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planting method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8초

Cultural Management to Control Weedy Rice in Paddy Field

  • Kim, Sang-Yeol;Son, Yang;Park, Sung-Tae;Kim, Ho-Ye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32-236
    • /
    • 2000
  • To obtain a basic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control strategies for weedy rice in direct seeding rice cultivation, occurrence patterns of weedy rice as influenced by different cultural practices such as cultivation method, water management, seeding time, and tillage were investigated in field or pot experiments. High occurrence of weedy rice was observed in a continuous direct seeding paddy field as compared to machine transplanted one. Based on the percent of weedy rice panicle over three years trial, high ridged dry seeding was highest with 36.9%, followed by wet seeding with 30.9%, water seeding with 14.6% and machine transplanting rice with 0.8%, indicating 97.8% reduction in weedy rice occurrence by machine transplanting rice as compared with high ridged dry seeding. Germination of weedy rice was promoted to 83-94 % when rice panicle was flooded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10 for 6 days and 74-88% for 9 days on October 20. Weedy rice occurrence was also substantially reduced by delayed seeding on June 10 and intensive tillage. The results suggest that machine transplanting rice be more effective cultural practice than flooding treatment, delayed seeding and intensive tillage when weedy rice problem occurs in direct seeded paddy field.

  • PDF

컨테이너에서 재배된 백목련과 자귀나무의 이식전후 생장률 평가 (An Evaluation on the Growth Rates of Magnolia denudata and Albizzia julibrissin Produced in Containers)

  • 김태진;김학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92-100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rate of landscape trees produced in containers for three year, and the growth rate of the establishment period during sixth month~twelve months after transplanting. Two types of container such as plastic pot(pot) and fabric growing bag(bag) were adopted to restrict tree roots. Each type of container was divided into seven sub-types. One traditional production method was included as comparison. Two landscape woody plant species (Magnolia denudata, Albizzia julibrissin) were planted in the seven sub-types of container. After one or two growing season in the container, the trees of each container type were transplanted. Half of the trees were transplanted in the mild spring season, and the other half were transplanted in the improper summer season. The data was collected on the diameter of root cellar and the tree height in each yea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Container production method was lower than the traditional production methods by 1.3 times ~ 2 times in the growth rates. 2. The Geocell bag and Root control bag revealed higher growth rates than pp-woven bag. And pot- in-pot(double pot)system revealed higher growth rates than the ether container pot system in A denudata.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growth rates between container production system in Albizzia julibrissin. 3, The growth rates of improper transplanting trees was high in the \"pot\" type - \"bag\" type - \"control\" in descending order. Especially, the growth rates of \"pot\" type revealed higher than \"control\" by 4 times. 4. From the results of ANOVA and Ad hoc test, the variable of growth factors of each container types in improper transplanting experiment was not significant for a range of 5% or 1% level. And the growth rates of traditional production method was lower than the container production method. 5. There was no differences in growth rate between the containerized and the traditional production system in the case of proper transplanting experiment. The growth rates of diameter of root collar was higher in the \"control\". The growth rates of tree height was higher in the \"bag\" type. Finally,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bsequen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ontainer materials and maintaining methods that focused on the growth rates would be required.aintaining methods that focused on the growth rates would be required.

  • PDF

남부지방 조 이식재배시 육묘폿트의 적정규격 및 주당본수 (Adequate Standard Pot and Number of Plants Per Tree of Raising Seeding Pot on the Foxtail Millet Transplanting Culture in the Southern Province)

  • 김용순;김동관;최진경;박흥규;김명석;신해룡;최경주;윤종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23-28
    • /
    • 2015
  • 최근 웰빙 건강식품으로 용도가 다양한 조, 기장, 수수작물의 잡곡육성을 위한 연구개발 및 정책지원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조는 생육기간이 90~130일 정도로 짧고 생육온도에 대한 변이가 커서 넓은 지역에 적응할 수 있고 기상재해에 대한 내성도 크다. 본 연구는 남부지방 조 생력재배 기술을 개발하고 육묘방법과 이식방법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 육묘방법의 폿트종류별 이식 당시 모소질은 406구, 200구, 162구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본포 활착률은 모두 94~95%를 나타내었다. 수량은 10a당 406구 305 kg > 162구 303 kg > 200구 302 kg을 나타내어 처리간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묘이식재배시 폿트를 이용할 경우 406구 폿트가 200구 대비 상토 63%, 폿트 50%, 작업시간 18%가 절감되었다. 조 이식방법별 이식 당시 모소질은 이식본수가 적을수록 건조중은 높은 경향이었고 본포 활착률은 모두 95% 이상을 나타내었다. 10a당 수량은 2본 육묘이식 315 kg > 3본 육묘이식 304 kg > 1본 육묘이식 256 kg/10a 순으로 나타났다. 조 육묘이식재배시 폿트종류별 소요경비는 10a당 406구 폿트가 76,230원으로 200구에 비해 40%가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나 406구폿트에 2본씩 육묘이식재배 하는 것이 생력화에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저묘방법이 수도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land Rice Seedling Preservation on the rice Yield and Growth)

  • 조민신;한덕형;권순목;강재철;조재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3-96
    • /
    • 1969
  • 본 실험은 기상재해로 인한 극만앙의 경우 합리적인 저묘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행하여 졌던바 그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영적인 면에서 어떠한 저묘방법도 7월 20일 이후 이앙의 경우에는 효과를 기대할수 없다. 2. 이앙후의 수도생육은 건묘구가 가장 좋았고 다음이 비닐저묘상처리구 였으며 전엽처리나 묘솎음처리는 묘의 노화방지에 거의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3. 수도의 현미수량은 7월 20일 이앙의 경우 건묘구 (378kg/10a)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이 비빌저묘상처리구(약280kg/10a)였으며 7월 30일 이앙의 경우에는 건묘구에서는 222kg/10a로서 가장 높았으나 그 외 다른 처리구에서는 모두 90kg/10a미만이었다.

  • PDF

한국 중부지방에서 홍화 2기작 재배 가능성 (The Possibility of Double Cropping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ous L.) in the Middle Parts of Korea)

  • 김인재;남상영;이철희;김민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14
    • /
    • 2005
  • 중부지방에서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비가림으로 홍화 2기작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1기작 직파재배후 2기작 정식 방법을 직파, 육묘이식 재배로 구분하여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1기작이 2기작에 비하여 출현 소요일수는 길었으나 생존율과 생육이 높거나 양호하였다. 2. 2기작 정식방법에 따른 입모율 및 활착율은 육묘이식 재배보다 직파 재배에서 높았으나, 생육 차이는 미미 하였다. 3. 종실 수량은 1기작 135 kg/10a에 비하여 2기작에 서 $30\~74\%$감수되었다. 춘기 1기작 재배후 2기작 직파 재배시 입모율 $89.3\%$, 총종실 수량 229 kg/10a로 가장 높아 중부지방에서 적합한 2기작 재배 형태로 나타났다.

Effect of Crop Establishment and Weed Control Method on Productivity of Transplanted aman Rice

  • Ali, Mohammad;Haque Bir, Md. Shahidul;Rahman, Md. Habibur;Ayesha, Sultana Kaniz;Hoque, Aminul;Harun-Ar-Rashid, Md.;Islam, Md. Rashidul;Park, Kee Woong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2호
    • /
    • pp.120-129
    • /
    • 2018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the most suitable crop establishment method and weed management practices for transplanted aman rice in Bangladesh. Rice variety Bangladesh Rice Research Institute (BRRI) dhan44 was used as planting materials where three crop establishment methods ($T_1$: direct wet seeding by drum seeder; $T_2$: hand broadcasting; $T_3$: transplanting) and four weeding options ($W_1$: Hand weeding (HW); $W_2$: BRRI weeder+HW; $W_3$: Herbicide+HW; and $W_4$: no weeding) were tested. Among the crop establishment methods, the highest grain yield ($5.12t\;ha^{-1}$) was obtained with the $T_3$, while the highest benefit cost ratio (BCR) of 2.08 was found in $T_2$. In case of the weed management method, $W_1$ showed superior results on the plant $density/m^2$ (139.66) at 60 days after transplanting (DAT), grain yield ($4.97t\;ha^{-1}$), and BCR (2.03).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plant dry matter (36.20 g) at 60 DAT and the highest yield ($6.10t\;ha^{-1}$) were obtained in a $T_3W_1$ comb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roductivity of rice during aman season could be most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use of transplanting ($T_3$) alone, hand weeding ($W_1$) alone, or a combination of the two methods ($T_3W_1$).

고려인삼의 직파재배에 관한 조사 연구 (Farm Study of Direct Seeding Cultivation of the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 A. Meyer))

  • 원준연;조재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08-313
    • /
    • 1999
  • 단기.다수확을 목표로 하는 인삼의 직파재배는 육묘와 이식을 결합한 재배방법으로서 생산비의 절감과 생산성의 향상을 위한 재배양식이다. 직파 재배의 문제점을 구명하고 직파재배 기술체계의 수립을 위한 기초를 확립하고자 본 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직파재배 인삼포 예정지의 전작물로는 벼, 옥수수 및 호밀이 주로 재배되었고 예정지 관리시에 사용하는 유기물로로는 볏짚, 계분 및 호밀 짚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예정지관리 후 직판시에는 토직묘포의 직판과 같은 방법으로 돌과 흙덩이만 골라 내고 이랑을 만들었으며 두둑의 흙을 체로 친 경우는 전혀 없었다. 2. 직파재배 인삼포의 파종밀도는 간당 196-210립으로 밀식된 상태였으며 발아율은 67%였다. 4년생의 생존율은 51%로서 이식재배 76%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나 간당 생존본수는 100본 이상으로 이식재배보다 많았다. 3. 이식재배에서와는 달리 직파재배 인삼포에서 많이 발생되었던 병은 회색곰팡이병, 모잘록병 및 줄기반점병을 위시한 줄기를 침해하는 병들이었다. 4, 3년생에서는 이식재배에 비해 직파재배한 인삼 엽장이 길었으나 4년생에서는 직파재배한 인삼의 엽장이 오히려 짧았으며, 경의 생육도 3년생에서는 직파재배 인삼이 좋았으나 4년생에서는 직파재배 인삼이 이식재배에 비해 저조하였다. 5. 전체적인 생육상은 이식재배 인삼과 대등하였으나 포장간의 생육차이가 큰 경향이었다. 직파재배 인삼은 비교적 뿌리가 짧았고 뿌리의 크기도 이식재배 인삼에 비해 약간 작은 경향이었으나 간당 뿌리 수확량은 이식재배에 비해 많았다.

  • PDF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시 배액전극제어법 적용시점 구명 (Application Time of Irrigation Management by Drainage Level Sensor in Tomato Perlite Bag Culture)

  • 김성은;심상연;김영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24
    • /
    • 2010
  •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에서 기존에 알려진 배액 전극제어법 적용시기를 가능한 앞당기고, 배양액을 절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처리는 정식후 15일차(T-15), 19일차(T-19), 22일차(T-22)에 배액전극제어법을 적용하는 3개 처리와 타이머법 1개 처리를 실시하였다. 기존의 정식후 1개월 이후에 배액전극제어법 적용하는 관행보다 2주 앞당긴 15일차 처리부터 작물이 배액전극제어법에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장 및 수확량은 배액전극법에서 높았다. 용수이용효율과 비료이용효율은 T-15 처리에서 가장 경제적이었고, 타이머법 처리는 경제성이 낮았다. 따라서 배액전극제어법 처리시기를 빨리 적용할수록 경제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광환경이 한국들잔디(Zoysia japonica)의 물질생산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 Environment on Dry Matter Production and Growth of Zoysia japonica)

  • 도봉현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20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productivity and light condition and to analyze the material productivity and productive charactaristics under different hours of light in Zoysia japonica. 1. Rate increasement of leaf number and total leaf length was remarkably high at the early growth stage in the control and 9 hour light treatment. The rate gradually decreased as growth proceeded. But 3 hour treatment was very low in the rate from its early growth stage through the whole test period. 2. The increasing rate of leaf area ratio (LAR) in all the experimental plots was remarkably high at the early growth stage after transplanting the grass. The shorter photoperiod resulted remarkable lower increasement of LAR. 3. The rhizome growth rate of the 9 hour photoperiod was high contrast to the 3 hour photoperiod treatment. The increasing rate of node number was also showed similar trend. 4. Chlorophyll content was very high at the 36 days after transplanting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Chlorophyll content on 3 hours photoperiod plot severely decreased. The ratio of chlorophyll a to b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t short day treatment. 5. The content of soluble sugar was increased at shorter photoperiod. The highest ratio of sugar content was on August, 28 by HPLC method. Such a result was attributed to accumulation of sugar in spite of low synthesis of ploysacchrides, translocation by low consumption. 6. The increasing rate of standings in all light treatment was high at the early growth stage after transplanting. Short photoperiod treatment by 3hour showed especially low prganic productivity on Zoysia japonica.

  • PDF

플러그묘 정식시 정식기의 호퍼 크기, 토양수분, 초기관수량 및 진압방법이 작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Hopper of the Plug Transplanter and Moisture Content, Compaction Method, and Initial Irrigation of the Soil on the Seedling Survival rate at Transplant of Plug Seedling)

  • 문성동;민영봉;박중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58-263
    • /
    • 1997
  • 정식기에 의한 플러그묘 정식시 최적활착을 나타내는 관수량, 진압상태 등을 구명하여 관련정식기 개발과 최적 생육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하고자 기초시험과 포장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물별 정식 성공률은 정식호퍼 크기별로는 유의성이 없으며, 작물의 초장과 관련이 크며, 반자동 정식기의 최대 정식가능초장은 30cm, 최적초장은 28cm 이내로 조사되었으며, 고추와 배추 공히 정식시 관수 작업을 실시하려면 큰 규격의 호퍼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정식 후 10일이 지난 상태에서 플러그묘의 생존율은 토양수분에 의한 영향이 크며, 고추의 경우 15%이상의 토양수분에서는 98%이상의 생존율을 보였고, 배추의 경우 16% 이상의 토양수분에서는 96%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고추와 배추를 심은 토양이 거의 완전 건조한 상태인 3.8%, 3.1% 각각의 토양수분에 대하여 15%와 14%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토양수분 18% 이상에서는 정식시 관수가 필요 없고, 13%에서는 50cc 이상 관수가 필요하며, 토양의 수분이 3.8%이하일 때는 100cc 이상 초기관수 후 3일 내에 재관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좌우진압, 전후좌우진압의 생존율 차이는 없었으므로 현재의 반자동정식기 진압방식(좌우진압)의 개선은 필요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