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hildcare Evaluation System Indicators Using the IPA Technique

IPA기법을 활용한 어린이집 평가제 평가지표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문인선 (두산위브드림어린이집) ;
  • 홍성희 (동의대학교 보육가정상담학과)
  • Received : 2023.08.24
  • Accepted : 2023.10.10
  • Published : 2023.10.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childcare center evaluation system among childcare center staff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childcare center evaluation system.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296 directors and teachers of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paired sample t-test and an IPA analysis with SPSS 23.0 and Excel 2010. Result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hildcare staff for the overall evaluation indicator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areas and nine evaluation indicators except for "childcare environment and operatio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IPA analysis, Health and Safety fell into quadrant 1, Staff into quadrant 2, and Child Care Process, Interaction, Child Care Environment, and Operations into quadrant 3. This distribution resulted in 6 indicators in quadrant 1, 4 in quadrant 2, 7 in quadrant 3, and 1 in quadrant 4.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s essential data for exploring ways to enhance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childcare center evaluation system, with the goal of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Additionally, it offers policy implications.

Keywords

References

  1. 강성희, 제경숙, 김병만 (2019). IPA 기법을 활용한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 통합지표의 중요 및 실행도 분석. 아동교육, 28(4), 55-78. https://doi.org/10.17643/KJCE.2019.28.4.04
  2. 강정은, 김정준 (2021).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의 변화와 어려움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어린이미디어연구, 20(1), 101-131. https://doi.org/10.21183/kjcm.2021.03.20.1.101
  3. 강진실 (2020). 보육교직원의 어린이집 평가제 평가지표에 대한 중요도- 실행도 인식. 동의대학교석사학위논문.
  4. 강혜정 (2018).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합지표와 운영체계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경성대학교석사학위논문.
  5. 김남순 (2018).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에 관한 연구: 3차 평가인증 운영체계 및 통합지표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남희, 김미진 (2016). 어린이집평가인증 3차 지표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연구. 유아교육연구, 36(6), 525-547.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6.022
  7. 김은정 (2020). 보육교사의 교사 전문성과 어린이집 평가제 지표 수행가능성과의 관계.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혜경 (2018).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 지표를 경험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 차이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혜은 (2018).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 통합지표와 운영체계에 대한 보육 교원의 인식 및 실천.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희진, 한영미 (2022). 영유아교육기관 건강.영양.안전 평가지표 비교 연구 : 한국, 미국, 호주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53(3), 327-354. https://doi.org/10.15854/jes.2022.09.53.3.327
  11. 류혜영 (2019). 어린이집 평가제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및 개선방안.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보건복지부 (2023). 제4차 중장기 보육 기본계획. https://www.mohw.go.kr/react/gm/sgm0701vw.jsp?PAR_MENU_ID=13&MENU_ID=1304081001&CONT_SEQ=376853에서 2023년 7월 30일 인출
  13. 보건복지부, 한국보육진흥원 (2022). 2022 어린이집 평가 매뉴얼. 한국보육진흥원.
  14. 서문희, 김은영, 송신영 (2009). 보육교사의 인식을 통해 본 평가인증의 효과. 육아정책연구, 3(2), 1-22.
  15. 심성경, 백영애, 최대훈, 공미자, 변길희, 박지애 등 (2006). 보육시설평가인증제 참여교사와 비참여교사의 인식비교. 유아교육학논집, 10(2), 75-94.
  16. 안소영 (2016).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시간과 심리적 어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1), 203-223.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203
  17. 이경화, 이황순 (2023). 표준보육과정과 어린이집 평가제의 간극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육혁신연구, 33(1), 245-262. https://doi.org/10.21024/PNUEDI.33.1.202303.245
  18. 이훈민, 김희수 (2023). 어린이집 평가제에 따른 직무소진 보육교사의 심리상담 경험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23(2), 41-58.
  19. 임정은, 정연미 (2021). 어린이집 평가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전문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16(1), 207-221.
  20. 정선아, 안소영, 박보영 (2023). 보육서비스의 질 제고를 위한 어린이집 평가제의 방향 탐색: 구조에서 과정 중심으로 패러다임 전환. 영유아교육과정연구, 13(3), 27-51. https://doi.org/10.26834/ksycbc. 2023.13.3.27
  21. 정진이 (2021). 어린이집 평가제 평가지표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중요도-실행도(IPA) 인식 차이.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정재은, 정은정 (2012). 어린이집 평가인증 제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 30(1), 67-94.
  23. 조애진 (2016).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 지표의 실현성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조현옥, 최인화 (2011).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비교 : 2차 평가인증지표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301-324.
  25. 진은영, 이경화 (2020). 보육교사들이 이야기하는 어린이집 평가의 어려움: 질적 메타분석. 교육혁신연구, 30(1), 261-287. https://doi.org/10.21024/PNUEDI.30.1.202003.261
  26. 하은경, 김주후, 김경란 (2008).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참여 및 만족도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4), 153-176.
  27. 한지현, 한영숙 (2020). 어린이집 평가제의 평가지표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도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4(2), 105-127. https://doi.org/10.32349/ECERR.2020.4.24.2.105
  28. 홍성희, 조은래 (2017).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평가에 대한 은유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1), 687-705. http://dx.doi.org/10.22251/jlcci.2017.17.11.687
  29. 황수연 (2022.10.18.). 어린이집 평가인증 믿어도 되나...아동학대로 인증 취소된 곳 80%는 A등급.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0000에서 2023년 8월 20일 인출
  30. 황해익, 김남희, 정혜영 (2013).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현안 및 발전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461-490.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