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iddle School Principals' Perception Changes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중학교 교장의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에 대한 인식 변화 연구

  • Received : 2017.02.10
  • Accepted : 2017.03.22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reveal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perception changes and suggest the need for supporting the improvement of their perception by analyzing middle school principals' perception changes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about them. For this, middle school principals' perception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about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argeting 214 pers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middle school principals' perception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has found to make more positive changes in the present than the past and be going to make more positive changes in the future than the present.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various policies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ir perception since 2005. Second, in the result that analyzed changes in the ranks about middle school principals' perception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about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the fields of "nurturing students' aptitude and talent early" and "their fast financial independence after graduation" were recognized as positive in the past, the present, and future. As the field of "entering universities in the same field easily" was recognized ranking high in the past and the present, but doing low in the future, it h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is changing according to governmental policies' directions.

본 연구는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에 대한 중학교 교장의 과거와 현재, 미래의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여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의 인식 변화를 구명하고,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의 인식 개선을 위한 정책 지원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학교 교장 214명을 대상으로 하여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에 대한 과거와 현재, 미래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학교 교장이 인식한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에 대한 인식은 과거보다 현재가 더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현재보다 미래가 더 긍정적으로 변화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5년 이후 다양한 중등단계 직업교육 정책이 직업교육의 인식 개선의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가 있음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중학교 교장의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에 대한 과거 현재 미래의 인식의 내용에 대한 순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적성과 소질을 일찍 살릴 수 있음"과 "졸업 후 학생의 경제적 자립이 빠름"과 관련된 내용에서 과거 현재 미래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동일계 대학 진학이 용이함"과 관련된 내용은 과거와 현재에서는 높은 순위로 인식하였으나, 미래에는 낮은 순위로 인식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정부의 정책의 방향에 따른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에 대한 인식도 달라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효삼(2000), 실업계 고등학교의 위기요인에 대한 실증조사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2. 교육부(2016a). 2016 특성화고 직업교육 주요업무 계획. 보도자료.
  3. 교육부(2016b). 시.도교육청 직업교육 담당 과장 및 담당자 협의회. 자료집.
  4. 교육부(2016c.).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졸업생 취업률 7년 연속 상승. 보도자료.
  5. 김병찬(2010). 교장의 직무 수행 과정에 대한 질적 분석 연구. 교육연구, 18(2), 185-222.
  6. 김형만(2003). 실업계 고등학교 정상화의 본질. 제7차 정례토론회. 발표자료.
  7. 대통령자문혁신위원회(2005).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8. 박태준 외(2003). 직업교육 기피현상의 사회문화적 접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이병욱(2012). MB정부의 중등교육단계 직업교육 성과와 차기 정부의 직업교육 방향, 2012 한국직업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9-3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이병욱 외(2013).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담당자의 인식 비교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8(2), 48-67.
  11. 이병욱, 안재영(2014). 고졸 취업의 질적 성장을 위한 중등 직업교육 기관의 운영 개선에 대한 교원의 인식 조사 연구.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7(2), 55-79.
  12. 이종성, 정향진(2004).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편 방향 탐색.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안재영 외(2015). 세종시 특성화고 설립을 위한 교육수요자의 요구 분석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5(3), 248-272.
  14. 장명희 외(2012). 고졸 취업 및 후진학 활성화 정책 성과분석 연구. 교육과학기술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
  15. 장명희 외(2014).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개발 연구. 교육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
  16. 최동선 외(2010). 전문계고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정부부처합동자료(2013). '고용률 70% 로드맵' 발표. 보도자료.
  18. 허영준(2015). 특성화고 정책의 변화과정과 향후 과제. 교육비평, 35, 96-120.
  19. 시사포커스. 고졸취업 성공자 42% 후회. 2014.2.24.일자 기사
  20. 한국교육개발원(각년도). 교육통계연보. http://cesi.ked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