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high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and teachers' on th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Instruction to Intellectual Property"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고등학교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도입과 활용에 대한 학교 관리자와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 임윤진 (대전전민고등학교) ;
  • 이건환 (한국발명진흥회 발명영재교육연구원) ;
  • 박경선 (한국발명진흥회 발명영재교육연구원)
  • Received : 2017.02.10
  • Accepted : 2017.03.23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e study aims to find the strategies to support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Introduction to Intellectual Property" which was established as a new subject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assist high school students to explore career choices. For the research purpose accomplished, the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high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with teachers' regarding how they differently perceive th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Introduction to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high schools. The survey tool was developed through the content investigation of two experts in the field of invention education.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15 participants in a training course run by KIPA(Korea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 for high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which lasted for one month, December in the year of 2016. However, 9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e research. SPSS 22.K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with the 5% significance level.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both administrators' group and teachers' showed the moderate level of perception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the subject as well as the curriculum content of "Introduction to Intellectual Property". Second, the two groups presented the above-average of preception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the subject, and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regarding the necessity of strategies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in high schools. Third, teachers' perception on the curriculum of "Introduction to Intellectual Property" was higher than administrators' withi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Moreover, the two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effort to facilitate intramural activities based on the subject regarding perceiving the necessity of the subje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고등학교 진로선택 교과로 도입된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안정적인 정착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 것으로써, 고등학교 관리자와 관련 교사들이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도입과 활용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조사도구는 연구진이 개발한 뒤 발명교육 전문가 2인의 내용검토 후 최종 설문지로 완성되었다. 설문조사는 2016년 12월 1개월 간 한국발명진흥회에서 주관하는 직무연수 과정에 참여한 115명의 학교 관리자들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자료 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95개였다. 자료의 분석에는 SPSS 22.0K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통계처리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 및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교육과정 내용과 '지식 재산 교과'의 필요 인식에서는 연수 참여자 모두가 보통 수준의 인식을 갖고 있었다. 둘째,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활용에 대해서는 연수 참여자 모두가 보통 이상의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전략은 높은 정도의 인식을 갖고 있었다. 셋째,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교육과정 인식에서는 교사의 인식수준이 관리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지식 재산 일반' 교과의 필요에 대한 인식에서는 교내 활동의 활성화에 대해서만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a).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교육부.
  2. 교육부(2015b). 고등학교 교육과정(I, II, III).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4권. 교육부.
  3. 문대영(2014). 초등학교 실과의 발명교육 내용요소 도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1), 219-233.
  4. 박윤희 외(2006).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식 재산권 교육의 활성화 방안 탐색. 직업교육연구, 25(1), 43-70.
  5. 이규녀, 이병욱(2014). 초. 중. 고에서의 발명-지식 재산 교육 핵심 학습 요소 편성 실태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2), 194-215.
  6. 이병욱, 안재영, 임유화(2014). 중등 직업교육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실태 분석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2), 118-135.
  7. 이병욱, 이상현(2015).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학생의 직무발명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 요소 추출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5(3), 203-228.
  8. 이정훈, 김기수, 이창훈(2009). 중등 기술교과교육에서 발명교육 내용의 구성 체계 구안. 실과교육연구, 15(2), 275-294.
  9. 이춘식 외(2006). 정규교과를 통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실과교육연구, 12(3), 89-102.
  10. 임윤진, 최유현(2015). 초.중학생용 지식 재산태도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실과교육연구, 21(4), 205-226.
  11. 정제영 외(2016). 2016년 발명교사 양성 체계화 및 교육확산 연구보고서. 한국발명진흥회.
  12. 최유현 외(2012). 초. 중. 고등학생을 위한 발명 교육 내용 표준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148-168.
  13. 최유현 외(2017). 고등학교 '지식 재산 일반' 교과 지도를 위한 예비기술교사 교육과정의 진단과 과제. 미간행 연구보고서. 한국발명진흥회. pp.3-4.
  14. 특허청(2012). 제2차 국가지식 재산 인력양성 종합계획. 특허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