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national marriage and family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7초

결혼이민자가족을 위한 통합지원 패러다임 모색에 대한 탐색적 연구 -동대문구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A Exploratory Study of Integration-Support Paradigm for Transnational Marriage and Family: Focused on the Dongdaemun-gu Transnational Marriage and Family Support Center)

  • 오윤자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1권4호
    • /
    • pp.73-92
    • /
    • 2007
  • This study explored the integration-support paradigm for transnational marriages and families as a well-grounded service model supporting a transnational family of immigrants in Korea at a time when Korean society showed increased interest in interracial marriages. The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Dongdaemun-gu Transnational Marriage and Family Support Center, utilizing the relative actual practice at the center and the secondary data of previous studi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integration-support paradigm for transnational marriage and family comprised of the following elements : the institutionalization of welfare and medical services; the systematization of legal institution and execution the settlement of mid- and long-term policies and the practical programs of the government proper approaches to the formation of a healthy marital couple and family relations; total services related to rearing and educating children properly including education cost support to family incomehousing for the stabilization of family life support for socio-cultural exchanges within the family : as well as the radical conversion of social recognition of a transnational family. This paradigm is expected to be a well-grounded service for the integration-support of transnational families.

  • PDF

국내 네팔 결혼이주여성의 본국 가족에 대한 초국적 돌봄 연구 (Transnational Care for Left-Behind Famil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Nepalese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 김경학;윤밀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14-528
    • /
    • 2017
  • 이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네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본국 가족원에 대한 초국적 돌봄의 양상을 규명하고 있다. 네팔 결혼이주여성은 물질적이고 정서적인 지지와 지원, 네팔방문과 직접적 돌봄, 가족의 한국 초청을 통한 노동기회 제공 등 다양한 형식으로 본국 가족에 대한 돌봄을 초국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이러한 초국적 돌봄 실천 양상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위해서 이주여성을 한국 사회와 네팔 사회 사이에 '끼여 있는 존재'(being in-between)로 인식하는 초국적 시각이 요구된다. 네팔 결혼이주여성의 초국적 돌봄은 이주여성의 형제자매 서열에 따른 역할기대, 자녀의 여부, 경제활동 여부, 친정가족원의 국내 체류 여부 등에 따라 그 강도와 내용에 차이가 있다. 또한 이주여성의 본국 가족에 대한 다양한 형식의 초국적 돌봄, 특히 정서적 지지와 출산 및 육아지원은 '일방적'인 것이 아닌 '돌봄의 호혜적 교환'(reciprocal exchange of care)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 PDF

국제결혼 부부의 연령 및 교육수준 격차와 결혼안정성: 국제결혼개방성 가설의 검증 (Spousal Dissimilarity in Age and Education and Marital Stability among Transnational Couples in Korea: A Test of the Transnational Openness Hypothesis)

  • 김두섭
    • 한국인구학
    • /
    • 제35권1호
    • /
    • pp.1-30
    • /
    • 2012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상이성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국제결혼이 연령과 교육수준이 동질적인 선택혼(positive assortative matching)의 형태로 이루어지는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그리고 외국인 아내의 출신국가별로 부부의 연령상이성과 교육상이성 지수를 계산하고, 이 지수들과 평균 결혼지속기간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또한 미시수준에서 부부의 연령 및 교육수준 격차가 결혼만족도, 결혼지속기간과 이혼확률의 편차를 설명하는데 얼마나 도움이 되는가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 국제결혼 부부의 연령과 교육수준 격차가 내국인 부부들의 경우보다 현저하게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외국인 아내를 구하는 한국 남자들이 배우자와의 사회인구학적 격차에 대해 보다 개방적이고 융통적일 것이라고 가정한 국제결혼개방성 가설(the transnational openness hypothesis)이 지지되었다.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격차가 커질수록 결혼의 해체가능성이 높아지고 결혼지속기간이 짧아질 것이라는 기존 연구의 가설은 한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부부들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다문화가족의 탈영토화와 초국가적 네트워크 특성 (Deterritorialization and Transnational Network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 김민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21-436
    • /
    • 2013
  • International marriage is composed over 10% among total marriage in Korea. This study tried to know what kinds of social networks, especially transnational networks, the immigrant wives use for the process of being married and for the adjusting to marriage and Korean culture, and how their Korean families also are affected by the transnational network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FGI and the interviews were applied for the immigrant wives, the multicultural husbands and the specialist groups in metropolitan city DaeGu. 18 migrant interviewees from Vietnam, China, Philippine, etc. were collected by the snow-ball sampling. 5 husbands were collected from the self-help meeting in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center. The transnational networks of the immigrant wives in DaeGu were deterritorialized and reterritorialized actively. Migrant wives managed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members of motherland, and had the networks sticky with relatives, friends, and other fore-immigrant wives from the same countries. Their migrations are characterized as 'chain migration'. Even though they acquired the Korean nationality, they have the transnational identities. They and their Korean families are interrelated and internetworked in exchanging economic resources as goods and money, human beings, love, child caring, foods and culture over local boundaries.

보육교사의 다문화 가정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ycare Teache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Families)

  • 임미선;박정윤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7호
    • /
    • pp.25-3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aycare teachers' demographic variables and multicultural variables upon their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Daycare teachers' multicultural variables consist of their multicultural family-related education, their perception of single-races and multi-races persons, their acceptance of familial diversity, their cultural capability and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In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show that the multicultural variables seem to have an influence upon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Since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is important for the shaping of rela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between teachers and females of transnational marriage, the importance of teache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related variables must be recognized.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o help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mprove their adaptability to daycare facilities and for females of transnational marriage to form mutual, cooperative relations with teachers.

필리핀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초국가적 행태에 관한 연구 (Intermarriage Migration and Transnationalism focused on Filipina Wives in South Korea)

  • 김동엽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0권2호
    • /
    • pp.31-72
    • /
    • 2010
  •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nature of transnational activities being involved in by Filipina intermarriage migrants in Korea by examining the institutional backgrounds of market, society and the state. The increasing number of Filipina intermarriage with Korean coincides with the advance of liberal market economy, which governs internal and bilateral interactions between and among the three institutions in both countries. While existing various reasons for engaging in intermarriage, a significant number of Filipina wives in Korea ventured into it with uncertain expectations that they might earn better lives and could support their families. Such hopes usually turn out in vain when they meet the real lives in Korea. It is mainly because their spouses in Korea would rather be those who left behind in the marriage market due to their lack of competitiveness. Filipina wives are also suffering from social isolation caused by language and other barriers such as family relations or rural life they might settle in. Their transnational activities usually tend to be their effort to breakthrough their unexpected condition of difficult lives in Korea. They usually make use of transnational sort of community activities to cultivate chances to engage in bread earning activity. Migrant's transnational activity has a great impact on sociocultural changes in the country of origin and of arrival. Transnational activity provides migrants with economic opportunities, and uplifts self-esteem as well. Intermarriage couples, especially with Southeast Asian wives, and their offsprings show a tendency of downward assimilation to Korean society. Korean state policy toward them should not simply apply undiscriminated assimilation theory, but take into account their possible strength of transnational identity with which they could find a means to integrate themselves successfully into the mainstream Korean society.

다문화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분석 (The Analysis on Social Network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 김민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69-488
    • /
    • 2012
  • International marriage is composed over 10% among total marriage in Korea. Korea is changing rapidly to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researches need to inquire into what the state of 'ethnic communities of the immigrant wives as the minorities' is and how the immigrant wives build and develop the ethnic networks longitudinally. At the beginning, this study tried to know what kinds of social networks the immigrant wives use for the process of being married and for the adjusting to marriage and Korean culture.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FGI and the interviews were applied for the immigrant wives and the specialist groups in metropolitan city DaeGu. 18 interviewees from Vietnam, China, Philippine, etc.. were collected by the snow-ball sampling. The social networks of the immigrant wives in DaeGu were mainly private, but were deterritorialized and reterritorialized actively. They managed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members of motherland, and had the networks sticky with relatives, friends, and other immigrant wives from the same countries. Even though they acquired the Korean nationality, they have the transnational identities. But the internet environment of Korea can contribute to activate the social networks for the ethnic communities of the immigrant wives.

베트남 북부지역의 국제결혼의 증가와 초국가적 사회공간 (Increase of International Marriage in the Northern Vietnam and a Transnational Social Space)

  • 조현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94-51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국마을'이라 불리는 북부베트남의 시골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는 초국가적 사회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에서는 한국인과 결혼한 이주여성과 가족들 사이에 형성된 초국가적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통과 교류가 빈번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송금 등의 수단을 이용한 물질적인 교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시대적 변화에 편승하는 자와 편승하지 못하는 자가 공존하는 시골의 공간은 고유의 지역성과 문화, 경제적 요인의 영향을 받으면서 초국가적인 사회공간으로 변화하여갔다. 한편, 여성들이 국제결혼이라는 방법으로 초국가적인 이주행위를 실천하는데 있어서는 부모형제의 공진자로서의 역할이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더욱더 견고해져가는 이주회로의 존재, 초국가적 사회공간의 진화, 공진자의 역할 등으로 인하여 일견한 젊은 여성의 가족을 위한 희생으로도 보일 수 있는 초국가적 이주가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계속하여 확산되고 있으며, 세계화의 영향에서 벗어나 있을 것 같은 평범한 시골마을에서도 초국가적 사회공간이 형성되고, 진화하고 있었다.

  • PDF

관계적 공간에서 결혼 이주 여성의 삶 (Married Immigrant Women's Life in Relational Spaces)

  • 박규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3-222
    • /
    • 2013
  • 본 연구는 두 가지 목적 하에서 수행되었다. 하나는 결혼 이주 여성이 가족, 이웃, 친구, 조직, 국가와 관계하면서 겪는 갈등, 차별, 저항 등을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결혼 이주 여성과 가족을 새로운 시각, 즉 초국가(국경을 초월한 로컬과 로컬의 관계), 로컬, 국가와의 관계적 공간으로 설명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는 국제결혼에 의해 초국가적 공간이 형성되며, 생성된 공간은 결혼 이주 여성의 (비)일상적 활동에 의해 유지된다. 초국가적 활동은 송금(remittance), 자녀의 양육과 교육, 친정 방문, 전화나 인터넷 등을 통한 정서적 교감 등이 포함된다. 둘째는 결혼 이주 여성이 가족, 이웃, 친구, 기관 등과 연관됨에 따라 중층적인 관계적 로컬 공간이 형성 유지되고 있다. 셋째는 결혼 이주 여성은 국적 취득과 정부(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지원 사업의 측면에서 국가 권력 혹은 정부 행정과 연관되어 있다. 국민 정체성과 관련지어 결혼 이주 여성은 모국과 한국 가운데 어디에 속하는지 구분이 불명확한 위치에 놓여 있음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 PDF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교육과 돌봄에서 사회적 지지 경험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Social Support in the Education and Care of Children of Married Migrant Women)

  • 정영미;남부현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147-162
    • /
    • 2023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교육과 돌봄에서 사회적 지지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그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로 6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질적연구를 수행하여 4개의 범주에서 총 24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고 10개의 대주제로 정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낯선 타국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은 가족이었다. 특히, 남편의 사회적 지지는 자녀 교육과 돌봄에서 도움을 주지만 남편과의 관계에 따라 그 결과가 달랐다. 시부모의 사회적 지지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에너지로 나타났다. 친정엄마는 심리적인 지지자이며 자녀의 이중언어교육과 모국문화의 전달자 역할을 한다. 주변의 한국친구는 자녀를 키우며 필요한 한국문화와 교육 정보를 제공하며 세상과 소통하는 매개체로서 역할을 하지만, 모국친구는 모국어로 소통하며 자녀 양육정보와 함께 문화적 동질감과 연대의식 형성을 도왔다. 사회적 범주에서 한국사회의 인터넷은 모국가족과 초국가적 연결은 물론 자녀돌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유용한 도구적 역할을 하였다. 공공기관 그리고 법과 제도 등도 자녀 교육과 돌봄을 위한 중요한 지지체계이다. 연구참여자들은 자신과 자녀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제거하고자 국적 취득을 통해 한국인으로서 공적인 자격을 갖추며 스스로 사회적 지지체계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연구참여자들은 자녀 교육과 돌봄 과정에 초국가적인 가족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다층적인 사회적 지지체계를 활용하며 자신과 자녀의 보다 나은 삶을 기대하였다. 이에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교육과 돌봄을 위해 가족과 지역사회 그리고 초국가적 차원에서 사회적 지지체계를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법과 제도 그리고 정책 지원 등이 체계적으로 개선될 것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