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ritten argument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7초

Using the Writing Template provided by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approach for Quality Arguments

  • Choi, Aera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470-1488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the quality of written arguments produced by freshman students in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classes using the SWH approach over a semester;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written argument between the original writing template (year I) and the extended writing template (year II); and any difference between Total Argument and Holistic Argument scores. 140 writing samples from 14 students on the year I and 228 samples from 19 students on the year II were collected. Results indicated that despite fluctuations, the students were producing stronger argument by the end of semester compared to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Original SWH template group received significantly higher argument scores than extended SWH template group. For the most of year I laboratory investiga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argument between Total Argument and Holistic Argument scores. An implication of this study would be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ractice constructing arguments using the original SWH writing template including questions, claims, evidence, and reflection.

Argument Structure in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Approach

  • Choi, Ae-Ra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23-33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tudents' written arguments embedded in scientific inquiry investigations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approach. Argument components defined in this study are questions, claims, questions-claims relationship, evidence, claims-evidence relationship, multiple modal representations, and reflection. A set of criteria for evaluating each argument component was developed to evaluate writing samples of students from college freshman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classes.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produced, on average, moderate to powerful questions, claims, and evidence. They also constructed reasonable questions-claims relationship and claims-evidence relationship. Compared to other component scores, the average score for reflection was relatively low. Overall, the average Total Argument score was 21.4 out of a possible 36, that is, the quality of the written arguments using the SWH approach during a series of inquiry-based chemistry laboratory investigations was moderate to powerful.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tudents, on average, developed reasonable scientific arguments generated as part of scientific inquiry. In other words, students are capable of putting together reasonable arguments as they participate in inquiry-based laboratory classrooms.

The Function Discovery of Closed Curve using a Bug Type of Artificial Life

  • Adachi, Shintaro;Yamashita, Kazuki;Serikawa, Seiichi;Shimomura, Teruo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3년도 ISIS 2003
    • /
    • pp.90-93
    • /
    • 2003
  • The function, which represents the closed curve, is found from the sampling data by S-System in this study. Two methods are proposed. One is the extension of S-System. The data x and y are regarded as input data, and the data z=0 as output data. To avoid the trap into the invalid function, the judgment points (x$\_$j/, y/sug j/) are introduced. They are arranged i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losed curve. By introducing this concept, the functions representing closed curve are found by S-System. This method is simple because of a little extension of S-System. It is, however, difficult for the method to find the complex function like a hand-written curve. Then another method is also proposed. It uses the system incorporating the argument function. The closed curve can be expressed by the argument function. The relatively complex function, which represents the closed curve like a hand-written curve, is found by utilizing argument function.

  • PDF

논의기반 탐구(ABI)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인식론적 사고 분석 (Analysis of Epistemic Think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an Argument-Based Inquiry(ABI) Science Class)

  • 박지연;남정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37-348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인식론적 사고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역시의 중학교 3학년 4개 학급 학생 93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5개 주제의 논의 기반 탐구 과학수업을 실시하였다.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인식론적 사고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 활동의 마지막 단계에서 작성하는 반성 글쓰기를 주제 1과 주제 5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반성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인식론적 사고의 하위 요소의 빈도수 분석에서 학생들은 인식론적 메타인지 기능의 빈도수가 가장 높았고, 인식론적 인지, 인식론적 메타인지 경험, 인식론적 메타인지 지식의 순으로 나타났고 주제 1에 비해서 주제 5에 대한 인식론적 사고의 하위 요소의 빈도수는 모두 증가하였으며 증가율은 인식론적 메타인지 경험이 가장 컸고, 인식론적 인지, 인식론적 메타인지 지식, 인식론적 메타인지 기능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식론적 사고의 다양성 수준의 분석에서 학생들이 논의기반 탐구 과학 수업을 경험하면서 인식론적 사고의 다양성 수준이 향상되었다.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인식론적 사고에 미친 영향에 대한 학생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은 이 활동이 과학 지식 이해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학생들은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의 단계 중 실험 설계 및 수행과 관찰 단계에 대해서 흥미를 크게 느끼고 어려움을 적게 느꼈으며,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서 과학지식을 쉽게 이해하고 오랫동안 기억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은 학생들의 인식론적 사고의 발달을 유도하고, 논의를 통해 학생들이 지식의 정당화 과정에 참여하도록 하며, 구성원과의 합의에 의해서 과학 지식이 구성된다는 과학지식의 인식론적 본성을 이해하고 경험하도록 하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이라고 볼 수 있다.

19세기 심설논쟁의 발단양상에 관한 연구 - 한주 이진상과 만구 이종기의 서신 내용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beginning pattern of simseul argument in the 19th Century -Based on the letter written by Hanju and Mangu)

  • 안유경
    • 한국철학논집
    • /
    • 제59호
    • /
    • pp.89-120
    • /
    • 2018
  • 본 논문은 한주(이진상, 1818~1886)과 만구(이종기, 1837~1902)의 서신내용을 중심으로 19세기 심설논쟁의 발단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본문에서는 정재(유치명)의 학문을 계승한 만구와 한주의 이론적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심설논쟁의 발단을 제공한 한주와 정재의 논변에서 한주와 만구로 그 범위를 확장시켜 전개하고자 한다. 한주와 만구의 이론적 차이를 밝힘으로써 역으로 한주와 정재가 전개한 심설논쟁의 내용들이 좀 더 분명해질 수 있을 것이다. "한주집"에는 만구에게 보낸 9통의 서신이 실려 있으며, "만구집"에도 한주에게 보낸 3통의 서신이 실려 있다. 이들 서신에는 두 사람의 학문상에 일정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이들의 서신내용을 중심으로 그 이론적 차이를 밝힘으로써 결국 이들의 이론적 차이가 심설논쟁의 하나의 발단양상으로 이어짐을 확인한다. 특히 이기에 대한 해석은 그대로 심에 대한 해석으로 이어진다. 심에 대한 해석은 주자의 '기의 정상'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전개되는데, 한주가 '기의 정상'을 리로 볼 것을 강조한 반면, 만구는 '기의 정상'을 이기의 합으로 볼 것을 강조한다. '기의 정상'이란 주자의 심에 대한 해석이므로 결국 '기의 정상'에 대한 해석은 심에 대한 해석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주가 심을 리로 보려고 한 반면 만구는 심을 이기의 합으로 보려고 하였던 것이다. 이것이 바로 19세기 심설논쟁의 발단을 장식한 한주와 정재의 연장선상에서 전개된 한주와 만구의 심설논쟁이다. 이들의 논변을 통해 퇴계학파에서 전개된 심설논쟁의 발단양상에 관한 세부적 내용을 재차 확인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논의 기반 일반화학 실험과정에서 예비과학교사들의 모델링 능력 변화과정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odeling Ability in Argument-based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Investigations)

  • 강여은;남정희;조혜숙
    • 대한화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276-285
    • /
    • 2016
  • 이 연구는 논의 기반 일반화학 실험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과학교사들의 모델링 능력 및 이의 변화과정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화학을 수강하는 사범대학 1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6개 주제에 대한 논의 기반 일반화학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예비과학교사의 모델링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논의 기반 일반화학 실험에서 작성하는 보고서의 모델링 단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델의 요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모델링 전략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제시하는 모델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논의 기반 일반화학 실험활동이 거듭되면서 모델링 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기반 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 글쓰기에 나타나는 주장과 증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rgument-Based Inquiry Activit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laims and Evidence in Science Writing)

  • 박지앵;정도준;김건우;전재경;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6호
    • /
    • pp.389-400
    • /
    • 2020
  • 이 연구는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주장과 증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의 학생(33명)을 대상으로 5개 주제의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을 적용하였다.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이 과학 글쓰기의 주장과 증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이 작성한 과학 글쓰기를 분석하였으며, 논의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5개의 주제에 대한 활동지의 과학 글쓰기를 분석하여 주장과 증거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과학 글쓰기 분석 결과, 과학 글쓰기에서 실험집단의 평균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실험집단의 과학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주장과 증거 분석 결과, 수업의 횟수가 거듭됨에 따라 주장과 증거의 수준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소문병기기선보명집(素問病機氣宣保命集)의 저자(著者)에 관(關)한 고찰(考察) (Astudy on the writer of Bao Ming Shi(保命集))

  • 조대진;박찬국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0-202
    • /
    • 1998
  • Lee Shi Zhen(李時珍) raised a question in argument on the writer of Bao Ming Shi(保命集), which had been believed to be written by Liu Wan Su(劉完素), arguing that Bao Ming Shi(保命集), also called Huo Fa Ji Yao(活法機要), was written by Zhang Yuan Su(張完素). There were three representative arguments on the writer of Bao Ming Shi(保命集). One suggested that it was written by Zhang Yuan Su(張完素) while the other argued that it was definitely written by Liu Wan Su(劉完素). And another suggested thai it was edited by posterity by combinding the works of the former two miters. After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Bao Ming Shi(保命集) has Liu Wan Su(劉完素) and Zhang Yuan Su(張完素)'s unique medical thoughts in many descriptions resulting in controversial dispute. Through these arguments, a new hypothesis has been made that the third person who had studied Liu Wan Su(劉完素) and Zhang Yuan Su(張完素)'s medical thoughts wrote Bao Ming Shi(保命集). Liu Wan Su(劉完素) and Zhang Yuan Su(張完素) were quite different in medial thoughts and their works and they found different school, respectively. Therefore, if Bao Ming Shi(保命集) was written by Liu Wan Su(劉完素) or Zhang Yuan Su(張完素), it is impossiple that Bao Ming Shj(保命集) has the two medical thoughts in many descriptions. So, it is regarded reasonable to argue that the person who had aquainted with the two medical thoughts wrote this book. Then enother question can be raised : why the persion wrote Bao Ming Shi(保命集) which integrated the two medical thoughts and. The answer is as follows. Liu Wan Su(劉完素) and Zhang Yuan Su(張完素) became the rounders of He Jian(河間) school and Yi Shui(易水) school, respectively, which have considerably affected later generations, suggesting advanced medical theory. The medical thoughts suggested by the two were sure advanced compared with the former generation, but subjective and biased enough be critisized. So, it is thought that the third person wrote Bao Ming Shj(保命集) to recover those demerits and to describe more advanced medical theory. Zhongyi Xueshushi(中醫學術史) suggests that posterity edited Bao Ming Shi(保命集) by combinding Liu Wan Su(劉完素) and Zhang Yuan Su(張完素)'s works, which is different flam my suggestment. In above description, it is said that the two medical thoughts were quite different, but Bao Ming Shi(保命集) has well-understood medical thoughts containing the two medical thoughts in chaptor to chaptor, and well coincides from cover to cover, which shows that it is written by one person not edited by posterity. My hypothesis can admit other arguments on the writer of Bao Ming Shi(保命集), recover the bias of those argument and solve the questions raised in other arguments. Therefore, I suggest that the person, who was well aquainted with Liu Wan Su(劉完素) and Zhang Yuan Su(張完素)'s medical thoughts, wrote Bao Ming Shi(保命集) to describe more advanced and complete medical theory by amending the bias and taking the merits of the two medical thoughts.

  • PDF

A NOTE ON TWO NEW CLOSED-FORM EVALUATIONS OF THE GENERALIZED HYPERGEOMETRIC FUNCTION 5F4 WITH ARGUMENT $\frac{1}{256}$

  • B. R. Srivatsa Kumar;Dongkyu Lim;Arjun K. Rathi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B:순수및응용수학
    • /
    • 제30권2호
    • /
    • pp.131-138
    • /
    • 2023
  • The aim of this note is to provide two new and interesting closed-form evaluations of the generalized hypergeometric function 5F4 with argument $\frac{1}{256}$. This is achieved by means of separating a generalized hypergeometric function into even and odd components together with the use of two known sums (one each) involving reciprocals of binomial coefficients obtained earlier by Trif and Sprugnoli. In the end, the results are written in terms of two interesting combinatorial identities.

물리 교사들의 교과 내용과 교수 학습에 관한 집단 논증활동과 개인적 논증 글 분석 (Physics Teachers' Group Argumentation and Written Arguments about Physics Content and Teaching)

  • 이은경;강남화
    • 한국교육논총
    • /
    • 제38권2호
    • /
    • pp.109-125
    • /
    • 2017
  • 이 연구는 물리 교사들의 그룹 논증활동과 그 후에 작성한 개인적인 논증의 글을 각각 분석하여 그룹 논증활동이 개인적 논증을 어떻게 매개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는 중학교 과학교사 2명과 고등학교 물리교사 3명이 참여하였고, 논증은 물리 내용과 물리 교수학습에 관한 것이었다. 연구결과 물리 교사들이 그룹 논증활동에 비해 개인적인 논증 글을 더 정교하게 구성하였고, 이는 교사들의 말과 글의 논증활동에 대한 인식이 다른 것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물리 교사들은 개인적으로 논증을 구성할 때 그룹 논증활동을 통해 동료들과 공유했던 생각들을 선택적으로 수용한 것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물리 내용과 물리 교수학습에 관한 논증활동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데, 이는 논증활동에서 지향점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들에게 논증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생산적인 교사 전문성 신장 방안에 대해 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