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and directors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5초

자폐성장애 아동의 적응행동 향상을 위한 스마트 콘텐츠 개발 방향에 대한 연구 (Study on smart contents development directions for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to enhance adaptive behavior)

  • 한동욱;강민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123-131
    • /
    • 2013
  • 본 연구의 목표는 초등부 자폐성장애 아동들의 적응행동 향상을 위해 적응행동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 콘텐츠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수학교 교사 및 장애학생 교육기관 전문가들의 AHP설문을 통해 스마트 콘텐츠의 개발의 필요성 및 효과에 대한 적응행동기술의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또한 어떠한 적응행동기술 분야가 스마트 콘텐츠로 개발하기에 적합한지 앱개발 전문가들의 토론과 설문을 통해 그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 콘텐츠로 개발에 적합하고 그 효과가 높은 적응행동 기술은 언어이해, 시간이행 및 엄수, 이동기술, 옷입기, 개인위생이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교육당국은 단편적인 교육용 스마트 콘텐츠 개발보다는 효과적이고 활용도가 높은 자폐성장애 아동들의 특성 및 특수교사나 부모의 요구에 맞는 스마트 콘텐츠 개발 및 지원체계를 구축하고자 노력해야 한다.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for Teacher Efficac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신정애;김성원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9-143
    • /
    • 2019
  •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받는 주제인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첫 단계로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요인을 선정하였고, 10년 이상의 현장경력과 유아교육 관련 분야 석사학위 이상을 가진 교사와 원장, 교수 22명을 대상으로 9개 영역, 20개 요인의 적합성을 평가받아 18개 요인을 선정하였다. 현장 전문가들이 선정한 요인에 해당하는 83문항을 개발하여 유아교육전문가 7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 검사를 받았고, 그들이 평정한 내용타당도 지수(CVI)에 기초하여 44문항을 추출하였다. 영유아교육 현장의 교사로부터 회수된 471부의 설문지를 기초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영유아 교사효능감 측정도구의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본 도구는 교수능력 16문항, 대인관계 4문항, 소명감 3문항, 3개 영역 2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 도구는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여 관련 요인과의 관계를 밝힘으로 후속연구 발전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보육교직원의 젠더감수성 교육에 대한 태도 연구 (A Study on the Childcare Teachers' Attitudes Toward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 이서영;양성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44-257
    • /
    • 2021
  •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젠더감수성 교육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태도를 질적방법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와 원장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총 227명을 모집하였다. 자료수집은 시각방법론에 근거하여 젠더감수성 교육과 관련된 그림책을 이용한 프로토콜서술로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중심주제 분석에 따라 이루어졌다. 젠더감수성 교육은 성역할 유연성과 성지향 개방성에 대한 내용으로 나눌 수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구참여자 대부분이 성역할 유연성 교육에 대해서는 긍정적 태도를 나타냈다. 연구참여자들은 성역할 유연성이란 주제가 이미 사회적으로 포용되었고, 유아의 발달에 적합하며, 보육현장에서 실행하기에 용이하다고 인식하였다. 교육의 효과도 아동의 개별성 존중에 긍정적일 것으로 기대하였다. 한편, 성지향 개방성 교육에 대해서는 연구참여자의 53.3%가 부정적 태도를 보였다. 성지향 개방성에 대한 쟁점이 아직 사회적으로 합의되지 않았고, 발달적으로 유아보다는 청소년기 이상의 연령에 적합하며, 실제로 보육현장에 적용하기에는 관련 정보가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하지만, 연구참여자들의 40.5%가 향후 성지향 개방성에 대한 사회적 포용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하며, 보육현장에 적합한 교재와 교수방법이 개발되면 결국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성지향 개방성 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쟁점으로 부각된 젠더감수성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젠더감수성 교육에 대한 보육교직원들의 태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유아 젠더감수성 교육의 실천적 담론화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학습 동기 유형에 따른 과학 배움 과정 탐색 (An Exploration o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Learn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ir Motivation Types)

  • 김동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2호
    • /
    • pp.127-14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과학학습 동기 유형과 그 유형별 과학 배움 과정을 근거이론에 따라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 132명을 대상으로 과학학습 동기 유형분석하고 그중 12명을 대상으로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한 과학 배움 과정을 살펴보았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학습 동기 유형을 분석한 결과, 철두철미형이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으로는 지도자형, 탐구자형, 조정자형 순으로 나타났다. 과학 배움 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가지 현상들을 코딩한 결과, 근거이론 패러다임 모형 요소에 따라 30개의 범주를 추출할 수 있었다. 추출한 범주를 토대로 근거이론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각 과학학습 동기 유형별 과학 배움의 과정 흐름을 분석할 수 있었다. 대표적으로 철두철미형은 가르치는 방법과 과학 지식을 습득하기 위하여 과학 강의를 듣거나 과학 도서를 읽고 있으며, 이는 초등교사로서의 의무감으로서 당연히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임용 시험이나 교육 과정적 환경 요인들에 의해 순수한 의미에서 과학을 배우는 과정을 경험하고 있지는 않으나 개인적 노력과 참여로 과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 영유아 부모의 지역사회자원 활용에 대한 사례연구: 서울 북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mmunity Resources by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Northern Part of Seoul)

  • 유정현;정가윤;서민경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2호
    • /
    • pp.257-270
    • /
    • 2019
  • This study the presents survey results of a families living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orthern Seoul (Nowon-gu and Dobong-gu) that provides various educational servic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usage and needs of community resour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the families in the inclusive and segregated care as well as education centers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current system. A total of 109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62 (57%) were returned. 44 families in the 14 inclusive care and education centers as well as 18 families in the 2 segregated care and education cent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report on access to community resources that include compulsory education, family support, medical treatment, counseling services, commuting support, ways to gain necessary information, current use, and further needs for community resources for their children.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families in two different types of child care centers needed differentiated community services. Parents who use a segregated child care center demanded physical accessibility and increased numbers of highly qualified teachers; however, parents who use the inclusive child care center require the unified information system for the community resources. Survey findings are discussed related t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of child care centers. Implications for shar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through child care teachers and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s and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인간수행공학을 적용한 도서관활용수업의 저해요인 분석 연구 (Analysis on Library-Aided Instruction's Obstacle Factors based on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Model)

  • 정종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33-449
    • /
    • 2009
  • 본 연구는 초 중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도서관활용수업이 어떠한 저해요인에 의해 활성화되지 않는지 원인을 분석하여 해소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로 첫째, 도서관활용수업방법의 실증적 개선을 위한 평가 분석의 모형을 인간수행공학모형을 기반으로 재구성하였으며 둘째, 도서관활용수업에 관한 기존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기초로 실태를 파악하고 도서관활용수업의 바람직한 수행목표를 도출하였으며 셋째, 실제 연구대상학교를 중심으로 재구성된 인간수행 공학모형을 적용하여 도서관활용수업을 저해하는 요인을 도출하고 분석기법에 따라 수행요인을 분류하여 저해요인의 해소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제시된 도서관활용수업 저해요인의 해소방안으로는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명확한 기대치 제공과 학습목표의 정확한 기술, 도서관활용수업 지원체제 구축, 교사들의 외적 동기 유발 시스템 개발, 다양한 도서관활용수업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학교장과 일선 교사들의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인식전환 등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학교도서관매체센터가 도서관활용수업의 활성화로 인해 학교교육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IPA기법을 활용한 어린이집 평가제 평가지표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hildcare Evaluation System Indicators Using the IPA Technique)

  • 문인선;홍성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5-79
    • /
    • 202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childcare center evaluation system among childcare center staff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childcare center evaluation system.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296 directors and teachers of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paired sample t-test and an IPA analysis with SPSS 23.0 and Excel 2010. Result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hildcare staff for the overall evaluation indicator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areas and nine evaluation indicators except for "childcare environment and operatio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IPA analysis, Health and Safety fell into quadrant 1, Staff into quadrant 2, and Child Care Process, Interaction, Child Care Environment, and Operations into quadrant 3. This distribution resulted in 6 indicators in quadrant 1, 4 in quadrant 2, 7 in quadrant 3, and 1 in quadrant 4.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s essential data for exploring ways to enhance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childcare center evaluation system, with the goal of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Additionally, it offers policy implications.

어린이집 자율관리를 위한 조직역량 진단도구(S.T.E.P+)의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T.E.P+ Diagnostic Tool: Assessing Organizational Competence for Self-management in Daycare Centers)

  • 강정원;박소영;이원선;임여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5-126
    • /
    • 2024
  •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tool for assessing daycare center organizational competence and for autonomously managing childcare quality. Method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reviews, items were derived and validated using the Content Validity Index. Data from a survey involving 216 directors and 509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to assess reliability and conduc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Results revealed a 36-item diagnostic tool across four subcategories: shared values (6 items), training abilities (18 items), environmental support (6 items), and organizational promotion (6 items). A diagnostic tool named S.T.E.P+ was developed, named after the first letters of the four subfactors. Skewness and kurtosis were within normality assumptions. Good fit indices (CFI, TLI) and low SRMR and RMSEA values indicated a satisfactory model fit. Cronbach's α values showed high reliability for all factors. The tool enables autonomous diagnosis of childcare qualit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tool can effectively autonomously diagnose whether a daycare center is providing quality childcare.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에 관한 예비 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Sca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in Korea)

  • 이은해;이기숙
    • 아동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21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for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programs in Korea. The procedures included content validation and a pilot test. A total of 192 items in 10 major areas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 and discussions with professiona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10 areas include: scheduling, curriculum, interation, physical environment, materials, nutrition, health and safety, administration, staff qualifications,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evaluation. The pilot scale was administered to 428 classroom teachers and directors, and 47 college profess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items were rated on a 3-point scale in terms of importance as evaluation criteria. The methods for data analysis included item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content validation, Cronbach ${\alpha}$ for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for construct validity. Most items in 10 areas were rated as moderate to highly important (average 2.3), especially items in curriculum and staff qualifications. Two factors emerged from the data: institutional management, and curricular planning and implementation. The Cronbach ${\alpha}$ levels were .70 or higher in most areas, but the range covers from .48 to .91. Based on the pilot data, 143 items were selected for the second year study.

  • PDF

Examin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rograms in China

  • Moon, Hyuk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7권1호
    • /
    • pp.39-51
    • /
    • 2016
  • This pilot study examined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three Chinese cities. The samples for this study were one university-based kindergarten, one private kindergarten (rural area), and one public kindergarten (urban area). Six types of instruments were used to asses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rvices regarding quality matters. Most questions asked were open-ended; consequently, the interview answers by kindergarten directors or teachers (as well as observations made by the researcher) formed the basis for collecting the data. Quality components for each program were determined by a comparison method. The comparison allowed the researcher to understand the range of quality education and care available as well as the variability of existing kindergarten programs in China. The findings of the investigation revealed important information on; (a) demographic information (fees, class hours, total weeks of class, vacation, number of children and staff, class size, and teacher-child ratio) (b) teacher characteristics, (c) health practices, (d) safety practices, (e) work environment, (f) physical settings, (g) play materials, (h) parent involvement, (i) nutrition, (j) daily schedule. Implications within the Chinese context for quality practices and issues to further develop and strength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ystem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