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cognition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3초

성학대를 내용으로 한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나타난 만 5세 유아의 반응 분석 (An Analysis of the Responses of 5'Year' Old Children in the Process of Reading Picturebooks on Sexual Abuse)

  • 천희영;이귀숙;신세니
    • 아동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117-13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5'year' old children's responses in the process of reading picturebooks on sexual abuse and to explo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42'five year' old children and 2 of their teachers participated as subjects in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by means of observation, a diary record of the teacher's class, and an interview with teachers about children's responses in the process of reading picturebooks on sexual abuse during the free choice activities, and group activities in J and K daycare centers in Busan, Korea from July to Septemb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analysis identified three patterns of responses; consistent responses, awkward responses, and confused and frightened responses. These result imply that selecting picturebooks for sexual abuse preventive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needs to be given careful consideration.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reading skills and sociocultural cognition regarding sexuality in general were also discussed.

과학 실험 실습 교육에서 초등 교사가 느끼는 딜레마 (Elementary Teachers' Dilemmas of Teaching Science Practical Work)

  • 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2호
    • /
    • pp.102-116
    • /
    • 2008
  • In their teaching practice, teachers encounter multi-dimensions of pedagogical challenges. The recognition and reflection on these challenges is crucial to advance our science teaching. This study looked into science teachers' dilemmas of their teaching practical work through their written cases. Dilemma cases are teachers' narratives organized around important ev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It can reveal teachers' situated cognition and be used as lens to investigate complex realities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26 pre- and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dilemma cases of science practical work were carefully collected and analysed to interpret what constitute tensions in elementary science practical works. They were largely grouped into three: Curriculum and Institutional Relevance, Students Relevance, Nature of School Experiments Relevance and divided into 7 subheadings: 'Authority of Curriculum(textbook)', 'Disappointment at external support', 'Students' interests and safety', 'Students' unscientific and inert attitude', 'Difficulty of showing expected results', 'Generalization through experiment', 'Knowledge acquisition and authentic inquiry'. Each dilemma was interpreted in terms of the tensions which constitute contradictory beliefs, values, expectation and realities. These dilemmas enabled to expose actual conditions of elementary science practical work and teachers' challenges otherwise can not be seen easily. Science teacher educators also can get some implications to overcome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their teacher education.

  • PDF

교사의 체육수업지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식 (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to Teaching Method and Management of Physical Education)

  • 황선희;박익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449-45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체육수업지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식을 분석하여 보다 즐겁고 효율적인 수업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으로, 초등학교 5.6학년 319명(남자 160명, 여자 15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체육수업 시 교사의 설명에 대해 학생들은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교사의 시범, 지식에 대해 학생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체육수업활동 시 교사의 설명이나 지도를 통해서 얻는 움직임의 지식에 대한 남녀 학생의 의존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평가와 질서유지에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는데 교사의 평가에 대한 공정성이나 신뢰감이 형성되어 있다고 판단되며, 수업활동 참여에 대해서도 상당히 높은 반응을 보여 교사의 적극적인 수업활동 참여를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체육수업지도 시 제시되는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과 생각을 보다 잘 이해하고 가까이 다가서려는 노력을 기울인다면 보다 재미있고 보람차고 긍정적인 체육수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초등수학영재학급에서 교수자의 지도 목표와 학습자의 학습 목표 인식 간극 분석 (Analysis on the Perception Discrepancy between Teacher's Teaching Goal and Students' Learning Goal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 for the Gifted)

  • 임성재;송상헌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6
    • /
    • 2015
  • 본 연구는 영재학급에서 수업 중 교사가 강조하는 지도 목표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 목표 도달 정도의 차이를 분석해 봄으로써 영재학급에서의 학습 목표 제시 방식을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각 20명씩 총 40명) 학생들의 활동지를 양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학급 내 성취 수준이 상, 중, 하위권에서 각 1명씩을 대상으로 수업 중 연구자 참여 관찰과 수업 후 개별 면담을 통해 그들의 학습 목표 인식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습 목표는 내용면, 과정면, 태도면에서 각각의 하위 요소별로 교사가 사전에 기술해 놓은 것에 대해 교사 자신이 강조한 정도와 학생이 인식한 정도의 간극을 항목별로 차이를 수치화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학급 학생들은 내용면보다는 상대적으로 과정면에서 학습 목표에 대한 인식이 낮음을 알 수 있었는데, 전반적으로 연역적 사고, 유추적 사고, 발전적 사고에 있어서 교사의 강조 정도와 인식 정도의 차이를 보였고 특히 유추적 사고에서 학습 목표에 대한 그 인식 정도가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얻게 된 몇 가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모델 이그노런스 교수프로그램이 예비화학교사의 인식 및 교수 실행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eaching Program for Model Ignorance on the Perception and Teaching Practice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 전은선;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3호
    • /
    • pp.228-24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예비화학교사들이 모델의 이그노런스 교육을 교육실습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았다. 교수프로그램의 구성은 Odden & Russ의 연구에서 제안한 센스메이킹 개념과 Asli 등이 제안한 교사의 센스메이킹 단계를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우리나라 중부 지역에 있는 교사 양성 대학의 화학교육과 4학년 예비교사 23명이었다. 교수프로그램은 모델의 이그노런스 교육에 대한 센스메이킹 형성을 위하여, 초기 생각 도출 단계, 불일치 상황에서 모델의 이그노런스 인식 단계, 모델의 이그노런스 교육을 위한 수업 전략 구성 단계, 그리고 교육실습을 통한 수업 실행 계획 및 실천 단계 등 4단계로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첫 단계를 통해 산·염기 반응의 아레니우스 모델과 브뢴스테드-로리 모델, 산화·환원 반응의 전자 이동 모델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초기 아이디어를 알아보았다. 두 번째 단계를 통해 모델의 지식으로 설명할 수 없는 불일치 상황을 제시하여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세 번째 단계로 교과서 분석과 수업 전략 구성 활동을 통해 모델의 이그노런스 교수 역량을 기르는 활동을 하였다. 마지막 단계로 교육실습 동안 예비교사들에게 모델의 이그노런스 교육 실행을 계획하고 실천해 보도록 하였다. 이러한 모델의 이그노런스 교육에 대한 센스메이킹 형성 교수프로그램을 통해 예비교사들은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인식하게 되었으며, 모델 이그노런스를 반영한 수업 전략 구성 및 실천 역량을 획득하고,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가르치는 것의 교육적 가치와 필요성에 대하여 인식하게 되었다.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과학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cience Lesson with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 이병희;이형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1호
    • /
    • pp.78-8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ience lesson with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of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50 students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composed of 50, both in $6^{th}$ grade.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equivalent in their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when pre-tests were conducted.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cience instruction applied with Flipped Learning and the comparative group took typical science lesson according to a teacher's gu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lesson with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was more significantly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than traditional science lesson. Second, the science lesson combined with Flipped Learning enhanced scientific attitudes of students with meaningful difference more than typical science lesson. Third,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bout their cognition on the lessons with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Many students had positive thoughts on this lesson and they thought the lesson was very interesting and understandable.

어머니,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에 대한 유아의 인식과 자아개념 (Preschooler's Perception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heir Self Concepts: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with Mother, Teacher, and Peers)

  • 신수희;이완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47-62
    • /
    • 2014
  •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만 5세반 유아 93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취학 직전 시기 주변인과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유아가 인식한 어머니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및 또래와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그림도구를 제작하였다. 유아의 자아개념도 그림도구로 측정하였으며, 개별 면접을 통해 유아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만 5세 유아는 미시체계에서의 자신의 주변인과의 관계를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인식은 유아의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변인과의 관계 중 유아-교사 간 갈등에 대한 유아의 인식이 이들의 자아개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와 주변인과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본 선행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주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유아의 인식을 직접 측정해 보았다는 점, 그리고 유아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용 그림도구를 제작하여 유아와의 일대일 면접을 실시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메타인지, 감성지능이 인성개발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ta cogni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마지순;이선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17-424
    • /
    • 2017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메타인지, 감성지능과 인성개발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A대학의 유아교육과 학생 218명이다. 검사도구는 메타인지, 감성지능, 인성개발효능감에 대한 내용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자기보고식으로 완성되었다.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메타인지, 감성지능, 인성개발효능감은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타인지와 인성개발 효능감은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적 인성개발효능감이 개인적 인성개발효능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에서는 인지지식 중 선언적지식이 높으면 인성개발효능감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으며, 인지조절영역 중 평가가 높으면 인성개발효능감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감성지능은 인성개발효능감과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감성지능이 높으면 일반적 인성개발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감성지능의 하위영역에서는 타인감성인식이 높으면 인성개발효능감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고, 다음은 자기감성인식, 감성조절, 감성활용 순으로 높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개발효능감에는 감성지능 중 타인감성인식이 가장 높은 영향력이 있으며, 자기감성인식, 메타인지 중 오류수정, 그 다음은 감성지능 중 감성활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전교육과정에서 인성개발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증가시키는 기회가 되었고, 예비유아교사의 메타인지와 감성지능에 대하여 고려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학교 보건 실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f School health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 우선혜;박영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1-172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experience in field practice by school health practice experience. The study subjects were 40 nursing students working in department of nursing K Univ. in C city. This study was approached by phenomenological metho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laizzi's method. The results were from the protocol 980 significant statements and organized into 240 formulated meanings. From formulated meaning 89 themes were identified, organized into 18 them clusters, and then into 16 categories. The nursing students took part in the practice with (expectation and readines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linical practice, expressed wonder at the school which had progressed much more than their primary schools used to be. They said that they began to feel (Fatigue and stress), and that experienced tension for the lack of nursing knowledge and skill during the health education and clinical treatment activity. In addition, they experienced 'ambivalence of satisfaction and something wanted', that is to say, they could have done better by means of video education and health education. The 10-day-school health practice brought about the change in( the image of teacher) and (cognition about the nursing teacher's role), made the students have(love to the client) and (desire to be nursing teacher), and then turned out experience benefical enough to be expressed 'satisfaction' However, they pointed out many problems in (School Eniviroment), (Clinic), (Physical assessment), (Recording and reporting), so they had a chance to apply the school nursing process to the school. The professor should play the role of promoting the learning through the field practice and providing the stimulant of learning to help the learner get as much from the field situation as they could. Therefore, I suggest that the students always have a chance to exchange actual affairs and educational study, and that the concrete discussion and continuous cooperation be done. The professors should keep doing their best to find the way to professors should keep doing their best to find the way to promote the ability of thinking through the process the learners experienced themselves.

  • PDF

수학문제해결 수행에서의 메타인지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Metacognition Mathematical Problem - Solving)

  • 유승욱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11-119
    • /
    • 1998
  • So far the studies o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education have failed to realize the anticipated result from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sons from the metacognitional viewpoint, and to think of making meta-items which enables learners to study through making effective use of the meaning of problem-solving and through establishing a general, well-organized theory on metacognition related to mathematic teaching guiedance. Metacognition means the understanding of knowledge of one's own and significance in the situation that can be reflection so as to express one's own knowledge and use it effectively when was questioned. Mathematics teacher can help students to learn how to control their behaviors by showing the strategy clearly, the decision and the behavior which are used in his own planning, supervising and estimating the solution process himself. If mathematics teachers want their students to be learners not simply knowing mathematical facts and processes, but being an active and positive, they should develop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fact, mathematics learning activities are accomplished under the complex condition arising from the factors of various cognition activities. therefore, mathematical education should consider various factors of feelings as well as a factor as fragmentary mathematical knowled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