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for older adults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8초

단독가구 노인의 구조적 사회관계망 유형과 관계의 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ructured Social Network Types and Their Relationship to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Singles and Couples)

  • 박경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929-945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structured social network types and their relationship to quality on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Respondents were 418 adults aged 60 or older living alone or as coupl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K-means cluster analysis. Four networks types were identified: diverse, friend-neighbor focused, family focused, and restricted. Life satisfaction was highest for individuals in the diverse network group and lowest for individuals in the restricted network group.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as affected by the diverse network, family focused network, the relationship quality with children, the relationship quality with neighbors, and the relationship quality with relatives. Results suggested that having diverse social network in close proximity is very important in old age and structural network types may hav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일 지역 노인의 운동이행 영향요인 분석 (Factors Influencing Exercise Compliance among Older Adults)

  • 고영지;이주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3-232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health status, exercise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exercise compliance and factors influencing exercise compliance in older adults in an area.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154 older adults who attended a senior welfare center in D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25th to the 31th of January in 2012. Results: The mean score for perceived health status was 2.94, 911.69 for exercise self-efficacy, 46.99 for social support, and 6.83 for exercise compliance. The highest score on social support domains was emotional support, followed by self-esteem, material, and informational suppor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exercise self-efficacy,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exercise compliance, between exercise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between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compliance, between emotional support and exercise compliance. Findings of multiple regression indicated that only exercise self-efficacy significantly explained exercise compliance. Conclusion: Health care providers may need to develop various intervention program to promote exercise self-efficacy in order to influence on exercise compliance and adherence among older adults.

다층모형을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도 분석: 개인적 요인과 지역적 요인의 특성을 중심으로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using Hierarchical Model Analysis focused on Individual and Community Factors)

  • 김성원;이은진;정순둘
    • 한국노년학
    • /
    • 제36권3호
    • /
    • pp.581-594
    • /
    • 2016
  • 본 연구는 고령화와 함께 취약한 환경이 노인의 삶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에 대비하고자 고령친화도시적 특성이 노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차 자료인 2014년 노인실태조사와 7대 특별 광역시별 자료의 두 가지 다른 수준의 자료를 혼합매칭하여 자료를 구성하였으며, 개인과 지역환경이 위계적 자료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무선효과다층분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령친화도에 따라 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기본가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개인변수의 수준에서 여자인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연령이 많을수록, 만성질환이 많을수록, 우울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지역변수의 수준에서 고용률과 평생교육참여율과 생활시설접근권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고용률과 평생교육참여율이 노인의 우울과 만성질환수와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복지 실천 및 정책을 위한 개입방안 및 정책제안을 하였다.

중고령자의 가구유형이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Capacity between the Family Structure and Use of E-government Services of Middle and Older Aged Adults)

  • 김미혜;남윤재;선승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69-79
    • /
    • 2021
  • 정부의 공공서비스가 디지털화되면서 디지털 취약계층인 중고령자의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가구유형과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의 관계에서 디지털 역량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8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55세 이상 중고령자 1,660명을 대상으로 Baron과 Kenny(1986)의 매개모형 검증절차에 따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고령자의 가구유형은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령자의 가구유형이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은 중고령자의 디지털 역량에 의해 부분적으로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2·3세대 가구 중고령자가 1세대 가구 중고령자에 비해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 정도가 높았으며, 2·3세대 가구 중고령자일수록 디지털 역량이 높아져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 정도도 높아졌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고령자의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 증진을 위한 가구유형별 지원 방안과 중고령자의 디지털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활동제한 성인의 미충족 치과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dental needs among adults with activity limitations)

  • 이원익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71-580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dental needs among adults with activity limitation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seven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final sample consisted of 945 adults aged 20 years or older with limited activit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 factors on unmet dental needs. Results: The proportion of adults with unmet dental needs during the last year was 52.2% in the middle-aged group and 45.5% in the older adult group. Higher household income was associated with fewer unmet dental needs in both groups. In the older adult group, married people were less likely to have unmet dental needs. In the middle-aged group, adults who perceived their oral health as poor were more likely to have unmet dental needs. Conclusions: All three factors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unmet dental needs among adults with activity limitations. Special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access to dental care services for middle-aged adults with activity limitations.

장기요양 이용 재가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능력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of Older Adults Using Long-term Care Service)

  • 장현숙;이홍자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22-53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of the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beneficiary older adults at home based on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10 to May 2011, the final respondents were 1,026 beneficiary older adults taking home visit care covered in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The questionnaire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cognitive function, ADL(Activity of daily living).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0.0 vers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and ADL between 1st Grade, 2nd Grade and 3rd Grade of long-term care classification. The correlated factors of cognitive function were ADL, long-term care grade, disability of arm and leg, limitation of joint, bed sore and tube feeding. The correlated factors of ADL were cognitive function, long-term care grade, disability of arm and leg, bed sore and tube feeding. This study suggests that cognitive functions have to be mainly considered in long-term care grade.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develop long-term care grade in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an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for the beneficiary older adults. Above all things government will be seriously contemplating of revise contents for long-term care grade to provide quality of care for the older adults.

노인의 SNS 활동을 통한 소통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연구 (An Evaluative Study on Communication Enhancement Program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 of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 신지원;권지성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8호
    • /
    • pp.151-17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SNS 활동을 통한 소통증진 프로그램을 평가하려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소통교육, SNS 활동가 만남, SNS 교육과 실습, SNS 활동과 홍보, 시연회, SNS 활동가 발대식, 오프라인 모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 참여자들로부터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과정과 성과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양적 질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SNS 활용을 통한 사회참여의 기회 확대, SNS 활성화를 통한 소통증진, 노인복지의 새로운 대안문화 창출, 세대 간의 긍정적인 인식변화 등 본 프로그램이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노인들의 SNS 활동을통한 소통증진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한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자살시도 노인의 일상으로의 복귀와 '다시 살아보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eriences of Older Adults' Getting Back to Life and Rediscovering a 'Will to Live' Following Suicide Attempts)

  • 김유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1호
    • /
    • pp.127-146
    • /
    • 2013
  • 최근 노인 자살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면서 노인 자살예방을 위한 학문적 실천적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노인 자살의 위험요인 파악에 치중한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내부자 시각에서 자살행동을 극복하게 도움이 되는 것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질적 연구의 목적은 자살시도 후 노인의 삶이 어떻게 전개되며 무엇이 이들에게 삶의 희망을 주는지에 관해 이해하는 것이다. 중심주제분석(thematic analysis)방법을 활용하여 자살시도 노인 35명과의 심층면담 및 연구노트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참여자의 '다시 살아보자'의 경험은 마음 기울기의 방향과 깊은 관련이 있다. 또한 그 경험은 생각의 전환과 행동이 수반되는 과정이며, 자살행동을 저지하는 요인과 힘을 내서 살게 하는 요인들이 함께 작동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호요인 향상에 초점을 맞춘 노인 자살예방을 제언하였다. 그것은 일상의 소소함을 회복시키는 개입, 사회적 지지망을 돈독하게 하는 개입, 강점관점에 따른 개입, 그리고, 자기 의지를 세우게 하는 마음지원 개입이다.

  • PDF

재가 노인의 신체활동 예측요인: 도시노인과 시골노인의 차이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in Korean Older Adults: Distinc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 박승미;박연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91-201
    • /
    • 201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between urban and rural dwelling Korean older adults.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A self-report questionnaire or face to face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336 older adults (urban: 129, rural: 207) who visited public health centers or welfare centers in 2008. Results: About half of the participants (urban: 50.4%, rural: 47.3%) were classified as the minimally active group. Cognitive function (odds ratio [OR]=1.106, p=.004) and loneliness (OR=0.965, p=.044) were predicting factors for physical activity in rural elderly. Age (OR=0.326, p=.037), gender (OR=2.841, p=.021) and depression (OR= 0.799, p<.001) were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physical activity in urban elders. Conclusion: These findings provide information that is relevant in designing interventions to enhance physical activity in older adults. There is a need to develop effective mutifacete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that include reducing psychological barriers such as depression, loneliness.

고령자의 노인여가복지시설 공간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of the Older Adults for Senior Leisure Welfare Facilities)

  • 최예림;오지영;박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381-386
    • /
    • 2022
  • 본 연구는 노인여가복지시설 중 하나인 경로당을 중심으로 고령자의 공간이용행태를 조사하여 공간이용도 및 만족도 개선을 위한 조건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로당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만 65세 고령자 300명(남성 104명, 여성 196명)을 대상으로 경로당 공간이용행태 및 선호이용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고령자의 경로당 이용빈도는 월 1-3회가 가장 많았고, 선호 이용빈도는 주 1-3회로 나타났다. 즉, 경로당을 자주 이용하고 싶지만 실제로는 자주 이용하지 못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경로당에서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프로그램의 선호도가 높은 것을 볼 때,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공간프로그램이 제공된다면 이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두 번째, 경로당 이용시간이 최소 1시간에서 최대 5시간으로나타남에 따라 다양한 개인적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이 제공된다면 만족도 및 이용도가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세 번째, 경로당 이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하여 친목의 어려움, 접근성의 어려움으로 나타나 친목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공간구성이 개선되거나 접근성을 제고시켜줄 수 있는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