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ition adolescents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9초

Multiple-Group Latent Transition Model for the Analysis of Sequential Patterns of Early-Onset Drinking Behaviors among U.S. Adolescents

  • Chung, Hwan
    • 응용통계연구
    • /
    • 제24권4호
    • /
    • pp.709-719
    • /
    • 2011
  • We investigate the latent stage-sequential patterns of drinking behaviors of U.S. adolescents who have started to drink by age 14 years (seven years before the legal drinking age). A multiple-group latent transition analysis(LTA) with logistic regression is employed to identify the subsequent patterns of drinking behaviors among early-onset drinkers. A sample of 1407 early-onset adolescents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NLSY97) is analyzed using maximum-likelihood estimation. The analysis demonstrates that early-onset adolescents' drinking behaviors can be represented by four latent classes and their prevalence and transition are influenced by demographic factors of gender, age, and race.

Incidence of Adverse Transition in Smoking Stages among Adolescents of Kinta, Perak

  • Jeganathan, Premila Devi;Hairi, Noran N.;Al Sadat, Nabilla;Chinna, Karuth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769-6773
    • /
    • 2013
  • Background: Few local studies have explored the process of adverse transition of smoking stages among adolescents. The present investigation aimed to identify adverse transitions prospectively from the early stages till the escalation of the stages after one year. Materials an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in two waves from a cohort of 2,552 adolescents aged 12-13 years old studying in 15 secondary schools based in Kinta, Perak. A multistag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select the schools and a self-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applied to help categorize the participants into five different smoking stages. Nonsmokers were divided into never smokers and susceptible never smokers. Ever-smokers were categorized as experimenters, current smokers or ex-smokers. Results: Among the participants 46.8% were Malay, 33.5% Chinese and 17.1% Indians. At baseline, we had 85.3% non-smokers and 14.6% ever smokers. Incidence of adverse transition among all our participants was 24.1%, with a higher value among male participants (16.8%). A higher proportion of susceptible never smokers and experimenters progressed to current smoking stage compared to never smokers.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changes and patterns of adverse transition among adolescents. Male adolescents, those who are susceptible to smoking and those who had already tried experimenting with cigarettes have a higher chance of escalating to a higher smoking stage.

중학교 진학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환경지각과 학교적응 (Perception of school environment and school adjustment in early adolescents during middle school transition)

  • 엄선영;이강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89-100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진학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환경지각 및 학교적응의 양상과 이들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환경지각 및 학교적응의 양상이 중학교 진학 이전과 이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2개 중학교의 1학년 전체 학생 781명을 대상으로 중학교 진학 초기인 3월말에 학교환경지각과 학교 적응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한편, 중학교 진학 이전과 이후의 학교환경지각 및 학교적응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이들 2개 중학교에 배정받는 인근의 1개 초등학교 6학년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에 6학년 말에 동일한 내용의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후 조사대상 중학교에 배정받은 학생 126명이 표집되었으며, 부실 기재된 경우를 제외한 119명의 학교환경지각 및 학교적응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진학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환경지각은 비교적 양호한 수준이나 하위영역 중 학교에서의 안전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둘째, 중학교 진학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적응은 비교적 양호한 수준으로, 특히 학교생활과 학교친구에 대한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학교 진학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환경지각과 학교적응은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중학교 진학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환경지각 점수는 중학교 진학 이전에 비해 진학 이후에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교사 지지도에 대한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다섯째, 중학교 진학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적응 점수는 중학교 진학 이전과 이후에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영역 중 학교수업적응과 학교생활적응에서는 중학교 진학 이전보다 이후에 오히려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 PDF

A Long Way from Transfer to Transition: Challenges for Pediatric and Adult Nephrologists

  • Lemke, Johanna;Pape, Lars;Oh, Ju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2권1호
    • /
    • pp.7-11
    • /
    • 2018
  • Significant advances in the diagnosis and medical care of children with chronic kidney disease (CKD) are major reasons for the better survival rat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KD than the survival rates reported in previous decades. These patients are reaching adulthood, and therefore require a transition to adult medical care. This transition phase is well-recognized to be associated with considerably increased morbidities and medical problems, such as non-adherence, graft loss after transplantation, and loss to follow-up. Low adherence increases morbidity and medical complications and contributes to poorer qualities of life and an overuse of the health care system. However, these tragic outcomes may be avoidable through a structured and well-defined transition program. In the last decade,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to resolve these medic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that occur during the transfer of young adult patients from pediatric to adult renal units. The aims of a successful transition from pediatric to adult medical care include enhancing the individual development of better health-competence and stabilizing, or even improving, the state of health. This review will focus on various aspects of the transition phase of adolescents who have CKD or who underwent kidney transplantation from pediatric to adult nephrology care.

Management issues of 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during the transition from pediatric to adult care

  • Choi, Jin-Ho;Yoo, Han-Wook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0권2호
    • /
    • pp.31-37
    • /
    • 2017
  • Steroid 21-hydroxylase deficiency is the most prevalent form of 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CAH),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95% of cases. With the advent of newborn screening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most children with CAH survive into adulthood. Adolescents and adults with CAH experience a number of complications, including short stature, obesity, infertility, tumor, osteoporosis, and reduced quality of life. Transition from pediatric to adult care and management of long-term complications are challenging for both patients and health-care providers. Psychosocial issues frequently affect adherence to glucocorticoid treatment. Therefore, the safe transition of adolescents to adult care requires regular follow-up of patients by a multidisciplinary team including pediatric and adult endocrinologists. The major goals for management of adults with 21-hydroxylase deficiency are to minimize the long-term complications of glucocorticoid therapy, reduce hyperandrogenism, prevent adrenal or testicular adrenal rest tumors, maintain fertility, and improve quality of life. Optimized medical or surgical treatment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coordinated care, both during transition periods and throughout patients' lifetimes. This review will summarize current knowledge on the management of adults with CAH, and suggested appropriate approaches to the transition from pediatric to adult care.

학교급 전환기 청소년의 또래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Communication, Self-Efficacy, Depression, and Satisfaction of Life in School-class Transition period Adolescent)

  • 김현주;박소리;김하늬;이효경;손은령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
    • 제19권6호
    • /
    • pp.175-197
    • /
    • 2019
  • 본 연구는 학교급 전환기를 맞이하는 중3 학생과 고3 학생이 경험하는 또래의사 소통과 자기효능감, 우울,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생애 발달적 측면에서 청소년의 삶의 만족 향상 방안에 대해 이해를 얻고자 하였다. 특히,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부적 정서가, 청소년의 환경적 지지를 줄 수 있는 또래 의사소통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이하 KCYPS) 중1 패널의 중학교 3학년(3차년도, 2012)과 고등학교 3학년(6차년도, 2015)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우울 은 삶의 만족도에 직·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또래의사소통은 자기 효능감과 우울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성인기 전반으로 이어지는 청소년의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증진시키는데 있어 자기효능감과 우울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었다. 또한 전환기 청소년의 환경적 배경이 인지·정서적 요소의 교육과 상담을 통해 삶의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가구 소득과 진로지도 및 상담 경험이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mily Income and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Experience on Adolescents' Career Maturity)

  • 원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38-649
    • /
    • 2019
  • 청소년기 진로에 대한 의식 및 태도의 발달은 성인기 진입과 함께 정서 사회 경제적 자립을 성취하는데 주요한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가구 소득과 진로지도 및 상담 경험이 청소년의 진로성숙 변화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 (Youth Panel 2007) 데이터 중 1차시기와 3차시기 고등학생, 5차시기 대학생으로 유형 분류된 456명의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고등학생 시기 가구소득과 진로지도 및 상담 경험이 대학 재학 시기까지의 진로성숙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가구 소득이 청소년의 진로에 중요한 결정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고등학생 시기 진로지도 및 상담의 경험이 청소년의 대학 진학 이후까지 지속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중등교육 단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교육이 계속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 잠재프로파일의 종단적 변화 및 영향 요인 (Longitudinal Transition of Adolescents' Psychological Character Profiles and its Predictors in Multicultural Families)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64-17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인 자아존중감, 문화적응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위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기의 잠재프로파일 및 전이 과정을 탐색하고, 전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의 2차년도(2012년)와 6차년도(2016년) 자료의 1,188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등학교 시기(2차년도 자료)와 중학교 시기(6차년도 자료)의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두 시점 모두 '안정형 집단', '사회적 위축형 집단', '불안정형 집단'의 세 개의 잠재집단이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집단의 전이 과정을 확인한 결과, 심리적 특성의 안정적인 양상도 나타나지 만, 긍정적 변화 및 부정적 변화 또한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방임적 양육태도, 부모효능감, 가족의지지, 친구의지지가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친구의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불안정형 집단에 계속 머무르기보다는 안정형 집단으로 전이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질 경우 다문화 가정 청소년이 더 안정적인 심리적 특성을 갖는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범이론적 모형 (Transtheoretical Model)에 근거한 청소년의 금연변화단계 예측요인 (Predictors of Stage of Change for Smoking Cessation among Adolescents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 김정순;정인숙;천병철;박남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6권4호
    • /
    • pp.377-382
    • /
    • 200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dictor associated transitions with each stage of smoking cessation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moking cess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297 current and former smokers, obtained from stratified random sampling of 2nd graders from 127 high schools in B c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pril 6th and 16th 2002,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ith the SPSS program for Windows (Version 10.0). Results : The predictors of transition from precontemplation to contemplation were consciousness raising (OR=1.22, 95% CI:1.07-1.40), coping pros (OR=.84, 95% CI:.70-1.00) and attitude of parents to smoking (OR=2.97,95% Cl: 94-9.24). The predictors of transition from contemplation to preparation were helping relationships (OR=.83, 95% CI:.72-.96), self-liberation (OR=1.15, 95% CI: 99-1.33) and nicotine dependence (OR=.76, 95% CI: 56-1.03). The only predictor of transition from preparation to action was the social pros (OR=.66, 95% CI:.57-.82). The predictors of transition from action to maintenance were self-reevaluation (OR=.81, 95% CI:.71-.92) and negative affective situation (OR=.85, 95% CI:.72-1.00). Conclusion : Adequate examination on the factors for predicting the transitional stages of change for smoking cessation in Koreans are presen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come the pillar of smoking cessation Planning and application programs.

장애청소년의 전환프로그램 : 연구 동향 분석과 체계적 고찰 (Transition Program for Youth With Disabilities: Research Trend 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 안수빈;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3호
    • /
    • pp.23-36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전환프로그램 연구동향과 장애청소년을 대상으로 국내외 전환프로그램의 중재 및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교 및 지역사회 관련 기관들과 협력하여 성인생활의 모든 측면을 포함할 수 있는 중재 전략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Pubmed, Web of Science(WoS)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06년부터 2021년까지의 게재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Disability' AND ('Adolescents' OR 'Young adult') AND ('Transition education' OR 'Transition program')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7편의 국내외 논문을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전문을 검토하였다. 또한, WoS(Web of Science) 플랫폼과 VOSviewer(version 1.6.16, CWTS, Netherlands, 20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키워드와 국가 관계를 분석하고 시각화하였다. 결과 : 7개의 논문에서 참여한 대상자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대상자는 ASD, ADHD, ID, DD, physical disability 총 5가지로 분류되었다. 중재에 사용된 영역은 크게 직업(학업), 자기관리(시간), 상호작용(대인관계, 의사소통) 3가지 범주로 혼합되어 실시되었다. 중재 결과 7편 중 1편을 제외하고는 사회성 및 적응, 삶의 질, 일상생활활동 세 가지 분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전환프로그램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면서 프로그램의 적용과 그 효과를 정리하여 다양한 전문가와의 교류하는 방향성을 제시하는 동시에 단편적인 측면이 아닌 성인생활의 모든 측면을 확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