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precep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탐구 학습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인식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Inquiry Learning)

  • 박정희;박예리;김정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731-738
    • /
    • 2004
  • 본 연구는 중 ${\cdot}$고등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탐구 학습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교사 수준의 탐구 학습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탐구 학습 인식에 관한 설문지를 개발하여 서울교육과학연구원의 실험 연수에 참여한 서울지역 중 ${\cdot}$ 고등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교사들은 과학 교육의 중요한 목표가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실생활과 관련된 소재를 수업에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교사가 탐구 학습을 학습자 중심의 열린 탐구 학습에 대한 인식하고 있었고, 대학 입시 제도, 탐구수업 보조 자료의 부족, 학생들의 의지 부족, 교사들의 탐구 학습에 대한 인식의 부족 등이 탐구 학습의 실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초등학교 교사의 탐구에 대한 신념과 과학과 수행평가의 실제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of Inquiry and practice of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 고민석;김은애;허진미;양일호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4-13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of inquiry and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To collect data for analyz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of inquiry and their practice of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the researcher was surveyed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of inquiry was shown as constructivist tendency. This view of inquiry involves watching and doing experiments, and the skills of thinking processes, in which learners make their own interpretations rather than merely acquiring preexisting knowledge structures. Second, for content knowledge, participants' preception about the target of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involved assessing application of science knowledge rather than basic level of substantive knowledge. For inquiry process, participants' preception about the target of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involved assessing the lower level of inquiry rather than the higher level of inquiry. Most of participants was measured using a paper and pencil test for the actual evaluation methods due to the ease and objectivity of the assessment, the lack of understanding how to perform the performance evaluation process and method. Especially, participants who recognize that the higher level of inquiry was used performance and informal mode of assessing.

중·고등학교 보건교사의 자궁경부암 예방백신에 대한 지식과 암 정보추구행위 및 교육의지 (The Relationships among Knowledg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d Willingness for Education about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in the Middle or High School Teachers)

  • 김창희;송주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4권4호
    • /
    • pp.239-248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knowledge, cancer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d Willingness for education about Human Papillomavirus (HPV) vaccination among school teachers. Methods: The subjects were 135 teachers who had were working in the middle or high school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report questionnaire, 2011.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d Willingness for education about HPV vaccina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Willingness for education according to necessity of HPV vaccination for premarital women above 16-year old and marital women below 45-year old, and necessity of education for students. The Willingness for education were predicted by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groups who HPV vaccination is necessary to premarital women above 16-year old, and HPV vaccination education for student is necessary. These variables explained 25.0% of the variance of the Willingness for education about HPV vaccination. Conclusion: The Willingness for education about HPV vaccination among middle or high school teachers could be improved by the emphasis of the preception that HPV vaccination is necessary to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and is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cervical cancer.

유아교육현장에서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Teachers' Preception and Practice on Portfolio Assessment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심성경;변길희;류경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449-460
    • /
    • 2012
  •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제의 차이와 어려움을 알아보고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J I G시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304명이며, 질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대응표본 T-Test, ANOVA, Scheff$\acute{e}$검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포트폴리오 평가의 실시방법과 효과에 대한 모든 하위영역별 실제의 수준은 인식 수준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학력에 따라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4년대졸 이상 학력의 교사가 전문대졸 이하 학력의 교사에 비해 포트폴리오 평가의 실시 방법과 효과에 대한 인식과 실제의 차이가 더 컸다. 둘째,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어려움을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모든 하위문항에 걸쳐 대체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하위내용별로 부분적 차이만 있었다. 즉, 국공립 유치원 교사와 학력이나 경력이 높은 교사의 경우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어려움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포트폴리오 평가 실시에 대해 교사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것은 포트폴리오 실시 여부나 질적 측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교사들이 생각하는 어려움을 해소해 줄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포트폴리오 관련 연수의 실시와 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고등학교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도입과 활용에 대한 학교 관리자와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Comparison of high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and teachers' on th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Instruction to Intellectual Property"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임윤진;이건환;박경선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8-8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고등학교 진로선택 교과로 도입된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안정적인 정착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 것으로써, 고등학교 관리자와 관련 교사들이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도입과 활용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조사도구는 연구진이 개발한 뒤 발명교육 전문가 2인의 내용검토 후 최종 설문지로 완성되었다. 설문조사는 2016년 12월 1개월 간 한국발명진흥회에서 주관하는 직무연수 과정에 참여한 115명의 학교 관리자들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자료 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95개였다. 자료의 분석에는 SPSS 22.0K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통계처리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 및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교육과정 내용과 '지식 재산 교과'의 필요 인식에서는 연수 참여자 모두가 보통 수준의 인식을 갖고 있었다. 둘째,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활용에 대해서는 연수 참여자 모두가 보통 이상의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전략은 높은 정도의 인식을 갖고 있었다. 셋째,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교육과정 인식에서는 교사의 인식수준이 관리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필요에 대한 인식에서는 교내 활동의 활성화에 대해서만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