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standing parents

검색결과 442건 처리시간 0.029초

자폐성장애 아동의 적응행동 향상을 위한 스마트 콘텐츠 개발 방향에 대한 연구 (Study on smart contents development directions for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to enhance adaptive behavior)

  • 한동욱;강민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123-131
    • /
    • 2013
  • 본 연구의 목표는 초등부 자폐성장애 아동들의 적응행동 향상을 위해 적응행동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 콘텐츠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수학교 교사 및 장애학생 교육기관 전문가들의 AHP설문을 통해 스마트 콘텐츠의 개발의 필요성 및 효과에 대한 적응행동기술의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또한 어떠한 적응행동기술 분야가 스마트 콘텐츠로 개발하기에 적합한지 앱개발 전문가들의 토론과 설문을 통해 그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 콘텐츠로 개발에 적합하고 그 효과가 높은 적응행동 기술은 언어이해, 시간이행 및 엄수, 이동기술, 옷입기, 개인위생이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교육당국은 단편적인 교육용 스마트 콘텐츠 개발보다는 효과적이고 활용도가 높은 자폐성장애 아동들의 특성 및 특수교사나 부모의 요구에 맞는 스마트 콘텐츠 개발 및 지원체계를 구축하고자 노력해야 한다.

생태체험장 봉사활동이 영재학생들의 환경민감도 및 상태-특성불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Volunteer Work at the Place of Ecology Experience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 State-Trait Anxiety of the Gifted Students)

  • 김순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55-663
    • /
    • 2010
  • Today,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a matter we are all concerned about. The environment surrounding us, such as the air we breathe, the water we drink, and the soil plants grow in, is critical for our survival. Currently there is a lot of interest in environmental education at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This is a result of the deep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Howeve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being conducted in schools is not yet at a satisfactory level. The practical issues, including an entrance exam-oriented atmosphere, student' and parents' lack of understanding, and teachers' lack of expertise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terfere with the stability of environmental curriculum in the schools. Accordingly, we need to devise an alternative environmental curriculum due to the fact that it hasn't been included as a regular subject in the curriculum of many national schools. This study, carried out from April to December 2009, was an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volunteer work at the place of ecology experience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 state-trait anxiety of the 61 Gifted Student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test group consisted of 30 gifted students who did volunteer work at the place of ecology experience run by Ulsan Science High School, in Ulsan Metropolitan City.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the rest of the students. The following are the study results: First, the volunteer work at the place of ecology experience was influential in increasing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the gifted students. Second, the volunteer work at the place of ecology experience was influential in decreasing the state anxiety of in gifted students. Third, the volunteer work at the place of ecology experience was influential in decreasing the trait anxiety of in gifted students. Fourth, the volunteer work at the place of ecology experience positively influenced not only the gifted students' view of environmental education, but also their overall character.

초기청소년의 건강한 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a Healthy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r Early Adolescent)

  • 윤명선;김순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107-12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r early adolescents. The overall goals of the program were to not only increase knowledge and skirts, but also to improve the awareness of healthy sex in order to promote premarital abstinence, parent-teen communication and parental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arent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prevention of sexual problems of the early adolescent. The program consisted of six sessions: puberty changes during adolescence, the meaning of sexuality, sexual drives in dating relationships, understanding of the risks associated with early sexual involvement and support for postponing sexual activities, managing and avoiding sexually risky situations,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s with parents about issues related to sexuality. The program evaluation had three steps: pre-test, immediate post-test and two month follow-up post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dolescent's knowledge about sex, and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sex, particularly in the immediate post-test. At the two month follow-up assessment, the effect of the program still remained strong, though there was a sight and partial reduction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ost of the program participants express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Parental involvement appeared to be effective as well.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include: to re-evaluate the curriculum for various other participants. In addition, further study which would compare post-test results of these participants with a comparison group of peers who did not receive the program would be valuable.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program can be used in implementing specific subjects (sessions) in new settings, as well as implementing the entire package of the program.

  • PDF

알코올 중독자 가정 자녀의 적응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접근 (A study on the process of children's adjustment following a parent's alcoholism - a grounded theory based approach -)

  • 주소희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23호
    • /
    • pp.225-262
    • /
    • 2008
  • 본 연구는 '알코올 중독자 가정 자녀의 적응과정은 어떠한가?' 라는 연구문제를 가지고 알코올 중독자 가정에서 성장한 만 18세 이상 성인자녀의 적응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알코올 중독자 가정자녀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한 후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근거자료를 분석 한 결과, 알코올 중독자 가정 자녀가 경험하는 중심현상은 존재부정, 억눌림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인과적조건, 맥락적조건, 중재적조건, 작용/상호작용전략과 결과를 통합한 핵심범주는 '부모의 알코올 문제로부터 자신을 분리하여 자아를 재정립함'으로 구체화되었다. 또한 자녀들의 적응과정은 혼란과 억압단계, 갈등단계, 인식과 분리단계, 수용단계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알코올 중독자 가정자녀의 적응에 대한 이론 구축과 사회복지실천의 방향제시에 함의를 가진다.

PRECEDE 모형을 통한 페루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자살시도 경험요인 (Suicide Attempt Behavior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Peru through PRECEDE Model)

  • 김하윤;남은우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5
    • /
    • 2017
  • Objectives: There is higher rates of experience of suicide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of adolescents in the Lima and Callao region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epidemiological study (2013) conducted by Peru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and the Global School-based Student Health Survey (2010) which is was conducted among adolescents across all regions of Peru. Based on the PRECEDE model, this study analyzed the prevalence and the factor associated with the suicide attempt among the adolescent in a poor urban area in Peru. Methods: A stratified random sampling was used for the survey to select study participants from the 6 secondary schools based in Comas or Callao. The survey was conducted November 25th and December 4th in 2015 and a total of 738 individuals included in the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suicide attempt, comparison of predisposing factor, reinforcing factor, enabling factor, behavioral factor, environmental factor, psychological factors by suicide attempt and suicide risk group were identified through the chi-square test an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Results showed that those who reported having less parental understanding, less time spent with parents, and 'almost none/none' for parental affection had more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 and were more likely to sort into the high suicide risk group. Also, a greater proportion of those with the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 had more experience of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and experience of physical abuse and feeling insulted and depression in comparison to that of those without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e attempt included depression, subjective happiness, smoking experience, sexual intercourse, involvement in fight, parental affection, and gender (mal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can serve as grounds for the necessity of acknowledging that adolescent suicide does not simply depend on a couple of factors, but arises from situations in which individual, home, school, social factors influence one another, and therefore adolescent suicide should be prevented and addressed through a multi-dimensional and integrated approach.

  • PDF

초등학생 진로교육을 위한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areer Education App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휘;전석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265-272
    • /
    • 2019
  • 과거 사회는 직업이 단순하고 사회 변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가정에서 부모님들이 진로 지도를 하고, 학교에서 진로 교육에 관한 전문적 교육과정, 지식이 없어도 진로 교육이 가능했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직업 자체가 복잡해지고 직업 안에서도 전문적 기능, 지식이 요구되고 있으며, 직업 세계에 변화가 이루어져 직업이 사라지기도 하며 존재하는 직업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세분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일과 직업에 대한 가치관을 확립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진로 교육이 매우 중요해주고 절실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재미있는 진로 교육 수업을 하기 위해 초등학교 5-6학년 군의 진로 교육 교육과정을 구현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수업의 효과를 검증한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생용 직업 교육 앱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직업교육 수업이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살펴본다. 직업교육 앱을 활용한 총 8차시의 수업을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 적용했다. 그 결과,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그들의 직업에 대해 더 잘 이해하게 되었고 또한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대통령기록관 전시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어린이 및 동반 성인 이용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Users' Awareness and Needs of Exhibit Services in the Presidential Archive : Focusing on Children and Accompanying Adults)

  • 김혜윤;김지현
    • 기록학연구
    • /
    • 제62호
    • /
    • pp.139-183
    • /
    • 2019
  • 오늘날 기록관은 생존과 발전을 위해 이용자에게 더욱 친근하고 개방적인 공간으로 나아가고, 세분화된 이용자의 행태와 요구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특히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의 구축은 대중의 의식을 전환시키고 현재와 앞으로의 고객을 확충하기 위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통령기록관 전시서비스에 대한 어린이 이용자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전시서비스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대통령기록관의 전시서비스 사례와 현황을 알아보고, 대통령기록관을 방문하여 전시서비스를 경험한 어린이 및 어린이를 동반한 성인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어린이 이용자의 관점을 토대로 기록관 전시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살펴본 어린이 이용자의 만족도 및 요구 분석은 기록문화의 확산과 어린이 이용자의 방문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교사들이 인식하는 갈등 유형과 대응 방법 분석 (Analyses of Types of Conflict Perceived by Teachers and Coping Methods)

  • 김진철;윤소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43-51
    • /
    • 2021
  • 본 연구는 교사들이 인식하는 갈등 유형과 대응 방법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 초·중등 교사 561명의 설문 결과를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교사, 학부모, 교육정책에 대한 갈등과 관련하여 담임 여부, 전입 여부, 근무 지역에 따라, 학생과의 갈등과 관련하여 담임 여부와 전입 여부에 따라, 관리자와의 갈등과 관련하여 근무 지역에 따라, 행정직원과의 갈등과 관련하여 담임 여부와 근무 지역에 따라 평균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었다. 둘째, 학생 갈등 대응과 관련하여 성별과 전입 여부에 대한 응답의 차이가, 교육정책 갈등 대응과 관련하여 성별과 담임 여부에 대한 응답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장의 조직 갈등 이해와 관리 역량 제고, 갈등 해소를 위한 교사들의 전략 학습이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과 요구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n Early Childhood Value Education)

  • 배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43-351
    • /
    • 2021
  • 본 연구는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에 대한 교사들의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경기도 공사립유치원 교사 81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들이 느끼는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의 어려움은 '가치교육의 구체적 교수방법과 실행에 대한 정보 부족', '가치교육보다 우선시되는 다른 교육내용', '유아가치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해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을 위해 요구되는 것은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가치교육의 연계', '가치교육을 위한 교사의 의지와 전문성', '가치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이해와 참여', '가치교육에 대한 기관의 교육철학의 확립'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요구하는 가치교육 자료는 실행사례집, 동영상, 부모교육 자료 등, 요구하는 교사연수의 방법은 온라인 영상연수, 직무연수, 전문적 학습공동체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바른 인성에 대한 논의와 유아가치교육을 분리되지 않는 맥락으로 연계하길 바라는 교사의 요구를 파악하였다는 점, 실천을 위한 교사의 의지와 전문성, 학부모와 함께 만들어가는 가치교육에 대한 요구가 표출되었다는 점, 교사가 원하는 자료와 연수 유형을 밝혀 유아가치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예비보육교사가 인식한 '영유아'에 대한 은유 분석 (Metaphor Analysis of 'Children' Perceived by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 김경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58-467
    • /
    • 2022
  •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들이 인식한 영유아에 대한 의미를 은유분석 방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대학에서 보육학을 전공하는 예비보육교사 288명 대상으로 2021년 5월 4주부터 6월 2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영유아에 대한 의미는 '돌봄이 필요한 존재', '환경에 영향받는 존재', '개성을 지닌 존재', '소중하고 귀한 존재', '기쁨을 주는 존재', '미래를 이끌어갈 존재', '맑고 순수한 존재', '교사·부모를 성장시키는 존재'로 범주화되었다. 예비보육교사들은 8가지 범주 중에서 영유아를 '돌봄이 필요한 존재'로 인식한 경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138개 은유 표현 중에서는 '새싹', '씨앗', '꽃', '도화지', '스펀지', '거울' 순으로 표현한 것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예비보육교사들이 가진 영유아에 대한 인식을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었으며, 향후 예비보육교사 양성과정에서 개선 및 지원해야 할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