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n Early Childhood Value Education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과 요구

  • 배지현 (성결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20.11.30
  • Accepted : 2020.12.14
  • Published : 2021.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indergarten teachers' the difficulties and needs on early childhood value 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by grasping of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on 815 teachers of kindergartens in Gyeonggi-do. As a result, first, the difficulties in applying value education to teachers are lack of information on specific teaching methods. Second, what is required is connect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value education, teacher's will and parents'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The implications are that the discussion on the right character emphasized in the Nuri curriculum and the needs of teachers who wish to link early childhood value education into an unseparated context were identified.

본 연구는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에 대한 교사들의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경기도 공사립유치원 교사 81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들이 느끼는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의 어려움은 '가치교육의 구체적 교수방법과 실행에 대한 정보 부족', '가치교육보다 우선시되는 다른 교육내용', '유아가치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해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을 위해 요구되는 것은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가치교육의 연계', '가치교육을 위한 교사의 의지와 전문성', '가치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이해와 참여', '가치교육에 대한 기관의 교육철학의 확립'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요구하는 가치교육 자료는 실행사례집, 동영상, 부모교육 자료 등, 요구하는 교사연수의 방법은 온라인 영상연수, 직무연수, 전문적 학습공동체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바른 인성에 대한 논의와 유아가치교육을 분리되지 않는 맥락으로 연계하길 바라는 교사의 요구를 파악하였다는 점, 실천을 위한 교사의 의지와 전문성, 학부모와 함께 만들어가는 가치교육에 대한 요구가 표출되었다는 점, 교사가 원하는 자료와 연수 유형을 밝혀 유아가치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Keywords

Ⅰ. 서론

한국의 유아교육과정은 그동안 9차례의 개정을 거쳐 왔다. 각 개정마다 차이는 있었지만, 공통적으로 유아중심・놀이중심을 지향하였다. 이번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는 보다 더 유아중심・놀이중심에 대한 ‘가치’를 혁신적으로 담아내었다[1]. 이러한 가치를 구현할 수 있는 누리과정의 구성방향에서는 추구하는 인간상에 ‘건강한 사람,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감성이 풍부한 사람 및 더불어 사는 사람’이 포함되었다. 또한 누리과정의 목적으로는 유아가 놀이를 통해 심신의 건강과 조화로운 발달을 이루고 바른 인성과 민주 시민의 기초를 형성하는 데에 있음을 제시하였는데, 특히 ‘바른 인성’은 유초연계 차원으로 지속되도록 하는 중요한 가치라 할 수 있다[2]. 2007년 개정된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유아들이 길러야 할 덕목으로 강조되었던 타인인정 및 수용, 존중, 배려, 협력, 공생, 공존의 덕목들[3]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매우 중요한 인격의 형성기인 유아기에 유아가 어떤 경험을 하느냐에 따라 삶의 방향과 도덕적 행위의 질적 수준도 변화할 수 있으므로[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경험을 통해 여러 종류의 가치를 탐색하고 선택하여 내면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5]. 가치는 주어진 상황에서 개인행동의 방향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것으로 개인의 삶과 사회 전반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6]. 특히 유아기에 형성된 가치 및 습관, 태도는 성인기까지 지속되기 때문에 유아기부터 올바른 가치를 판단하고 선택하여 그에 따라 행동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7]. 최근 OECD도 같은 맥락으로 태도 및 가치에 해당하는 자유, 정의, 존엄, 관용, 평화, 자신감, 호기심, 감성, 자기이해 등을 교육에 담겨야 한다고 보고 있다[8]. 교육에 있어 가치를 파악하는 일은 교육의 실천을 위해서도 중요한 것이다[9].

관련하여 2015년 [법률 제13004호]로 제정・공포된 인성교육진흥법에서도 핵심가치덕목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인성교육의 목표가 되는 예, 효, 정직, 책임, 존중, 배려, 소통, 협동 등의 마음가짐이나 사람됨과 관련되는 핵심적 가치를 말한다. 이처럼 인성교육은 가치교육으로 접근이 가능하다[10].

유아교육기관에서 가치교육의 내용에 관한 견해는 다양하여 존중, 사랑, 책임, 행복, 협동, 관용, 인내, 정직과 성실, 공정성, 배려, 친절, 절제, 인내심 등으로 제시된 바 있다[11]. 대다수의 교사들은 유아들이 다른 사람에게 정직하고 친절하며, 자신과 타인을 수용할 줄 아는 어린이로 성장하길 기대한다[12]. 유아기는 가치 체계의 핵심이 되는 기본적인 사고나 감정을 경험하는 시기로, 주변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치와 관련된 문제를 유아들이 가치롭게 판단할 것인지 관심을 가져야 한다 [13]. 이와 더불어 유아들이 살아갈 미래의 사회는 수많은 가치가 공존하고 가치의 옳고 그름을 따지기 어려운 다양한 가치 갈등상황이 발생할 확률이 높으므로, 일상생활 속에 있는 가치를 탐색해보고 내면화하여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유아가치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할 수 있다[14].

그러나 유아가치교육 내용에 대한 합의는 아직 구체적이지 않고, 교사들이 가치교육을 어떻게 현장에 적용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그동안 유아가 치교육 교수방법으로 가치를 교사가 직접 교수하는 방법, 가치인식방법 등이 많이 사용되었고 가치명료화 방법을 통해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거나[15], 가치명료화 교수모형에 따른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방법[16] 등을 볼 수 있다. 단기적인 프로그램 위주로 적용하는 경우, 일상생활 속 교육에 지속적으로 가치를 반영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보다는 교사가 매일의 수업에 내재된 인성적 요소에 어떠한 가치를 부여하는가가 중요하므로[17], 관련된 교사 개인의 주관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관련하여 는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가치교육의 인식과 요구를 탐구한 연구도 있다[14]. 대부분의 교사가 가치교육이 필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가치교육을 일상생활 중심으로 실시하고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 보다 체계적인 프로그램 및 교수 학습방법의 개발, 교사교육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교사들의 중요성 인식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치교육은 명확하게 계획 및 실시가 어렵 고, 평가도 어려워 현장에서 소홀하게 여겨지는 경향도 없지 않다.

유아중심・놀이중심에 대한 ‘가치’와 ‘바른 인성’을 강조하고 있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이 현장적용 중인데,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은 이전과 어떻게 다른지, 어떤 요구 가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18]. 교육과정이 새롭게 개정되면 교사들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19]. 이 어려움과과 요구를 파악하여 가치교육의 현장적용에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다각적인 기초자료를 제공과 지원방안 모색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교사의 역할 중 윤리적인 실천 역량과 배움의 지원자 역할[20]이 강조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21],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22]. 현재 수행된 2019 개정 누리과정 관련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사연수 요구도를 알아본 연구를 살펴보면, 유아교사들의 개정누리과정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고 관련 연수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23].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에 대한 교사들의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하여 보다 실효성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둘째,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에 대한 교사의 요구는 무엇인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는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에 대한 어려움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공사립유치원 교사 82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 중 815명이 성실히 응답하여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은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CCTHCV_2021_v21n1_343_t0001.png 이미지

2.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는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질문지를 개발하여 조사하였다. 질문지는 [14][17][24]의 연구를 기초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내용은 유아교사가 생각하는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에 가장 큰 어려움과 요구사항이 무엇인지에 대한 것이다. 요구도 조사 하위내용에는 가치 교육을 위해 요구되는 것, 필요한 자료의 형태, 희망하는 교사연수의 방법에 대한 질문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한 질문지는 유아교육과 교수 4인, 25년 경력인 유치원 원장 1인, 10년 경력인 부장교사 1인에게 검토를 받아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3. 연구절차

연구절차는 선행연구 고찰, 질문지 작성, 타당도 확보 작업, 온라인 질문지 조사와 통계, 글쓰기로 진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절차는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연구절차

CCTHCV_2021_v21n1_343_t0002.png 이미지

Ⅲ. 연구결과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에 대한 어려움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공사립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의 어려움

유아교사들이 느끼는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의 어려움을 살펴보면, ‘가치교육의 구체적 교수방법과 실행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서’가 40%(332명)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가치교육보다 우선시되는 다른 유치원 교육의 내용이 많아서’가 25%(206명), ‘유아기에 함양되어야 할 가치와 가치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부족해서’가 22%(179명), ‘유아 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운영과 가치교육이 대치된다고 생각되어서’ 8%(67명), ‘담당하는 연령이 바뀜에 따라 연령별 적용이 어려워서’ 가 3%(26명)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가치교육 관련 교수방법과 실행정보에 대한 부족과 바쁜 업무, 가치교육에 대한 이해부족 등의 이유로 가치교육의 현장적용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표 3]과 같다.

표 3.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의 어려움

CCTHCV_2021_v21n1_343_t0003.png 이미지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의 어려움에 대한 경력별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χ2 =46.234(df=15)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고경력(7년 이상) 교사일수록 가치교육의 어려운 점으로 ‘유아기에 함양되어야 할 가치와 가치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부족해서’를 꼽았고, 상대적으로 저경력 교사들의 경우 ‘가치교육의 구체적 교수방법과 실행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서’를 어려움으로 인식한다고 해석 할 수 있다. 즉 유아를 위한 수업에서의 교수방법과 실행에 대한 경험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력교사의 경우 실행정보가 부족해서가 아니라 가치교육에 대한 인식이 나 이해가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저경력 교사의 경우 유아를 위한 가치교육을 어떻게 실천해야 할지 구체적인 교수방법과 실행에 대한 정보도 막연한 상황임을 파악할 수 있다.

표 4. 가치교육 어려움에 대한 경력별 차이검증 N(%)

CCTHCV_2021_v21n1_343_t0004.png 이미지

* p<.05, ** p<.01, *** p<.0001

2.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을 위한 요구

2-1.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을 위해 요구되는 것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을 위해 요구되는 것’을 조사해본 결과,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가치교육의 연계’가 39.5%(317명)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뒤를 이어 ‘가치교육을 위한 교사의 의지와 전문성’이 25.8%(206명), ‘가치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이해와 참여’가 25.4%(203명), ‘가치교육에 대한 기관의 교육철학의 확립’이 9.3%(73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새롭게 현장에 안착하고 있는 2019 개정 누리과 정에서 강조하는 바른 인성에 대한 논의와 유아를 위한 가치교육을 분리되지 않는 맥락으로 이해하고 연계하길 바라는 교사들의 요구가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실천을 위한 교사의 의지와 전문성, 학부모와 함께 만들어가는 가치교육에 대한 요구가 다수 표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표 5]와 같다.

표 5.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을 위한 요구

CCTHCV_2021_v21n1_343_t0005.png 이미지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을 위한 요구에 대한 경력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경력에 따른 가치교육 실행방법은 χ2  =26.849(df=18)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즉 경력과 무관하게 유아교사들은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가치교육의 연계, 교사의 의지와 전문성, 학부모의 이해와 참여를 공통적으로 중요한 요구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표 6]과 같다.

표 6. 유아가치교육 요구에 대한 경력별 카이검증

CCTHCV_2021_v21n1_343_t0006.png 이미지

* p<.05, ** p<.01, *** p<.0001

2-2. 유아가치교육을 위한 자료의 형태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을 위해 교사들이 요구하는 자료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현장 실행사례집이 26.3%(506건)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어서 동영상 자료가 24.5%(472건), 부모교육용 자료가 19.5%(375건), 이론적 내용이 포함된 사례집이 16.7%(321건), 웹툰 형태의 자료집이 7.0%(135건), 교사 에세이가 6.0%(115건)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에게 제공되는 학습관련 자료들은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25] 다양한 자료에 대한 교사의 요구가 비교적 고르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표 7]과 같다.

표 7. 유아가치교육을 위한 자료의 형태

CCTHCV_2021_v21n1_343_t0007.png 이미지

2-3. 유아가치교육을 위한 교사연수의 방법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을 위해 교사들이 요구하는 교사연수의 방법으로는 사이버(온라인 영상)연수가 31.5%(258명)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뒤를 이어 직무연수 또는 자격 연수 24.5%(197명), 전문적 학습 공동체 22.5%(185명), 면대면 교사연수 19.7%(160명), 실시간 화상연수 1.8%(15명)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와 같은 긴급 감염병 상황 이후 비대면으로 연수를 받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원격연수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교육이 가능하므로[26] 바쁜 직무를 수행하는 교사들의 요구가 다수 표현되었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표 8]과 같다.

표 8. 유아가치교육을 위한 교사연수의 방법

CCTHCV_2021_v21n1_343_t0008.png 이미지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을 위해 교사들이 요구하는 교사연수의 방법에 대한 경력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경력에 따른 가치교육 교사연수방법 선호는 χ2 =17.453(df=15)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표 9]와 같다.

표 9. 교사연수의 방법에 대한 경력별 카이검증

CCTHCV_2021_v21n1_343_t0009.png 이미지

* p<.05, ** p<.01, *** p<.0001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에 대한 교사들의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하여 보다 실효성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공사립유치원 교사 최종 81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결과를 중심으로 논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이 느끼는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의 어려움을 살펴보면, ‘가치교육의 구체적 교수방법과 실행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서’, ‘가치교육보다 우선시되는 다른 유치원 교육의 내용이 많아서’, ‘유아기에 함양되어야 할 가치와 가치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부족해서’, ‘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운영과 가치교육이 대치된다고 생각되어서’, ‘담당하는 연령이 바뀜에 따라 연령별 적용이 어려워서’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가치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조사를 실시한 [14]의 연구와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결과의 ‘가치교육의 구체적 교수방법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느낀.’는 점에서는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14]의 연구는 3-5세 누리과정이 실시되던 시기로 가치교육 관련 활동이나 프로그램이 없어서 힘들다는 결과가 나왔고, 본 연구에서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과 연계하는 방법에 있어 어려움을 느낀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전의 계획된 활동이나 프로그램 중심의 가치교육에서 벗어나 현재의 교육과정과의 연계방법을 고민하는 교사의 인식 변화로 볼 수 있다.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의 어려움에 대한 경력별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경력 교사일수록 가치교육의 어려운 점으로 ‘유아기에 함양되어야 할 가치와 가치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부족해서’를 꼽았고, 상대적으로 저경력 교사의 경우 ‘가치교육의 구체적 교수방법과 실행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서’를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즉 유아를 위한 수업에서의 교수방법과 실행에 대한 경험이 상대적으로 많은 고경력교사의 경우 실행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가치교육에 대한 인식이나 이해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의 경력이 많아질수록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과 실천정도가 높게 나타난다는 [14]의 연구와 동일한 맥락이다. 반면 저경력 교사의 경우 유아를 위한 가치교육을 어떻게 실천해야 할지 구체적인 교수 방법과 실행에 대한 정보도 막연한 상황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저경력 교사들이 스스로 교재교구를 생각해내고 실행함에 어려움을 겪는다는[28]의 연구와 일치한다. 이러한 교사들의 어려움을 반영하여 향 후 유아가치교육을 위한 명확한 이해자료와 구체적인 교수방법 안내 및 실행 사례 등의 제시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을 위한 요구는 세 가지로 살펴보았는데, 먼저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을 위해 요구되는 것을 조사해본 결과, ‘2019 개정 누리과 정과 가치교육의 연계’, ‘가치교육을 위한 교사의 의지와 전문성’, ‘가치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이해와 참여’, ‘가치교육에 대한 기관의 교육철학의 확립’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새롭게 현장에 안착하고 있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바른 인성에 대한 논의와 유아를 위한 가치교육을 분리되지 않는 맥락으로 이해하고 연계하길 바라는 교사들의 요구가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유아교사의 직무와 전문성은 직 결되어 있으므로[29], 가치교육의 실천 또한 교사의 의지와 전문성이 주요 요인으로 요구됨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특히 이번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는 학부모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을 중요하게 표방하고 있으므로 가치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이해와 참여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도 다수 표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유아가치 교육의 현장적용을 위한 요구에 대한 경력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경력에 따른 가치교육 실행방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력과 무관하게 유아교사들은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에 있어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가치교육의 연계, 교사의 의지와 전문성, 학부모의 이해와 참여를 공통적으로 중요한 요구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을 위해 교사들이 요구하는 자료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현장 실행사례집, 동영상 자료, 부모교육 자료, 이론적 내용이 포함된 사례집, 웹툰 형태의 자료집, 교사 에세이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에게 제공되는 학습관련 자료들은 교육 과정 운영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25], 다양한 자료에 대한 교사의 요구가 비교적 고르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유아가치교육을 위해 교육부에서 발간하는 자료, 보도자료, 사례집을 필요한 자료로 요구한 [14]의 연구와 비슷한 맥락의 결과라 할 수 있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는 교사의 자율성이 강조되었으므로 교사들은 획일화된 프로그램집이 아닌 참고하여 자신의 교실맥락에 적용할 수 있는 여러 유형의 자료들을 요구하였다. 이를 통해 각 유아교육기관의 상황에 맞는 다양한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을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을 위해 교사들 이 요구하는 교사연수의 방법으로는 온라인 영상연수, 직무연수 또는 자격연수, 전문적 학습공동체, 면대면 교사연수, 실시간 화상연수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와 같은 긴급 감염병 상황 이후 비대면으로 연수를 받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원격연수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교육이 가능하므로[26] 바쁜 직무를 수행하는 교사들의 요구가 다수 표현되었다고 볼 수 있다.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을 위해 교사들이 요구하는 교사연수의 방법에 대한 경력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유아기 발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토대로 기치 교육을 실천하여 유아가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 주체이므로[17], 이러한 교사들의 요구를 가치교육의 현장적용에 의미 있는 일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바른 인성에 대한 논의와 유아가치교육을 분리되지 않는 맥락으로 연계하길 바라는 교사의 요구를 파악하였다는 점, 실천을 위한 교사의 의지와 전문성 및 학부모와 함께 만들어가는 가치교육에 대한 요구가 다수표출되었다는 점, 교사들이 원하는 유아가치교육의 자료 유형과 연수유형을 살펴봄으로써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유아가치교육의 조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기초로 후속연구에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유아가치교육의 현장적용을 위한 공사립유치원 교사의 어려움과 요구를 조사 연구로 살펴보았다. 실제 유치원 일상생활 속 가치교육의 실행과정을 살펴보지 못하였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장기간 유치원의 가치교육의 적용과정을 살펴보고 과정적 의미를 도출하는 연구로 이어지기를 바란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은 유치원 교사로 한정되어 있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는 학부모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가치교육도 가정연계로 함께 이루어가는 생태학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김영옥,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변천과 개정 누리과정의 과제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5권, 제2호, pp.75-103, 2020.
  2. 이신영, "유.초 연계의 관점에서 본 개정 누리과정,"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9.
  3. 정희영, 방승미, "TV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에 나타난 유아 인성교육 경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제32권, 제1호, pp.159-180, 2012.
  4. 이신동, 강인숙 김복영, 김현미 박춘성 서현아 송명숙 오유미 이영희 이정기 이정아 이현옥 장인희 조은영 최옥순, 유아인성교육, 양서원, 2020.
  5. R. Melendez, W. J. Beck, V. Fletcher, and M. Albany, Teaching social studies in early education, NY : Delmar Thomson Learning, 2000.
  6. J. A. Luckowski, "A Virtue-Centered Approach to Ethics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48, No.4, pp.264-270, 1997. https://doi.org/10.1177/0022487197048004004
  7. 김희경, 가치탐구모형에 기초한 환경친화적 유아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8. 권순영, 미래학교에선 뭘 배우지?, 내일을여는책, 2019.
  9. J. Steutel, "The Virtu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Some Conceptual Clarifications,"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Vol.31, No.3, pp.395-408, 1997. https://doi.org/10.1111/1467-9752.00064
  10. O. B. Bridge, "New perspectives on young children's moral education: developing character through a virtue ethics approach,"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Vol.45, No.2, pp.236-238, 2019. https://doi.org/10.1080/02607476.2019.1579032
  11. 김강희, 김영옥, "가치명료화 교수모형을 적용한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제21권, 제1호, pp.459-485, 2017.
  12. 이병래, "유아인성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0권, 제6호, pp.297-328, 2015.
  13. 이은화, 김영옥, 유아사회교육, 양서원, 2009.
  14. 김지영, 권덕수, "유아가치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15권, 제3호, pp.217-241, 2011.
  15. 배진희, 가치명료화 수업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도덕과 생명존중교육,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6. 최민수, 임은영, "가치명료화 교수모형에 따른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3권, 제1호, pp.1-26, 2016.
  17. 구미향, "유아교육목표에 내재된 인성적 가치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유형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19권, 제4호, pp.425-451, 2015.
  18. 방현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사연수 요구도,"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67-98, 2020.
  19. 임명희,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과정에서 어린이집 교사의 경험 탐색," 한국보육학회지, 제20권, 제3호, pp.1-23, 2020.
  20. 임부연, 손연주, "2019 개정 누리과정교육내용과 관련한 유아 교사의 역할 탐구," 교육혁신연구, 제30권, 제3호, pp.127-148, 2020. https://doi.org/10.21024/PNUEDI.30.3.202009.127
  21. 이경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과 그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 탐색," 어린이교육비평, 제9권, 제2호, pp.5-33, 2019.
  22. 최연철, 김은혜, 김경철,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한국유아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pp.1-26, 2018.
  23. 방현실,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사연수 요구도,"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67-98, 2020.
  24. 이승하, "유아 또래놀이에서 발견되는 사회.도덕적 가치," 유아교육연구, 제39권, 제2호, pp.437-457, 2019.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2.018
  25. 정희경, 유아교사의 누리과정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자료 관련 유치원교사의 인식 및 요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6. 강한나, 황해익, "유치원 교사 원격연수의 인식과 실태 및 요구도 조사," 어린이미디어연구, 제5권, 제1호, pp.17-37, 2006.
  27. 황보영란, "유아교사의 전문성 신장사회와 관련된 사회조직적 변인 연구," 유아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pp.153-168, 2003.
  28. 신주은, 이대균, "공립유치원 저경력 교사의 어려움과 그 어려움을 이겨내는 과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1권, 제1호, pp.23-56, 2014.
  29. 김정희, 김동춘,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직무성과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제16권, 제5호, pp.77-96,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