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va pertusa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4초

Community Structure of Subtidal Macroalgae around Neobdo Island on the West-southern Coast of Korea

  • Kim, Kwang Young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2호
    • /
    • pp.153-158
    • /
    • 1995
  • Community structure of subtidal macroalgae was investigated at 3 sites of Neobdo Island in August 1994. In total, 66 taxa of red, 21 brown, 14 green, and 2 blue-green algae were identified. The number of species and biomass decreased with increasing depths. Gelidium amansii, Ulva pertusa, Dictyota dichotoma, Sargassum thunbergii, Undaria pinnatifida, Ecklonia cava, and Sargassum horneri had higher frequency and biomass. The vegetation of deeper zone was composed mainly of a few red algae. Substrate characteristic and light intensity were considered as environmental factors determining the underwater vegetation.

  • PDF

광양만의 해조류에 관한 연구 2. 해조류의 유기염소계 농약잔류량에 대하여 (A Study on the Marine Algae in the Kwang Yang Bay)

  • 이인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0권1호
    • /
    • pp.53-57
    • /
    • 1977
  • The appearence o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some marinealgae, e.g. Sargassum thunbergii, Ulva pertusa, Codium fragile, and Enteromorpha linza, collected from various sites of Kwang 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was surveyed through the year from May 1974 to March 1975. The residues were found to appear in the order to July>September>May>November≒March≒January; $\alpha$-BHC>heptachlor epoxide>dieldrin>aldrin>endrin; and in the range of 0-93 $\mu\textrm{g}$/kg dry matter.

  • PDF

화원관광단지 인공 해빈의 해조상 (Benthic Algal Flora in a Man-made Artificial Beach in the Hwawon Resort Complex,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박찬선;박경양;황은경
    • 환경생물
    • /
    • 제31권2호
    • /
    • pp.78-86
    • /
    • 2013
  • 2010년 3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화원관광단지의 인공해빈에서 해조상의 계절적 변화에 대한 정성 및 정량조사를 실시하였다. 해조 식생의 계절적 변화는 인근의 자연서식지의 식생과 비교하였다. 인공해빈에서는 녹조류 8종, 갈조류 3종 및 홍조류 4종으로 총 15종의 해조류가 출현하였으며, 자연서식지에서는 녹조류 7종, 갈조류 9종 및 홍조류 22종으로 총 38종의 해조류가 출현하였다. 우점종은 인공해빈의 경우 겨울철에 Ulva compressa, U. intestinalis, U. prolifera, U. pertusa, 여름철에는 Urospora penicilliformis, U. intestinalis, U. compressa였으며, 자연서식지의 경우 겨울철에 U. pertusa, U. compressa, 여름철에 Sargassum thunbergii, Ishige okamurae였다. (R+C)/P 지수는 인공해빈에서 3.7~4.0, 자연서식지에서 2.6~3.4로 나타났다. 인공해빈의 해조 기능형군별 비율은 사상형 64.4%, 엽상형 21.9%, 분지형 13.7%로 분석되어 자연서식지의 기능형군별 비율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동해안 조간대 3개 지역에서 해조류의 군집과 생물지표종 (Community Structure and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of Marine Benthic Algal at Intertidal zone in the Three Areas of the East Coast of Korea)

  • 정희동;홍성익;김상우;한명석;장성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09-61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동해 북부지역 거진, 중부지역 죽변 및 남부지역 감포의 조간대에 분포하고 있는 해조상의 지리적 종조성과 우점종 및 서식 특성을 2014년 5월과 8월에 조사하였다. 해조상의 지리적 종조성을 보면 거진, 죽변 및 감포는 모두 온대성 해조상의 특성으로서 거진은 구멍갈파래(Ulva pertusa), 염주말(Chaetomorpha moniligera)이 우점하였고, 죽변은 염주말(C. moniligera), 개서실(Chondria crassicaulis)이 우점하였다. 그리고 감포는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구멍갈파래(U. pertusa), 솜털류(Ectocarpus sp.)가 우점하였다. 지역별 해조상을 대표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C/P, R/P와 (R+C)/P의 비율에서 거진은 각각 0.85, 2.10, 2.94, 죽변은 각각 0.58, 3.15, 3.73 그리고 감포는 각각 0.80, 3.91, 4.71로 전체 지역이 온대성 특성의 해조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군집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이들 지역은 거진의 A 그룹과 죽변과 감포 지역의 B 그룹으로 나누어졌으며, 이것은 지리적 종조성에서 죽변과 감포는 거진보다 온대성 해조상 특성이 강하게 반영되어 나타났다.

파래의 포자형성률을 이용한 해양생태독성시험 방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Marine Ecotoxicological Standard Methods for Ulva Sporulation Test)

  • 한태준;한영석;박경수;이승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2호
    • /
    • pp.121-128
    • /
    • 2008
  • 해조류를 이용한 수생태독성시험법으로 대형 녹조 구멍갈파래(Ulva pertusa)의 포자형성률을 endpoint로 사용하는 독성시험법이 개발되었다. 생태독성시험을 위한 최적 조건은 광조사량 $100\;{\mu}mol{\cdot}m^{-2}{\cdot}s^{-1}$, 수소이온농도(pH) $7{\sim}9$, 염분 $25{\sim}35\;psu$ 그리고 수온 $15{\sim}20^{\circ}C$이다. 본 시험법의 민감도는 표준중금속(Cd, Cu, Pb, Zn)을 가지고 확인하였고, 오염 시료에 적용 가능성은 9 지역의 산업폐수 또는 생활하수 오니 용출액(elutriate)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네 종의 중금속에 대한 포자형성률 억제 반응의 $EC_{50}$ 값을 산출한 결과, 구리($0.062\;{mg}{\cdot}L^{-1}$) > 카드뮴($0.208\;mg{\cdot}L^{-1}$) >납($0.718\;mg{\cdot}L^{-1}$) > 아연($0.776\;mg{\cdot}L^{-1}$) 순으로 민감하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US EPA에서 제공하는 ECOTOX DB에 탑재되어 있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수생태 독성시험법 결과와 비교해 볼 때, 더 높은 중금속 민감성을 보였다. 현장시료에 대한 포자형성률 억제 반응의 $EC_{50}$ 값을 살펴보면 산업폐수오니($EC_{50}=6.78%$)에서 가장 높고 정수장오니($EC_{50}=15.00%$)에서 가장 낮은 독성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폐수 또는 생활하수오니 용출액내에 함유된 독성원 농도와 산출된 $EC_{50}$ 값 사이에 상관성을 밝히기 위해 Spearman rank correlation test를 실시한 결과, 구리, 카드뮴, 납 그리고 아연이 구멍갈파래의 포자형성 저해 반응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시험법은 독성 민감성이 높고, 사용이 간편하고, 경제적이고, 해석이 용이하며, 대량의 시험재료 확보가 상시 가능하고, 배양이 어렵지 않아 매우 편리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파래의 포자형성 과정이 파래 집단의 성쇠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생태적인 의미까지 포함하기에 보다 다양한 독성물질을 대상으로 독성민감성이 확인될 경우, 수서 생태독성을 진단하는데 유용한 프로토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파래류는 넓은 지리적 분포와 속 수준에서 포자형성 과정의 유사성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광역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남해안 돌산도의 해조 II 조하대 해조군락의 구조 (Benthic Marine Algal of Dolsan-Islan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I Structure of Algal Communities of Subtidal Zone)

  • 손철현;이인규;강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9-388
    • /
    • 1983
  • 본 조사는 전남 여천군 돌산읍 죽포리 두문포의 조하대 해조군락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1982년 6월 부터 1983년 5월 까지 연간 계절별로 SCUBA 잠수에 의해 채집된 자료를 분석하므로 수행되었다. 조하대의 수직분포는 sheltered 지역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고, 상부, 중부, 하부의 3개 구역으로 나누어지며, 상부는 Ulva pertusa, Codium fragile, Chondria crassicaulis, Gigartina tenera의 녹조, 홍조류, 중부는 Myagropsis myagroides와 Sargassum tortile의 대형갈조류, 하부는 Plocamium telfairiae, Callophyllis japonica, Symphyocladia linearis의 홍조류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Normal association analysis를 통한 군락분석결과 이 지역 해조군락은 9개의 group으로 나누어지고, 각 group의 우점종은 각각 Sargassum tortile, Myagropsis myagroides, Chondrin crassicaulis, Codium fragile, Pterocladia tenuis, Gigartina tenera, Gracilaria textorii등이었고 이 지역의 해중림을 조성하는 대표적 종은 Myagropsis myagroides와 Sargassum tortile 이었다. 한편, Myagropsis myagroides의 현존량은 $50{\times}50cm$당 봄철에 5,248g, 여름에는 650.4g, 가을에는747.6g이었고, 평균체장은 봄부터 가을까지 계절별로 각각 169.9cm, 48,4cm, 149.9cm여서 생식이 끝난 직후인 봄철에 최고치를 나타내고 소멸기인 여름에 최소치를 나타냈다.

  • PDF

오동도 해조군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lgal Communities of Odongdo, Southern Coast of Korea)

  • 손철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8-378
    • /
    • 1983
  • 본 연구는 1982년 6월부터 1983년 5월까지 전남 여수반도 남단에 위치한 오동도 해조군락의 특성을 밟히기 위하여 5개의 line transect를 설치하고 연간 계절별로 조사된 자료를 분석 하였다. 해조류의 수직분포는 상부군이 Gelidium divaricatum, Enteromorpha linza, Porphyra yezoensis, Scytosiphon lomentaria, Blidingia nana, Ectocarpus confervoides, 중부군이 Ulva pertusa, Chondria crassicaulis, 그리고 하부군은 Sargossum sagamianum, Undaria pinnatifida, Sargassum thunbergii 및 Gelidium amansii 등의 홍조류로 대표되었다. 출현해조의 종수와 피도는 4월에 최대이고 8월에 최소로되며 종별 우점도의 변화는 연중 출현종은 10월에, 일계절 출현종은 1월 또는 4월에 각각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유사도지수에 따른 5개 transect의 cluster analysis 결과 내만성군과 외양성의 2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본 지역은 남해안 중${\cdot}$동부 군락에 해당되는 Myelophycus simplex alliance의 Colpomenia sinuosa-Ecklonia cava association에 속한다고 본다.

  • PDF

한국 남해안 가학리의 해조류와 군집구조의 월별변화 (Monthly Changes of Marine Benthic Algae and Community Structure at Gahakri, Southern Coast of Korea)

  • 오병건;이재완;이해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4-70
    • /
    • 2002
  • 한국 남해안 가학리의 해조상과 군집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1993년 9월에서 1994년 8월까지 매월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채집 동정된 해조류는 녹조류 11종, 갈조류 15종 및 홍조류 61종이었다 해조상 특성은 출현종을 기준으로 혼합성으로 밝혀졌다. 연중 우점종은 불등풀가사리이며, 준우점종으로는 지충이, 구멍갈파래 및 톳이었다. 수직분포는 조간대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불등풀가사리-작은구슬산호말, 바위수염, 참풀가사리 (5월$\~$10월), 미끌풀, 지충이-톳, 구멍갈파래, 애기돌가사리, 참까막살이 분포하였다.

산불 관련 해양환경오염원들에 대한 해조류의 활력 측정 (Viability Assay of Seaweeds Responding to Mountain Fire-Related Pollutants)

  • 강세은;;최재석;조지영;신현웅;홍용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5-229
    • /
    • 2003
  • Plant ash and soil drainage, derived by frequent mountain fires during winter, might cause biological contamination to seaweeds at seashore and river mouse area. To thalli of Ulva pertusa, maximum non-lethal concentration(MNLC), lethal concentration 50 $(LC_{50})$ and minimum lethal concentration (MLC) of pine needle ash were shown as 60, 350 and 550 mg/mL, respectively. The yellow loess and granite sand did not damage at concentrations of 20 and 200 mg/mL, respectively To thalli of Porphyra yezoensis, the MNLC, LC5O, MLC of pine needle ash were shown as 0.08, 0.4 and 1.0 mg/mL, respectively. Effects of yellow loess and granite sand were approximately 1/2 and 1/10 of the ash. To thalli of Undaria pinnatifida, the pine needle ash, yellow loess and granite sand did not damage at the concentration range of 20 to 40 mg/mL. Change of pigments $(chlorophyll\;\alpha,\;lutein,\;\beta-carotene,\;phycoerthrin)$ was also determined at the MNLC, $LC-{50}$ and MLC of pine needle ash. Among three seaweeds tested, P. yezoensis produced the most 2.7-fold of lutein and 2.3-fold of $\beta-carotene$ at $LC-{50}$ of the ash. Thus the P. yezoensis, appeared as a sensitive indicator, could be used as one of test organisms for determination of the biological effect of pollutants contaminated in marine environment.

한국 일광만 저서 해조류의 해조상과 군집구조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in Ilkwang Bay, Korea)

  • 강필준;김영식;남기완
    • ALGAE
    • /
    • 제23권4호
    • /
    • pp.317-326
    • /
    • 2008
  •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seasonally at three sites in Ilkwang Bay on the southern east coast of Korea from May 2007 to February 2008. Total 103 species including 10 of green algae, 17 of brown algae, 76 of red algae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Among these species, 21 species were found throughout the year. Ulva pertusa, Enteromorpha linza, Grateloupia lanceolata, Chondracanthus intermedia and Caulacanthus ustulatus were distributed dominantly in upper intertidal zone. By contrast, crustose coralline algae, Grateloupia spp., Chondracanthus tenellus, Prionitis cornea and Sargassum spp. occurred predominantly in middle intertidal zone. Grateloupia spp., Sargassum spp., Ecklonia cava and Ulva pertusa were dominant in lower intertidal zone. Annual mean biomass in wet weight was 478.3 g m$^{-2}$. Maximum biomass was recorded in site 1 (731.8 g m$^{-2}$), and minimum was recorded in site 3 (78.5 g m$^{-2}$). The R/P, C/P and (R + C)/P value reflecting flora characteristics were 4.47, 0.59 and 5.06, respectively. Two groups produced by cluster analysis, one including sites 1, 2 and the other including site 3,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similarity, each other. Site 3 showed the limited species composition due to inflow of fresh water and absence of solid substratum.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ite 1 and site 2. In conclusion, the number of marine algae species and biomass in Ilkwang Bay were markedly reduced comparing with the previous studies. These suggest that a solution for reconstruction of the poor marine algal vegetation is considerably dema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