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 innovative behavior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4초

상사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및 학습목표지향성의 다중 매개효과 (Multi-Mediation of Self-efficacy and Learning Goal Orientation in the links Superior's Communication Ability and Innovative Behavior)

  • 양창영;지성호;강영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572-585
    • /
    • 2015
  • 본 연구는 공공기관 및 금융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두 가지 관점에서 수행되었다. 첫째, 상사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학습목표지향성의 인과관계 검증이며, 둘째, 상사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학습목표지향성의 다중 매개효과 검증이다. 연구대상은 제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공공기관 및 공기업 종사자와 금융기관 종사자를 선정하였으며, 318명으로부터 획득된 자료를 활용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상사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자기효능감과 학습목표지향성을 촉발하는 주요 원인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상사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혁신행동의 관계가 자기효능감과 학습목표지향성에 의해 완전매개 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첫째, 상사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구성원의 자기효능감과 학습목표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상사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학습목표지향성을 고려할 때, 상사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자기효능감과 학습목표지향성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인체육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와 직무열의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Influence of Senior Sports Instru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b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 손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535-547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체육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와 직무열의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스포츠센터와 노인체육센터 6곳의 노인체육지도자 236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노인체육지도자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성과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은 직무열의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원들의 조직성과와 직무열의 및 혁신행동을 높여주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고,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원의 근무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변혁적 리더십이 혁신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심리적 안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est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

  • 왕위;김수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4호
    • /
    • pp.23-40
    • /
    • 2023
  • 리더십 유형과 리더가 지닌 역량은 경영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불확실한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급속한 변화로 인해 조직 혁신의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며 적절한 혁신은 조직의 경쟁우위와 지속가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로 변혁적 리더십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을 이끌어 내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더 나아가 심리적 안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중국 공공기관에 종사하는 공무원 3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변혁적 리더십은 공무원들의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의 예상과 다르게 심리적 안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정성의 유의하지 않은 조절효과는 선행연구와의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총체적으로 본 연구는 혁신행위를 증가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에 관련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으며 혁신행위에 대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와 목적을 두었다.

회복탄력성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과 실책관리문화의 조절효과 - (The effects of Resilience on employee's Innovative Work Behavior :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Error Management Culture)

  • 조영복;이나영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5호
    • /
    • pp.155-169
    • /
    • 2014
  • 사람은 누구나 다 살아가면서 역경과 어려움을 겪기 마련이다. 하지만 부정적인 생활사건이나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사람들이 모두 신체적, 심리적으로 부정적인 결과물은 내는 것은 아니다. 즉, 개인이 이용할 수 있는 자원에 따라 스트레스나 역경의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거나, 성공적으로 극복하고, 적응하고, 혁신적인 성과를 보이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상황에서 위기나 위협의 요인들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개인적 속성, 즉 회복탄력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회복탄력성의 결과요인으로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개인특성인 회복탄력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 조직변수 즉, 환경적 요인으로 조직지원과 실책관리문화의 조절효과도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195명의 조직구성원을 표본으로 하여 회복탄력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러한 관계에 대한 상사지원, 동료지원, 실책관리문화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회복탄력성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상사지원과 실책관리문화는 회복탄력성과 혁신행동 간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구성원이 급변하는 조직외부환경에 적응하고 진취적이고 역동적이며, 도전적인 혁신행동을 발휘함에 있어 개인적 특성인 회복탄력성과 조직상황 변수인 조직지원과 실책관리문화가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즉, 조직에서는 조직구성원 개인의 회복탄력성을 발현하고 키울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제공 및 조직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며,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조직문화와 상사 및 동료 간 지원이 혁신행동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The Impact of Ethical Leadership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urs

  • KIM, Chan-Eon;LEE, Bum-Suk;LEE, Jaemin
    • 융합경영연구
    • /
    • 제9권4호
    • /
    • pp.19-30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a superior employee's ethical leadership affects members' innovative behaviors, mainly on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It also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in the process that ethical leadership affects members' innovative behavior in distribution-related organizatio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fter collecting materials from companies' executives and staff members in distribution-related organizations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a research hypothesis was analyzed. Results: A superior employee's ethical leadership affects a positive (+)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s of the organization's members and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relation of this effect was mediated by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It means that the possibility that an organization's members will do innovative behaviors will be increased if a leader conducts ethical leadership. It also means that a leader with ethical leadership enables an organization's members to pay attention all the time and be awake for their work environment.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discusses how ethical leadership affects innovative behaviors of an organization's members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has a theoretical implication that it has empirically examined it. More importantly, it has a theoretical implication because it verified how this effect was made using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flexible human resource management.

소명의식과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 홍지웅;홍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169-180
    • /
    • 2020
  • 본 연구는 현직 교사들 3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일련의 통계분석을 통해 소명의식과 조직몰입, 혁신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주요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명의식은 조직몰입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명의식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조직몰입은 혁신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교사의 혁신행동을 높이기 위해서 교사 자신의 일에 대한 소명의식을 명확히 하고 스스로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직의 목표와 가치를 적극적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욕구와 의지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에 후속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소명의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중소기업 조직공정성과 IT지원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지식활용 및 탐색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IT Support of SME on Innovation Behavior -Focusing on Knowledge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 김성효;서영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163-174
    • /
    • 2021
  • 본 연구는 혁신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기 위해 중소기업 직원들이 지각하는 조직공정성과 차별화된 IT지원이 지식활용 및 탐색을 통하여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중소기업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239부의 설문을 분석하여 SPSS 22.0과 PLS 3.0을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조직공정성과 IT지원은 지식활용 및 탐색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났고, 지식활용 및 탐색은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직공정성이 지식활용 및 지식탐색에 영향을 미치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고, 중소기업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공정성과 IT지원이라는 두 변수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혁신행동으로 인한 성과부분과 관련한 다양한 변수를 활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New Paradigm of Management in Design Organization: The Reality of Bottom-line Effectiveness in Design Organization's Management Needs

  • Choi, Seung-Po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7권4호
    • /
    • pp.90-97
    • /
    • 2011
  • This study identifies how management theory and philosophy work in conjunction with and support one another as both are critical to understanding leadership concepts and viewing the design organization holistically in terms of organizational behavior and performance. This paper analyses data from an in-depth single-case study at management in interior design organization in Korea. Two new 'most efficient and effective way' to achieve the goals of the design organization has been launched. The first wa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performance, and the second a needed new paradigm of management skills.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design because it can (a) provide an organization with a competitive advantage, (b) improve the way an organizational structure works, and (c) increase the motivation of designers to pursue organizational interests. Moreover, the result of research creates paradigm of thinking that how leaders in the design organization need to focus on innovative and strategic systems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and enter global markets; a key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strategy to achieve a targeted goal.

The Emergence of Behavioral Testing of Fishes to Measure Toxicological Effects

  • Brooks, Janie S.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5권1호
    • /
    • pp.9-15
    • /
    • 2009
  • Historically, research in toxicology has utilized non-human mammalian species, particularly rats and mice, to study in vivo the effects of toxic exposure on physiology and behavior. However, ethical considerations and the overwhelming increase in the number of chemicals to be screened has led to a shift away from in vivo work. The decline in in vivo experimentation has been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alternative methods for detecting and predicting detrimental effects: in vitro experimentation and in silico modeling. Yet, these new methodologies can not replace the need for in vivo work on animal physiology and behavior. The development of new, non-mammalian model systems shows great promise in restoring our ability to use behavioral endpoints in toxicological testing. Of these systems, the zebrafish, Danio rerio, is the model organism for which we are accumulating enough knowledge in vivo, in vitro, and in silico to enable us to develop a comprehensive, high-throughput toxicology screening system.

Individual Control over the Physical Work Environment to Affect Creativity

  • Samani, Sanaz Ahmadpoor;Rasid, Siti Zaleha Binti Abdul;Sofian, Saudah Bt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4권1호
    • /
    • pp.94-10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review of the background information regarding to the impact of personal control over the physical work environment on satisfaction with work environment and creativity at work. Today creativity has a significant and special place in business especially in innovative organizations which need creative people to generate new, and useful ideas for produce new products, services, work methods, systems etc. Moreover the design and appearance of workspace and individual ability to control the ambient conditions of the workplace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ir behavior, satisfaction and overall outcome including creativity. So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wards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office design to enhance employees' crea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