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the Perception Discrepancy between Teacher's Teaching Goal and Students' Learning Goal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 for the Gifted

초등수학영재학급에서 교수자의 지도 목표와 학습자의 학습 목표 인식 간극 분석

  • 임성재 (수원 권선초등학교/경인교대 교육전문대학원) ;
  • 송상헌 (경인교육대학교)
  • Received : 2015.01.16
  • Accepted : 2015.02.23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alysis of examples that gifted students' realizing the learning objectives through teaching method of the teacher's questions and advice. 6 gifted students were selected to be examined with 'magic square' in class. The teacher emphasized the learning objectives without directly proposing. Whereas, the teacher proposed the learning objectives by questioning and giving advice to students. After the class, the 6 gifted students were surveyed to answer about realizing the learning objectives of mathematics (about contents, process, and attitude in mathematics learning objectives).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thought about the process that consists of deductive thinking, analogic thinking, extensive thinking, creative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But, they underestimated the deductive thinking. So the teacher should develop the questions and advice to teach the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m. The high level of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were able to realize the value and the importance of the mathematical attitude, while the low level of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were able to realize them little. For this reason, the teacher should apprehend the level of the students, and propose materials and contents of the learning. The teacher should also make the gifted students realize value, will, and personality of mathematics by questions and advice. Lastly, like it is needed in general classes, there should be a constant researches and improvements about questions of the teacher that are appropriate to each student's learning abilities and cognition ability.

본 연구는 영재학급에서 수업 중 교사가 강조하는 지도 목표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 목표 도달 정도의 차이를 분석해 봄으로써 영재학급에서의 학습 목표 제시 방식을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각 20명씩 총 40명) 학생들의 활동지를 양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학급 내 성취 수준이 상, 중, 하위권에서 각 1명씩을 대상으로 수업 중 연구자 참여 관찰과 수업 후 개별 면담을 통해 그들의 학습 목표 인식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습 목표는 내용면, 과정면, 태도면에서 각각의 하위 요소별로 교사가 사전에 기술해 놓은 것에 대해 교사 자신이 강조한 정도와 학생이 인식한 정도의 간극을 항목별로 차이를 수치화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학급 학생들은 내용면보다는 상대적으로 과정면에서 학습 목표에 대한 인식이 낮음을 알 수 있었는데, 전반적으로 연역적 사고, 유추적 사고, 발전적 사고에 있어서 교사의 강조 정도와 인식 정도의 차이를 보였고 특히 유추적 사고에서 학습 목표에 대한 그 인식 정도가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얻게 된 몇 가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천 (2008). 초.중등 교사를 위한 수업 전문성 신장 모델. 2008 수업전문성 향상 과정 직무연수 교재. 서울특별시교육연수원.
  2. 김기연, 이종희 (2008). 창의적 생산력의 하위 요소 탐색 및 수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델 개발. 학교수학, 10(4), 583-601.
  3. 김유미 외 (2009). 수업 노하우 발견. 학지사.
  4. 이국형 (2011). 교사의 발문과 권고가 영재학급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수학적 사고 특성 변화 분석.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이동주 (1987). 명료적 수업 목표가 산수학습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이애란 (2007). 비고츠키주의자의 언어적 자기 규제론과 도덕교육. 한국학술정보(주).
  7. 이은주 (2002). 교사의 발문이 학습자의 수학적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임성재 (2015). 교사의 발문식 교수법에 따른 영재학급 학생들의 학습 목표 인식 사례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조우기, 오영렬 (2010). 수학교실에서 교사의 역할에 따른 상호작용 패턴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1), 1-22.
  10. 한정민, 박만구 (2010). 수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본 교사의 발문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865-884.
  11. 황정규 (1991). 학교 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 교육과학사
  12. Polya, G. (1986). How to Solve It: A New Aspect of Mathematical Method. (우정호 역(2005). 어떻게 풀 것인가:수학적 사고 방법. 교우사.)
  13. Shuell, T. J. & Schueckler, L. M. (1989). Toward evaluating software according toprinciples of learning and teaching.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5,135-149. https://doi.org/10.2190/WQ0M-8BCW-16MF-3AVX
  14. Slavin, R. E. (1989). Cooperative learning and student achievement. The Education Digest, 14-17.