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l-being culture

검색결과 677건 처리시간 0.024초

기업의 조직문화가 조직에서의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Subjective Well-Being in Organization)

  • 정승환;김연정;송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497-50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문화가 조직에서의 구성원들의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직장인 142명을 대상으로 조직에서 경험하는 조직문화와 주관적 행복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 조직문화는 Quinn과 Kimberly의 경쟁가치모형(Competing Value Model)을 사용하였으며, 주관적 행복은 한국적인 문화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개발된 단축형 행복 척도(COMOSWB)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조직문화는 조직에서의 주관적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조직문화가 주관적 행복을 28.4%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 중에서 유일하게 집단 문화만이 주관적 행복에 정적인 영향(p<.001)을 미쳤다. 반면에 위계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는 주관적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한 조직문화는 주관적 행복의 하위 요인인 삶의 만족(p<.001), 긍정정서(p<.001), 부정정서(p<.05)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각각 35.3%, 26.0%, 5.1%의 설명력을 가졌다. 조직문화 중에서 유일하게 집단문화만이 삶의 만족에 정적인 영향(p<.001)을, 긍정정서에 정적인 영향(p<.001)을 미쳤고, 부정정서에는 부적인 영향(p<.01)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제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문화예술활동과 참여 동기가 개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Culture and Art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n Subjective Well-Being of Individual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 김승혁
    • 예술경영연구
    • /
    • 제51호
    • /
    • pp.35-73
    • /
    • 2019
  • 본 연구는 문화예술활동(경험, 유형, 빈도)과 참여 동기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주체적인 판단과 주 소비층인 일반 성인들로 한정하고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비와 연령비율에 근거한 비례할당을 적용하였으며, 1,000명의 데이터가 수집·분석에 이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22.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활동(경험, 유형, 빈도)과 주관적 안녕감에 대해서는 H1. 문화예술활동 경험자가 비경험자 보다 주관적 안녕감이 높다. H2. 문화예술참여 활동이 문화예술관람 활동보다 주관적 안녕감이 높다. H3. 문화예술활동 헤비참여자가 라이트참여자 보다 주관적 안녕감이 높다. 따라서 문화 예술활동은 주관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과 생활경험인 만큼,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는데 적절한 방법이다. 둘째, H4. 문화예술활동 참여 동기의 하위요인인 내적 동기, 외적 동기는 주관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무동기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동기를 낮추고 내·외적 동기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셋째, H5. 문화예술활동 참여 동기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학습동기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문화예술활동과 문화예술교육은 함께 진행될 경우 주관적 안녕감의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회복력과 조직문화가 웰빙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The Convergent effect of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Well-being in General hospital Nurses)

  • 이정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235-24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간호사의 회복력과 조직문화가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였고, 종합병원에 근무중인 간호사 18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회복력, 조직문화 및 웰빙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로 일반적 특성과 관련한 웰빙의 차이는 연령, 결혼상태, 직위 및 근무경력에서 유의미했다. 회복력, 조직문화 및 웰빙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력, 업무지향 문화, 관계지향 문화 및 결혼상태 순이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웰빙을 위해 회복력을 강화하고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고 수용할 수 있는 건강한 간호조직문화가 조성될 수 있도록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간호사들의 건강증진은 물론 간호 소비자와 조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Emotion Regulation as a Pathway Through Which Personality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A Preliminary Study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Kim, Min Young;Tocker, Yonca
    • 감성과학
    • /
    • 제17권1호
    • /
    • pp.63-70
    • /
    • 2014
  • Emotion regulation has been suggested as a pathway through which personality traits (e.g., extraversion or neuroticism)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However, the pathway needs further investigation across cultures due to variations in parts of the relationship reported in recent culture research. With an aim of improving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pathwa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emotion regulation mediating the link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well-being across two college sample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Korea and the United States (US). Results of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extraversion-well-being relationship was fully mediated by the degree to which individuals regulate negative emotions in both Korean and US samples. However, the neuroticism-well-being relationship was partially mediated by emotion regulation in the US sample, while it was fully mediated in the Korean sample. The role of emotion regulation differently functioning across cultures suggests the importance of investigating cultural-specific mechanism of psychological processes.

The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on stress coping

  • Kim, Jungae;Kim, Juo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3호
    • /
    • pp.1-9
    • /
    • 2019
  •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investigation study that analyzed the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on stress coping in twenties.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y 1, 2019 to May 20, and 207 people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ub-factors of spiritual well-being consisted of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The types of stress coping consist of active coping, passive coping, aggressive coping, evasive coping, and social supportive coping.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90 (43.5%) were male and 117 (56.5%) were female. The 71.0% of the participants had no religion, the Buddhists were 14.5%, other religions were 5.8%, Protestants were 4.3%, Catholics were 2.9%, and Won Buddhists were 1.4%. Active coping in stress coping was correlated with religious well-being (r=-.357, p<0.01) and existential well-being (r=.301, p<0.01) under statistical significance. Religious well-be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s (Mean=2.87, SD=.753) than females (Mean=2.49, SD=.772, p<0.01). Existential well-being was also higher in males (Mean=4.25, SD=.841) than in females (Mean=3.95, SD=.694, p<0.01). The religious well-be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ctive coping (t=6.183, p<0.01), passive coping (t=-3.595, p<0.01), aggressive coping (t=1.991, p<0.05). Existential well-be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ctive coping (t=5.339, p<0.01), aggressive coping (t=1.659, p<0.05), evasive coping (t=-3.709, p<0.05) a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plan spiritual well-being program as a way to cope with stress by knowing that spiritual well-being positively affects active, aggressive stress coping.

유학생의 문화적응전략, 민족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우울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tion, ethnic grou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 김현옥;추상엽;임성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0권1호
    • /
    • pp.1-18
    • /
    • 2014
  • Berry(1997)가 제시한 문화적응전략에서 통합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응적이라고 보고된 대부분의 연구결과와 달리 근래 몇몇 연구들에서 동화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적응적임을 보여주었다. 그 이유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류사회가 이주자들에게 주류사회에 동화되기를 기대하고 있고 이주자가 주류사회와 유사한 문화를 가지고 있을 때 동화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응적일 것이라고 추론하고, 이 추론을 한국문화와 유사한 문화를 가지고 있는 중국조선족 유학생과 전혀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는 중국한족 유학생을 대상으로 검증해 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조선족 유학생 63명과 중국한족 유학생 162명을 대상으로 문화적응전략, 심리적 안녕감, 우울 척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4(문화적응전략)×2(민족유형)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모두에서 문화적응전략과 민족유형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즉 예측대로 중국조선족 유학생의 경우 동화를 사용할 때 가장 높은 심리적 안녕감과 가장 낮은 우울을 보였다. 그러나 통합을 사용할 때 가장 낮은 심리적 안녕감과 가장 높은 우울을 보였다. 중국한족 유학생의 경우 예측대로 통합을 사용할 때 가장 높은 심리적 안녕감과 가장 낮은 우울을, 주변화를 사용할 때 가장 낮은 심리적 안녕감과 가장 높은 우울을 보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중국 유학생의 적응을 돕기 위한 개입 방안에 대한 함의를 기술하였다.

  • PDF

재문화충격과 주관적 안녕감 간 관계에서 지지체계와 문화정체성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s and cultural identity on the relationships of reverse culture shock, and subjective well-being)

  • 이승민;양은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1호
    • /
    • pp.45-6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해외유학경험 후 귀국한 성인들의 재문화충격 경험과 주관적 안녕감을 알아보고, 지지체계(가족지지, 모국친구지지, 외국친구지지)와 문화정체성(모국정체성, 외국정체성)이 재문화충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들은 19세 이전에 한국을 떠나 해외에서 3년 이상 거주를 하고 한국으로 되돌아온 157명의 귀국성인이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재문화충격과 각각의 조절변인에 대해 이원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재문화충격과 주관적 안녕감 간에는 부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재문화충격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강도는 가족지지가 높을 때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재문화충격, 사회적 지지 중 한 요인, 문화정체성 중 한 요인을 대상으로 삼원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재문화충격, 가족지지, 모국정체성의 삼원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특히 재문화충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강도는 가족지지와 문화정체성 중 한가지만 낮을 때 보다 모두 다 낮을 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귀국성인들의 재문화충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가 조절가능하며 재문화적응과정에서의 가족지지(환경적 요인)와 모국정체성(개인내적 요인)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PDF

웰빙 소비자의 지속가능성의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ion of Well-being-oriented Consumers' Consciousness toward Sustainability : A Qualitative Research)

  • 김영훈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21-527
    • /
    • 2007
  • Using a qualitative method, this paper described briefly the well-being-oriented consumers consciousness toward sustainability concept. The paper identified the major obstacles facing well-being society as evidenced by consumers own experiences for consuming products which are meet the necessity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Over seventy percent of respondents who had a experience consuming the sustainable products said that they consumed it for themselves and their family's health of all things. Beside their interests about health, they made mention of the safety of sustainable products, high quality of sustainable products, to preserve our environment, confidence in sustainable products, encouragement from others, and curiosity for sustainable products. The respondents who did not consume the sustainable products argued that high price of sustainable products, genuineness of sustainable products, lack of information about sustainable products, unconcern about sustainable products, and difficulty to access to sustainable products were not allowed them from consuming the sustainable products.

웰빙 트랜드가 한과류 선택 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s of the Well-being Trend on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ary Selection)

  • 최순희;최영준;이윤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2-48
    • /
    • 2006
  •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ary is a part of our traditional culture taking a great part in our food culture for a while. However, it is now barely maintaining its name. In this research, a new consumption trend 'Well-being' is adopted to suggest the ways to develop the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ary industry. This research intends to find out what effects the 'Well-being' trend, which originated from interest in health, have on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ary selection. A survey includes the questions about the Well-being trend, selection and uses of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ary, and demographic data. This research conducted analysis on 249 people who have used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ary in Busan and Kyeongnam Province to find out effects of the Well-being trend on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ary selection. This empirical study showed that the Well-being trend has some effects on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ary selection while it has the greatest effects on healthy properties and commercial values of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ary.

  • PDF

자기주장성과 외모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assertiveness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 박혜원;정명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5호
    • /
    • pp.728-742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elf-assertiveness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personal growth, purpose in life, self acceptance, environmental mastery, autonom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nd find out if there exists any causal relationship among each variable in the process. For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from April 23 to May 13, 2012 in the city of Gwangju, Korea. The subjects were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359 women responded to i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verall self assertiveness had positive effects on appearance satisfaction which, in turn, turned out to have overall positive effects. Second, the overall effects of self assertiven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Third, overall appearance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 being. Forth, the effects that self assertiveness had on psychological well-being mediated appearance satisfaction and appeared to be partly insignificant. The implications and the direction of this research should be discussed in the future study so that it can improve personal psychological well-being by finding out other variables aside from self assertiveness, appearance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