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성희, 제경숙, 김병만 (2019). IPA 기법을 활용한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 통합지표의 중요 및 실행도 분석. 아동교육, 28(4), 55-78. https://doi.org/10.17643/KJCE.2019.28.4.04
- 강정은, 김정준 (2021).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의 변화와 어려움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어린이미디어연구, 20(1), 101-131. https://doi.org/10.21183/kjcm.2021.03.20.1.101
- 강진실 (2020). 보육교직원의 어린이집 평가제 평가지표에 대한 중요도- 실행도 인식. 동의대학교석사학위논문.
- 강혜정 (2018).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합지표와 운영체계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경성대학교석사학위논문.
- 김남순 (2018).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에 관한 연구: 3차 평가인증 운영체계 및 통합지표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남희, 김미진 (2016). 어린이집평가인증 3차 지표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연구. 유아교육연구, 36(6), 525-547.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6.022
- 김은정 (2020). 보육교사의 교사 전문성과 어린이집 평가제 지표 수행가능성과의 관계.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혜경 (2018).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 지표를 경험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 차이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혜은 (2018).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 통합지표와 운영체계에 대한 보육 교원의 인식 및 실천.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희진, 한영미 (2022). 영유아교육기관 건강.영양.안전 평가지표 비교 연구 : 한국, 미국, 호주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53(3), 327-354. https://doi.org/10.15854/jes.2022.09.53.3.327
- 류혜영 (2019). 어린이집 평가제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및 개선방안.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보건복지부 (2023). 제4차 중장기 보육 기본계획. https://www.mohw.go.kr/react/gm/sgm0701vw.jsp?PAR_MENU_ID=13&MENU_ID=1304081001&CONT_SEQ=376853에서 2023년 7월 30일 인출
- 보건복지부, 한국보육진흥원 (2022). 2022 어린이집 평가 매뉴얼. 한국보육진흥원.
- 서문희, 김은영, 송신영 (2009). 보육교사의 인식을 통해 본 평가인증의 효과. 육아정책연구, 3(2), 1-22.
- 심성경, 백영애, 최대훈, 공미자, 변길희, 박지애 등 (2006). 보육시설평가인증제 참여교사와 비참여교사의 인식비교. 유아교육학논집, 10(2), 75-94.
- 안소영 (2016).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시간과 심리적 어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1), 203-223.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203
- 이경화, 이황순 (2023). 표준보육과정과 어린이집 평가제의 간극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육혁신연구, 33(1), 245-262. https://doi.org/10.21024/PNUEDI.33.1.202303.245
- 이훈민, 김희수 (2023). 어린이집 평가제에 따른 직무소진 보육교사의 심리상담 경험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23(2), 41-58.
- 임정은, 정연미 (2021). 어린이집 평가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전문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16(1), 207-221.
- 정선아, 안소영, 박보영 (2023). 보육서비스의 질 제고를 위한 어린이집 평가제의 방향 탐색: 구조에서 과정 중심으로 패러다임 전환. 영유아교육과정연구, 13(3), 27-51. https://doi.org/10.26834/ksycbc. 2023.13.3.27
- 정진이 (2021). 어린이집 평가제 평가지표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중요도-실행도(IPA) 인식 차이.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정재은, 정은정 (2012). 어린이집 평가인증 제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 30(1), 67-94.
- 조애진 (2016).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 지표의 실현성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조현옥, 최인화 (2011).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비교 : 2차 평가인증지표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301-324.
- 진은영, 이경화 (2020). 보육교사들이 이야기하는 어린이집 평가의 어려움: 질적 메타분석. 교육혁신연구, 30(1), 261-287. https://doi.org/10.21024/PNUEDI.30.1.202003.261
- 하은경, 김주후, 김경란 (2008).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참여 및 만족도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4), 153-176.
- 한지현, 한영숙 (2020). 어린이집 평가제의 평가지표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도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4(2), 105-127. https://doi.org/10.32349/ECERR.2020.4.24.2.105
- 홍성희, 조은래 (2017).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평가에 대한 은유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1), 687-705. http://dx.doi.org/10.22251/jlcci.2017.17.11.687
- 황수연 (2022.10.18.). 어린이집 평가인증 믿어도 되나...아동학대로 인증 취소된 곳 80%는 A등급.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0000에서 2023년 8월 20일 인출
- 황해익, 김남희, 정혜영 (2013).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현안 및 발전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461-490.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