alla Zusman. (1999). TRIZ and Pedagogy. The Journal of TRIZ, http://www.triz-journal.com/archives/1999/10/g/index.htm. accessed at 2005. 8. 25
  10. Custer, R. L. (1995). Examining the dimension of tech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Design Education, 5(3), 219-244 https://doi.org/10.1007/BF00769905
  11. Feldhusen, J. F. & Treffinger, D. J. (1985).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Dubuque, Iowa: Kendall/ Hunt
  12. Herman, J. L., Ashchbacher, P. R. & Winters, L. (1992). A practical guide to alternative assessment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Virginia: Alexandria
  13. Hutchinson, J., & Karsmitz, J. R. (1994). Design and problem solving in technology. Albany, NY: Delmar Publisher
  14. Johnson, D. W. & Johnson, R. T. (1999).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MA: Allyn and Bacon
  15. Kalevi Rantanen & Ellen Domb. (2002). Simplified TRIZ, Florida: ST. LUICE PRESS
  16. Macpherson, R. T. (1997). The relationship among content knowledge, technical experience, cognitive styles,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near transfer troble shooting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skills of maintenance technicia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17. Renzulli, J. S. (1977).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G/C/T, 3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