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aycare Teache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Families

보육교사의 다문화 가정 인식에 관한 연구

  • Lim, Mi-Seon (Department of Family Welfare and Housing Environment, Chung-Ang University) ;
  • Park, Jung-Yoon (Department of Family Welfare and Housing Environment, Chung-Ang University)
  • 임미선 (중앙대학교 가족복지.주거환경학과) ;
  • 박정윤 (중앙대학교 가족복지.주거환경학과)
  • Received : 2011.03.15
  • Accepted : 2011.06.22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aycare teachers' demographic variables and multicultural variables upon their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Daycare teachers' multicultural variables consist of their multicultural family-related education, their perception of single-races and multi-races persons, their acceptance of familial diversity, their cultural capability and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In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show that the multicultural variables seem to have an influence upon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Since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is important for the shaping of rela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between teachers and females of transnational marriage, the importance of teache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related variables must be recognized.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o help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mprove their adaptability to daycare facilities and for females of transnational marriage to form mutual, cooperative relations with teachers.

Keywords

References

  1. 김갑석(2009). 다문화 가정이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정보대학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김동옥(2004). 유아교사의 가족인식과 가족교육관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미화, 신혜은(2008). 다문화가정 취학 전 유아 한국어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연구. 아동학회지, 29(2), 155-176.
  4. 김병순(2007). 다문화 가정 자녀의 유치원 생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아영(2006). 초등교사의 다문화 인식 실태 조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춘화(2009).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지원 요구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현경(2009).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관련 변인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혜자(2009).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효능감 및 교육 실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민성혜, 이민영(2009).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청소년복지연구,11(1), 183-206.
  10. 박미경(2007).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의 특성 및 교사의 어려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보건복지부(2009). 외국인 주민 실태조사. http://www.mw.go.kr에서 2010년 5월 21일 인출.
  12. 오성배(2006). 한국사회의 소수민족'코시안'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교육 사회학 연구, 16(4), 137-157.
  13. 우정희, 박수미(2009). 보육교사 관련 논문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56, 69-91.
  14. 유계숙, 유영주(2002). 서울시민의 가족개념 인식 및 가치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5), 79-94.
  15. 유정님(2009). 공립유치원 다문화 가정 유아의 교육실태 및 지원에 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윤갑정, 김미정(2008). 다문화시대 유아교사의 문화적 역량 개발 방향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4), 55-85.
  17. 이민경(2001).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승하(2010).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황과 다문화 교육 활성화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영석(2007). 다문화시대 현장유아교육의 나아갈 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55-75.
  20. 임은(2009). 유아 교사와 다문화 가정 학부모와의 인간관계 연구.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장은숙(2008). 다문화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경험 이해.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정은희(2004a). 국제결혼 사례별로 나타난 가족문제에 따른 사회복지적 대책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정은희(2004b).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과 언어 사용. 언어치료연구, 13(3), 33-50.
  24. 통계청(2009). 외국인과의 혼인 추이 통계자료. http://www.kostat.go.kr에서 2010년 4월 7일 인출.
  25. 한석실(2007). 다문화시대 유아교사교육의 방향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4(1), 25-53.
  26. 행정안전부(2009). http://www.mopas.go.kr
  27. 홍영숙(2007). 다문화가정이 봉착하는 자녀교육 문제와 시사점.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Banks, J. A., & Banks, C. A.(2004). Handbook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29. Banks, J. A.(2008).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Pearson: Allyn&Bacon.
  30. Cuevas, M. C.(2002). Cultuaral competence, 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s of social work students.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31. Guyton, B., & Wesche.(2005). The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Decelopoment, Item Selection, and Reliability. Mticultural Perspective, 7(4), 21-29. https://doi.org/10.1207/s15327892mcp0704_4
  32. Saracho, O. N.(1988). "A study of the ro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 Early Child Deveiopment and care, 38, 43-44. https://doi.org/10.1080/030044388038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