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nthic Marine Algal of Dolsan-Islan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I Structure of Algal Communities of Subtidal Zone

남해안 돌산도의 해조 II 조하대 해조군락의 구조

  • SOHN Chul Hyun (Department of Aquacultur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LEE In Kyu (Department of Botan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ANG Jae Won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손철현 (부산수산대학 양식학과) ;
  • 이인규 (서울대학교 자연대 식물학과) ;
  • 강제원 (부산수산대학 자원생물학과)
  • Published : 1983.10.01

Abstract

The subtidal benthic algal communities of Dolsan-islan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ere surveyed by means of SCUBA diving. The vertical zonation is recognized into three groups; upper, middle and lower subtidal zones. The representative species in each group throughout the year are Ulva pertusa, Codium fragile, Chondria crassicaulis and Gigartina tenera in the upper, Myagropsis myagroides and Sargassum tortile in the middle, and Plocamium telfairiae, Callophyllis japonica and Symphyocladia linearis in the lower zone. According to the normal association analysis by $2{\times}2$ contingency table and chi-square calculation among 29 quadrats, the algal communities are divided into 9 groups which are dominated by Sargassum tortile, Myagropsis myagroides, Chondria crassicaulis, Codium fragile, Pterocladia tenuis, Gigartina tenera, Gracilaria textorii. The thallus length and standing crops of Myagropsis myagroides show the highest value in spring and the lowest in summer.

본 조사는 전남 여천군 돌산읍 죽포리 두문포의 조하대 해조군락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1982년 6월 부터 1983년 5월 까지 연간 계절별로 SCUBA 잠수에 의해 채집된 자료를 분석하므로 수행되었다. 조하대의 수직분포는 sheltered 지역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고, 상부, 중부, 하부의 3개 구역으로 나누어지며, 상부는 Ulva pertusa, Codium fragile, Chondria crassicaulis, Gigartina tenera의 녹조, 홍조류, 중부는 Myagropsis myagroides와 Sargassum tortile의 대형갈조류, 하부는 Plocamium telfairiae, Callophyllis japonica, Symphyocladia linearis의 홍조류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Normal association analysis를 통한 군락분석결과 이 지역 해조군락은 9개의 group으로 나누어지고, 각 group의 우점종은 각각 Sargassum tortile, Myagropsis myagroides, Chondrin crassicaulis, Codium fragile, Pterocladia tenuis, Gigartina tenera, Gracilaria textorii등이었고 이 지역의 해중림을 조성하는 대표적 종은 Myagropsis myagroides와 Sargassum tortile 이었다. 한편, Myagropsis myagroides의 현존량은 $50{\times}50cm$당 봄철에 5,248g, 여름에는 650.4g, 가을에는747.6g이었고, 평균체장은 봄부터 가을까지 계절별로 각각 169.9cm, 48,4cm, 149.9cm여서 생식이 끝난 직후인 봄철에 최고치를 나타내고 소멸기인 여름에 최소치를 나타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