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JLCCI)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Volume 19 Issue 6
- /
- Pages.175-197
- /
- 2019
- /
- 1598-2106(pISSN)
- /
- 2671-776X(eISSN)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Communication, Self-Efficacy, Depression, and Satisfaction of Life in School-class Transition period Adolescent
학교급 전환기 청소년의 또래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er communication experienced by ninth and twelfth graders who will undergo school transition, self-efficacy,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this, the study aimed to gain an understanding on ways to improve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from a life-span developmental perspective. It especially attempted to investigate whether a positive attitude toward oneself and negative emotions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communication, which can provide environmental support for adolescents, and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the data of ninth grade (third year, 2012) and twelfth grade (sixth year, 2015) of the 7th Grade Panel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were used. The key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er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directly and indirectly. Second, peer communication affected life satisfaction indirectly by the media of self-efficacy and de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importance of self-efficacy and depression in promoting adolescents' healthy and satisfactory lives that lead to adulthood. Also,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environmental background of adolescents in a transition can improve life satisfaction through training and counseling on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본 연구는 학교급 전환기를 맞이하는 중3 학생과 고3 학생이 경험하는 또래의사 소통과 자기효능감, 우울,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생애 발달적 측면에서 청소년의 삶의 만족 향상 방안에 대해 이해를 얻고자 하였다. 특히,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부적 정서가, 청소년의 환경적 지지를 줄 수 있는 또래 의사소통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이하 KCYPS) 중1 패널의 중학교 3학년(3차년도, 2012)과 고등학교 3학년(6차년도, 2015)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우울 은 삶의 만족도에 직·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또래의사소통은 자기 효능감과 우울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성인기 전반으로 이어지는 청소년의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증진시키는데 있어 자기효능감과 우울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었다. 또한 전환기 청소년의 환경적 배경이 인지·정서적 요소의 교육과 상담을 통해 삶의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