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recipients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1초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비수급자의 복지태도(결정)에 관한 비교: 사회학적 해석 중심으로 (Comparison of the Welfare Attitudes determination between livelihood Recipients and Non-Recipients: Focusing on Sociological Analysis)

  • 엄주란;문재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97-308
    • /
    • 2020
  •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비수급자의 복지태도에 대한 상호관계 이해도를 바탕으로 비교하여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tudy) 2016년(11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성인 382명을 대상으로 성향점수(PSM) 매칭 후 차이분석(DID)과 구조방정식 AMO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비수급자 보다 복지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비수급자 모두 특수적 프로그램 복지정책이 복지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가치인식인 정부신뢰, 사회인식은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비수급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 구성원의 삶의 품질을 높이는 정책 방향 정립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한 보건기관에 내원한 기초생활수급노인과 비 수급노인의 우울 및 인지기능 상태 비교 (Comparison of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between Elderly Welfare Recipients and Non-Elderly Welfare Recipients in a Public Health Center)

  • 박정아;조영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2권1호
    • /
    • pp.1-12
    • /
    • 2007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available in the field of the elderly health of the low-income bracket by researching and comparing related factors for the assessment of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between elderly welfare recipients and non-elderly welfare recipien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402 elderly person over 65-year-old in Daejeon were interviewed, during the two-month from May to June 2006, about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Results: elderly welfare recipients was higher than non-elderly welfare recipients in degree of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in cognitive function is lower. Also, the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were related with not onl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ike the age, the degree of education, the presence of spouse or not and the health status but also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 like the sleeping time, the drinking and the exercise. Conclusions: The project of health promotion and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related factors to the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for elderly welfare recipients should be developed and practiced.

수급자의 생활세계 관점에서 바라본 사회복지정보화 : 정보 리터러시 3차원을 중심으로 (Social Welfare Informatization from the Viewpoint of Recipients: Applying Three Dimensions of Information Literacy)

  • 전기옥;김수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2호
    • /
    • pp.257-295
    • /
    • 2018
  • 본 연구는 수급자들이 자신의 일상생활 속에서 사회복지정보를 어떤 방식으로 접근, 이해, 활용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정부의 사회복지정보 제공방법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를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른바 정보사회가 도래하면서 한국 정부 또한 IT 교육프로그램 확대, 복지정보포털 '복지로' 개통 등 사회복지정보 전달과 공유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정부의 관심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복지대상자들이 사회복지정보를 접하고 이를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그동안 복지수급자 대상 정보화 사업이 행정체계의 입장에서 상향식으로 추진되면서, 수급자들이 실제 생활세계에서 어떤 방식으로 정보를 얻고 해석하며 이용하는지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는 수급자들이 자신의 일상적인 삶에서 사회복지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인식하는 지를 살펴보고 그들의 시점에서 사회복지정보화를 성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수급자 14명을 심층면접하고 이를 주제분석법을 적용하여 분석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정보화의 추진방향이 복지공급자인 정부의 행정체계 중심이 아니라 수요자의 생활세계의 관점에서 출발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고자 한다.

취업대상 조건부수급자의 경제적 자활로의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abor Entry of Conditional Welfare Recipients : An Exploration of the Predictors)

  • 김교성;강철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2권
    • /
    • pp.5-3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조건부수급자 가운데 취업 및 창업 등의 경제적 자활로의 진입에 성공한 대상자들의 특성은 무엇이고, 경제적 자활로의 진입여부와 경제적 자활 진입까지의 기대자활사업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1년 1월부터 12월까지 서울지역 고용안정센타의 자활지원사업에 의뢰된 2,508개의 사례 중 실질적으로 자활지원사업에 참여한 총 917명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생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원자료의 결측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ultiple imputation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활지원사업에 참여한 취업대상자 가운데 경제적 자활로의 진입에 성공한 대상자는 전체 대상자의 43.8%에 불과하여, 자활지원사업의 참여에 따른 인센티브를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둘째, 취업대상자의 경제적 자활로의 진입여부와 기대기간에는 그들의 건강상태와 심리적인 측면의 자활의지가 중요한 변수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조건부수급자들의 경제적 자활로의 이행을 성공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인적자본 수준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도 중요하지만, 대상자들의 건강상태를 개선하거나 지속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여야 할 것이며, 상담사업이나 사례관리를 통해 그들의 취업욕구를 증진시키거나 유지시키기 위한 노력도 절실하게 필요하다.

  • PDF

도농복합지역 재가노인복지대상자의 서비스만족도 - 가정봉사원파견사업을 중심으로 - (Research into Satisfaction Level by Recipients of Welfare Service for Elderly People Living in a Mixed Urban and Rural Areas)

  • 문미승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4-52
    • /
    • 2008
  • Purpose: This research was done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level with welfare services by elderly people living in a mixed urban and rural area and to identify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service by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recipients, type and content of servic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related factors. Method: The 102 elderly people receiving services from 4 institutions in a mixed urban and rural area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clude the following. Results: Firs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recipients,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ervice; Second,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level of the recipients and their economic condition, health condi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ird, analysis of level of satisfaction related to type of services, frequency, time required, desire of the recipients and their attitudes; Fourth, satisfaction and related factors were identified and used to identify possible problems and directions to improve service.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as ways to improve service and to increase the level of satisfaction 1) Individualization of services 2) Improvement in the way of selecting recipients 3) Reinforcement of special training courses for service providers.

Values Underlying U.S. Low-Income Rural Mothers' Voices about Welfare and Welfare Reform: An Inductive Analysis

  • Lee, Jae-Rim;Katras, Mary Jo;Bauer, Jean W.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1권2호
    • /
    • pp.63-75
    • /
    • 2010
  • This study explicitly identifies the main values that rural welfare recipients reveal when they talk about their experiences with welfare and welfare reform. An inductive analysis of values is conducted using interview data from 49 current and former recipients of Temporary Assistance for Needy Families (TANF) residing in the states of Massachusetts, Maryland, Minnesota, and New York. Seven main values that emerge from the data are self-esteem, autonomy, uniqueness, advancement, security, independence, and fairness. A conceptual diagram of these values is developed to illustrate how these values are related

공공부조수급자의 "일에 대한 태도" 척도 개발 (A Development for 'Attitude toward Work Scale' on Welfare Recipients)

  • 정진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3호
    • /
    • pp.207-225
    • /
    • 2004
  • 본 연구는 공공부조수급자의 일에 대한 태도를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일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다양한 기존 척도들을 심층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전문가조사와 실증조사를 실시하는 등 체계적인 연구절차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공공부조수급자의 일에 대한 태도는 11개 문항 5점 척도이며, 독립과 자립, 일 자체, 근면과 성공이라는 세 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척도에 대해 3개의 하위요인에 의해 설명되는 누적설명력은 54.9%였으며 내적 신뢰도는 ${\alpha}=.79$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에 의해 측정된 공공부조 수급자의 일에 대한 태도는 55점 만점에 43.9점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 비해 이론적 검토 및 실증적 검증 절차를 거쳐 공공부조수급자의 일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를 개발한 연구라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또한 공공부조수급자의 일에 대한 태도에 대한 과학적 측정도구의 적용으로 향후 학문적 연구주제가 다양화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현재 우리나라 공공부조 정책의 개선과 보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정보통신기술(ICT)이 사회복지일선관료와 복지대상자의 역학관계에 미친 영향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on the Power Dynamics between Social Welfare Bureaucrats and Recipients)

  • 김수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1호
    • /
    • pp.335-374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 16명과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13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바탕으로 정보통신기술(ICT)의 활용이 사회복지일선관료와 복지수급자의 관계에 미친 변화를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공공행정에서 ICT의 도입은 행정정보의 투명한 공유와 공개를 가능하게 하여 일선관료와 주민의 관계에 신뢰성과 민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받아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복지 공공행정을 사례로 정보화가 사회복지일선관료와 복지수급자의 관계에서 불신을 심화시키고 상호역량을 약화시킬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먼저 본 논문에서는 ICT를 통해 전담공무원과 수급자가 상대편의 정보와 데이터에 의지하게 되면서 면대면의 인간관계가 확인조사와 민원제기처럼 상대방에 대한 의심과 불만을 표출하는 사무적 절차로 대체되는 현상을 짚어볼 것이다. 나아가 ICT-기반의 행정시스템이 전담 공무원의 일상업무와 수급자의 생활세계를 조밀하게 감찰하게 되면서 일선관료에게 부여되던 자율적 정책선택권이 축소되고 수급자들의 공개적 경제활동이 위축되는 현상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정보화가 휴먼서비스의 신뢰성과 민주적 자율성을 제고하는 것만이 아니라, 반대로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의 관계를 더 비인격적이고 무기력하게 만드는 측면도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한국 부랑인 복지시설의 급식품질관리 분석 (Analysis of Foodservice Quality Management in Korean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Homeless)

  • 이진미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8권3호
    • /
    • pp.318-327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examine charateristics of foodservice manaegment practices; b)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recipients; c) analyze foodservice systems; and d) provide feedback for the efficient and effective foodservice management of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homeless in Korea. A total of 27 sites was analyzed by questionnaire survey. Sa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PSS package program for descriptive analysis. As results of site recipients' characteristics, 69% of total sites were males and 31% were female recipients. Average 60% of recipients were from 30 to 50 years old. Major diseases of recipients were high pressure, and obes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foodservice system analysis, the average meal cost per day was about 2,943 won and average food cost percentage was 29%. Average number of meals per day was about 600 meals. Mostl sites had one dietitian and 48.1% of sites had one cook as a full-time employee. In the part of procurement, dietitians were major chargers of sites for purchasing foods. Major purchasing method was the order and delivery contract. About a half of sites used cycle menu system and standardized recipies. Most of sites had recipients' survey systems for evaluating meal satisfaction. Dietitians at sites had problems on lack of cooking professionals and low meal cost budget for providing higher quality of foods to cure recipients. The results suggested that financial and systematical supports by the government would be very necessary to meet the goal of nutritional balanced meal services.

  • PDF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일상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시간과 공간적 맥락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Daily Life Experiences of Korean Elderly Welfare Recipients: Focused on Time and Space on Daily lives)

  • 주경희;김희주;김세원;오혜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00-21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일상생활 경험을 시간과 공간의 맥락으로 재구성하여 이러한 일상의 맥락들이 수급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경험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1명의 수급노인을 의도적 표집으로 선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간적 맥락에서의 일상경험은 "정신적, 신체적 고통을 홀로 견뎌내는 시간 속에서 엇갈리는 복지 서비스"이라는 주제가 도출되었고, 세부주제로 '반복된 하루의 시작: 공적 서비스 혜택 뒤의 무료한 생활', '식사시간: 억지로 치루는 일상 의식', '운영 종료되는 복지 서비스와 잠 못 이루는 정신적 고통의 밤', '복지서비스 중단과 혼자 보내는 휴일', '수급비 감소와 생활비 부족으로 움츠러드는 추운 겨울', '힘든 삶을 버틸 수 있게 하는 일상의 자원들'이 나타났다. 공간적 맥락에서의 일상경험은 "단절된 공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제한된 복지 서비스와 상호작용"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주제로 '나를 더 아프게 하는 집', '무료한 일상을 벗어나기 위한 최소한의 피난처', '건강한 노인들에게만 유익한 복지기관', '도시와 농촌의 지역적 차이 속 공통된 복지서비스와 사회 관계망의 빈약함', '아픈 몸, 제한적 치료만 받을 수 있는 의료서비스', '높은 문턱의 행정기관', '수급서비스 제도 안에서의 양가감정의 생활'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