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for Teacher Efficac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 Shin, Jeong Ae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angnam University) ;
  • Kim, Sung Won (Dept. of Industrial Education, Chongshin University)
  • 신정애 (강남대학교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
  • 김성원 (총신대학교 산업교육학부)
  • Received : 2019.04.29
  • Accepted : 2019.06.13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 teacher efficacy sca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xplo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it. Methods: As the first step of this research, 17 teacher efficacy factors were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on related areas and a survey from directors, teachers, and professors. The preliminary 83 items applicable to the chosen factors were developed and revised through content validity test from seven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pilot test, item correction, main survey, an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Four hundred seventy one teachers working in a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The teacher effica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inalized with 3 factors and 23 items. The teacher efficacy scale was composed of 16 items in teaching competence, 4 item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3 items in a sense of calling. Conclusion/Implications: In this study, the valid and reliable teacher efficacy scale was developed. This scale might be a useful tool to develop the further studies in the topics of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other variables.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받는 주제인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첫 단계로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요인을 선정하였고, 10년 이상의 현장경력과 유아교육 관련 분야 석사학위 이상을 가진 교사와 원장, 교수 22명을 대상으로 9개 영역, 20개 요인의 적합성을 평가받아 18개 요인을 선정하였다. 현장 전문가들이 선정한 요인에 해당하는 83문항을 개발하여 유아교육전문가 7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 검사를 받았고, 그들이 평정한 내용타당도 지수(CVI)에 기초하여 44문항을 추출하였다. 영유아교육 현장의 교사로부터 회수된 471부의 설문지를 기초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영유아 교사효능감 측정도구의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본 도구는 교수능력 16문항, 대인관계 4문항, 소명감 3문항, 3개 영역 2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 도구는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여 관련 요인과의 관계를 밝힘으로 후속연구 발전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연정(2017).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조직문화 인식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1). 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국민일보(2019. 2). '밥주걱'으로 한 대, 두 대... 한살 영아 학대한 어린이집 CCTV 영상. 국민일보.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3068454&code=61121111&cp=du에서 2019년 02월 20일 인출
  4. 권정윤, 안혜준, 송승민, 권희경(2016). 유아생활지도. 서울: 학지사.
  5. 김규수, 임승렬(2016). 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영유아교사론. 고양: 공동체.
  6. 김미경(2006). 유치원교사의 개인성향 및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역할수행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미진(2013). 공공형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 교사 효능감 비교.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선(2013). 예비유아교사의 교수능력 함양을 위한 탐구중심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선영, 서소정(2010). 유아 교사 효능감 척도 개발 연구. 아동학회지, 31(4), 91-110.
  10. 김선영, 이경옥(2005).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개념과 측정구조에 대한 분석. 유아교육연구, 25(3), 267-287.
  11. 김솜이(2017). 유아교사의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숙자, 전진호(2018). 보육교사의 소명의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신뢰,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2), 173-194.
  13. 김연하, 김양은(2008). bandura의 교사 자기 효능감 척도(Teacher Self-efficacy Scale) 요인구조 분석. 유아교육연구, 28(2), 169-191.
  14. 김영태(2015). 예비보육교사들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8), 5143-5151. doi:10.5762/KAIS.2015.16.8.5143
  15. 김용석(2009). 사회복지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의 개발과 평가.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1(3). 127-160.
  16. 김정미(2015). 영유아 교사 효능감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35(4), 55-72.
  17. 김지영, 성연승, 이정원(2014). 영유아 놀이지도. 서울: 교육아카데미.
  18. 김철규(2010).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 및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김태선, 김광수(2018). 초등교사 소명척도 개발. 초등교육연구, 31(1), 1-27. doi:10.29096/JEE.31.1.01
  20. 김현진(2014).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직무 만족도 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김혜경(2011). 보육교사 적성 요인구조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141-162.
  22. 김혜정(2001). 유치원의 조직풍토, 교사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김희경(2017).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 효능감이 교사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 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김희태, 백영숙(2009).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교수 효능감. 유아교육학논집, 13(3), 51-67.
  25. 노경섭(2019).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SPSS & AMOS. 서울: 한빛아카데미.
  26. 노은아(2012). 공공형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및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박묘정(2018).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박봉환(2018). 보육교사의 CCTV 인식, 소진, 소명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 313-332. doi:10.22251/jlcci.2018.18.1.313
  29. 박성혜(2014). 예비교사들의 교직소명감, 자아존중감, 교직인성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0), 285-304.
  30. 박은경, 선혜연(2017). 교사의 소명의식 유형에 대한 Q방법론적 접근. 교육연구논총, 38(1), 55-78. doi:10.18612/cnujes.2017.38.1.55
  31. 박은혜(2016).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32. 박제화(2008). 유치원 교사의 배경 변인과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박혜미(2018). 유아교사 대인관계척도 개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박혜옥(2016).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창의적 리더십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박효진(2013). 영아반 교사의 교사 효능감 관련변인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방정선(2013).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배세은(2016). 교사의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교사 효능감이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백승미(2016).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변은경, 장경오(2015).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논문지, 16(6), 3982-3990. doi:10.5762/KAIS.2015.16.6.3982
  40.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2013).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서울;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41. 보건복지부, 한국보육진흥원(2017). 제3차 어린이집 3 평가인증 안내.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42. 빈윤희(2015). 유아교사의 원가족 경험과 회복탄력성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서재경(2014). 학부모 및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보육교사-학부모간의 의사소통에 관한 어려움과 보육교사 효능감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서진선(2017).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사 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성태제, 강대중, 강이철, 곽덕주, 김계현, 김천기,...홍후조(2016). 최신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46. 손미현(2014).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과 교사 효능감이 유아의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송하나(2017). 연구도구의 내용 타당도와 문화 타당도. 아동학회지, 38(3), 1-3. doi:10.5723/kjcs.2017.38.3.1
  48. 신은정(2016). 경력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자기결정성이 유아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 신혜영(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0. 안혜준, 송승민, 조형숙, 권희경(2016). 놀이지도. 고양; 파워북.
  51. 양옥승, 최경애, 이혜원(2015). 영유아교육과정. 서울: 학지사.
  52. 양인애, 백영숙(2017). 영유아 교사의 의사소통능력 및 원장-교사와의 교환 관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2(6), 119-142. doi:10.20437/KOAECE22-6-06
  53. 엄명용, 조성우(2005). 사회복지실천과 척도개발: 표준화된 척도를 중심으로. 서울: 학지사.
  54. 여은진(2004). 유아 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관련 변인 연구: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지원환경 및 교수만족도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예지은, 진현, 서의정, 김명진, 류지성(2013). 직장인의 행복에 관한 연구: SERI 연구보고서. 삼성경제연구소.
  56. 오옥선(2014). 유아교사의 직업환경적 요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89, 103-125.
  57. 오현숙(2013).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몰입 및 행복감에 따른 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교수창의성의 차이: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왕지선(2011).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우종필(2016).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60. 유화(2017). 어린이집교사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조직 몰입 및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윤갑정, 차정주(2015). 예비유아교사의 소명감, 진로 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4), 567-587.
  62. 윤미라(2014). 유아교사의 애착과 교사효능감 및 심리적안녕감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이경례(2016).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정서조절능력, 교사효능감, 교사행동의 질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4. 이경미(2012).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효능감, 대인관계능력 및 교수창의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5. 이경화(2016).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상호작용적 교수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6. 이분려(1998).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7. 이선미, 이다인(2017). 어린이집 교사의 여가만족이 교사효능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3), 143-160. doi:10.22155/JFECE.24.3.143.160
  68. 이은숙(2016).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직무스트레스, 보육효능감, 보육헌신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9. 이은희(2016). 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행복감 및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0. 이현정(1998). 교사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1. 이현정(2010). 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2. 이현정(2014). 교사가 지각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관한 어려움과 직무만족도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국공립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와 영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3. 임경심(2009). 유치원 교육실습에서 반성적 저널쓰기가 예비교사의 교육신념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4. 임성택(2011). 교사효능감. 서울: 강현출판사.
  75. 임수진, 여은진, 이혜원(2013).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조직몰입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3(3), 301-318.
  76. 장미정(2011). 유치원 질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효능감이 유아의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7. 장봉희(2011). 유치원의 조직풍토와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8. 정덕희(2015).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이야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2), 77-99.
  79. 정언애(2002). 유치원의 조직풍토 교사 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간의 상호 관계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0. 조부경, 서소영(2001).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에 따른 과학 교수 실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3), 622-634.
  81. 지선애(2013).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 교사의 효능감 비교: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 교사의 효능감 비교.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2. 차언지(2013). 어린이집교사의 보육컨설팅 참여 여부에 따른 교사 효능감 차이.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3. 차정주(2018). 예비유아교사의 소명감, 그릿 및 전공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7), 727-744. doi:10.22251/jlcci.2018.18.17.727
  84. 차정주, 윤갑정(2016). 예비유아교사의 소명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5(4), 93-112.
  85. 채영란(2009). 유아교사의 역할갈등 및 직무만족도가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8(3), 115-135.
  86. 최예슬(2014).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이직결정 경험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7. 최정애(2016). 유아교사의 교육신념 전문성 교수효능감이 누리과정 활용수준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8. 한국일보(2019. 2). '때리고 묶고' 아산 어린이집 원생학대, 보육교사 입건. 한국일보.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90214169 8383456?did=DA&dtype=&dtypecode=&prnewsid/에서 2019년 02월 20일 인출
  89. 허미애(2016). 유아교사를 위한 현장교육의 이론과 실제. 고양: 공동체.
  90. 헤럴드경제(2019. 2). 사립유치원 '에듀파인' 사용 의무화. 헤럴드경제.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90225000368에서 2019년 02월 26일 인출
  91. 홍길회, 이혜란, 왕영희, 정미자(2016). 사회.가족 변화에 따른 부모교육. 서울: 창지사.
  92. 홍화연(2015). 유아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와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3. 황민희(2017). 보육교사의 자아개념, 교사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 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4. KBS NEWS(2019. 2). 경기교육청, '사립유치원 감사' 시민감사관 2배 증원. KBS NEWS.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142786&ref=D에서 2019년 2월 26일 인출
  95. MBC NEWS(2019. 2). "어린이집원장, 학대방지 현장 지도 소홀 중과실". MBC NEWS. http://imnews.imbc.com/news/2019/society/article/5156432_24698.html에서 02월 20일 인출
  96. SBS NEWS(2019. 2). "유아교육, 사실상 사망"...한유총, 오늘 대규모 집회. SBS NEWS.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151239&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에서 2019년 02월 26일 인출
  97. Armor, D., Conroy-Oseguera, P., Cox, M., King, N., McDonnell, L., & Pascal, A., Pauly, E., Zellman, G. (1976). Analysis of the school preferred reading programs in selected Los Angeles minority schools (Rep. No. R-2007-LAUSD). Santa Monica, CA: RAND.
  98. Bandura, A. (2006). Guide for constructing self-efficacy scales. In F. Pajares, & T. Urdan (Eds.), Self-efficacy beliefs of adolescents (pp. 307-337). Greenwich, CT: Information Age.
  99. Cha, J., & Kang, H. S. (2014). The impact of a sense of calling on teacher job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0(2), 149-169. doi:10.14333/KJTE.2014.30.2.149
  100. Enochs, L. G., Smith, P. L., & Huinker, D. (2000). Establishing factorial validity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0(4), 194-202. doi:10.1111/j.1949-8594.2000.tb17256.x
  101.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569-582. doi:10.1037//0022-0663.76.4.569
  102. Kline, R. B. (2016).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4th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03. Riggs, I. M., & Enochs, L. G.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74(6), 625-637. doi:10.1002/sce.3730740605
  104. Tschannen-Moran, M., & Hoy, A. W. (2001). Teacher efficacy: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7), 783-805. doi:10.1016/S0742-051X(01)000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